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만족도 연구

        김예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언어연수생을 대상으로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언어연수생들을 중도탈락 없이 지속적으로 교육원에 잔류시키고 상급학교로의 진학을 통해 학습을 지속할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언어연수생들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중 교수와의 관계성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육의 질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육시설 및 환경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직원과의 관계성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5.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행정서비스의 질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K대학부설 국제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국과 베트남 언어연수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장미내(2016)의 교육서비스 품질 설문지와 하호정(2012)의 교육만족도 설문지를 토대로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조사와 지면 조사를 동시에 진행하여 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즉 선생님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교육의 질이 높을수록, 교육시설 및 환경이 좋을수록, 교직원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행정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가 높았다. 이 중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교육시설 및 환경’이었다. 둘째,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해서는 중국 국적의 학생들이 베트남 국적의 학생들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교육서비스 품질 인식은 남자가 여자보다 교수와의 관계성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진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집단은 교육의 질을 상대적으로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원 진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집단은 교육의 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국적의 응답자가 베트남 국적의 응답자보다 교육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언어연수생 응답자들의 한국어교육원에 대한 요구사항 중에서 ‘한국인과 만나는 기회 확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언어연수생의 인식을 참고하여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양적·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언어연수생의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교육시설 및 환경’에 대한 대학의 적극적이고 아낌없는 투자가 필요하다. 주요어: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 교육서비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garding Korean language institutes attached to the universit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ducational service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o suggest actions for qualitative growth.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se goal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the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4. How does the relationship with the staff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5. How does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Using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of Chinese and Vietnamese language trainees attending K-university International Education Institute located in Suwon, Gyeonggi-do, was conducted. The survey was translated into Chinese, Vietnamese, and English based on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 Questionnaire by Jang Mi-nae (2016) and the Education Satisfaction Questionnaire by Ha Ho-jung (2012). The survey collected responses by conducting online and in-person surveys simultaneousl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etter the educational service of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ttached to the universit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rating. That is higher quality of education, better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better relationships with the staff, and higher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resulted in higher satisfaction rating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Second, the students of Chinese nationality had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compared to those of Vietnamese nationality. In relation to teachers, male respondents perceived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according to sex more positively than female respondents. Groups studying for university admissions perceived a lower quality of education, while those studying for graduate school perceived a higher quality of education. Third, respondents of Chinese nationality demonstrated higher education satisfaction than those of Vietnamese nationality. Fourth, expanding opportunities to meet Koreans was of the highest importance to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s of language trainees’ respondents. In recognition of the language trainees’ responses, it is necessary to make concrete and practical efforts to mak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s to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s Korean language institut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vest earnestly and generously i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which would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Key Words: Language trainee, Educational Satisfaction, Educational Services

      • 경기도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제도와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김명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Appointing a teacher as a department manager is very important at the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 group of manager teachers carry out a lot of principal decisions and have authorities and influences as a main field. As the role of a nursing teacher being expanded, the number of manager nursing teacher is increasing gradually. All the studies on the appointment of a manager teacher, however, are for general school teachers, not for a nursing teachers.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system for appointing school teachers and nursing teachers as a department manager, which is studi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health education and the students’ health management . For the study, reference materials, survey, statistical data and depth interviews are used. 190 general teachers and 110 nursing teachers (total 300 teachers) working at the elementary school in Kyunggi provinc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5 days from August 25, 2018 to September 30, 2018. The subject of the survey was about the cognition of manager nursing teacher system and its management. The statistical data was about the status of appointing the manager teacher at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clusion of the case on the appointment of manager nursing teacher was derived by classifying the reference data of each school and depth interview dat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system of appointing the manager teachers started from 1970 by Education Dept., and it was devolved to provincial and municipal Office of Education in 1998. And now it is managed after being named the title and its official authority by school principals. Kyu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presents the qualification standard with affairs and human elements. But most of schools define the qualification as a teacher who has the first-level certificate and it has caused a structural inequality and restriction for nonsubject teachers. The appointment are proceeded by making a list by self-respect or recommendation, and appointing by the school principal. According to the survey, however, three quarters of manager teachers were appointed by the principal’s designation. Based on the conclusion, it is checked out that, for the criteria and procedure for appointing the manager teacher at the elementary school, there are som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l teachers and the nursing teachers.