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이오가스 정제용 용해성 폴리이미드 공중합체의 합성과 특성분석

        신소라,한상훈,김정훈,Shin, So Ra,Han, Sang Hoon,Kim, Jeong-Hoon 한국막학회 2015 멤브레인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부분지환족 dianhydride인 5-(2,5-dioxotetrahydrofuryl)-3-methyl-cyclohexene-1,2-dicarboxylic anhydride (DOCDA)와 다섯가지 diamine (2,5-dimethyl-1,4-phenylene diamine (2M), 2,4,6-trimethyl-1,3-phenylene diamine (3M), 1,5-naphthalene diamine (NDA), 4,4-diaminodiphenyl methane (MDA), 4,4'-diaminodiphenyl ether (ODA))을 two-step 이미드화를 통해 공중합하였다. 합성된 폴리이미드 공중합체를 FT-IR, 고유점도, DSC, TGA 그리고 용해도 측정을 통해 구조분석 및 물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6FDA를 dianhydride로 한 공중합체를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여 함께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든 공중합체는 0.32~0.58의 고유점도를 가졌으며, DOCDA계 공중합체는 6FDA를 포함한 공중합체보다 약간 낮은 값을 보이나 약 $400^{\circ}C$까지 견딜 수 있는 열적 안정성과 여러 가지 용매에 대한 우수한 용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폴리이미드를 이용해 평막을 제조하여 $CO_2$ 및 $CH_4$에 대한 기체투과도를 평가하였고 공중합체는 구조변화에 따른 투과-선택도의 상충관계를 보여주었다. Co-polyimide membranes were prepared by two-step polymerization using semi-alicyclic 5-(2,5-dioxotetrahydrofuryl)-3-methyl-cyclohexene-1,2-dicarboxylic anhydride (DOCDA) with five diamines such as 2,5-dimethyl-1,4-phenylene diamine (2M), 2,4,6-trimethyl-1,3-phenylene diamine (3M), 1,5-naphthalene diamine (NDA), 4,4-diaminodiphenyl methane (MDA), 4,4'-diaminodiphenyl ether (ODA). Synthesized co-polyimides were characterized by FT-IR, viscosity, solubility, DSC, TGA and gas permeation properties, compared with 6FDA-based co-polyimides. All co-polyimides had the intrinsic viscosity of 0.32~0.58 and excellent solubility in various solvents. DOCDA-based co-polyimides had thermal stability over $400^{\circ}C$ although those were lower than 6FDA-based co-polyimides. Gas permeabilities of the copolyimide membranes were measured for $CO_2$ and $CH_4$ at room temperature and presented the trade-off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부모-자녀관계가 청소년의 범죄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장애청소년을 중심으로-

        신소라,조윤오,Shin. Sora,Cho. Younoh 한국범죄심리학회 2015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뇌질환, 시각장애, 정신지체 등의 장애청소년을 중심으로 장애와 부모-자녀관계가 범죄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실시한 ‘청소년 복지욕구실태 및 지원방안’ (2006년) 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였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청소년이 일반 청소년보다 부모양육태도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554.96)=2.40, p<0.05). 그러나 로지스틱 회귀분석모델에서 청소년 장애유무는 범죄피해경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고, 대신 청소년의 범죄피해경험이 (1)성별, (2)거주 지역, (3)양육태도, (4)가정 내 학대 정도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비장애 여부와 관계없이 청소년에게 있어서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관계수립 정도가 청소년의 범죄피해 취약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청소년의 범죄피해 확률을 증가시키는 변수(성별, 거주 지역, 부모 양육태도 및 가정 내 학대)를 중심으로 장애청소년 보호 정책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factors that affect criminal victimization among juveniles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physically and mentally retarded juveniles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most vulnerable crime targets in community. There have been few studies examing or reporting any impact of family abuse and negative family relationship on crime victimization. In the current study Three thousand and one hundred juvenile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abusive family relationship and handicap on the experience of being victimiz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between retarded juveniles and intellectually-average juveniles in terms of negative family relationship. Regardless of physical or mental disability, gender, type of residence, family relationship, and family abus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that is related to the likelihoods of crime victimization for juveniles in logistic regression model in this study. The futher policy implication for juveniles with disabilitie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범죄피해경험 및 우울감이 청소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소라(So Ra Shin),홍승표(Seung Pyo Hong) 한국범죄심리학회 2022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질에 미치는 범죄피해경험과 그 영향에 있어서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청소년시기의 삶의 만족도가 다른 시기와 비교하여 낮아진다는 것은 매년 극단적인 선택으로 생을 마감하는 청소년들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여겨져야한다. 하지만 청소년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구조모형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폭력피해와 사이버폭력피해는 직접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가정 내 학대경험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사이버폭력과 가정 내 학대경험은 우울감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사이버폭력의 경우 간접효과만을 보이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낸다. 연구결과가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범죄피해를 폭력, 사이버폭력, 가정 내 학대의 세가지로 구분하여 어떤 피해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청소년시기에는 가족으로부터의 영향보다 또래로부터 영향의 비중이 더 높아진다는 기존 이론의 주장과 다르게 청소년들이 가장 영향을 받는 것은 여전히 가정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피해회복 및 정서적인 프로그램에는 가정의 역할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그 효과가 더욱 긍정적일 것이며 무엇보다 가정에서 청소년에게 제공하는 보호와 유대가 강화되는 것이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riminal victimization experi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se causal relationships was analyzed. The fact that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ce decreases compared to other periods of life should be treated as a very serious problem.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teenagers who end their lives by suicide is increasing every year. Nevertheless, no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This study statistically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Violence victimization and cyberbullying victimization do not direct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but abuse from parents have a direct effect. Second, Depression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cyberbullying victimizaton and abuse at home on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In the case of cyberbullying, depression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quality of life and causal relationship. The finding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Unlike the previous explanation that in adolescence, the influence from peers is greater than from family, it was still found that the most influenced by adolescents is still the family. The effect will be more positive only when the role of the family must be included in the youth-related recovery program. Above all, strengthening family relationship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 KCI등재

