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근대시기 환동해지역 인권의 위상학 - 1920년대 프롤레타리아 혁명문학을 중심으로

        신진숙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think of the proletarian literature as the narrative of human rights. Accordingly, this paper is concerning the topology of human rights showed in 1920's proletarian literature especially from four countries, Chosun, China, Japan and Russia. These four countries are adjacent to East Sea Rim. In Russia the proletarian literature based on Socilalist human rights paradigm during modern era performed a vital role in creating the proletaria into the subject of the revolution. In this paper I am willing to discuss this creating process as a connection with the production of space. The East Sea Rim was the peripheral space which lagged economically behind compared to other North-East Asia region. Such peripheral spaces were made up to revolutionary space in revolutionary literature. i.e., The issue of proletarian human rights were symbolically re-emerged in that East Sea Rim space which was generally backward. In this point of view it had the ironic meaning. The proletarian revolutionary literature in modern era had the significant value as the historical data to understand the politics of human rights which existed in North-East Asia in the same time. But on the narrative of human rights of such revolutionary literature the intrinsic paradigm of human right was being operated. That was dichotomized paradig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pressive powers and resistant powers. The subject of the revolution wa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as a being who subverted these dichotomized power system. What we know through this was that we could understand the class struggle to be the human rights struggle. But in the actual literature work the narrative of the human rights struggle was re-emerged like multi-layered. i.e., in case of Japan and Russia who already formed a nation-state the class inequality was the mainstream, but on the other hand in Chosun and China who was a colony or semi-colony the issue of class was not separated from that of nation. This is the case of what the politics of human rights is not a simple problem but the complex one. What we recognize the 1920's revolutionary literature as the narrative of human rights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provide us with a clear and lucid cognition frame in regard to post-modern politics of human rights. But the narrative of human rights of the revolutionary literature proved it's own limitation by rulling the life of 'the part of no parts'(in French 'les sans-parts) who was existing around the edge of the human rights out of the process of making the proletaria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of human rights. 본고는 혁명문학을 하나의 인권서사로 재사유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었다. 이에 환동해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1920년대 한·중·일·러 프롤레타리아 혁명문학을 중심으로 인권의 위상학을 살펴보았다. 근대시기 사회주의 인권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한 프롤레타리아 혁명문학이 프롤레타리아를 혁명주체로 정립하는 과정은 그들의 삶의 터전인 주변부 공간, 예를 들면 환동해지역과 같이 낙후된 공간을 의미 있는 혁명공간으로 재구성하는 과정과 일치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프롤레타리아 인권의 문제가 공간화된다. 근대시기 혁명문학은, 세계자본주의 체제에 점점 더 낙후되어가는 주변부 공간으로 자리했던 환동해지역이 오히려 혁명의 중심공간이 될 수 있었던 배경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는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이 시기 혁명문학에는 고유한 인권패러다임이 작동하고 있었다. 그것은 탄압권력과 대항권력이라고 하는 이분법적인 탄압패러다임으로 요약되는데, 혁명주체는 바로 이러한 이분법적 권력체계를 전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계급투쟁이 곧 인권투쟁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으로, 문학작품 속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혁명주체의 위치에 의해 다층적으로 구성되었다. 국민국가를 구성한 일본과 러시아의 경우에는 계급모순이 주를 이루지만, 식민지 혹은 반식민지였던 조선과 중국은 계급모순과 민족모순이 분리할 수 없는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인권투쟁의 복잡성을 드러낸다. 이는 탈근대 인권의 정치에 대한 일정한 인식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혁명문학의 인권서사가 프롤레타리아 주체를 동일화하고 인권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몫이 없는 자들’의 삶을 배제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낸다.