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the cognition for the manager teacher system and its management which was categorized by three area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14 answers among total 20 questions between the general teachers and the nursing teachers. Especially, the appointment ratio between all woman-teachers versus manager nursing teachers in Kyunggi province was 20.4 : 1. Among 300 teachers distributed by the position, the rate gap of the manager teachers between the general teacher and the nursing teacher is 24.8 times. As a result of interviewing the nursing teachers who were a manager teacher, only four nursing teachers have participated in the school planning meeting, school steering committee, etc which are the organizations making main decisions on school affairs, had authorities to carry forward the business, and taken professional leadership with cooperation of the school managers and colleagues. This result shows that appointing the manager nursing teachers can make the health and business promotion activities more effective and easier.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his is a useful case to enha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personal sense of accomplishment.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yu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guarantee the reasonable position of the public educational staffs by innovating the realistic and effective personnel affairs. And the personnel policy of each school should be corrected the promotion system and performance-based bonus system for nonsubject teachers as instructed. And the authorities have to compensate the system and make a legal instrument to resolve the structural unfair and social discrimination. In the end, before fully implementing the 2015 revision school curriculum which will be started from March 2019, the achievement standard should be led from ‘based on teacher’ to ‘based to learner’. I want to suggest that the affairs be set up : notification of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curriculum’, the continuous studies for installing the Exclusive Health Care Department at school and granting qualification for the regular licensed teacher through the earlier law revision. Keyword : Health Education, Student Health Care, Nursing Teacher, Manager Teacher 초등학교에서 부장교사의 임명은 의사결정과정의 중요한 통로이며, 권한과 영향력 행사의 주요한 장(場)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보건교사의 역할변화에 따라 학교조직에서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부장교사 임명에 관한 연구 대상은 모두 일반교사이고,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보건교육과 학생건강관리의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초등학교 부장교사 제도와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연구도구는 문헌자료와 설문조사, 통계자료, 심층인터뷰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초등학교 일반교사 190명과 보건교사 110명, 총 3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7일부터 9월 3일까지 26일간, 부장교사 제도와 운영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통계자료는 경기도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임명실태 분석에 활용하였고,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에 관한 사례는 단위학교의 문헌자료와 심층인터뷰 자료를 유목화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장교사 임명은 1970년 문교부령으로 시작되었고, 1998년 교육부의 권한이 각급 시․도 교육청으로 이양(移讓)되었다. 현재는 학교별로 학교장이 명칭과 권한을 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부장교사 임명기준을 직무와 인적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단위학교는 1급 정교사로 규정하여 비교과 교사들의 부장교사 임명에 제한과 구조적 불평등이 초래되고 있다. 부장교사의 임명절차는 본인의 희망과 추천에 의한 명부작성을 거쳐 학교장이 최종 임명한다. 하지만 연구에 참여한 부장교사 경험이 있는 보건교사들의 경우는 4명 중 1명은 본인 희망, 3명은 학교장 지명에 의해 임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부장교사 임명기준과 절차는 일반교사와 보건교사 사이에 구조적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3개 영역으로 범주화(範疇化)된 부장교사 제도와 운영에 관한 인식조사 결과, 총 20문항 중 14문항에서 일반교사와 보건교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기도 전체 여자교사 대(對)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비율은 20.4배, 연구 대상자 300명의 직위별 분포에서 일반교사와 보건교사의 부장 임명비율은 24.8배 차이가 있었다. 보건교사 중 부장교사 임명 경험이 있는 4명의 대상자를 심층인터뷰한 결과는 학교 내 의사결정 기관인 기획회의와 학교운영위원회 등을 통해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업무추진에 대한 결정 권한을 부여받고, 지원적인 관리자와 협조적인 동료들 속에서 전문가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이 보건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건강증진활동과 효율적인 업무추진에 용이하고, 교사효능감 증진과 개인적 성취감을 획득하는 등 학교의 인적자원관리에 유용한 사례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교육부와 경기도교육청은 실효성 있는 인사제도 혁신을 통해 교육공무원의 직무수행에 합당한 지위를 보장하여야 한다. 또한 지침에 따라 단위학교의 인사내규를 정정(正定)하는 등 비교과 교사에 대한 승진체계와 성과급제도 등에서 구조적 불공평함과 신분적 차별 해소를 위한 제도적 보완과 법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끝으로 국가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우리나라는 2019년 3월을 기점으로 2015 개정교육과정의 전면시행을 앞두고 있는 바, ‘교사중심 교육’으로부터 ‘학습자중심 교육’으로 이동하고 성취기준을 통해 구체화되는 보건교육의 연계성을 확보해야한다. 이에 ‘초등보건교육과정’의 고시, 정교사 자격과 표시과목의 부여, 조속한 법(法) 개정을 통한 보건교사의 직무 정립, 단위학교의 보건전담 부서 설치를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 학교보건법에 따른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보건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손승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s assess the current state of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and to fi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health education after the revised School Health Act in 2007.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research task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atus of health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Second, is health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law? Third, what are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health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and improvement measures? A literature review on the state of health education was conducted, an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89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to access the current state of health education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Frequency analysis and the x² test using IBM SPSS statistics 29.0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it to su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ith the advice from an advisor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nual health classes and the grades subjected to education were different for each school, resulting in an inconsistency in the provision of stable and balanced health education across all schools and students. 83.1%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based on 17 classes per grade among the 5th to 6th grades. However, 15.3% were asked for less than 17 classes in one grade among the 5th to 6th grades due to the operational needs of the curriculum of each school, 34.9% were asked for more than 17 classes, and 57.7% were asked for classes in grades other than the 5th to 6th grades. In fact, 51.9%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teaching more than 36health classes a year, particularly in schools with fewer than 6 classes or 7-21 classes. While 89.9% used accredited health textbooks, 47.1% said they were teaching health resources, soceity and culture parts among the major content areas of health textbooks, suggesting challenges in achieving a balanced approach to health education. Second, There was a lack in support for health education. It was observed that 21.2% of health teachers left the health room empty during health classes, and 76.2% of health teachers said they had stopped health classes due to an emergency situation. Additionally, 54.7%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 need for manpower support such as assigning two health teachers or health assistant teachers, as a way to stably secure and improve health education hours. In order to allocate manpower,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preliminary survey on how long annual health education hours are conducted by health teachers, but in current schools, only 30.7% of health classes by health teachers are recorded in NEIS, making it difficult to ascertain the exact health education hours. Third, school managers and teachers generally exhibited a supportive attitude toward health education, and the response that health education was necessary was the highest. The most prevalent reasons why school managers and teachers showed non-cooperative and indifferent attitudes towards health education was that there was no curriculum. 78.3% of health teachers answered that health education should be administered by health teachers, and 35.5% answered that the reason is that they are medical personnel who can systematically teach health education. 86.2% recognized the regulation that health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under the School Health Act, but only half of them recognized the health curriculum such as the structure and content system.. However, 87.3% of health teachers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an elementary health curriculum.