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신채호의 투쟁적 자아관

        신정근(Jeong-geun Shin) 한국철학회 2011 철학 Vol.0 No.109

        신채호는 다변의 시대를 살아간 복합적 특성의 인물이다. 필자는 그의 사상을 해명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식이 있겠지만 여기서는 천하(가족) 대 국가와 민족, 시비 도덕 대 이해 도덕, 대인과 소인 대 대아와 소아의 틀로 분석했다. 신채호는 20세기를 국가 주도의 시대로 보았다. 하지만 국가의 상실로 인해 그는 국가를 형식적 국가와 정신적 국가로, 자아를 소아와 대아로 구분하여, 대아가 정신적 국가를 보전하여 상실된 국가를 탈환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는 아(我)를 아지아(我之我)와 아지비아(我之非我)로 구분하고서 아지비아, 즉 내부의 적을 제거하여 아지아의 역량을 증대시키고자 했다. 아울러 그는 대아가 전제된 상황에서 비아의 투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서 교육 중 체육(體育)과 정육(情育 또는 貞育)의 가치를 높이 쳤다. 신채호는 독립과 해방을 위해 투쟁을 역사와 현실의 동력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투쟁적 자아관을 주장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전근대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를 핵심 가치로 삼았던 조화적 자아관과 날카롭게 대립한다. 신채호는 20세기 초 국권 상실의 상황에서 사람들이 웃고 비웃으며 떠드는 성공과 실패의 언어를 수집하여, ‘실패’에서 결과에 개의치 않고 끊임없이 분투하는 인간을 찾아내고 ‘성공’에서 결과에 조바심내면서 자신의 작은 몫을 지키기 위해 온갖 편법을 일삼는 타락의 징후를 읽어냈다. 실패야말로 상실의 시대에 사람이 사람다워지려면 반드시 겪어야만 하는 소명의 초대장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마지막으로 신채호가 실패의 존재론을 쓰게 되었다고 말하고 싶다. Shin Chae-ho is a complicated figure who lived in age of rapid changes. To explain thought of Shin Chae-ho, I want to use the frame of opposing concept, namely, family world vs nation state, righteousness vs interests, spiritual person (大人) and material person(小人) vs true self(大我) and false self(小我). Shin Chae-ho regarded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as the nation state-oriented times. But owing to his country’s ruination, he divided nation state into formal state and spiritual state, and self into false-temporary self and true-authentic self. He thought that if we preserve true-authentic self and spiritual state, sometime will retake our own country. Moreover to accomplish his historical task, he split self up into self within self(我之我) and non-self within self(我之非我). We have to ardently get rid of non-self within self(我之非我), that is to say an enemy within, but promote the power of self within self. To wage a war of liberation, he emphasized physical education and. cultivation of aesthetic sentiment(情育 or 美育). Shin Chae-ho thought that his purpose is very difficult. Though he failed in the war of liberation in spite of his efforts, don’t be discouraged. After numerous failure, sometime finally succeed in homeland emancipation. Because of his glorification of failure, I want to name Shin Chae-ho’s thought as failure ontology.

