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터로 본 판소리의 性 인지 체계: 신재효本을 중심으로

        신호림,이승은 한국구비문학회 2024 口碑文學硏究 Vol.- No.72

        This study analyzes the sexual cognitive system in pansori works using Shin Jae-hyo’s pansori texts as the research subject. To that end, I first extracted excerpts of sexual expressions from Shin Jae-hyo’s pansori texts such as Chunhyang-ga(NamChang), Simcheong-ga, Bak-Taryeong, Tobyol-ga, Jeokbyeok-ga, and Byeongangsoe-ga. Then, I input them on a sentence-by-sentence basis with metadata including the speaker (narrator), target of description, related characters, works, and excerpts. As a preliminary step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I performed morphological analysis and preprocessing on the data entered in the text column. This made the language of the pansori texts suitable for digital analysis tools with the input of new information or stop words into the user dictionary. Three analyses were attempted using the data extracted from Shin Jae-hyo’s pansori texts. First,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visualize which work had the most occurrences of sexual expressions and to examine the frequency of speaker-description target pairs when sexual expressions were uttered and their targets. Seco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to extract topics from a large collection of documents. Third, I used co-occurrence word analysis to reveal the semantic network of words constituting sexual expression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exual cognitive system in pansori works is based on “deviation and return.” That is, while enjoying pansori, one can realize that forbidden desires are, indeed, common desires and can satisfy sexual fantasies. However, such desires should not persist beyond exceptional circumstances and should ultimately be concealed and transformed to abide byto societal norms. Listening to and reading pansori involves repeatedly deviating from and returning to sexuality as a theme that persists throughout the whole story.

      • KCI등재

        설문대할망 전설의 비극성 재고

        신호림 한국무속학회 2023 한국무속학 Vol.- No.47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consider the tragic feature of Seolmundae Halmang legend in Jeju Island. The legend of Seolmundae Halmang explains the process of creating Jeju Island's topography. The creation behavior of the Seolmundae Halmang is characterized by a conflict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forming. This conflict consists of the failure of lateral expansion and the concentration of longitudinal expansion. The creation of the Seolmundae Halmang eventually results in the space of the “island” of Jeju Island. The perception of the island is closely linked to the death of Seolmundae Halmang. By facing death in the space she created, Seolmundae Halmang completes the nature of Jeju Island, a mountain greater than himself. Through the event of death, the Seolmundae Halmang retreats to somewhere in the mountain and acquires the divinity in silence. It is the point where the secret beauty of death and the sublime of mytholog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is means that the nature of the sublime held by the Seolmundae Halmang has changed. The sublime of Seolmundae Halmang originated from a huge body. Since the sublime expressed by the giant stems from a higher level of order than reality, it approaches the general person of Jeju Island as an uncomfortable emotion, that is, an unpleasant feeling. However, when the Seolmundae Halmang reappears in the form of nature called Jeju Island, which people can usually encounter in their daily lives, it becomes possible to recognize the transcendent existence in itself, transforming the sublime of discomfort into pleasure. The transition from discomfort to pleasure shown by the sublime leads the imbalance in the creative act of the Seolmundae Halmang to a positive direction,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ntagonism. By interlocking the island's space, which was originally recognized as a limitation, with the tranquil divinity created by Seolmundae Halmang, the lacking environment of life was converted into a pleasant sublime. 본고는 제주도의 설문대할망 전설에 나타난 비극성을 숭고의 측면에서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설문대할망 전설은 제주도 지형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설문대할망의 창조 행위는 수직과 수평의 길항에서 수적적인 것으로 수렴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 길항은 횡적 확장의 실패와 종적 확장의 집중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설문대할망의 창조 행위는 결국 제주도라는 ‘섬’의 공간으로 귀결된다. 섬에 대한 인식은 설문대할망의 죽음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설문대할망은 자신이 창조한 공간에서 죽음을 맞이함으로써 자신보다 위대한 산, 즉 제주도의 자연을 완성시킨다. 설문대할망은 죽음이라는 사건을 통해 산 어딘가로 물러나서 고요 속의 신성을 획득한다. 죽음이 일으키는 비장미와 신화의 숭고미가 서로 상통하는 지점이다. 그리고 이는 설문대할망이 지니고 있던 숭고의 성질이 변화했음을 의미한다. 설문대할망의 숭고는 거대한 신체에서 비롯되었다. 거인이 표출하는 숭고는 현실보다 높은 차원의 질서에서 발현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람에게 불편한 감정, 즉 불쾌로 다가가게 된다. 그러나 설문대할망이 죽음을 통해 사람들이 평소에 접할 수 있는 제주도라는 자연의 모습으로 재등장했을 때, 초월적인 존재를 그 자체로 인지할 수 있게 되면서 불쾌의 숭고를 쾌로 전환시킨다. 숭고가 보여주는 불쾌에서 쾌로의 전이는 설문대할망의 창조 행위에서 나타나는 불균형을, 수직과 수평의 길항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끈다. 본래 한계로 인식되었던 섬의 공간을 설문대할망이 자아내는 고요한 신성과 맞물리게 하면서 결핍된 삶의 환경을 유쾌한 숭고로 전환시킨 것이다.

