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 독일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붕괴 방지를 위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 연구

        신지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Verbesserung der Kommunikationskompetenz zur Vermeidung des Kommunikationszusammenbruchs bei koreanischen Deutschlernend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untersucht, welche Kommunikationsstrategien koreanische Deutschstudierenden verwenden, wenn sie sich mit einem deutschsprachigen Muttersprachler unterhalten. Dafür werden zehn Gespräche zwischen zehn koreanischen Studierenden(laut dem Gemeinsamen Europäischen Referenzrahmen (GER) auf den Niveaustufen A2 oder B1) und einer deutschen Muttersprachlerin aufgenommen und analysiert. Die Arbeit gliedert sich in sechs Kapitel. Im ersten Kapitel wird zunächst der Begriff „Kommunikationsstrategien“ im Fremdsprachenbereich definiert: Die Kommunikationsstrategien dienen dazu, Probleme bei der Kommunikation zu bewältigen und Zusammenbrüche zu vermeiden. Zweitsprachenlerner sind ungleich häufiger mit Problemen konfrontiert als Muttersprachler. Häufig kommt es bei koreanischen Deutschlernern im deutschsprachigen Gespräch zum Kommunikationszusammenbruch. Trotz dieser Schwierigkeiten wird den Deutschlernern im Sprachkurs nur selten Gelegenheit geboten, sich mit Strategien zu beschäftigen. Im zweiten Kapitel werden die theoretischen Grundlagen erläutert. Zunächst werden Studien auf diesem Feld vorgestellt. Danach werden die Begriffe „Kommunikationszusammenbruch“ und „Reparatur“ von anderen Begriffen wie „Kommunikationsproblem“ und „Korrektur“ unterschieden und genau definiert. Zum Schluss werden die Klassifikationsansätze für Kommunikationsstrategien kritisch beleuchtet. Im dritten Kapitel werden zuerst die empirischen Grundlagen für die Forschung erarbeitet und danach wird das Untersuchungsdesign dieser Studie im Detail erläutert. Bei der Datenanalyse wird angenommen, dass folgende Strategien wie ‚Kodewechsel, Approximation, Direkte Appelle, Indirekte Appelle, Paraphrase, Umstrukturierung, Interpretative Zusammenfassung, Bitte um Klarstellung, Themenwechsel, Verbale Strategien-Kennzeichen, Ausdruck von Nichtverstehen, Bitte um Wiederholung, Wortprägung‘ eine relativ große Rolle bei der Verhinderung eines Kommunikationszusammenbruches spielen. Da es den koreanischen Deutschlernern sowohl an konkreten Redemitteln als auch an Übungs- und Automatisierungsmöglichkeiten mangelt, können Kommunikationsschwierigkeiten oft nicht überwunden werden. In diesem Zusammenhang werden im vierten Kapitel zwei DaF-Lehrbücher auf den Niveaus A1, A2 und B1 analysiert. Während Studio d sehr wenige strategische Ausdrücke beinhaltet und Kommunikationszusammenbrüche nicht thematisiert, beschreibt Schritte international viele Kommunikationszusammenbrüche und –strategien in verschiedenen Kontexten. Schritte berücksichtigt außerdem Übungen zur Automatisierung der Kommunikationsstrategien. Um weitere didaktische Bedürfnisse zu befriedigen, werden wichtige Ausdrücke für Kommunikationsstrategien aus vier DaF-Lehrbüchern gesammelt und je nach Strategie geordnet. Im letzten Kapitel werden Vorschläge vorgestellt, mit denen die Kommunikationsstrategien im Unterricht trainiert und angewendet werden können. Durch die vorgeschlagenen Übungen sollen die Deutschlerner für Kommunikationsstrategien sensibilisiert werden und die Motivation zum Lernen der Strategien soll gesteigert werden. Der Schwerpunkt der vorliegenden Arbeit liegt auf dem Umgang der koreanischen Deutschlerner mit den Kommunikationsstrategien, um einen Zusammenbruch in der Kommunikation zu vermeiden. Daher leistet diese Arbeit einen Beitrag zu vielfältigen Analysen der Kommunikationsstrategien. Eine praktische Überprüfung der Vorschläge, die in dieser Untersuchung vorgestellt werden, soll in naher Zukunft erfolgen.