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nnounce the elementary health curriculum including elementary health subject to enable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health education according to the School Health Act. This entails specify the grade subject to education and the number of class hours so that all students receive systematic and consistent health education across all school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clusive Health Care Department at school, granting qualification for the regular licensed teacher and improve the current health teacher training system. The quality of health education can be improved by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health curriculum. Third, human, mater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re needed to facilitate student health management and health education, both of which are the responsibilities of health teachers under the School Health A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 Fourth, research on the structure and learning time of health education is necessary. Research on the selection of health education contents and the required time for student learning are essential to practical and effective health education for students. 본 연구는 2007년 학교보건법 개정을 통해 학교 보건교육을 강화하도록 한 이후, 현재 초등학교 보건교육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실태를 알아보고 보건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보건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보건교육은 법률에 적합하게 운영되고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보건교육에 주요한 영향요인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보건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보건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빈도 분석 및 IBM SPSS statisics 29.0으로 χ²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인 설문지는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를 토대로 지도교수의 조언을 받아 연구자가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별로 연간 보건수업 차시와 교육 대상 학년이 상이하여 모든 학교, 모든 학생들에게 법률에 따른 체계적인 보건교육이 안정적이고 균형 있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없다. 5~6학년 중 1개 학년 17차시 수업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는 답변이 83.1%로 나타났으나, 각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상의 필요로 5~6학년 중 1개 학년 17차시보다 적은 수업을 요구받은 경우가 15.3%, 17차시보다 많은 수업을 요구받은 경우는 34.9%, 5~6학년 이외 학년 수업을 요구받은 경우는 57.7%였다. 실제 17차시보다 많은 수업을 하는 경우는 51.9%로 과반이 넘었고, 특히 학교 규모가 6학급 이하이거나 7~21학급인 경우 연간 36차시 이상 보건수업을 하고 있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89.9%가 인정보건교과서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보건교과서 대영역 중 건강 자원과 사회 문화 영역을 가르치고 있다고 답한 경우는 47.1%로 절반에 못 미쳐 보건교육 내용을 균형 있게 가르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둘째, 보건교육을 위한 지원이 부족하였다. 보건교사가 보건수업 시 보건실을 비워두는 경우가 21.2%로 나타났고, 보건교사의 76.2%는 보건수업 시 응급상황 발생으로 인해 보건수업을 중단한 적이 있었다. 보건교육 시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건교사 2인 배치와 보건 보조교사 배치와 같은 인력 지원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54.7%로 나타났다. 인력배치를 위해서는 보건교사에 의해 실시되는 연간 보건교육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선행 조사가 필요하나 현재 학교에서는 보건교사에 의한 보건수업이 NEIS에 기록되는 경우가 30.7%에 불과하여 정확한 보건교육 실시 시간조차 알 수 없는 실정이다. 셋째, 학교 관리자와 교사는 보건교육에 대해 대체로 지지적인 태도를 보였고, 그 이유에 대해서는 보건교육이 필요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 관리자와 교사가 보건교육에 비협조적인 태도와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는 이유는 교육과정이 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보건교사의 78.3%가 보건교육은 보건교사가 담당해야 한다고 답하였으며 그 이유는 보건교육을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의료인이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35.5%로 가장 높았다. 학교보건법에 의해 보건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규정은 86.2%가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육과정이나 보건교육 내용체계 등 보건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은 절반 수준에 불과하였다. 하지만 보건교사들의 87.3%가 초등보건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보건법에 따라 체계적인 보건교육이 운영될 수 있도록 초등 보건과목을 포함한 초등보건교육과정 고시가 필요하다. 모든 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체계적인 보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 대상 학년과 수업 시수 명시가 필요하다. 둘째, 보건 표시과목 도입 및 보건교사 정교사 전환과 양성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보건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보건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관련 보건교육 연수의 지속적인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보건법에 따른 보건교사의 직무인 학생 건강관리와 보건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인적, 물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보건교육 내용 구성과 학습 시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보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건교육 내용 선정과 학습에 필요한 시간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유치원 방과후 과정 참여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기관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정인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 과정 참여 유아와 방과후 과정 비 참여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방과후 과정 참여에 따른 자기조절능력이 유아교육기관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방과후 과정 참여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기관적응도는 어떠한가? 2. 유치원 방과후 과정 참여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기관적응도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 방과후 과정 참여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기관적응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4. 유치원 방과후 과정 참여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기관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1.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기관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2. 유치원 방과후 과정 참여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기관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 3곳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유아 192명과 담임교사 21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이정란(2003)이 개발한 부모 평정용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측정도구를 교사평정용으로 변경하여 사용한 김은미(2006)의 교사용 유아 자기조절능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유아교육기관 적응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Jewsuwan, Luster와 Kostelik(1992)이 개발한 유아교육기관 적응 설문지(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사용한 김혜수(1995)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본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은 기술 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t검증(t-test),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및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과정 참여 유아와 비 참여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도는 모두 중간 값 이상으로 나타났다. 방과후 과정 참여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성별, 연령, 참여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여아가 남아보다, 만 4, 5세가 만 3세보다, 2년 이상 방과후 과정에 참여한 유아가 6개월 미만 참여한 유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익숙한 환경에서 규칙적이고 체계적으로 2년 이상의 방과후 과정에 참여한 것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되며, 후속적으로 2년 이상의 방과후 과정 참여에 대한 질적분석이 더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반면, 방과후 과정 비 참여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 과정 참여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유아의 연령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만 4세가 만 3세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적응도가 좋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방과후 과정 참여와 비 참여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자기조절능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방과후 과정 참여 유아가 비 참여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방과후 과정 참여 유아가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평가, 자기결정, 정서성, 행동억제를 보다 잘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고 유아교육기관 적응도의 하위요인인 또래간의 적응, 유치원 내에서의 정서상태, 친 사회성, 유치원 일과에 대한 적응, 자아강도가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유치원 방과후 과정 참여로 인해 교육과정의 유아들보다 유아교육기관에 오래 머무를수록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방과후 과정 참여 유아와 비 참여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사이에 모든 하위요인에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방과후 과정 참여 유아와 비 참여 유아 모두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유아교육기관 적응도 높게 나타났다는 것으로,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있어서의 자기조절능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 주었고,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이후 사회적응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유아들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의 설명력은 62.9%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에서는 자기결정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행동억제, 자기평가 순으로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 과정 참여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방과후 과정 참여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의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의 설명력은 57.4%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에서 자기결정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행동억제 순서였다. 