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논어」 에 나타난 공자의 역사관

        신정근(Shin, Jeong-Geun) 한국동양철학회 2008 동양철학 Vol.0 No.30

        이 글은 역사의 사실ㆍ방향ㆍ유형을 중심으로 「논어」 에 나타난 공자의 역사관을 다루고 있다. 역사의 대상으로서 사실은 내재적 특징보다 명분론적 사고에서 재해석된다는 점을 밝힌다. 역사의 진행 방향은 복고나 퇴보 사관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발전 사관에 가깝다는 점을 해명하고 있다. 역사 시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文質이란 유형론을 설정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공자는 현재의 자원으로서 과거도 있지만 과거보다 나은 현재, 현재보다 나은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갖는 역사관을 피력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I have dealt with a historical view of Confucius in the Analects, focused on historical fact, direction, and types that he matters. Facts as historical object are related to the way of thinking that mainly reinterpreted by ethical obligation. They are by no means implied pure and objective actions. Confucius believed that the direction of history unfolds in expansive and developmental way, not retrogressive and degraded way. In order to problem of specific period, Confucius and his fellows, especially Dong Zhong-shu董 仲舒 have introduces the concept of wenzhi into two types of historical development according to alternation of wen with zhi period.

      • KCI등재

        도덕적 완성에 이르는 네 가지의 길

        신정근(Shin Jeong-Geun) 한국동양철학회 2012 동양철학 Vol.0 No.37

        이 글은 추월론의 관점에서 인간이 도덕적 완성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설명 하고자 한다. 동서 철학은 모두 사람이 지성, 의지, 실천에 근원적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그 한계를 벗어나려는 열망을 품고 있다고 보았다. 이 열망을 현실화시키는 것과 관련해서 종래 초월론과 내재론 사이에 오랜 논쟁이 있어왔다. 여기서 필자는 초월론과 내재론이나 내재적 초월론을 대신해서 추월론을 통해 인간의 도덕적 성장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동아시아 철학사에 공자, 맹자, 주희, 정약용처럼 뚜렷한 특징을 가진 네 명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way to humanity. In the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human fully radical limit, but harbor an ambition to transcend the limit. This has been the dispute between transcendence and immanence. Here I want to suggest that we substitute transcendence and immanence for imitation and extension to solve the problem of moral change. Confucius, Mengzi, Zhu xi, and Jeong Yak-yong each deals with the problem of moral change. They have a peculiar way of making people reform their weakness and promote their meri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四庫全書」는 실제로 ‘全書’인가?

        신정근(Shin, Jeong-geun)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5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사고전서 사부 분류 체제의 기원과 특징, 그리고 經ㆍ史ㆍ子ㆍ集 四部(四庫)의 편제에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고자 했다. 그 결과 『사고전서』는 明體達用, 通經適用이라는 기준에 의해 철저하게 관철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明體와 通經은 유가의 중심성을 철저하게 구현하는 것인 반면 유가에 대립되는 도교와 불교를 이단으로 배척하는 것이다. 이때 유가는 『사고전서』가 딛고 서 있는 가치의 총체[體ㆍ經]를 가리키고 당시 사람들은 그것을 분명하게 알아야 하고 통달해야 했다[明ㆍ通]. 達用과 適用은 明體와 通經이 순수한 추상의 세계나 신과의 단독 소통으로 나아가지 않고 방향을 현실 세계로 선회하도록 만든다. 즉 명체와 통경이 현실의 실용에 의해서 자신이 수행해야 할 목표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體와 用, 經과 用이 절연되지 않고 끊임없이 선순환하여 세계에 질서가 가득차고 삶의 질이 높아지게 할 수 있었다. I intended to analyze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 of classification system of Sikuquanshu(四庫全書), distinct feature of Sikuquanshu four part(四部), that is to say classic part(經部), historical part(史部), philosophical part(子部), literature part(集部). There is absolute standard, namely understanding the essence to achieve practical use(明體達用) or grasping meaning of sacred book to apply(通經適用) practical use within Sikuquanshu. It is criterion to select the book that are providing continuously in all parts of the country. Mingti(明體) and Tongjing(通經) is to realize thoroughly the centrism of confucianism, and to get rid of strictly Buddhism and Taoism opposing to confucianism. Confucianism indicated the embodiment of values within Sikuquanshu. At that time, everyone has to know clearly and understand thoroughly the meaning of confucian documents. And Dayong(達用) and Shiyong(適用) is not to make Mingti(明體) and Tongjing(通經) communicate with abstract world and God, to make them communicate with real world or everyday life. Thanks to practicality of concrete world, Mingti(明體) and Tongjing(通經) is accomplish their purpose. Due to balance of Ti and Yong, Jing and Yong, order will be restored to the world and the quality of life will be improved enormously.