      • 경쟁력 비교 분석을 통한 한·중 공항의 경영전략 연구 : 인천국제공항과 베이징수도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신지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항은 각 국가 방문시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공간으로서 공항공사는 국가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대표 기업이라 할 수 있다. 과거의 공항은 국가의 중요한 교통 기반 시설이자 공공사업의 성격이 강했으나, 최근에는 공항 경영의 상업화와 함께 사회공헌의 책임까지 요구되며 복합적인 기업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한국의 IIAC는 세계공항평가에서 7회 연속 최우수 공항상을 수상하며 최단기간 성장하며 최고 수준의 서비스 표준을 제시한 사례로서 항공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반면 중국, 홍콩, 일본, 싱가포르 등 동북아 공항의 빠른 성장 추세로 입지를 유지하는데 위협 요소가 존재한다. 특히 중국의 경우, 국가의 항공 대중화 정책에 따라 공항을 지속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IIAC의 경쟁 공항으로서 중국의 BCIA를 IIAC의 경쟁공항으로 설정하고 공항의 기본적인 시설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하나의 기업으로서 운영의 요소를 고려하여 각 공항의 경쟁력 요소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시설의 측면에서 두 공항 모두 대형공항으로서 자리매김 하기 위한 확대 및 리뉴얼을 진행중으로, 각 국가가 두 공항을 대표 공항으로서 성장시키려는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운영의 측면에서 IIAC은 사업 다각화를 통해 수익을 다각화 하고 있으나 BCIA는 항공수익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IIAC이 녹색 경영을 포함한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는 반면, BCIA는 단기적이거나 이벤트성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공항의 고객 유치 경쟁에 대응하기 위하여 미래의 공항은 기존의 승객·항공사 서비스는 물론이고 복합 레저·문화·쇼핑타운으로 변모해야 한다. 또한 공항이라는 공간에 대한 이용객의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음에 따라, 공항은 기존의 공공성 위주의 관리적 경영 보다는 기업으로서 경영 전략을 도출해 고객 니즈와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해야 하겠다. IIAC는 최우수 공항이라는 브랜드 인지도를 통해 해외 공항의 컨설팅, 경영관리 위탁 등으로 사업 다각화를 지속 추진함이 바람직하다. BCIA는 중국내 타 공항에 대한 비교우위를 통해 국내 공항의 경영관리 경험을 높임으로써 현재 항공수익에 의존하고 있는 수익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IIAC는 공항주변의 Air-City를 개발함으로써 지역을 상품화 하는 전략을 활용할 수 있으며, BCIA는 도심과의 높은 연결성을 이용하여 도심과의 연계 서비스를 발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공항 모두 최근 항공 업계의 LCC의 증가 추세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 중·고등학교 훈민정음 단원 체제 및 교육 내용 개선에 대한 연구 : 2007, 2009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신지인 단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Hunminjeongeum can be considered one of the most advanced and valuable letters globally. This dissertation(thesis) aim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different unit systems, content selections and problems in the 2007 and 2009 curricula and suggest potential means of improvement. Unit systems and content selections of Hunminjeongeum are directly educated to students through textbooks and. therefore, contribute to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Hunminjeongeum. This research has compared and contrast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7 and 2009 curricula and selected applicabl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as targeted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has highlighted problems regarding the unit systems and content selections of Hunminjeongeum and suggested possible means for improvement. Summary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Chapter I has clarified the aim, subject and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examinee existing research on Hunminjeongeum education and the 2007 and 2009 curricula as well as limitations of the previous literature. Research subjects are 2007 and 2009 <Korean Language Curricula>, 16 types of <Korean (vol 1 & 2)> high school textbooks that follow the 2007 curriculum, 16 types of <Korean (vol ⑤ & ⑥)> middle school textbooks that follow the 2009 curriculum and 11 types of <Korean II> high school textbooks. Chapter II and III have examined the content changes in Hunminjeongeum education made between the 2007 and 2009 curricula. Achievement standards regarding Hunminjeongeum in the 2007 and 2009 curricula have been shown, alongside the differences that exist between the two curricula. Furthermore, amended textbooks with Hunminjeongeum chapters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demonstrate how lessons are given in practice. The chapters have analyzed unit and chapter formulation of Hunminjeongeum, as well as the content compositions of Hunminjeongeum, namely the “principles of letter formation” and “excellence of Hangul”. Chapter IV has reviewed the curricula, analyzed in Chapter II and III, and highlighted the problems found in each textbook. It has examined the 2015 curricula, introduced to improve on the existing problems, to set a standard of progress and has pointed to potential means to improve Hunminjeungeum education. Problems revealed in Hunminjeongeum education were often created due to frequent curricula revision. The chapter, therefore, has discussed the overall problem and plans for enhancement. This research illustrates the existing problems and means to address such limitations in Hunminjeongeum education. Potential solutions include increasing the number of Hunminjeongeum chapters into two, thereby enhancing the unit composition. To improve the content composition, historical resources such as “Hunminjeongeum Eojeseomun” and “Heryebon” must be included, as well as accurate explanations about the “principles of latter formulation”, “principles of application” and the excellence of Hangul. In order to implement the solutions, a guidance plan must be set as a standard for Hunminjeongeum education. This teaching plan, therefore, must be suggested according to a number of conditions, and its basics can be created with reference to Bruner's “spiral curriculum”.