방과후 과정 비 참여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의 설명력은 48.7%로 나타났고,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결정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행동억제 순이었다. 방과후 과정 참여와 비 참여 모두 자기조절능력 하위요인 중 자기결정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유아기에 유아 스스로 결정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중요함을 말하고 있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독립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사고의 과정과 스스로 결정하고 예측해보며, 실행에 옮겨 볼 수 있게 하는 자기결정력을 향상 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and young children not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in self regulation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and to examine the effect that self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has on institutional adjustment. Research topics that have been set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state of self regulation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 regulation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3.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regulation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4. What effect does self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have on institutional adjustment? 4-1. What effect does self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have on institutional adjustment? 4-2. What effect does self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have on institutional adjustment?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92 three(3) to five(5) year-old children who attend 3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21 teachers in charge. Instruments that were used to measure self regulation of children in this research was the Child Self-Regulation Scale developed by Lee Jeong-ran (2003) for parents which was revised by Kim Eun-mi (2006) to be used for teachers, and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Jewsuwan, Luster and Kostelik (1992) to measure institutional adjustment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Kim Hye-soo (1995). Data collection has been carried out using questionnaires, and for data analysis such analytical tools as technical analysis, One-way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present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self regulation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and young children not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turned out to be above median value. Self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gender, age, and duration of participation, showing higher values for female than male, for 4 to 5 year-olds than 3 year-olds, and for children who have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programs for two years or longer than children who have participated in those programs less than 6 months. This suggests that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programs for 2 years or longer in a familiar environment regularly and systematically had a beneficial effect on self regulation of the children, which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a qualitative analysis on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programs for 2 years or longer in the future. In contrast, self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not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showing higher capability for female. Institution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age of children, showing a higher capability for 4 year-olds than 3 year-olds.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is the age of children, capability of institutional adjustment capability is also highe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self regulation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between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and young children not participating, in all subordinate domains of the overall self regulation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ly higher capability than the children not participating. This reveals that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are doing better in all subordinate domains of self regulation including self evaluation, self determination, emotionality, and behavioral inhibition. Similar results obtain in all subordinate domains of institutional adjustment that includes adjustment among peers, emotional state in the kindergarten, pro-sociality, adjustment to kindergarten routines, and ego strength. In other words, due to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programs, self regulation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who stayed longer in preschool facilities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other young children under regular educational programs. Third, in-between self regulation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and young children not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there seems to be a positive correlation in all subordinate domains. This suggests that, for both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and young children not participating in those programs, the higher is one’s self regulation, the higher is his or her institutional adjustment. This showed that self 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young children’s institutional adjustment, implying that this institutional adjustment can have certain effect on these children’s social adjustment in later year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self regulation on young children’s institutional adjustment, explanatory power of self regulation on young children’s institutional adjustment turned out to be very high at 62.9%. Of subordinate domains of self regulation, self determination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to be followed by behavioral inhibition and self evaluation in descending order in affecting young children’s institutional adjustment. When the result of after school program participation is examine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effect that self regulation has on institutional adjustment of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explanatory power of self regulation on institutional adjustment turned out to be 57.4%. Of subordinate domains of self regulation that affects children’s institutional adjustment, self determination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to be followed by behavioral inhibition. A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effect that self regulation has on institution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not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explanatory power of self regulation on young children’s institutional adjustment turned out to be 48.7%, and of the subordinate domains of self regulation that affects children’s institutional adjustment, self determination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to be followed by behavioral inhibition. The result that shows children’s institutional adjustment was most heavily affected by self determination in both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and young children not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rograms bespeaks the importance of capability that a child decides and judges by himself or herself in childhood. This implies that preschool facilities should enhance the thinking process through which young children can think and make judgment independently and the capability of self determination that enables them to make decisions, forecast, and put their ideas into practice.