      • KCI등재

        기(氣) 철학자들의 우연성에 대한 성찰

        신정근 ( Jung Geun Shin ) 東洋哲學硏究會 2007 東洋哲學硏究 Vol.52 No.-

        이 논문은 氣철학자들이 우연성과 대결하는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초점이 있다. 理철학에서 우연은 배제되어야 하는 영역이면서 가치의 경계를 넘어서 있는 지점이다. 기철학은 변화와 유동성을 그 특징으로 끌어 안고 있으므로 우연성에 대해 리철학처럼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기철학자마다 우연성과 대결하는 양상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이 글에서는 논의의 대상을 董仲舒(B.C. 198-106)·王充(27-100)·王廷相(1474-1544)으로 한정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우연성과 대결 과정에서 다른 것으로 환원될 수 없는 독특한 개성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중서는 개방된 기철학을 주장하면서도 天意의 틈입을 통해 우연성의 문제를 타고 넘는다. 왕충은 자기 완결적인 기철학을 내세우면서 필연적으로 운명론을 통해 우연성을 끌어안게 된다. 왕정상은 氣化와 氣本을 나누면서 氣와 理가 상호 수렴되는 과정으로 우연성의 문제를 타고 넘는다. 本文就是針對着氣哲學家們與偶然性較量的面貌的。從理哲學來看, 偶然性是被排除的領域又是超越價値的界線的地點。因氣哲學本身具有其變化及流動性而不像理哲學採取對偶然性敵視的態度。然而, 在與偶然性的較量之下, 各個氣哲學家都有各個的面貌。在這個論文, 筆者把議論的對象限定爲董仲舒、王充和王廷。這是因爲他們都在與偶然性較量的過程中表現出各個獨特的個性。董仲舒就主張開放的氣哲學, 以天意這個槪念還超越偶然性。王充借助于具有自己本身的完結性的氣哲學, 必然以命運論容納偶然性。王廷相就區分氣化與氣本, 在氣與理互相接收的過程當中, 還在超越其偶然性。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도덕적 완성에 이르는 네 가지의 길

        신정근(Shin Jeong-Geun) 한국동양철학회 2012 동양철학 Vol.0 No.37

        이 글은 추월론의 관점에서 인간이 도덕적 완성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설명 하고자 한다. 동서 철학은 모두 사람이 지성, 의지, 실천에 근원적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그 한계를 벗어나려는 열망을 품고 있다고 보았다. 이 열망을 현실화시키는 것과 관련해서 종래 초월론과 내재론 사이에 오랜 논쟁이 있어왔다. 여기서 필자는 초월론과 내재론이나 내재적 초월론을 대신해서 추월론을 통해 인간의 도덕적 성장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동아시아 철학사에 공자, 맹자, 주희, 정약용처럼 뚜렷한 특징을 가진 네 명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way to humanity. In the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human fully radical limit, but harbor an ambition to transcend the limit. This has been the dispute between transcendence and immanence. Here I want to suggest that we substitute transcendence and immanence for imitation and extension to solve the problem of moral change. Confucius, Mengzi, Zhu xi, and Jeong Yak-yong each deals with the problem of moral change. They have a peculiar way of making people reform their weakness and promote their merit.

      • KCI등재

        「논어」 에 나타난 공자의 역사관

        신정근(Shin, Jeong-Geun) 한국동양철학회 2008 동양철학 Vol.0 No.30

        이 글은 역사의 사실ㆍ방향ㆍ유형을 중심으로 「논어」 에 나타난 공자의 역사관을 다루고 있다. 역사의 대상으로서 사실은 내재적 특징보다 명분론적 사고에서 재해석된다는 점을 밝힌다. 역사의 진행 방향은 복고나 퇴보 사관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발전 사관에 가깝다는 점을 해명하고 있다. 역사 시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文質이란 유형론을 설정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공자는 현재의 자원으로서 과거도 있지만 과거보다 나은 현재, 현재보다 나은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갖는 역사관을 피력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I have dealt with a historical view of Confucius in the Analects, focused on historical fact, direction, and types that he matters. Facts as historical object are related to the way of thinking that mainly reinterpreted by ethical obligation. They are by no means implied pure and objective actions. Confucius believed that the direction of history unfolds in expansive and developmental way, not retrogressive and degraded way. In order to problem of specific period, Confucius and his fellows, especially Dong Zhong-shu董 仲舒 have introduces the concept of wenzhi into two types of historical development according to alternation of wen with zhi period.