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level of difficulty found in Hunminjeongeum education at middle and high schools can also be adjustable, using the “spiral curriculum”. Korean language education aims not only to enhance linguistic capabilities but also promotes the soul and lives of this coun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ach Hunminjeoungeum, its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appropriately and study its excellence and celebrate its value and significance. The teaching of Hunminjeongeum should not end with Hunminjeongeum of the past, but it is a knowledge and legacy that can applied to real life in the contemporary era. Similarl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t is a historical patrimony that allows our identity and cultural pride to continue existing. As the history of Hunminjeongeum has so far continued, it will continue to evolve and the education of Hunminjeongeum is more crucial than ever. Therefore, research and efforts must be undertaken to demonstrate how the education of Hunminjeongeum and history of Korean language can effectively serve the learners' interests, demands and cognitive abilities, so that the learners can acknowledge their forefathers' linguistic lives, wisdom and the growing significance of Hangul. 훈민정음은 전 세계의 문자 중 가장 뛰어나고 가치 있는 문자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2007 교육과정과 2009 교육과정에 해당되는 훈민정음 단원 체계와 내용 선정에 대한 차이점 및 문제점을 비교·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표가 있다. 훈민정음의 단원 체계와 내용 선정은 현재 학교에서 사용되는 교과서에서 학생들이 직접 마주하는 교육으로서 훈민정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지식을 성립하는 요소로써 의미를 갖는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07 교육과정과 2009 교육과정 성취 기준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위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중학교·고등학교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훈민정음의 단원 체계와 내용 선정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대상 및 방법을 밝히고, 훈민정음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와 2007, 2009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며 해당 선행 연구의 한계점까지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으로는 2007, 2009 『국어과 교육과정』과 2007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어』(상), (하) 16종과 2009 교육과정의 중학교 『국어』⑤, ⑥ 16종, 고등학교 『국어Ⅱ』 11종 교과서를 대상으로 삼았다. Ⅱ장과 Ⅲ장에서는 2007 교육과정과 2009 교육과정에서의 훈민정음 교육 내용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2007 교육과정과 2009 교육과정에서 훈민정음과 관련된 성취 기준을 밝히고 두 교육과정에서 존재하는 차이점에 대해 분석했다. 또한 교육과정 별 훈민정음 단원이 수록된 개정 교과서를 분석하여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수업이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훈민정음 단원 구성에 대한 분석과 훈민정음 내용 구성, 즉 ‘제자 원리’와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Ⅳ장에서는 위 2, 3장을 통해 분석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별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앞으로 적용될 2015 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개선점의 기준을 삼아 앞으로 훈민정음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훈민정음 교육에서 발견된 문제점은 교육과정이 수시 개정되면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기에 종합적으로 그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훈민정음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훈민정음 단원을 두 대단원으로 늘린다는 단원 구성의 개선 방안이 있다. 내용 구성의 개선 방안으로는 역사 자료인 훈민정음 어제 서문과 해례본 자료 배치, ‘제자 원리’와 ‘운용 원리’에 대한 정확한 설명과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설명이 수록되어야 한다. 또한, 이 모든 개선점을 이룩하기 위해선 훈민정음 교육 구성에 기준이 되는 지도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때문에 이 지도안은 몇 가지 조건에 맞춰 제시되어야하며 그 기초는 브루너의 ‘나선형 교육과정’을 참고하여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 ‘나선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 훈민정음 교육의 난이도 역시 조절할 수 있게 된다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봤을 때 국어 능력 신장을 넘어서 우리나라의 얼과 그 삶을 가르치는 교육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에 맞는 대표 문화유산인 훈민정음을 제대로 가르쳐 그 우수성을 알고 그 가치와 의의를 빛내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훈민정음 교육은 단순히 과거의 훈민정음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 시대에서도 충분히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지식이며 유산이다. 또한 역사적으로 봤을 때, 지금의 우리를 있게 하고 문화적 자긍심을 갖게 한 역사적 산물이다. 지금껏 훈민정음의 역사가 진행된 것처럼 앞으로도 계속 변화해 갈 것이고 훈민정음 교육 역시 더욱 중요성이 더해질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훈민정음과 국어사 교육을 통해 선인들의 언어생활과 지혜를 이해하며 점점 늘어가는 한글의 우수성 알고 그 가치를 깨닫기까지, 앞으로의 훈민정음 교육과 국어사 교육이 어떻게 학습자들의 흥미와 요구, 인지적 능력에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 중소기업을 위한 웹 기반 통계적 공정관리 시스템 개발