      • KCI등재

        함경도 서사무가 <도랑선배‧청정각시>에 나타난 희생의 성격과 제의적 의미

        신호림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1 고전과 해석 Vol.33 No.-

        본고에서는 함경도 망묵굿의 무속신화인 <도랑선배‧청정각시>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청정각시가 감내하는 고난의 의미를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마지막 에 죽음을 맞이하는 청정각시의 모습을 통해 <도랑선배‧청정각시>의 제의적 의미 를 구명하고자 했다. 청정각시의 고난은 불교적 외피를 입고 있다. 그런데 청정각시의 불교적 행위는 희생제의를 내면화 한 것으로, 결국 청정각시의 고난은 인간과 신 그리고 聖과 俗 이라는 이분법적인 세계를 연결하는 공희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청정각시가 죽은 도랑선비를 만날 수 있는 방법은 이승과 저승 또는 지상계와 천상계의 매개 공간으로 자리 잡은 안헤산 금상절과 같은 곳에서 제시되며, 청정각시에게 부여되는 고난 은 저승으로 나아가는 제의적 행위로 읽어낼 수 있다. 문제는 청정각시가 모진 정성을 들여도 찰나의 만남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죽음 을 통해서만 도랑선비와의 온전한 만남이 가능하다는 설정은 저승 자체가 이승의 생자가 접근 불가능한 공간임을 명시한다. 길을 닦음으로써 ‘이승/저승’의 체제가 만들어졌다고 해서 그 안에서 자유로운 왕래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저승은 이 승에서 분리됨으로써 편입되는 특수한 예외공간이며, <도랑선배‧청정각시>는 망 자의 저승길을 닦아주는 첫 번째 무가로서 이승과 저승의 관계를 定礎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도랑선배‧청정각시>가 생자에게 던져주는 의미는 적어도 망묵굿이라는 제의 적 공간 안에서 저승이라는 공간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저승에 머물고 있 는 망자를 일시적으로나마 만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최초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선간길 외에도 아직 닦아야 할 저승길이 많이 남아있기에 남은 시간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생자는 망자와 관계를 맺으며 서서히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다. <도랑선배‧청정각시>는 그렇게 굿판에 참여한 생자에게 최초로 위로와 위안의 손길을 내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function of Cheongjeong-gaksi’s self-sacrifice with the perspective of Buddhism and to figure out the ritual meaning of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is one of the shaman songs in Mangmuk-gut of Hamgyeong-do province. Mangmuk-gut of Hamgyeong-do province consists of several ritual sequences. From the sequence that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is sung the ritual for dead man is started in earnest so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is the first song for the dead. In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Dorang-seonbi is suddenly dead and Cheongjeong-gaksi sacrificed herself to meet Dorang-seonbi again. The sacrifice looks like a Buddhism behavior and this is originated from the Veda’s ritual form of sacrifice. Therefore, sacrifice of Chenongjeong-gaksi means the ritual behavior to across the line between life and death. Cheongjeong-gaksi finally kills herself to meet Dorang-seonbi. The only way to meet the dead man Dorang-seonbi is going to the part of death after all. It shows Cheongjeong-gaksi sacrifices herself instead of living people who are participants of Mangmuk-gut of Hamgyeong-do province. Cheongjeong-gaksi is the sacrificial offering to make people communicate with the dead man.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It shows it is impossible to approach the space of death but also retains some possibilities of communication between life and death by the sacrifice of Chenongjeong-gaksi. “Dorang-seonbi‧Cheongjeong-gaksi” offers some explanations how the spaces of living and death consisted and how the living people can communicate with the dead man under the ritual context. After all, living people derive comfort from this ritual because they believe they can meet the dead man.