      • KCI등재후보

        프래더윌리증후군의 특성 및 행동관리 전략 고찰

        신진숙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2

        프래더윌리증후군은 15번 염색체 이상으로 나타나는 유전질환으로 비만, 저신장 등의 내분기계 이 상, 피부 뜯기, 강박행동과 분노발작 등과 같은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행동이 조기에 관 리되지 않으면 가정과 학교생활에서의 실패는 물론 자립생활도 어려워지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 증후군에 대해 주로 의학적 진단과 분자유전학적 측면에 대한 몇 편의 연구로 국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토대로 프래더윌리증후군 아동의 대표적인 특성과 행동관리 전략을 제시함으 로써 프래더윌리증후군 아동의 학부모와 교사들에게 조기 진단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들 아동의 효율 적인 학교생활과 성인이 되었을 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전략을 제공한다는데 의의를 둔다. 프래더윌리증후군 아동은 비만과 근긴장저하, 수면장애 등 공통된 특성을 가지고 있기도 하지만 또한 장기기억이나 동시적 과제 처리능력은 다른 능력보다 우수하는 등의 그들만의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아동의 문제행동을 관리하기 위한 정확한 해결책은 없지만 행동관리를 위한 구조화된 일과표를 고안하거나 행동관리 보상체계를 사용하는 등 개별 특성에 맞춘 맞춤형 서 비스가 제공된다면 최대한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Prader-Willi Syndrome is a genetic disorder caused by abnormal chromosome 15 and shows the endocrine system disorder, such as obesity and low-height, and various clinical aspects, such as skin-picking, compulsive behavior and temper tantrum. If these behaviors are not managed in the early stage, the child with Prader-Willi Syndrome will fail not only in both home and school environments. He/she would not be able to get a job and maintain his/her independent life. In Korea, a limited rage of articles provided information on medical diagnosis and molecular genetics aspects. Thus, this study presented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Prader-Willi Syndrome and behavior management strategies by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This purpose was (a) to provide parents and educational practitioners more information about Prader-Willi Syndrome, (b) to introduce an educational and clinical opportunities at the early stage of Prader-Willi Syndrome diagnosis, and (c) hopefully to help the children with Prader-Willi Syndromes receive effective school service for better life quality even after their school age. An individuals with Prader-Willi syndrome usually showed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obesity, hypotonia, and somnipathy.However, they would also show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better long-term memory or multitask processing comparing to other capabilities. The previeous articles demonstrated that individualized behavioral management strategies (e.g., structural daily schedule and reinforcement system) would be able to decrease their problem behaviors.

      • KCI등재

        탄광서사를 통해 본 산업 폐허와 기억의 정치

        신진숙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8 문화 역사 지리 Vol.30 No.3

        In this paper, I highlight how the ambiguous and uncanny atmosphere of industrial ruins can question and contest the dominant ways in which the commonality of memory is constructed in the post-mining city such as Taebaek and Jeongseon. The question is how post-mining ruins can disorder an eloquent modern nation-state narrative and produce multiple narratives within singular voices in remembering. Using the allegories of the ruins, some writers interrogate the normative ways of remembering that constructs the modern industrial (mining) places as rhetorical monumental spaces and also produces the spatial homogeneity through urban regulation and commercialization. Unlike ordinary processes of social-commercial remembering, their works offer the possibility of counter-memories as well as the different and nuanced narratives which can produce the heterogeneity and multiplicities unconnected with myths of modern industrial mining. In this respect, it must be understood that re-remembering the ruins inevitably associates with an ethics and politics about encountering and understanding the other. 이 글은 강원남부탄광지역의 폐광촌과 관련된 탄광서사를 중심으로 ‘산업 폐허’를 재현하는 관점과 이를 토대로 형성된 ‘기억하기의 정치’를 문학지리학적 관점에서 논의했다. 폐광촌은 근대산업화가 낳은 다양한 산업 폐허들 중 하나로서, 국가주도로 전개된 한국사회의 압축적 근대화와 산업화의 문제점들이 응집되어 있는 장소라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산업 폐허들은 탈근대적 맥락에서 새로운 미학적, 윤리적, 정치적 물음의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발표되는 다양한 형식의 탄광서사들은 기존의 탄광서사 내부에서 말해지지 않은, 주변부화되어 왔던 존재들의 삶의 실천과 흔적들, 기억들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있다. ‘폐허’로 변해버린 탄광촌을 폐허의 정동과 사유로 새롭게 환기시키고, 기존의 제도적, 규범적 탄광서사의 기억경관과는 다른 맥락에서, 폐허 속에서 그동안 억압되었던 ‘다른’ 기억들과 느낌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대항-기억의 생산은 폐광촌을 산업적 용도를 다한 폐기된 공간이 아니라, 새로운 정동들을 창출하는 장소로 재구성한다. 도시의 바깥이나 주변부 지역에서 폐허화가 진행되는 장소들에 대한 고찰로서 ‘폐허의 지리학’이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철원의 문화적 재현을 통해 본접경도시의 정동적 지형학