        신지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에서는 제품의 품질 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제조과정에서의 품질 관리를 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관리도법이다. 현재 관리도법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존재하지만 중소기업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상용 패키지에 비해 관리도를 출력하는 과정을 축소하여 중소기업의 비전문가들이 사용하기 편리하게 하고 관리도를 통해 공정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해 보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협업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에서의 품질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 기계학습 기반 저지연 이상 음향 가시화 기법

        신지인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자연계열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novel methods for abnormal acoustic detection and low-latency visualiza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are proposed in order to determine defects of a variety of products through abnormal sound. In the proposed methods, an OCSVM model and an autoencoder model are respectively created in advance using normal data collect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pace where everyday noise occurs through a multichannel sensor device. The OCSVM model can determine whether newly input spectrum data is abnormal and the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abnormal frequency region are detected by using the autoencoder model. The multichannel sensor device can also transmite and receive the related sound data by using well known TCP socket communication. However, an inevitable data bottlenecks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processing data are resolved to use task parallelization techniques. The collected data obtained from The multichannel sensor device can be visualized as a single image stream, which can be transmitted to client through Flask server. As mentioned earlier about the proposed methods,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check not only whether an abnormal sound occurs, but also where the sound occurs by utilizing all spectrum data that occurs more than 25 times per second from the multichannel sensor device, which enables accurate abnormality detection and quick identification of problem locations. Additionally, since data streaming from a browser can be checked through a web server, it can be checked remotely regardless of the type of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as long as i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 novel proposed methods in this paper can be used as a tool to improve efficiency and quality in the production process by enabling rapid and accurate abnormality detection and remote monitoring.

      •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 : 메타분석

        신지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개정된 교육과정은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교육’을 그 첫째 개발 방향으로 삼았다. 정부 차원에서 미래 사회에 적합한 인재상을 설정하고 이것에 맞는 핵심역량을 육성하는 것을 교육 방향으로 정하면서 범교과적으로 창의성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하지만 영어 교과에서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활발한 연구 및 교육이 실천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플립러닝과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시행하였을 때 연구 참여자들의 창의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질문을 규명하기 위해 먼저 창의성의 정의와 영어 교과 내의 창의성의 의미 및 창의성의 요소를 조사하였다. 지금까지 진행된 영어 교과의 플립러닝 관련 연구의 결과 중 창의성 요소를 포함한 문헌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문헌의 메타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은 언어를 사용하는데 필수적인 자질이며 영어를 학습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영어 학습과 관련이 있는 창의성의 요소로는 인지적 요소, 성향적 요소, 동기적 요소가 있다. 인지적 요소는 다시 사고의 확장(확산적 사고, 상상력·시각화 능력, 유추·은유적 사고), 사고의 수렴(논리·분석적 사고, 비판적 사고)과 문제해결력(문제발견·문제해결)의 하위요소를 갖는다. 성향적 요소의 하위요소로는 독립성(용기, 자율성, 독창성)과 개방성(다양성, 복합적 성격, 애매모호함의 용인, 감수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동기적 요소는 호기심·흥미와 몰입을 하위요소로 포함한다. 둘째, 메타분석을 위해 최종적으로 선별된 5편의 문헌에서 각기 인지적 요소, 성향적 요소 그리고 동기적 요소의 효과크기를 계산하고 각기 요소별로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인지적 요소와 동기적 요소는 큰 효과크기를, 성향적 요소는 중간크기 이상의 효과크기 범주에 속하였다. 세 가지 요소를 종합한 평균 효과크기는 0.885로 큰 효과크기의 범주에 속하며, 이는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중·고등학교 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플립러닝은 사전 학습을 통해 교실 내 수업시간의 활용도를 높여 학습자의 성향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수업 활동을 할 수 있게 한다. 교실 내 수업시간을 교수자가 계획한 창의성 요소를 포함한 활동들로 채우면서, 학습자는 단순한 지식의 교환이 아닌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 의미를 만들어가는 학습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발견은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여러 가지 현실적인 제약을 극복하고, 중·고등학교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대안적인 수업모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플립러닝과 창의성 교육의 직접적인 연구로 더욱 자세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해본다. Recently, creativity development became an upmost important issue in Korean society. In the revised 2015 National English Curriculum, creativity development is specified as a goal for both teaching and learning, along with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to apply creative techniques to English classroom, however, developing creativity in English classroom is regarded almost impossible