      • KCI등재

        <변강쇠가>에 나타난 욕망과 규범 사이의 긴장과 그 처리 방식

        신호림 판소리학회 2018 판소리연구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tension between 'individual desires and social norms' and how this is negotiated in “Byeongangsoe-ga” in order to reveal its hidden theme. In “Byeiongangsoe-ga”, the two main characters, Gangsoe and Ongnyeo, are filled with sexual desire. However, after they get married, Ongnyeo, the female character, is caught up in conforming to social norms of the Choson dynasty. However, Gangsoe, the male character, keeps his sexual desire, resisting the norms. At the end of the text, Gangsoe is disciplined by the concept of folklore represented by Jangseung. It appears that Gangsoe conforms to social expectations. However, his death reveals another theme in the text. Though the narrative of “Byeongangsoe-ga” closes with his death, the tension between desire and discipline, and the individual and group still goes on in an aesthetic form of the grotesque. 본고는 <변강쇠가>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욕망과 이를 억제하려는 규범 사이의 긴장을 살펴보고, 종국에 어떤 방식으로 그 긴장감을 처리하는지 구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성(性)으로 표상되는 욕망은 변강쇠라는 남성 인물과 옹녀라는 여성 인물로 분화되어 나타나며, 이 두 인물이 만나 부부가 된 이후의 노정은 대립적으로 형상화 된다. 옹녀는 가(家) 안의 공간에 머물며 아녀자로서의 규범을 받아들이려고 하지만, 변강쇠는 옹녀와의 만남 이전에 이어가던 욕망의 표출을 멈추지 않는다. 이런 갈등 지점에서 <변강쇠가>는 변강쇠를 규범의 테두리 속으로 포섭하기 위해 ‘장승’ 화소를 서사 내로 견인한다. 장승과 변강쇠의 갈등은 결국 장승의 승리로 이어지지만, 변강쇠는 규범을 받아들이는 대신 기괴한 모습으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이는 표면적으로 규범의 승리처럼 보이는 서사에서 오히려 규범이 죽음 외에는 개인을 교화시킬 수 없다는 아이러니를 보여준다. 이것이 바로 <변강쇠가> 특유의 기괴미를 유발하는 기제가 되어, 결국 변강쇠의 죽음에 대한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변강쇠가>는 표면적으로 성적욕망의 표출이 사회 규범에 의해 조정되어야 함을 이야기하지만, 그 안에서 개인의 욕망은 억제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오히려 그 규범에 대한 저항담론으로 남아있을 수 있다는 이면적 주제를 보여준다. 성적 욕망과 사회 규범, 개인과 집단 사이의 이러한 긴장감은 <변강쇠가>의 서사가 종료된 시점에서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기괴미라는 미적 범주의 형태로 남아 지속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함경도 서사무가 <대감굿>에 나타난 죽음의 두 층위와 제의적 의미