        신진숙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통일인문학 Vol.82 No.-

        This paper examines how the borderscapes of the city Cheolwon are constructed and represented in the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and explains this process as part of the particular affective urbanism of the border cities. Historically, since the Korean War, the imperial landscape representing the border city of Cheolwon has been determined by the division awareness that was restricted from the military-security frame. However, this paper highlights the fact that there are spatialities of feelings exceeding and opposite to the existing military-security frame in which such an frame is ignored. Therefore, another reconsideration of the borderscapes should be suggested in understanding the complex and changeable reality of the border societies; that is, this means that there is a shift from the politico-symbolic borderscapes to the everyday-performative “bordering”-landscapes. In this respect, the author suggests an affective urbanism of the border cities that explains the affective atmospheres of the border along with the encounters between environments, things (non-human), and humans. This paper reexamines the spatialities of affects mediated by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representations.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re are spatial politics of affects encountering border societies. 이 글은 2000년대 이후 철원에 대한 문화적 재현을 중심으로 접경도시 경관이 어떻게 구성되고 변화하고 있는지 정동적 도시론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현재 접경지역에 대한 사회적 표상은 이 지역을 ‘평화지대’로 재현하고 희망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재현의 정치가 작동하고 있다. 국가 주도의 군사안보프레임 안에서의 재현이 지배적이다. 접경도시의 일상세계에서 구성되고 있는 정동적 지형학(an affective topology)은 이러한 담론적 재현과 충돌하거나 불일치하는 면들을 드러내고 있다. 우선, 철원의 ‘폐허 공간’에서 역사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가 재구성되고 있다. 과거에는 철원을 군사안보 공간으로 표상하는 시선이 당연시됐고, 때문에 철원의 도시 기억은 이러한 맥락에 의해 통제되거나 억압되었다. 해방기 철원이 공산 치하에 있던 역사적 사실은 억압된 도시 기억 중 하나인데, 최근에는 이러한 억압된 도시 기억이 귀환하면서 새로운 가능성 영역이 상상되고 있다. 또한 철원의 ‘민통선 마을’에서 평화와 공포 사이에서 형성된 복잡한 정동 체제가 주목받고 있다. 민통선 마을 거주민의 신체는 재현된 평화와 구체적인 위기감 사이에서 정동화(to affect and be affected)된다. 평화와 안전의 느낌들이 공포와 불안, 분노와 조합된 접경도시 특유의 정동적 공간성을 구성한다. 마지막으로는, 철원에 대한 평화담론이 만든 희망의 공간이 실제 ‘민통선 부근 마을’에서 파열하는 과정이 있다. 가능성과 불가능성, 희망과 절망 사이에서 끊임없이 진동하는 공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접경지역의 평화담론과 같은 현재의 다양한 희망의 사건들은 도시 내부의 다른 이야기, 다른 정동들과 함께 사유될 필요가 제기된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폐허공간은 소설 1945, 철원 을, 민통선 마을은 다큐멘터리 <경계에서 꿈꾸는 집>에서, 민통선 부근 마을은 영화 <철원기행> 등을 통해 철원 도시사회를 분석했다.

      • KCI등재

        한국 SF영화를 통해 본 미래사회와의 조우 방식 -<설국열차>와 <승리호>를 중심으로-

        신진숙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2

        This article compared and analyzed the SF films Snowpiercer and Space Sweepers, which embody the imagination of disaster for the future dystopian society. In common, the two films represent the future society as a society with a serious climate crisis and an extremely widening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Both films use similar narrative strategies: representing a isolated, twisted-willed scientist figure, building a main stage as catastrophic hierarchical capitalist society, and focusing on the conflicts between a dominant group possessing the science-capital-power and a resistant but ordinary subjects. However, there is the different framing on the future society in terms of representing nature, science technology, and human-nonhuman agency. This distinction is shaped by the narrative function of the objects represented by two films. 본 논문은 미래 디스토피아 사회에 대한 재앙의 상상력을 구현한 한국 SF 영화 <설국열차>와 <승리호>를 비교·분석했다. 서사 전략을 살펴보면, 두 영화는 공통적으로 미래사회를 지구환경의 위기가 일상화되고 빈부격차가 극단적으로 심화된 자본주의 사회로 재현하고 있다. 인류를 구원함과 동시에 멸망시키는 천재 과학자가 출현하고 과학기술-자본을 독점한 지배권력이 등장한다. 그리고 이에 맞서는 평범한 주체들로 구성된 저항 세력을 내세운다. 하지만 두 영화는 이와 같은 표층서사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기저의 심층 서사에서 미래사회를 바라보는 시각, 특히 자연, 과학기술 그리고 인간-비인간 행위자에 대한 인식 차이를 드러낸다. 본 논문은 이를 작품 속 사물(오브제)의 구성방식과 그 내러티브 기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명했다.