        성폭력 피해 경험과 음주습관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범죄경력의 매개효과

        신소라 ( Shin So Ra ) 한국경찰학회 2017 한국경찰학회보 Vol.19 No.6

        이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데이트폭력의 가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데이트폭력 예방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성범죄 피해경험과 과도한 음주습관과 같은 요인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에서 과거의 범죄경력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함께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대학생으로 한정지었으며, 데이트폭력에 대해 가장 취약한 상태를 가진 집단에 속한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분석결과, 성범죄에 대한 피해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으며, 과도한 음주습관을 가지고 있고 범죄 경력이 있을 수록 데이트폭력의 가해행동을 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유형의 폭력범죄의 원인을 분석한 선행연구에서 설명하는 영향요인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이다. 따라서 기존의 폭력범죄의 성향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이 데이트 상대에게도 폭력을 행사 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데이트폭력의 예방을 위해 기존의 폭력범죄 예방정책을 강화할 필요도 있겠다. 또한 성범죄의 피해경험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에 따라 피해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더욱 강화 되어야겠다. 과거와 비교하여 피해자지원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거시적으로 단순히 범죄 피해자의 지원에 그치는 일이 아닌 장래의 범죄에 대한 예방의 효과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겠다. 데이트폭력은 사회 내에서 인식하는 심각성의 정도에 비해서 연구가 부족하며, 이에 따라 입법적인 미비점도 있는 현실이다. 이 연구에서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대해 분석한 것은 데이트폭력 예방을 위한 정책의 마련에 큰 의미가 있다. Dating violence has become a serious issue among the couple along with traditional domestic violence. Given this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tical implication on dating violence prevention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The variables of this study have grounds on previous study that explain dating violence offence. Sexual abuse and alcohol abuse were adopted to explain college student's strain factors, and criminal history was set as a mediating variable. The model of this study examines how strain factors such as sexual abuse and alcohol abuse and their criminal history affects offence of dating violence. Outcome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how often they experience sexual abuse before 18 years of age and how often they have excessive drinking affects their offence of dating violence. Second, criminal history, the mediating variable, shows that it positively affects offence of dating violence. It implies that the previous study which were to explain off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other violence can be applied to explain offence of dating violence as well and student who experience more sexual abuse can have higher criminal record and more offence of dating violence. Thus, it suggest that new efforts onto current policy and program can be a measure to prevent dating violence include sexual abuse victims and other crime ex- convict.