        신호림 한국고전연구학회 2019 한국고전연구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wo layers of death and its ritual meaning of “Degam-gut”, the shamanistic myth in Hamgyeong-do province. “Degam-gut” is performed not for the dead but for an ancestor in order to lay his(or her) spirit to rest.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ritual meaning of “Degam-gut” by juxtaposing the narrative layer with performing layer. In “Degam-gut”, a ‘lack’ which leads the whole narrative is described of incomplete death of Jim Miryeon who is a defeated general died in the battlefield. The spatial structure is composed of two oppositive parts like ‘inside of Duman river/over the Duman river’, ‘life/death’, ‘complete/ incomplete’, ‘son/father’ and so on. Jim Daleon, a son of Jim Miryeon crosses the board of segmented space for his ‘revenge’. He finally succeeds to hold a funeral of his father. However, the problem is about the contagion of death which engenders a vicious circle of the violence. Jim Daleon’s suicide should be interpreted by this. He becomes a scapegoat burdening whole possibilities of harmful violence so that he consummates the myth of self-sacrifice in order to vent his father’s spite. When we juxtapose the narrative layer with performing layer of “Degam-gut”, the narrative of Jim Daleon’s revenge is a metaphor of the process that takes a good fortune of god of Degam without any harm by mourning an ancestor. A cultural geographical feature of Hamgyeong-do province could be summarized by two. One is there are usually lots of ancestors who cannot come back from the battlefield, and another is the god of Degam is regarded as an ancestor. Though “Dagam-gut” is not for the dead, it has its own ritual function, mourning an ancestor who did not die normally and bringing a god of Dagam without any danger into the ritual space of Mangmut-gut. 본고에서는 함경도의 서사무가 <대감굿>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서사에 내재된 죽음의 두 층위를 살펴보았다. <대감굿>을 연행하는 ‘대감굿’ 거리는 본래 망묵굿의 제차가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망묵굿 안에서도 망자를 천도하기보다 ‘조상’을 모시고 위무하는 제차로 기능한다. 이런 맥락에서 <대감굿>을 분석함으로써 작품에 등장하는 죽음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도모하고, 서사적 층위와 연행적 층위가 접합되는 지점을 살펴봄으로써 <대감굿>의 제의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대감굿>의 서사를 살펴보면, 서사를 추동하는 ‘결핍’은 짐미련의 온전치 못한 죽음이다. 두만강을 기준으로 <대감굿>의 공간은 이곳/저곳으로, 더 나아가 삶/죽음, 온전함/온전치 않음, 子/父로 분절되어 있으며, 짐달언은 분절된 공간의 경계를 횡단하여 짐미련의 시신을 수습함으로써 자신의 ‘복수’를 완수함과 동시에, 부친의 온전치 못한 죽음을 온전한 상태로 되돌린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짐달언에게 죽음의 불순함이 전염되었을 가능성이다. 짐달언의 자결은 이런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짐달언은 스스로 죽음으로써 죽음의 해로움을 온 몸으로 떠안고 사라진 일종의 자발적 희생양이다. 짐달언의 자기희생신화를 통해 짐미련에 대한 해원이 아무 탈 없이 성공했음을 알 수 있다. <대감굿>의 서사적 층위와 연행적 층위를 나란히 놓고 살펴보면, 짐달언의 복수담은 대감굿을 올려 조상을 위무함으로써 아무 탈 없이 대감신을 모시고 복을 받을 수 있는 제의적 논리를 서사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함경도의 문화지리적 특성은 전장에서 집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죽은 조상이 많다는 점, 대감신을 조상과 관련된 신으로 간주한다는 점 등으로 요약할 수 있는바, <대감굿>은 망자를 천도하기 위한 노래는 아니지만, 그 전에 온전하게 죽음을 맞이하지 못한 조상을 위로하고 대감신으로 모시기 위한 무가로서 죽음을 다루는 신화로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엄마 까투리 콘텐츠에 나타난 안동-로컬리티의 구현 방식