      • 초등학교 중도입국학생 대상 한국어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정주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Migrant students came from a foreign country as their parents remarried or found a job in Korea without regard to their own will. Since they learn Korean due to other person’s decision, the migrant students lack motivation unlike other group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lso, since they have to survive in a completely different place from where they used to live environmentally or socially, they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culturally. This reveals that the situation and the purpose of the migrant students in learning Korean are quite different from other Korean language learners. If this fact is neglected or ignored in teaching Korean language, there is a good likelihood that the migrant students may not succeed in adapting to their new life in Korea. The migrant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a radical transition in their life are the ones who need most desperately the suppor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ecause they are likely to be isolated and unable to adapt to the unfamiliar Korean education system linguistically and culturally. Hence, there is a need to support their adaptation not only with regular educational curriculum but also with various educational support programs both on institutional level and national level outside of school. Accordingly, for this research, we have observed an instructional example of Korean language classroom that is being operated as part of a specialization project in S city of Gyeonggi province and had an in-depth interview with a Korean language instructor in charge. Through this, we made an effort to find out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migrant students is being carried out, whether there is any problem in operating Korean language curriculum targeted for elementary school migrant students, how the contents of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re constr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lass targeted for elementary school migrant students before attempting to analyze what the problems are. To identify this kind of research topics and to analyze instructional exam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ed for migrant students, we have performed a three-stage research procedure that consists of exploration of theoretical background, survey and analysis of class examples, and presentation of an improvement plan. In the first stage, to explore theoretical background for migrant students, we have analyzed the literature and conducted a review of preceding studies. In the process, we justified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set up specific research topics. In the second sta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t hand, we have observed clas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examined the operation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migrant students,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operation method of Korean language clas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divided our findings into three categories for analysis. In the third stage, we have derived problems related to oper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migrant students and problems related to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lans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collected data. And on the basis of this, we came up with three essential elements that should be provided for desirabl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he migrant students, including reconstruction of classes for migrant students, development of text book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ir distribution for migrant students, and introduction of a curriculum for fostering new 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of the migrant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This research has certain limitations. First, as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of Korean language classes operated as part of a specialization project in S city of Gyeonggi provinc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our findings to the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Second, as most of the migrant students who are the target of this research are from China, there i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our findings to the general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ll migrant students. Third, a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thesis is qualitativ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class for migrant tudents, to derive complete implications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for migrant students, complementation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is required. 중도입국학생은 부모님의 재혼 또는 취업의 이유로 자신의 의지는 고려되지 않은 채로 타국에서 왔다. 타인의 결정으로 한국어를 배워야 하는 처지에 놓인 중도입국학생은 따라서 한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가 매우 부족하다. 또한 자신이 살아온 주변 환경과 사회가 전혀 다른 곳에 와서 생존해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문화적으로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도입국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는 이처럼 기존의 학습자들과 다른 목적과 상황에 처해있다. 이 사실이 간과된 채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중도입국학생의 한국 생활 적응은 실패로 귀결될 우려가 높다. 이주로 인한 생애 전환을 경험하게 된 중도입국학생들은 언어적, 문화적으로 낯선 한국의 교육 체계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립되어 지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한국어 교육 지원이 가장 절실한 수요자들이기도 하다. 학교 안에서의 정규 교과과정뿐만 아니라 학교 밖 기관과 국가 차원에서의 다양한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만들어 이들의 적응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S시 특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국어교실의 수업 사례를 관찰하고 한국어교실을 운영하는 한국어강사와의 심층면담을 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초등학교 중도입국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초등학교 중도입국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수업에 있어서 구체적 교수-학습안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도입국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수업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 탐색, 수업 사례 조사․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의 3단계 연구 절차를 수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중도입국학생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기 위하여 문헌을 분석하고 선행연구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정당화하고 연구문제를 구체화하였다. 2단계에서는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초등학교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수업 현장을 관찰하고 한국어강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중도입국학생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운영 현황과 구체적인 교수학습방안, 한국어수업 운영방식 등에 주목해 살펴보았다. 3단계에서는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석하여 초등학교 중도입국학생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점과 구체적인 교수-학습방안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바람직한 한국어교육을 위해 갖추어야 할 요소를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바람직한 한국어교육을 위해 갖추어야 할 요소를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학급의 재구성,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교재와 교수-학습법 개발 및 보급, 중도입국학생과 일반학생의 문화의식 및 태도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필요 등이 그것이다. 그 밖에도 중도입국학생이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학교와 가정이 활발히 교류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중도입국학생이 겪는 정서적인 문제와 또래관계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담 또는 멘토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제 2언어 교육은 언어와 학문적 측면뿐 아니라 인지 발달 차원과 사회문화적 차원 등의 요소가 다차원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경기도 S시 특성화사업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한국어교실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이기 때문에 이를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현황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 또한 연구 대상이 되는 한국어교실에 참가하는 중도입국학생들은 중국출신이 대부분으로 다양한 출신의 중도입국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현황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보다 바람직한 한국어 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들을 찾기 위해서는 양적연구를 통한 보안이 후속적으로 진행되길 제안한다.

      •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의식구조 분석을 통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이광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공업교육에 대한 의식구조에 대한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공업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며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 및 직업지도에 새로운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을 두고서 연구를 추진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 목적을 위하여 문헌 조사를 통하여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공업교육에 대한 의식구조를 파악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소재 7개교를 표집 하여 300부 자료를 수집·분석하였고 자료 분석은 알아보기 쉽게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SPSS 프로그램에 의해 전산 처리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입학동기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조사한 결과,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중학교 때 성적은 중, 하위권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공업계 고등학교에 입학한 동기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성적이 안 좋아서라는 이유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졸업 후의 진로 계획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대학 진학을 원한다는 학생들이 취업을 원하는 학생들보다 월등히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졸업 후의 희망하는 장래 직업은 전공과 상관없는 직업을 원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다. 