      • KCI등재

        난폭운전 및 보복운전의 피해위험요인 분석

        신소라(Shin sora)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1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으로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주변의 운전자나 목격자, 보행자에게도 심리적, 신체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험상황들에 대한 연구가 이미 오래전부터 활발하게 진행되어 온 것과 비교하면 난폭운전 및 보복운전은 최근에서야 불법으로 자리 잡은 개념으로 이에 대한 연구 또한 거의 없다. 이 연구에서는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이 단순히 도로에서 발생하는 우연한 상황이 아닌 범죄라고 생각하고 피해자의 측면에서 범죄피해이론에 근거를 두어 피해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피해와 피해로 인한 손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피해자의 피해-가해 중첩이론과 생활양식이론에 근거하여 피해자의 개인적 특성과 운전습관, 단속경험 등의 요인을 분석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난폭운전과 보복운전 피해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두 행위의 유사성은 물론 기존의 대인범죄 피해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찾아볼 수 있었다. 교통법규 단속경험과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의 습관이 각각 피해의 위험요인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히려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의 피해자들을 위해 오히려 더 간단하고 명료한 피해예방 대책을 가능하게 한다.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의 피해자의 피해위험요인이 그들의 잘못된 운전습관에 일부 근거한다는 결과는 범죄피해이론이 처음 발표된 때처럼 피해자 비난의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지만, 피해를 예방하는데 명확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 더욱 의미가 있다. Victimization caused by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can result in psychological and physical damage not only direct victim, but also to other drivers, witnesses, and pedestrians around them. Studies of the various hazards that occur while driving on the road have long been actively studied and the types of studies vary. In comparison, however, there is little academic study of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as the concept of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has recently become perceived as illegal and has not been taken seriously by people. In this study,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is not just an accident occurring on the road, but a type of crime, and the victimization risk factors are analyzed based on victimology theory. It would be meaningful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by using survey data on victims. This study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reduce victimization and suffered by victims. To this end, factors such as the victim s personal characteristics, driving habits, and experience of penalty due to violation of traffic laws are analyzed based on the offender-victim overlap theory and lifestyle-exposure theory. In summar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n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of victimization from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shows the similarities between groups who experienced victimization from the two offenses. And the victim s character in conventional interpersonal crimes also appears. Experiences of penalty due to violation of traffic laws and the habit of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were each showing significant effects as risk factors for victimization. These results rather enable the presentation of simpler and clearer prevention of victimization measures for victims of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The result that the victim risk factor of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victims is partly based on their poor driving habits may lead to problems of victim criticism, as was the case when the victimology was first published. However, it is all the more meaningful that we can provide a clear way to prevent victimization.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불링에 영향을 미치는 긴장요인에 관한 연구

        신소라(Shin Sora)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으로 최근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괴롭힘인 사이버불링에 대하여 청소년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긴장과 분노가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의 긴장으로 가족요인, 학교생활요인, 학교폭력 피해요인을 설정하였으며, 매개요인으로 분노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모형에 따라 사이버불링 예측변인을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은 가족으로부터의 긴장과 학교폭력 피해로부터 긴장을 경험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둘째, 매개변인으로 사용된 분노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분노를 느끼는 빈도가 높을수록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 연구에서 청소년의 일상생활 긴장으로 선정한 가족요인과 학교생활, 학교폭력피해요인 모두 분노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분노는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긴장요인은 모두 분노를 매개로 하여 사이버불링가해행동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고, 학교생활로부터의 긴장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분노를 매개로 하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높이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면, 이 연구에서는 아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이버불링에 대해 기존의 이론이 적용 가능하다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학교폭력 예방교육과 정책에 사이버불링의 예방교육을 접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ain and cyberbullying among adolescents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Finally, it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reducing cyberbullying. To examine the effect of strain on cyberbullying, the current study sets up the strain factors such as family strain, school strain, and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Anger, the negative emotion formed by strain, was used as a mediation variable in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juveniles who have been experienced more strain in their family and traditional school bullying than others are more likely to become cyberbullying perpetrators. Second,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anger on cyberbullying, the youths who have been experienced more anger than others are more likely to commit cyberbullying behaviors. Third, In this study, it is attempted to show that strain or stress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can manifest itself in problematic emotion like anger; futhermore, it finally leads to cyberbullying with mediation effect of anger.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provides empirical support that strain factors in GST also influence on cyberbullying behaviors, which is not yet examined fully.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the survey is nationwide to examine the factors of influencing on juvenile cyberbullying behaviros in South Korea. It suggests appropriate preventive strategies for cyberbullying as well.

      • KCI등재

        폭력물시청과 폭력목격이 청소년의 사이버불링과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신소라(Shin, Sora) 한국교정복지학회 2016 교정복지연구 Vol.- No.44