due to a variety of obstacl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ok for an alternative way of applying creativity development in English class by introducing ‘flipped learning metho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English class on creativity development through meta-analysis. Five studies were selected, by using search words such as ‘flipped learning’, ‘flipped classroom’ and ‘flip classromm’, and total 23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in meta-analysis. Each of studies and effect sizes is categorized under three elements of creativity; cognitive, characteristic, motivationa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s for the cognitive element, flipped learning English class was effective in raising cognitive element such as, divergent thinking, divers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g=0.806, p<0.001). Also personality element, flipped learning can promote the personality element(g=0.667, p<0.001), and for the motivational element, flipped learning can greatly affect learners motivation(g=1.212, p=0.015). The result have showed that the class activities conducted in flipped learning were similar to those conducted in creativity developing classes. Flipped learning embraced a number of different educational theories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mastery learning, which were put forward as a holistic approach to reflect the need and request of students into class. Finally, this study has suggested that more studies of flipped learning model should be conducted in creativity development directly in English education. Teachers should conduct wider and research not only the use of flipped learning itself but also developing and utilizing assessment method and method of academic records of learners.

      • 생활세계로서 전통시장의 장소성에 대한 기록화 방안 연구 : 구술기록 분석을 중심으로

        신지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to capture the interaction between members who live on the basis of traditional markets, derive the placeness factor of traditional markets, and document it. Since existing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policies were enforced uniformly, focusing on facility improvement without considering the intrinsic placeness of each traditional market, they failed to properly reveal the implication of the ‘place’, traditional market. Therefore, this paper will not limit the role of traditional markets to merchandise trade or transaction, but focus on traditional markets as the living base, which is a much more fundamental valu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such life-world of humans, it should be explored what meaning is imparted to that space through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s who are being active inside. Accordingly, this paper selected ‘oral record’, which continuously reflects the present value of traditional markets and is capable of vividly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as the method of study. Using the Mangwon Market as the subject, the oral record of merchants and the user record such as essays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oral content that could be identified in the Mangwon Market was integrated to compose the placeness documentation factor of the Mangwon Market. Furthermore, storytelling documentation was proposed to include not only physical records but also various stories in the document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a ‘traditional market archive platform’ was presented as a practical method to embody this. It was attempted to contextualize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of traditional market members and share them through their autonomous participation on the archive platform. Through this, the archive as a platform attempted to not only preserve the memories of the market members and collect records, but also produce various types of content continuously. Moreover, it even contemplated the direction by which the traditional market archive platform is heading to the base for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active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merchants and users on the platform. This study laid the groundwork for the placeness documentation of traditional markets as a life-world, based on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of members. Moreover, it is significant in that based on the oral record, it included both the tangible and intangible records in terms of record collection and utilization and sought to provide abundant content on the archive platform.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traditional archive platform will be realized and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various businesses and policymaking for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markets and local communities. 