        신호림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89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how to Andong-locality is embodied in Katuri’s mom contents. Katuri’s mom contents contain a picture book <Katuri’s Mom>(2008) written by Kwon Jungsaeng, animation movie <Katuri’s mom>(2011) mainly producted by Andong visual media center and EBS animation series <Katuri’s mom>(2016). By time series analysis, it is possible to study aspects how Katuri’s mom contents embody Andong-localities In a picture book <Katuri’s Mom>, there is no any narrative factor in the text itself though it is originated by (in)direct experiences of an author Kwon Jungsaeng who has represented Andong. The external intention has been interfered in order to treat a picture book <Katuri’s Mom> as a story of Andong and this becomes an origin of desire of Andong locality. After an animation movie <Katuri’s mom> released, the desire comes visualized by showing explicit Andong’s elements like a Kwon Jungsaeng character, his birthplace, landscape of his village, names of Hahoe masks, Andong traditional performance and so on. It is not dissolved into the text so it is able to say Andong locality is crammed in an animation movie <Katuri’s mom>. On the one hand an externality of a subject of locality can show directly what Andong locality is, but on the other, Andong locality can be ambiguous paradoxically. EBS animation series <Katuri’s mom> is the proper example. When producers are plural and the subjects of locality are out of Andong area, the locality around Katuri’s mom contents become contested. These aspects point some specific principals of locality. The stress that has been laid here on the openness of localities, on their construction on the basis of links to the outside rather than demarcation from it, inevitably raises the issue of boundari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localities in the sense discussed here are always provisional, always in the process of being made, always contested. 본고는 권정생의 그림책 <엄마 까투리>(2008), 애니메이션 영화 <엄마 까투리>(2011), EBS 애니메이션 시리즈 <엄마 까투리>(2016)를 ‘엄마 까투리 콘텐츠’라는 용어로 포괄하여 시계열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안동–로컬리티가 구현되는 양상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림책 <엄마 까투리>는 권정생의 직‧간접적인 체험을 서사화 시킨 결과물로서, 작품에서는 ‘안동적인 것’이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동을 권정생의 고향으로, <엄마 까투리>를 안동의 이야기로 간주하고자 하는 외부 시선이 개입되면서 안동–로컬리티를 부여하고자 하는 욕망의 근원이 만들어졌다. 이후, 그림책이 애니메이션 영화로 재창작되면서 그런 욕망은 가시화되며, 안동–로컬리티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가 발견된다. 그러나 안동–로컬리티를 구현하고자 하는 주체의 외재성으로 인해, 로컬리티가 모호해질 수 있다는 역설도 함께 드러난다. 애니메이션 영화의 성공 이후, EBS 애니메이션 시리즈 <엄마 까투리>가 제작되면서 안동과 경상북도 사이에서 로컬리티를 둘러싼 갈등이 빚어진 것이다. 콘텐츠 자체의 영향력은 강해졌지만 엄마 까투리 콘텐츠를 둘러싼 로컬리티는 유동적이고 갈등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이런 양상은 로컬리티가 구현되는 원리를 보여주게 된다. 하나는, 로컬리티가 해당 지역의 자연과 전통을 담아냄으로써 가시화된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로컬리티를 구현하기 위해 서사 내로 견인했던 자연과 전통이라는 요소가 해체되고 재구성되는 가운데, 현대 매체와 대중문화가 로컬리티를 구성하는 하나의 중심축이 된다는 것이다. 이런 두 가지 양상은 로컬리티가 가지고 있는 개방성이라는 속성을 여지없이 보여준다. 로컬리티는 항상 임시적이고, 언제나 만들어지는 과정에 놓여 있으며, 갈등적인 상황에 놓여있는 것이다.

      • KCI등재

        <지네장터> 설화에 나타난 폭력의 양상과 극복의 의미

        신호림 한국구비문학회 2013 口碑文學硏究 Vol.0 No.36

        본고에서는 <지네장터> 설화에 나타난 폭력의 양상과 두꺼비의 서사적 기능에 주목해 서 서사에 내재되어 있는 향유층의 인식과 작품의 의미를 구명하고자 했다. 악신(惡神)적 면모를 지닌다는 점에서, 그동안 지네는 신성성을 상실한 채 인간에게 해코 지만 하는 부정적인 존재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지네에게 제물을 바침으로써 마을의 안정 과 풍요를 도모한다는 인식은 분명히 서사의 도입부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 로 당신(堂神)을 모시는 마을 공동체의 제의적 관념과 다르지 않다. 즉, 지네는 마을의 풍요 와 안정을 관장하는 마을신으로서 서사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제의적 관계는 신과 인간 사이의 연대관계과 우위관계에 기초하게 되는데, 신격인 지네가 인간 공동체보다 우위에 서 있기 때문에 공동체는 의무적인 증여를 강요받는다. 그리고 지네를 향한 증여가 부재할 때 지네의 악신적 면모가 발현되며, 서사 내에서 신적 폭력이 발생하게 된다. 신적 폭력은 인간 공동체가 감당할 수 없는 것으로 묘사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네 장터> 설화에서는 두꺼비라는 설화적 존재를 대리희생물로서 서사 내로 견인한다. 그 과정 에서 두꺼비는 처녀의 선(先)증여를 통해 또 다른 연대관계를 맺으며 지네와 대결할 수 있 는 서사적 개연성을 마련한다. 더욱이 두꺼비는 대결 이후 죽음을 맞이하거나 서사에서 배 경화 됨으로써 처녀에 대한 순수증여적 면모를 보여준다. <지네장터> 설화에 나타난 두 종류의 증여 메커니즘은 ‘지네-인간 공동체’ 사이와 ‘처녀- 두꺼비’ 사이에서 발견할 수 있다. 전자와 후자는 각각 ‘집단적 증여/개인적 증여’, ‘수동적 증여/능동적 증여’의 대립쌍을 형성하는데, 지네와 두꺼비의 대결을 통해 두 종류의 증여는 대립하게 된다. 그리고 지네에 대한 두꺼비의 승리는 집단적 증여의 종말을 의미함과 동시 에 개인적 증여에 대한 강조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개인적 증여는 미물에게까지 선행을 베풀어야 한다는 인식과 선행을 받으면 이를 보은해야 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한 윤리적 메커니즘에 기반을 두는데, 제의적 관념에서 윤리적 관념으로 이행하는 설화 향유층의 인 식 변화를 읽을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지네장터> 설화에서는 두꺼비가 서사에서 배제됨으로써 처녀에 대한 인간 공 동체의 보상이