둘째, 학생, 교사, 학부모, 일반 사람, 기업들이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 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정도를 살펴본 결과,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같은 반 친구들이 어떠한 의욕도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을 가장 많이 하였고, 공업계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학생들을 교사들이 어떻게 생각할 것 같은 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교사들이 자신들에 대하여 아무 관심이 없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다. 또한 공업계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학생들을 부모님들이 어떻게 생각할 것 같은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부모님들이 자녀 교육에 매우 관심이 많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높은 분포를 보였고, 공업계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학생들을 주위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 것 같은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일반 사람들은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아무 관심이 없을 것 같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공업계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학생들을 기업들이 어떻게 생각할 것 같은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저임금 및 대우를 받지 못할 것 같다고 생각한 학생들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공업교육의 지도 내용 및 현장 실습에 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공업계 고등학교의 전공 학과에 편성되어 있는 과목 수업이 교육과정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아무런 관심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현재 배우고 있는 전공 교재의 내용이 어렵지만 이해는 하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가장 많았다. 또한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전공 학과의 실습은 형식적 실습을 반복하므로 발전성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전공 교과목 (이론 및 실기) 시간에 활용하는 기자재는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기자재가 아닌 형식적인 기자재를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졸업하기 전 실시되는 자격증 취득은 열심히 이론과 실습을 공부하지 않고 자격증 시험 응시 한 달 전부터 공부하면 취득 할 수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높은 분포를 보였다.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공업교육에 대한 의식구조는 위에서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학생들의 부정적인 의식구조를 긍정적인 것으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교사는 따뜻한 관심과 사랑으로 학생들을 대하고, 학교에서는 다양하고 신축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정부는 과감한 공업계의 시설 투자와 함께 효과적인 교육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정책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학력 중시의 사회 풍토에서 벗어나 어느 분야이든 성실히 노력하여 전문적인 기술을 쌓으면 성공할 수 있다는 기술을 중시하는 사회로의 실질적인 변화가 요구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desirable direction of technical education and acquire new suggestions on the education and career guidance at technical high schools by carrying out survey o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structure of technical education. To this end, theoretical foundation was lai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structure of technical education was identifi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300 copies of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collected after sampling seven school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 and the SPS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vestigation of the basic data on the motive to enter technical high schools and desired career path after graduating from the technical high schools revealed that the technical high schools students' academic records in middle school were mostly in the mid and lower groups. Regarding the motive to enter the technical high schools, most students chose the reason of bad academic records. For the career plan after graduation, the students wishing to go to college showed much higher distribution than those desiring to get a job. For future career, the highest ratio of the students chose jobs irrelevant to their major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students' awareness on how students, teachers, parentis, general public and films will view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ought that their classmates did not seem to have any volition. Regarding how teachers would think of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e highest ratio of students thought their teachers were indifferent. For the question about how parents would think of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ose students who replied that their parents had great interes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showed high distribution. About the question that how surrounding people would think of the technical high students, the highest ratio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thought general public would have no interest in them. Lastly, for the question about how firms would think of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ho thought they would get low wage and not receive good treatment took up the highest ratio. Third, for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of lesson and field practice for technical education, the highest ratio of the students said they had no interest in whether their classes followed proper curricula. The most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understood the content of their major, though the content in the textbooks for their majors were difficult. The highest ratio of the students indicated that they received field practices for their majors in line with formal field practices. The most students replied that formal materials and equipment were used, not those required in the industrial sites, as to the materials and equipment used in the classes (theory and practical skills). For certificates/licenses before graduating from the technical high schools,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ho replied that they could obtain those certificates/licenses, if they study about a month prior to the exams, without studying the theories and practical skills learned throughout the school courses hard, showed high distribution. As a result,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structure of technical education was generally negative. For this reason, we need to change such negative awareness structure of the students to a positive one. To do so, teachers should treat the students with warm interest and love, schools need to operate various and flexible curricula and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support the policy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practice programs as well as the policy promoting facility investment by the industrial sector. Above all, our society needs to truly change to the society where technology is cherished in that anyone who builds up professional technology in any field can succeed, deviating from education background-valued social climate.

      •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 장학 활성화 방안 연구

        강명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육의 질적 수준을 가늠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인은 교사의 질적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으며, 교사의 질적 수준이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 특히 유치원 교육은 그 특수성으로 볼 때 다른 연령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보다 교사의 자질 및 역할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그리고 자기장학이 전문성과 교직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유치원 교육현장에서의 자기장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 효과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이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산시와 시흥시, 화성시, 수원시 소재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는 240부를 배부하여 225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2부를 제외하고 223부를 최종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설문지로, 설문지 내용은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유치원 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실태, 자기장학에 대한 효과, 자기장학이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x^(2)(Chi-square) 검증과 t-test, 그리고 One-way ANOVA를 이용하였고,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살펴본 결과, 유치원 교사들이 선호하는 장학유형은 동료장학(42.6%)과 자기장학(34.5%)이었고, 자기장학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효과성과 필요성에 대해 유치원 교사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자기장학 중점 영역은 교육철학 및 교육관 확립에 두어야 한다고 나타났으며, 자기장학 방법으로 유치원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과 학급경영에 관한 평가를 위해 유아관찰, 학부모 동료교사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교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장학 효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자기장학이 수업기술 향상에 좋은 아이디어 제공, 유치원 교실의 시설 환경 개선에 미치는 영향, 수업목표 달성을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에 미치는 영향, 바른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또한 자기장학이 교육과정 운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성 발달과 즐거운 유치원에 미치는 영향, 활동적인 유치원교실 환경에 미치는 영향, 좋은 유치원 만들기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자기장학이 교재·교구 개발과 활용에 도움을 주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경력이 5∼10년인 교사와 대졸인 교사, 유치원의 규모가 클수록 더 높은 인식을 보였다. 자기장학이 민주적, 자율적인 생활태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이것은 유치원 교사들은 자기장학의 효과에 대해서 긍정적인 인식으로 자기장학이 중요함을 인식한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이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상급학교 수학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였으며, 교육관련 연구회에는 1곳에 가입한 교사가 가장 많았고(45.3%), 가입하지 않은 교사(32.3%)도 많았다. 교육관련 연구회 가입의 효과에 대해서는 그다지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았다(전체 평균 3.08). 교육기관 유아교육 장학자료의 효과는 긍정적인 인식으로 공립 유치원 교사와 경력이 11∼15년인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다. 컴퓨터 활용에 대해 유치원 교사들은 많은 노력을 하였고, 자원인사와 면담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학력이 대졸인 교사(전체평균 3.36)가 대학원 재학 이상인 교사(전체평균 2.84)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다. 산업시찰, 문화재 관람의 효과와 선진 유치원 견학의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자기장학 활동을 위해 사립유치원 교사(전체평균 57.4)와 공립 유치원교사(전체평균 41.8) 모두 토요일 오전을 할애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자기장학이 잘 수행되지 않는 이유로 유치원 교사들은 과중한 업무부담으로 인한 시간부족(38.1%)으로 인해 자기장학이 잘 수행되지 않는다고 인식하였으며, 또한 효율적인 자기장학 방법을 잘 몰라(33.6%)서 자기장학이 잘 수행되지 않는다고 인식하였다.