      • KCI우수등재

        주렴계의 생태 사상

        신정근(Jeong keun Shin)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7

        유교는 일찍이 지구 생태계가 맞이하고 있는 환경 위기와 생명의 대멸종을 극복할 수 있는 사상 자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유교사상 중 ‘만물일체(萬物一體)’설은 인간 중심주의와 대척 지점에 서있는 사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모든 존재가 하나의 덩어리로 이어져있기 때문에 한 생명체의 고통은 공감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공감은 지구 생태계에 대해 인간 중심주의(anthropocentrism)가 관철하는 상황과 다른 대응과 책임을 요구한다. 주렴계의 ‘창전초부제’ 고사는 만물일체를 구현하고 있는 상징적 사건으로 주목할 만하다. 주렴계의 ‘창전초불제’ 내용은 아주 간단하다. 그럼에도 철학과 미학의 역사에 던진 영향은 적지 않다. 정명도도 유사한 체험을 하며 주석을 달았고 주희는 공자의 ‘무우귀영(舞雩歸詠)’과 주렴계의 ‘창전초부제’를 독서의 즐거움을 결합시켰다. 왕양명은 아예 “창전초부제 고사에 대한 최고의 주석을 달려고 노력했다. 창전초부제 고사는 사람이 세계를 이해하는 조그만 창을 넘어 형이상학적 체험이자 시적 정취이자 심미적 쾌감을 대변하는 큰 사건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창전초부제 고사는 ‘연비어약(鳶飛魚躍)’과 마찬가지로 세계를 인간중심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을 동류이자 동기로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Confucianism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thought resource that can overcome the environmental crisis and the extinction of life that the earth ecosystem is are facing now. In this context, ‘Everything as One Body’ in Confucian thought are regarded as ideas standing at the opposite point with anthropocentrism. Because all beings are connected to a single body, the pain of a living creature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sympathetic. This empathy requires different responses and responsibilities from the situation in which anthropocentrism is carried out on the global ecosystem. It is noteworthy that the Zhou Lian-xi周濂溪 story of ‘Do not cut grass in front of the windo窓前草不除’(hereafter, ‘grass’ story) is a symbolic event that implements Everything as One Body. The contents of the grass story are very simple. Nevertheless, the impact o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aesthetics is not so small. Cheng Ming-dao程明道 also had a similar experience and commented, and Zhu xi朱熹 combined Confucius’s ‘walk and dance on springtime舞雩歸詠’ story and the ‘grass’ story of Zhou Lian-xi with the pleasure of reading. Wang Yang-ming王陽明 tried to run the best commentary on the ‘grass’ story. The ‘grass’ story is seen as an important event that represents metaphysical experience, a poetic mood, and an aesthetic pleasure beyond the small window where people understand the world. In this way, the ‘grass’ story suggests a new perspective that looks at human beings and nature as the same kind同類 and energy同氣, not as anthropocentrism.

      • KCI등재

        유가의 ‘관계’ 윤리의 특성 연구

        辛正根 ( Shin Jeong-keun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5

        유학은 일상에서 사람의 관계를 중시한다. 이 때문에 유학은 개인을 본위로 하는 윤리가 아니라 관계를 본위로 하는 윤리라고 말한다. 사람은 부모(父母)와 군신(君臣) 등 다양한 인간관계에 요구되는 덕목을 실천하면 “사람다운 사람”이 된다. 즉 사람은 자신에게 요구되는 덕성과 인격을 갖추게 된다. 반면에 사람은 다양한 관계에 요구되는 덕목을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실천하지 못하면 “사람답지 않은 사람”이 된다. 즉 고대 문헌에서 말하듯이 “짐승보다 못한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관계는 연대의 인륜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시대적 상황과 타자의 접촉에서 유학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때 관계는 긍정적 특성보다 부정적 특성이 부각되었다. 도가(道家)의 유위(有爲) 비판에서부터 근대(近代)의 가족주의 비판에서 관계는 사람을 고통스럽게 만드는 원인으로 간주되어 탈주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관계는 억압의 사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유학에서 말하는 관계를 윤(倫)의 의미를 통해 살펴보면서 그 관계가 역사적 맥락에 따라 긍정과 부정의 두 측면으로 다루어지는 논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Confucianism values human relations in everyday life. For this reason, Confucian ethics is based on relationships, not on individuals. A person becomes a person if he or she practices the virtues required for various human relationships such as parents and children, monarchs and subjects. In other words, a person has the morality and personality that he or she needs. On the other hand, a person becomes a person who is not human if he or she fails to practice the virtues required by various relationships in part or in whole. In other words, as it appears in ancient literature, one becomes worse than an animal. In this context, relationships are the human race of solidarity. However, when Confucianism failed to respond properly to the times and other people’s contact, the relationship was more negative than positive. Relationships are considered to be the cause of suffering in modern familism criticism, from Taoism criticism. In this context, relationships are a chain of oppression. In this article, we are going to look at the relationship spoken in Confucianism through the meaning of “ryun倫” and look at the issues that are discussed in two aspects, positive and negative, depending on the historic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