      • KCI등재

        심청전에 대한 현대적 상상력과 스토리텔링 전략 ‒ 영화 <마담 뺑덕>(2014)을 대상으로

        신호림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6

        본고는 영화 <마담 뺑덕>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심청전에 대한 현대적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기존의 심청전 서사를 변용시키는 현대적 상상력을 ‘스토리텔링’이라는 용어로 포착하고자 했다. 먼저, <마담 뺑덕>의 내러티브를 시간구조에 따라 세 단락으로 구분해서 살펴보았다. <마담 뺑덕>은 심학규를 중심으로 인물들 간의 관계망을 형성시키지만, 심학규가 그의 욕망을 현실에 개입시키면서 점차 관계는 파탄에 이르게 된다. 내러티브 초반에는 등장인물들의 개별적인 욕망이 서로 얽혀있는 것처럼 보여도, 결국 <마담 뺑덕>에 드러나는 ‘문제-해결’의 방식은 심학규의 욕망에 초점을 맞추면서 구성된다. 여기에서 욕망으로 인해 관계가 파국에 이르고, 그 욕망이 심화됨으로써 심청에 대한 강제적인 희생이 요구되는 과정은 기존 심청전의 서사와 맞닿아 있다. 그러나 <마담 뺑덕>에서 마지막으로 던지고자 했던 메시지는 욕망의 끝에 찾아온 ‘사랑’이라는 새로운 관계의 기표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마담 뺑덕>을 다시 바라볼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 심학규의 내러티브에만 주목했을 때, 심청전의 서사와는 독립된 또 하나의 ‘내러티브-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모든 결핍을 채우고자 했을 때 더 큰 결핍을 조우해야 했던 심학규를 그려냄으로써 이제 결핍은 욕망으로 채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의미를 두어야 함을 보여준다. 바로 그 시점에서 어그러진 모든 관계를 다시 시작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욕망이 빠져나간 자리를 대체하게 되고, 그 관계는 ‘사랑’이라는 이전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기표를 획득하게 된다. 즉, 심학규의 내러티브는 욕망으로 점철된 인간이 순수한 관계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사랑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담고 있는 것이다. 안맹이나 가난과 같은 이중적 결핍을 심학규의 욕망과 연결 짓고, 그 욕망에서 벗어나 사랑이라는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는 심학규의 내러티브는 심청전에서 보이지 않던 새로운 이야기를 말하는 것과 연결된다. 심청전의 서사를 지배하고 있던 심청 중심의 이야기에 대항하여 ‘다른 이야기’를 말하고 있는 <마담 뺑덕>은 어떻게 보면 스토리텔링의 ‘사회적 실천’을 이행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마담 뺑덕>은 고전(古典)이라는 이름 아래에 그동안 심청전을 해석함에 있어 심청의 희생 또는 효에만 천착한 것을 비판하며, 새로운 내러티브가 창출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전략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iguring out the modern understanding of SimChong Jeon’s narrative and its storytelling strategy in the movie <Madame PaengDeok>(2014). In the movie, there are three steps which are based on the temporal flow of narrative. <Madame PaengDeok> shows the web-like structure of desire especially by focusing on the male character Sim Hakkyu. The relationship among characters in <Madame PaengDeok> is gradually broken because of the desire. Moreover, the desire pushes Sim Chong who is Sim Hakkyu’s daughter into the sacrifice. This part seems similar with the narrative of SimChong-Jeon which has been transmitted since 18~19 century in Choson dynasty. However, <Madame PaengDeok> also tells a different story which describes the progress of Sim Hakkyu’s seeking the real relationship filled with love. This difference is able to make people read <Madame PaengDeok> with the ‘stroytelling’ point of view. All the lack or problem in <Madame PaengDeok> is closely related to the desire of Sim Hakkyu. His narrative is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typical story of SimChong-Jeon. A new narrative of Sim Hakkyu is not Sim Chong centered story but rather the anti of it. ‘The other narrative’ in <Madame PaengDeok> seems social practice of storytelling in order to break down the preconception of SimChong-jeon called ‘cannon’. This is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Madame PaengDeok> and it suggests the another way of creating new narrative which is based on the classical cannon.