      •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의 유아영어지도에 대한 관심 및 실태 연구

        신순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현재 외국어학원의 유치부에서 유아영어를 가르치는 교사 중 비유아교육과를 전공한 교사들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인식도 및 유아발달과 특성에 대한 관심도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이들이 현장에서 유아들에게 어떤 교수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유아들에게 적합한 유형의 교사형태와 그들을 위한 정책적인 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외국어학원내 영어유치부의 비유아교육전공자인 유아영어교사들을 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일반적인 배경은 어떠한가? 2.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어떠한가? 1)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영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발달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영어에 대한 실제는 어떠한가? 1)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발달에 대한 실제교육상황은 어떠한가? 2)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이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교수방법은 어떠한가? 4.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에 대한 필요성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모 외국어학원과 경기도 용인, 수원지역의 외국어학원의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 10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다른 연구자가 작성한 질문지를 수정 고안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AS/PC를 사용하여 각 항목별로 빈도수와 백분율을 명시하였다. 각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일반적인 배경 외국어학원내에서 영어 유치부를 담당하고 있는 영어교사들은 영문과와 유아교육과 자격을 동시에 다 갖춘 경우가 드물고, 대부분이 영문과나 타 학과를 졸업한 경우가 많았다. 2.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에 대한 일반적 인식 영어교육의 찬반을 묻는 질문에서 64.42%가 찬성으로 응답했으며 반대하는 이유는 현실 여건상 조기 영어교육을 할만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반대의 이유가 이론적인 찬반론이나 교육인적자원부의 반대와는 달리 현실적으로 팽창해만 나가는 조기영어의 확산에 따른 아무 방법적 대책이 없는 현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유아영어교사들은 유아들의 개인차가 있는 원리나 유아발달 전반에 따른 이론에 80%이상이 관심이 있었으며 영어수업은 유아발달에 근거하여 진행되어야 한다고 했다. 3.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영어에 대한 실제 유아발달에 필요한 정보 수집은 워크샵, 세미나 또는 외국어학원 자체 프로그램을 통해서 해결하고 있었으며 유아발달과 관련된 세미나는 한달에 한번 정도 필요하다고 절감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수업에 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게임이나 노래 및 챈트였으며 현재 원내에서 사용하는 교재교구의 적합성에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유아들이 가장 흥미를 느끼는 수업 방식은 게임을 이용한 학습이였기에 이 부분은 교사들의 더 많은 창의적인 연구들이 필요로 할 것이다. 4. 비유아교윽전공 영어교사들의 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에 대한 필요성인식 대다수의 비유아교육과 전공자인 영어교사들은 유아를 가르칠 때에는 유아의 특성을 알고 가르칠 수 있는 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교사를 위해 국가나 기관의 정책적인 방향제시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중에서 특히 유아발달과 유아 심리파악을 위한 연수교육을 정기적으로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비유아교육전공 영어교사의 유아영어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제를 알아봄으로써, 이를 토대로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유아영어지도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 요셉 보이즈(Joseph Beuys)의 예술과 교육의 연관성 연구

        문진화 京畿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보이즈(Joseph beuys.1921-86)는 예술의 역할이 단지 예술이라는 제한된 영역속에서 어떠한 대상을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조 속에서 보다 인간적인 삶을 이루기 위한 서로간의 조화, 소통이라 말한다. 보이즈에게 예술이란 목적이 아니라 자신의 사상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보이즈는 자신의 작품에 펠트, 지방, 구리 동물 등을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이것의 상징적인 이미지는 죽음-부활, 부상-치유, 즉 에너지의 흐름이다. 그의 궁극적인 바램은 현대의 물질문명으로 잃어가고 있는 인간성의 회복이었던 것이다. 그는 상징화된 오브제를 제시, 사람들의 잠재된 창의성을 자극하여 인간 본연의 순수성을 찾기를 원했던 것이다. 그는 그의 사상을 실천하고자 한 단계 더 나아가 자유 국제 대학을 설립, '예술은 곧 삶이며 모든 이는 예술가이다'라는 정의 아래 인간의 잠재된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해 교육자로서도 부단한 노력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예술 사상과 교육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첫째, 그의 예술 활동에 등장하는 오브제의 미술사적 전개과정을 알아본 후 보이즈의 예술 사상의 형성 배경과 함께 교육관으로 연결되는 예술 사상을 살펴보았다. 둘째로 보이즈의 예술 활동을 분석하여 연관된 교육관을 찾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보이즈의 구체적인 교육 활동의 장이 되었던 자유국제대학에서의 활동을 바탕으로 그의 교육 사상의 이해를 돕고자 현대 미술교육에 큰 영향을 미친 로웬펠트와 아이스너의 교육관을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그는 사회를 조각이라고 규정, 개개인의 노력으로 조형되어질 수 있다고 믿고 예술활동의 적용 범위를 특정인이 아닌 대중들에게까지 확대시킨다. 그는 자신의 사상을 전달하기 위해 교사로서의 역활을 성실히 수행, 그의 예술 활동 뒤에는 항상 많은 강연과, 토론이 열린다. '사람들의 마음에 풍부한 정신적 가능성을 자각시키고 새로운 의지를 각인시키는 것을 사회조각의 사명이라고 생각한다.' 그의 교육적인 예술활동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Joseph beuys(1921-1986) mentioned that a role of the art was not to create certain objects in restricted field but its role was the harmony an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o accomplish more better 'human-beings' life. The art was not his object but its mean was to express his own idea. He repeatedly used felt and fatty substance and bronzen animals in his work. Its symbolic imagines show death-revival and wound-treatment, that is, the current of energy. he exactly desired to recover 'human-beings' getting hurter and hurter caused by the modem materials civilization. also he desired to find the purity of true human-beings with which encouraged and stimulated peoples' potential creations and showed the symbolized object. To accomplish and practise his idea as an educator, he established the free-international university and tried continuously to develop the human beings' potential creations under a definition, 'the art is life and all the people are artists. This essay is intent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art idea and his educational idea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his art idea being connected with his educational idea with formative background of Beuys' art idea after finding development of art history of object appearing on his art work. Second, This study shows his educational idea through analysis of his art activity. Futhermore, Rowenfeld and Eisner educational ideas who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modern art education was also analyzed and compared in order to understanding of Beuys' educational idea based on his activity in the free-international university that was his real education activity field. He defined a society as a sculpture, and he believed that the sculpture would be shaped by individual's effort. He extended the application of his art activity to the masses whom is not a specified person. To give his own idea, he faithfully performed his role as a teacher and gave a lot of lectures and held a lot of discussion meetings behind his art activity. He mentioned that 'the duty of the social sculpture would be led people to realize their mental possibilities and to recognize their new will.' This was the final goal of his educational art activity.