      • KCI등재
      • KCI등재

        『논어』에 대한 경영학적 해석 -시부사와 에이치의 『논어와 주판』을 중심으로-

        신정근 ( Jeong Geun Shin )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1 No.-

        이 글은 일본 근대 자본주의의 아버지로 불리는 시부사와 에이치澁澤榮一의 `논어주의`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는 일본 자본주의 초기의 병폐를 해결하기 위해서 『논어』에 주목했다. 그는 공자 사상의 핵심을 의리 합일로 보았다. 이 의리 합일이야말로 정신적 공백 상황의 일본 근대의 문제를 풀 수 있다고 보았다. 그의 해석에는 두 가지 특색이 있다. 하나는 부를 추구할 수 있는 것으로 긍정함으로써 실업인(상인)을 근대 시민의 일원으로 간주하고 있다. 다른 하나는 경제 행위의 목표를 개인의 행복보다 국부의 창출에 두었다. 이러한 특색은 동아시아에서 경제 행위가 국가주의, 집단주의의 성향을 지니게 하는 데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오늘날 동아시아 경제 모델이 서유럽, 미국의 모델과 상이한 특징을 드러내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abacus of Shibusawa Eichi who is named the father of Japanese capitalism. He payed attention to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order to eradicate a disease of the Japanese capitalism. He saidt that the heart of Confucius thought is the unity of moral and profit, publish benefit and private profit. He thought that the unity of moral and profit is the clue and key to solve the ills of Japanese society fell into a spiritual panic. There is two key points to what he says. First, a legitimate wealth is not the object of taboo but that of pursuit. Second, the goal of commercial transaction is not extension of personal happiness but the increase of national wealth. Nationalism and totalitarianism of East Asia are greatly influenced by Shibusawa Eichi.

      • KCI등재

        공자(孔子)와 『논어(論語)』의 자리

        신정근 ( Jeong Geun Shin )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8 No.-

        孔子와 『論語』는 동양철학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공자는 최초의 철학자로 『논어』는 최초의 철학 텍스트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공자와 『논어』의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과학의 시대에 도래하면서 철학의 존재 의미가 약해졌다. 그 결과 서양에서는 여러 차례에 걸쳐 “철학이 무엇을 연구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이 제기되었다. 공자와 『논어』의 연구가 철학에 속한다고 하면, 우리는 도대체 공자와 『논어』를 어떻게 연구해야 하는 것일까? 논문의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이 물음을 묻지 않을 수가 없다. 이 글에서는 세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만약 공자가 지혜 또는 지식을 밝히려고 했다면, 그 지혜와 지식의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되어야 한다. 둘째, 공자 이전과 공자 사이의 철학사 맥락이 밝혀져야 공자 사상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수 있다. 셋째, 우리는 현대적 연구를 진행하고 그 연구의 성과를 학문 공동체와 공유할 수 있는 언어로 번역해야 한다. 이러한 세 가지가 충족될 때 공자와 『논어』 연구는 우리나라 현대철학의 활동으로 자리매김할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공자와『논어』를 연구하는 ‘관행’을 성찰하는 노력이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특성을 갖는다. Kongzi and Analects both have special meaning. Because Kongzi is the first philosopher and Analects is the first philosophical text in the history of the Chinese philosophy. Many scholars have researched the thought of Kongzi and Analects through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As the age of science opens, the significance of philosophy will is weakened. As a result of this phenomenon, the western philosophers keep asking themselves “what can philosophy do?” If the study of Kongzi and Analects belongs to the philosophy, how can we to look into the thought of Kongzi and Analects? We have to ask the question in spite of mass production of academic papers. In this paper, I will suggest three points. First, if Kongzi wanted to articulate the identification of wisdom or knowledge, we must analyze what is wisdom or knowledge. Second, after disclosing the philosophical context which divided time into two periods ―before Kongzi and after Kongzi― by Kongzi is preceded, we can objectively examine the thought of Kongzi. Third, after we progress the modern study, we must translate the result of academic research into the language that can be shared with academic community. If these three points are satisfied, the study of Kongzi and Analects belongs to the activity of modern philosophy. Therefore in this paper I try to reflect the traditional practice researched Kongzi and Analects and suggest the new direction of study on the thought of Kongzi and Analects.

      • KCI등재

        일반논문 : 맹자와 순자 사상의 결정적 차이

        신정근 ( Jeong Geun Shin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7 No.-

        맹자와 순자는 철학사의 라이벌이다. 둘의 결정적 차이는 무엇일까? 철학사에서 통상적으로 맹자와 순자의 차이를 성선과 성악의 대립 구도로 설명해왔다. 하지만 그것은 부분적 대립일 뿐 전면적 대립이 될 수 없다. 둘 사이의 전면적 대립을 찾는다면, 그것은 두 사람이 지식(지려)을 본성의 내부로 포섭하느냐 외부에 두느냐에 있다. 맹자는 지식을 본성 안에 포섭해서, 사덕 또는 사단이 상호 협력하여 사람이 도덕 성공으로 나아가게 했다. 순자는 지식(지려)이 본성 밖에 있으면서 본성을 규제해서 사람이 도덕 성공으로 나아가게 했다. 이러한 본질적 차이는 두 사람의 수양 방법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맹자는 내면의 주시를 통해서 본성이 교란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순자는 개인의 탁월한 선택을 통해서 본성이 상황을 일방적으로 주도하지 못하게 했다. 아울러 개인과 사회의 도덕화를 위해서 맹자는 性善이 聖人만이 아니라 井田制와 결합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순자는 지식(정보)의 축적 속에 개인과 사회의 변화를 포섭함으로써 도덕의 물적 토대에 대한 논의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지 않았다. Mengzi and Xunzi are rivals in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What is the crucial difference in their thought? There`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view of human nature. It claims that Mengzi say human nature is good, Xunzi say it is bad. However its opinion is not true. Because their difference is partial, is not full-scale. Their essential discrepancy depend on interrelation between human nature and knowledge, method of cultivation. Mengzi stressed the importance of inward concentration. Xunzi emphasized accumulation of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