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 KCI등재

        응보개념의 모순과 분배적 정의

        이승은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The Contradiction of the Concept of Desertand Distributive JusticeSyngeun Lee Abstract: The existing analysis of the concept of desert was limited because it was interpreted only as an internally defined normative framework. Just because an individual has or does not have an outstanding talent cannot link it to distributive justice. The problem is that the system uses it as a basis for continuous imputation. In other words if the true conceptual and moral core of desert allows the introduction of external values and goals, desert must be defined in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e cooperative society. It is an error to argue that the criteria for applying desert are entirely determined by internal or external values. These errors and conflicts require social consensus. The agreement is interpreted as an institutional and relative concept of desert without being parasitic on the concept of justice. Key Words: Spontaneity, Rightless Ability, Contribution, Desert, Distributive Justice 응보개념의 모순과 분배적 정의이 승 은** 요약: 응보 개념에 대한 기존의 분석은 단지 내부적으로 정의된(defining) 규범적 틀로 해석했기 때문에 제약이 많았다. 이로 인해 응보론자들이 주장하는 응보의 근거들이 분배적 정의와 연계시키기에는 설득력과 정합성에서도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개인이 선천적으로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혹은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해서 그것을 분배적 정의와는 연결시킬 수 없다. 문제는 제도가 그것을 근거로 해서 지속적인 귀속근거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즉 응보의 진정한 개념적・도덕적 핵심이 외부적 가치와 목표의 도입을 허용하는 경우, 협동사회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응보를 규정해야만 한다. 응보의 적용기준을 전적으로 내부적 또는 외부적 가치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는 것이 하나의 오류이다. 이러한 오류와 충돌은 사회적 합의를 요구하게 된다. 그 합의란 정의의 개념에 기생하지 않으면서 제도적이면서도 상대적인 응보의 개념으로 해석을 낳게 된다. 핵심어: 자발성, 비권리적 능력, 기여, 응보, 분배적 정의 □ 접수일: 2022년 2월 22일, 수정일: 2022년 3월 13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2019S1A5B5A07084435). ** 영남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강사(Lecturer, Yeungnam Univ., Email: selee@ynu.ac.kr)

      • KCI등재

        『雜記古談』 <奇奴> 연구 -인물형상과 ‘奇’의 의미-

        이승은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3 No.-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plot and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a servant in kino, Jap-gi-godam(『雜記古談』) written by Lim-mae, and to consider the meaning of eccentric appearance in 18th century narrative. Kino, which follow the trail of a servant who rescue his master’s family on the verge of collapse, was mostly analyzed in the category of faithful servant. However, it is not faithfulness but eccentricity that was emphasized in the story. At first I made a comparison between kino and park-eon-lip(朴彦立) in Haksan-haneon(『鶴山閑言』) which was contemporary with kino. Park-eon-lip is the typical loyal servant who never deviate from ethical, social rules whereas kino create a new-eccentric servant type. The plot seems similar at a rough guess, but kino shows unique characteristic in the way that he doesn't act to be expected as a servant and also has ability to get a person’s potentiality and to foretell the future. Next, I inquired what laid under the emergence of this new-eccentric servant type. Primarily, it is based on Lim-mae’s personal interest and rhetorical embellishments given that there are stories about another unique characteristic in Jap-gi-godam in addition to kino. The word “eccentricity(奇)” is the appraisal and denomination to various character who do not subsumed under ideological framework such as good-evil pair. It is conspicious that the emergence of eccentric character through 18th century narrative for instance biography of the chivalry, statement about the person out of ordinary. Kino is also supposed to be influenced by these kind of story. These records about the eccentric character is based upon the fact at the very beginning, but had strong inclination to the fiction while spreading among the people. Kino followed this narrative trend and showed how the story change under the tension between fact and fiction. 본고는 任邁(1711~1779)가 편찬한 『雜記古談』에 실려있는 <奇奴>를 대상으로 인물 형상과 서사 기법을 살펴보고 18세기 무렵의 서사문학사적 맥락 속에서 이러한 인물형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기노>는 몰락의 위기에 처한 주인집을 구해낸 노비의 기이한 행적을 그린 작품으로, 주로 충노담의 범주에서 해석되어왔으나 서사를 통해 확인되는 것은 忠이 아니라 奇에 대한 관심임을 밝혔다. 이를 위해 먼저 <기노>와 동시기 유전하던 『학산한언』 소재 <박언립> 이야기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박언립>이 윤리적, 사회적 규범을 벗어나지 않는 전형적인 충노의 형상을 보여주는 반면, <기노>는 서사의 얼개는 유사하나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지인지감을 지닌 새로운 인물 형상을 창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인물형상이 서사 속에 등장하게 된 배경과 의미를 살폈다. <기노> 외에도 『잡기고담』 전반에 인물의 기이한 행적에 대한 언급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는 일차적으로는 임매의 개인적인 관심과 문식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기이하다’는 것은 선-악의 이분법적 가치 체계 내로 포섭되지 않는 다양한 인물들에 대한 평가이자 명명법이다. 서사문학 전반에 걸쳐서는 18세기 무렵 등장하기 시작한 유협전, 점차 다양한 인물의 행위에 관심을 두게 된 인물기사류에도 비슷한 종류의 인물형이 등장하는 것으로 미루어 <기노> 또한 이러한 흐름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렇듯 기이한 인물에 대한 기록은 이야기 속에 허구가 틈입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노>는 초기 야담에서 사실과 허구의 긴장, 그 속에서 서사가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가는지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MZ세대의 골프웨어 선택요인과 고객행동 간의 실증적 관계 분석