본 연구는 전통시장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포착하여, 전통시장의 장소성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기록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은 각 전통시장의 고유한 장소성은 고려하지 않은 채 시설 개선에 중점을 두어 일률적으로 시행되었기에, 전통시장이라는 ‘장소’가 가진 함의를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전통시장의 역할을 상품 거래나 매매에 한정하지 않고, 보다 본원적인 가치인 삶의 터전으로서의 전통시장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러한 인간의 생활세계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속에서 활동하는 개개인의 기억과 경험을 통해 해당 공간에 어떠한 의미 부여가 이루어지는지를 탐구해야 한다. 이에 본고는 전통시장의 현재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반영하며, 구성원 간의 관계성을 생동감 있게 드러낼 수 있는 ‘구술기록’을 연구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망원시장을 대상으로 상인들의 구술기록과 에세이 등의 이용객 기록을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망원시장에서 파악 가능한 구술 내용을 종합하여 망원시장의 장소성 기록화 요소를 구성하였다. 더 나아가 물리적 기록물 외에 다양한 이야기까지 기록화에 포함하고자 스토리텔링식의 기록화를 제시하였고, 이를 담아낼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으로 ‘전통시장 아카이브 플랫폼’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아카이브 플랫폼에서 전통시장 구성원들의 주체적인 참여를 통해 그들의 기억과 경험을 맥락화하여 공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플랫폼으로서의 아카이브가 시장 구성원들의 기억 보존 및 기록 수집의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끊임없이 생산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플랫폼에서 상인과 이용객 간의 활발한 소통과 교류를 통해 전통시장 아카이브 플랫폼이 지역 커뮤니티 거점으로 나아가는 방향까지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기억과 경험을 토대로 생활세계로서의 전통시장 장소성 기록화에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구술기록을 기반으로 하여 기록의 수집과 활용 측면에서 유·무형의 기록을 모두 포괄하며, 아카이브 플랫폼에서 풍부한 콘텐츠 제공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전통시장 아카이브 플랫폼이 실현되며, 전통시장과 지역사회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과 다양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Intent to Leave, and Self-reported Quality of care by hospital nurses : 병원 간호사의 사회적 자본이 직무 만족, 이직 의도, 간호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지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간호사는 병원 조직의 생산성과 환자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보건의료인력이다. 그러나 급변하는 의료환경 내에서 간호사의 이직률은 매년 점점 증가하고 있으므로 간호 관리자와 병원 행정가들은 건강한 정신사회적 근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신뢰, 구성원들간의 사회적 관계 및 응집력, 상호규범, 자원과 정보의 교환과 같은 사회적 자본은 조직내의 정신사회적 근무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조직과 환자의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하지만 사회적 자본과 관련한 연구는 아직 사회 정치학 분야에 한정되어 있으며, 국내에서 간호사들의 사회적 자본과 조직의 결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사의 사회적 자본의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적 자본이 직무 만족, 이직의도, 간호사가 평가하는 간호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D시에 근무하는 2개 대학병원 470명의 간호사를 임의 표출 방식으로 수집한 설문조사 자료를 PASW 18.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자본, 직무 만족, 이직 의도, 간호의 질의 평균 점수는 각각 3.01, 3.03, 2.87, 3.56점이었다. 사회적 자본의 5가지 하위 차원, 내부 신뢰(internal trust), 외부 신뢰(external trust), 참여와 임파워먼트(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갈등(conflict), 그리고 사회적 응집력(social cohesion) 중, 근무 부서 내의 동료, 상사에 대한 내부 신뢰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M±SD=3.23±0.04), 근무 부서 이외의 다른 직원과 병원 행정부에 대한 외부 신뢰의 평균 점수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M±SD=2.58±0.10). 사회적 자본은 간호사의 직무 만족과 간호의 질에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직의도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간호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 자본은 직무만족, 이직의도, 간호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본의 하위 차원 중, 참여와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 이직의도, 간호의 질의 가장 중요한 예측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간호 관리자는 간호사의 사회적 자본을 강화하기 위한 지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업무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료 간호사, 상사, 다른 부서 동료들 사이의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부서 내ㆍ외 구성원들 간의 유대를 촉진시키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투자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병원 관리자들은 구성원들에게 task-force group, 프로젝트, 위원회와 같은 조직 업무에의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적극적 참여를 할 수 있는 지지적 조직 분위기 조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참여를 통해 조직 구성원들은 근무 부서 내부, 외부 구성원들과의 관계 형성이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구성원들은 업무 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 Pregnancy outcomes of the paternal exposures to finasteride (synthetic 5-alpha-reductase inhibitor)

        신지인 고려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Objectives: To report the pregnancy outcomes of the paternal exposure to finasteride(synthetic 5-alpha-reductase inhibitor) either previous to or during pregnancy. Methods: 19 pregnancy cases with paternal exposure to finasteride were identified from the Korean Motherisk program. The detailed histories of the subjects were obtained and each was followed up until the pregnancy ended with abortion or delivery. Results: Of 19 cases, 13 subjects gave birth to normal full-term babies. The other six resulted in abortions; three were spontaneous and the other three were artificial. Conclusion: The result is in agreement with the previous animal studies where increased rate of adverse outcomes was reported with the exposure to finaster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