      • 유아대상 범죄에 대한 유치원 학부모들의 인식 연구

        박명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범죄에 대한 유치원 학부모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통하여 범죄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유아대상범죄와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기초연구를 시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범죄관련 예방 교육 자료와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부모의 범죄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부모의 유아대상 범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학부모의 유아대상 범죄예방교육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경기 지역 유치원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둔 학부모 21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0년 9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범죄에 대한 일반적 인식, 유아대상범죄에 대한 인식, 유아대상범죄예방교육의 내용과 필요성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모든 설문은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하였으며 취합된 통계자료는 SPSS18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통계적인 유의수준 검정 값은 p<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은 범죄문제와 우리나라 처벌 수준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자나 출소자의 개선의 가능성이나 처벌과 관련해 엄격하고 차가운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범죄자들의 재범과 관련해 이를 방지하는 방안 또한 강력한 처벌을 원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부모들은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자녀, 즉 유아가 포함되어 있는 아동ㆍ청소년 대상 범죄 유형 중 성범죄를 가장 죄질이 나쁜 범죄의 유형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범죄 피해로부터 자녀를 지키기 위해 가정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시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한 범죄 피해로부터 대처하고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식과 방법이 부족해 자녀 교육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부모들은 유치원에서 유아대상 범죄대처 및 예방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이와 관련해 각 시ㆍ도 교육청에서 검증된 강사를 유치원으로 파견해 유아교육과정 안에서 자연스럽게 자녀들에게 교육하는 것을 원하고 있었다. 더 나아가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유아대상 범죄대처 및 예방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었으며, 유아 주변의 범죄 유발 요인을 파악하고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은 범죄와 범죄자 그리고 출소자 개선에 대한 생각이 매우 부정적이며 그에 따른 처벌에 대한 생각 또한 매우 엄벌주의적인 것을 볼 수 있었다. 올바르게 범죄문제를 파악하여야 유아를 대상으로 한 범죄로부터 신속하게 대처하고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지역사회 내에서 우리와 함께 살아가야할 출소자들에 대해서도 올바르고 개선된 인식을 위해 지역사회 내 정책 수립과 관련된 프로그램 실시가 필요할 것 같다. 또한 유아교육과정 연령별 누리과정 안에 위와 같은 교육 내용이 녹아져 내릴 수 있도록 하여 유아들이 교육을 통해 건강한 인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유아대상 범죄의 대처 및 예방교육을 국가에서 체계적으로 실시하며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이 연계하여 범죄를 올바르게 대처하여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현재 교육되어 지고 있는 유치원 교사들의 범죄 대처 및 예방에 대한 인식의 자질을 함양시키기 위해 각종 연수와 교육을 실시하며 필요에 따라 각 시ㆍ도 교육청에 전문적이고 검증된 강사를 유치원으로 파견해 교사와 유아 모두에게 교육되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conducts a basic study to analyze the general perception of crime and the perception of crime and education for infants in order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parents about crime. Based on this,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rime-related prevention education materials and programs for infa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irst, how are parents' general perceptions of crime? Second, how are parents' perceptions of crimes against infants? Third, how are parents' perceptions and necessity of crime prevention education for infants? To find out the above research problems, a study was conducted on 219 parents with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s in Gyeonggi-do.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2020 to November 2020 and Through the survey, the general perception of crime, perception of crime against infants, and perception of the content and necessity of crime prevention education against infants were investigated. All surveys were conducted on-line, and the collected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cross-analysis through the SPSS18 statistical program. The test value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the data was set to p<0.00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were found to have very high negative perceptions of the crime problem and the level of punishment in Korea. There is a strict and cold reaction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or punishment of criminals or prisoners and regarding the recidivism of criminals, it was confirmed that measures to prevent this also wanted strong punishment. Second, parents regarded sex crime as the worst type of crime among the crime types targeting children in kindergarten and youth, that is, children in Korea, including infants. In order to protect children from such crimes, it was confirmed that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ways at home. However,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education was difficult due to lack of specific knowledge and methods to cope with and prevent crimes against infants. Third, parents regarded the need for crime response and prevention education for infants in kindergarten and their impact on their children. In this regard, they wanted to send instructors verified by each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al office to kindergarten to educate their children. Furthermore, most parents had no experience of receiving crime response and prevention education for infants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parents was indic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causes of crime around infants and prevent them in adv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