      • KCI등재

        재난의 상상력과 정동의 미적 정치— 후쿠시마 이후, 환동해 시민사회의 변화에 대한 고찰

        신진숙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2

        The Fukushima catastrophe marks a turning point in which the civilian use of nuclear reactor technology in East Sea Rim, including Korea and Japan, came to be reconsidered. As with Chernobyl in 1986,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led to ques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politics, society, capitalism, and the environment. Furthermore, the Fukushima accident implicitly and explicitly transformed the structure of affect in Korean and Japanese civil society. Indeed, given that a specific vital affect can trigger the defying of established conceptions and the reforming of diverse material and immaterial relations, we have to comprehend the performative courses of affect in which Fukushima itself becomes the eventfulness. Here, the eventfulness means the state in which the event itself overflows and exceeds any established interpretations and representations with respect to the catastrophe. In addition, we have to understand the fact that Fukushima forms a planetary atmosphere traversing and superposing local, national and global dimensions or projects; that is, for instance, the different aesthetical practices have capacities through which the planetary atmospheres are singularly emerged.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expressing the disaster as an aesthetical affective atmosphere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typical emotions of Fukushima. It 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forming of affective communities in the East Sea Rim, after Fukushima. 후쿠시마 재난은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환동해지역에서 핵 발전 기술의 평화적 사용을 재고하는 전환점이 되었다. 1986년 체르노빌과 마찬가지로,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는 기술과 정치, 사회, 자본주의 그리고 환경의 관계성에 대한 의문을 던진 사건이다. 나아가 그것은 암묵적으로든 명시적으로든, 후쿠시마 이후 한국과 일본의 시민사회에서 특정한 정동(affect)을 형성했다. 후쿠시마 정동 자체가 사건성(eventfulness) 으로 생성된 과정을 정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사건성이란 사건 그 자체가 인문학과 사회과학에서 구성한 기존의 해석틀을 넘어서거나 흘러넘치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후쿠시마라는 사건이 물질적, 비물질적 관계들을 개혁하고 기존의 관념들을 거부하는 정동적 함의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건성은 후쿠시마 정동이 로컬과 국가, 글로벌 단위의 영토적 기획과 관점을 넘어서는 행성적(planetary) 정동의 생산으로 나아가도록 만드는 원인이라는 점에서도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정동의 방향은 일치하지 않는다. 한편으로는 후쿠시마 정동들이 국가적-지방적 재난의 감정으로 환원되거나재코드화되는 과정도 존재한다. 이는 정동의 정치라는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는데, 후쿠시마에 대한 국가적 민족적 재편이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후쿠시마를 미학적 대상으로 표현함으로써 재현되지 못한정동적 분위기를 드러내고 창조하는 미학적 담론화 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후쿠시마 이후 환동해 시민사회에서 일어난 정동적 변화와 사회적 실천들의 동인을 고찰하는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고는 후쿠시마가 촉발한 정동의 복잡한 생성 과정을 ‘후쿠시마 정동’으로 명명하고, 문학과 다큐, 영화 등의 다양한 미학적 실천(한국과 일본)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 KCI등재
      • KCI등재

        통합교육을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 : 적응 교수

        신진숙 한국특수아동학회 200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3 No.-

        최근 통합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효율적인 수업전략이 중요시되고 있는 가운데 대안적인 전략으로 적응교수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적응 교수는 학생이 학교에서 실패하는 원인을 개인에서 찾기보다는 그를 둘러싼 학습 환경에서 찾아 문제의 환경을 수정하고자 하는 전략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적응 교수의 개념과 실제적인 적용 방법을 환경과 교수 그리고 평가 등 세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 대한 수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사회 역동적 환경과 행동적 환경, 그리고 물리적 환경등 환경에 대한 수정 전략을 알아보고 교수와 관련된 수정은 계획과 방법, 내용, 매체로 나누어 각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수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 평가와 성적처리 과정에 대한 수정 절차 및 전략을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학습환경이나 교수 그리고 평가 영역에서 학생으로 하여금 실패를 유발시키는 요소를 찾아내어 수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Recently inclusive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nd an alternative strategies should be adopted for its success. An adaptive education is a strategy which attributes school failure of students not to individuals but to learning environment surrounding students, and modifies the environment related its failure. The present paper considered the concept of adaptive instruction and reviewed a learning environment in terms of environment, instruction and evaluation. The environment divided into three types; socio-dynamic, behavioral and physical environment, and its adaptation strategies were considered.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in terms of planning, methods, contents, and materials, and evaluation and grading adaptation strategies were considered. In order for success of inclusive education, we should find the environment which makes students failure in learning process, and modify the environmental factors;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 and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