      • KCI등재

        비현실성과 낭만성의 경계: <몽금도전> 다시 보기

        신호림 판소리학회 2017 판소리연구 Vol.43 No.-

        This work aims to determine how Monggeumdo-Jeon recreated the narrative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 Simchong-Jeon in the 20th century. The writer of Monggeumdo-Jeon reportedly attempted to adapt the narrative of Simchong-Jeon for rationality and reality. Such an adaptation coincided with the specific agenda proposed by the intelligentsia of the 20th century. However, the narrative itself of Monggeumdo-Jeon failed to contain the original intentions and aims of the writer; it is criticized as being riddled with errors and inconsistencies. Simchong-Jeon was based on elements of fantasy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f events in the physical world. This reference is deemed “romantic,” and this concept is seen as being not in contrast to the concept of “reality.” In Simchong-Jeon, these two terms show the perspective of distance from the actual world. Simchong-Jeon, owing to the concept of “romantic perspective” delivers the theme to readers and thus serves as the canon of such theme. In conclusion, Monggeumdo-Jeon failed to recreate the narrative of Simchong-Jeon. This finding is recognized when the literal factors of fantasy are eliminated. 본고는 1916년 6월 14일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발행된 <심청전(沈淸傳)>(이하 <몽금도전>)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개작 의식의 한계를 비현실성과 낭만성의 경계에서 찾고자 했다. 이는 “쳥컨ᄃᆡ 사리에 명ᄇᆡᆨᄒᆞᆫ 독쟈졔군의 한번 비평ᄒᆞ여 보기를 바라”던 <몽금도전>의 개작자에 대한 필자의 답변이기도 하다. <몽금도전>은 기존 심청전에 산재되어 있는 비현실적 요소들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합리적 서사를 모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개작된 서사를 보면 개작자의 의도나 취지와 모순되는 지점이 지속적으로 발견된다. 서사를 새롭게 구성하는 과정에서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풍속에 의지한다든가, 우연의 연쇄로 서사를 직조한다든가, 앞뒤 맥락이 모순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든가 등등, 합리적인 개작 또는 과학적 근거에 의한 개작을 지향했던 움직임과는 다른 서사적 면모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노출된 것은 <몽금도전>의 개작자가 비판했던 비현실적‧환상적 요소들이 사실은 현실의 모순을 드러내고 그 한계를 넘어서려는 낭만적 태도 또는 성향과 연결된다는 점을 간과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서사적 합리성‧개연성의 측면에서도, 주제 구현의 방식에서도 그 한계점은 명백히 드러난다. <몽금도전>이 개작 과정에서 보여주는 한계는 심청전이 자아내는 환상성이 작품을 구축하는 주요한 틀거리임을 우회적으로 보여준다. 20세기 초 시대적 전환기에, 그 시대에 적합한 고전의 상(像)을 제시하고자 했던 <몽금도전>의 시도는 오히려 중세적 창작방식의 산물로만 인식될 수 있었던 환상성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들어준다. 고전에서 환상성을 제거한다고 해도 이것이 곧 현실성이 도드라지는 텍스트로 전환되지 않는다는 점, 그런 환상성이 비현실적 요소에 기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핍진하게 현실을 그려낸다는 점 등을 역설적으로 <몽금도전>에서 읽어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