        이승은,김사만,박익렬 융복합지식학회 2022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10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golf wear selection attributes and customer behaviors of MZ generation to verify the effect of golf wear selection attributes (brand, design, price, advertisement, functionality) on user satisfaction and customer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golf wear selection attributes (brand, design, price, advertisement, functionality), only functionality was found to affect user satisfaction positively.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golf wear selection attributes (brand, design, price, advertisement, and functionality), only brand and functionality were found to affect customer behaviors positively. Analy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functionality that can play a positive role in golf performance and brands that can express a golfer’s individualities well were considered major purchase factors. These results reflect the special features of golf, the passion for improving objective ability through score improvement, and the desire to share a special appearance, experience, sophistication, and financial ability with others through SNS in the cultural features of MZ generation. This tendency does not simply favor expensive brands, but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brand through product manufacturers that can express their individuality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MZ generation. 본 연구는 MZ세대의 골프웨어 선택요인과 고객행동 간의 실증적 관계 분석을 위하여 골프웨어 선택요인(브랜드, 디자인, 가격, 광고, 기능성)이 이용자 만족 및 고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웨어의 선택요인 (브랜드, 디자인, 가격, 광고, 기능성)의 하위요인 중 기능성만 이용자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웨어의 선택요인(브랜드, 디자인, 가격, 광고, 기능성)의 하위요인 중 브랜드와 기능성만 고객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해보면 골프 경기력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능성과 자신의 개성을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브랜드를주요 구매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골프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스코어 향상을 통한 객관적인 실력을 향상 시키고자 하는 열망과 남과 다른 특별한 모습이나 경험, 세련됨과 경제적 능력 등을 SNS를 통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MZ세대의 문화적 특징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향은 단순히 고가의 브랜드를 선호한다기 보다는 MZ세대 특성으로 자신의 개성이 잘 표현될 수 있는 제품군을 통한 브랜드 개발이 매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어우야담』속 바다 형상 - 상상과 현실의 넘나듦

        이승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2 해양문화재 Vol.17 No.-

        본고는 유몽인의 『어우야담』에 보이는 바다 형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어우야담』은 대체로 사실에 기반하되 허구를 넘나드는 이야기를 수록하고 있으며, 먼 과거로부터유몽인이 살았던 당대까지의 바다에 대한 인식이 다층적으로 축적되어 있다. 이를 통해 바다에대한 전근대 사람들 인식의 일단을 살필 수 있다. 『어우야담』의 바다 관련 기록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바다가 배경으로 활용되는경우, 바다 자체가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경우, 바다와 관련된 물상에 대한 기록인 경우가 그것이다. 다음으로 이를 통해 바다 인식의 층위 역시 셋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는 미지와 신이의 세계로 바다를 인식하는 것이며, 둘째, 경험과 탐구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 셋째, 재화와이익의 창출 공간으로 인식하는 것이 그것이다. 세 인식의 층위는 배타적으로 존재한다기보다뒤섞여 있는 채 복합적인 형태로 나타나지만, 거시적인 관점에서는 바다 인식의 변화가 감지되기도 한다. 즉 바다는 미지와 신이의 세계에서 점차 현실적, 구체적 인식의 대상이자 이익 추구의 생활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었으며 바다에 대한 실제적 경험의 증가와 자연 현상 탐구의 기록이 그 증거라 할 수 있다. 이때 신이의 세계에서 현실적 공간으로의 변화를 추동한 힘은 다름아니라 인간의 지적 호기심과 욕망의 두 가지라 할 수 있으며, 『어우야담』은 서사 속에 그 두지향이 혼재하며 공존하는 시작점으로 의미를 지닌다 This paper examines the shape of the sea seen in Euwooyadam and examines its meaning. Euwooyadam is a work that is mostly based on facts but crosses fiction. The perception of the sea from the distant past to the time when Yu Mong-in lived is accumulated in multiple layers so that we can examine one aspect of pre-modern people's perception of the sea through this. Records related to the sea in Euwooyadam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f the sea is used as a background, if the sea itself is an object of interest, or if it is a record of objects related to the sea. Next, through this, the layers of sea perception could also be divided into three. The first is to recognize the sea as a world of the unknown and God, second, to recognize it as an object of experience and inquiry, and third, to recognize it as a space for creating goods and profits. Although the three layers of perception appear in a mixed form rather than exist exclusively,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sea is also detected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the sea was gradually changing from the world of the unknown and the gods into a real and concrete object of recognition and a living space in pursuit of profit. In this way, it can be said that the force driving the change from the world of God to the real space is none other than human intellectual curiosity and desire.

      • KCI등재

        Breast lesion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a pictorial essay

        이승은,배영경 대한초음파의학회 2020 ULTRASONOGRAPHY Vol.39 No.3

        A wide range of breast lesions can arise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from benign or inflammatory diseases to malignant tumors. Hormone-influenced physiological changes of the breast make the radiological evaluation of breast lesions challenging. Knowledge of the imaging features of normal physiological changes and common breast lesions during this period can help radiologists accurately diagnose and appropriately manage conditions. As such, this pictorial essay illustrates normal physiological changes related to pregnancy and lactation, as well as common benign and malignant breast lesions encountered during those peri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