        이 연구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사이버불링에 대하여 청소년의 폭력목격 및 폭력물시청 경험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학습이론에 따라 폭력에 대한 직·간접적 학습이 자기통제력과 함께 학교폭력과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을 복합적으로 검증하여 청소년의 폭력예방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궁극적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모형에 따라 학교폭력과 사이버불링 예측변인을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은 폭력목격을 많이 하고, 폭력물시청을 많이 할수록 학교폭력 및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둘째, 매개변 인으로 사용된 자기통제력의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면,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학교폭력과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가능성도 높아진다. 셋째, 폭력목격과 폭력물 시청 모두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하여 학교폭력과 사이버불링에 유의미한 영향을미친다. 이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면, 이 연구에서는 아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이버불링에 대해 기존의 학교폭력과 함께 이론의 적용 가능하다는 결과를 보여주어 기존의 학교폭력 예방교육과 정책에 사이버불링의 예방교육을 접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bullying has become a serious issue among the juvenile. Given this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tical implication on traditional-bullying and cyber-bullying prevention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learning theory and general theory. Outcome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how often they witness of violence and watch of violence media affects their involvement on traditional-bullying and cyber-bullying. Second, self-control, the mediating variable, shows that it negatively affects traditional-bullying and cyber-bullying.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 control is significant both witness of violence and watch of violence media. It implies that the theories which were to explain traditional bullying can be applied to explain cyber-bullying as well. Thus, it suggests possibility that grafting new efforts onto current policy and program can be a measure to prevent cyber-bullying.

      • KCI등재

        데이트폭력 피해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사례분석

        신소라(So-ra, Shin) 한국범죄심리학회 2018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4 No.2

        이 연구는 데이트폭력 피해를 경험한 대학생의 상황에 따른 심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데이트폭력의 예방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데이트폭력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최근 들어 양적연구의 증가를 보이고 있으나, 세부적으로 데이트폭력의 피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않다. 더욱 심각해지고 증가하는 데이트폭력의 예방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데이트폭 력을 획일적으로 정의하여 대처하는 것보다 개별적인 사례와 피해자들의 심리 상태를 살펴보고 실질적으로 데이트폭력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2017년 10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약 6개월간 데이트폭력의 피해사례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연구대상자 14명을 선정하여 구체적으로 데이트폭력의 피해사례와 폭력사건 전후의 심리상태와 주변상 황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인 데이트폭력 피해 대학생이 경험한 폭력의 유형은 정신적, 신체적, 성적 폭력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심각한 수준의 신체적 폭력도 포함되었다. 또한 피해자들은 데이트폭력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거의 없었으며, 데이트폭력 사건을 경찰이나 가족에게 알리거나 도움을 요청한 경우는 단 한건도 없었다. 대부분 심리적으로 부정적 감정을 보고하였으나 폭력사건의 상대방과 폭력사건 직후 헤어지지 않고 관계를 유지한 대상자도 절반으로 나타났다. 인터뷰에 응한 대상자들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 대상자들은 다른 지인들은 물론 경찰기관도 자신들과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것이며 그러한 이유로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다고 응답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데이트폭력 피해 대학생들이 데이트폭력에 대해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은 데이트폭력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교육의 부재로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소수의 대상자로 실시한 질적분석으로 이 연구에서 인과관계에 대해 논의하기는 어려우나 데이트폭력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마련과 피해자를 위한 교육의 실시와 같은 정책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dating violence and to come up with practical and concrete countermeasures to prevent dating violence. In recent years, quantitative studies of dating violence have shown an increase in number, but the only small number of qualitative research on details of such violence was published.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measures, individual cases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of the victims need to be considered rather than applying uniformed polic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e victims of dating violence and were recruited from October 2017 to March 2018. The 14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interviewed about dating violence cases, psychological status before and after the incidents, and surrounding conditions of them. A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types of violence includes psychological,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and had the serious level of physical violence. Also, the only small number of victims participated in dating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none of them reported to police or family members for help. Even though a majority of the respondents reported negative feelings, half of them did not break up with their partners right after the violent incident. Some participants, who did not take any actions to their victimization, reportedly believed that other acquaintances and police agencies would have the same idea as them and they did not ask for help for that reason. The reason for the low level of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is a result of their poor recognition of dating violence and insufficient educational opportunity. Admittedly, the size of this study is not enough to draw any causal effect bu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data for dating violence policy such as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or victim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청소년의 범죄피해경험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신소라(So Ra, Shin) 한국범죄심리학회 202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삶을 부정적으로 만들 수 있는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범죄두려움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범죄두려움에 대해 설명한 피해경험 모델과 취약성 모델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범죄피해경험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또한 청소년의 우울감이 미치는 매개효과도 함께 살펴보았다. 범죄피해경험은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사이버 폭력 피해 경험은 청소년의 범죄두려움을 높이는데 있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공간이나 사이버 공간을 불문하고 폭력 피해의 경험을 가진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높은 범죄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청소년의 심리적 취약성을 반영한 우울감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두가지 유형의 범죄피해는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 우선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우울감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사이버 폭력 피해경험과 범죄 두려움의 관계에서 우울감은 부분매개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는 대면 상태에서 당한 폭력피해 보다 비대면 상태에서 당한 폭력피해가 청소년의 심리를 더욱 부정적으로 만들며, 이러한 부정적 감정이 다시 범죄두려움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는 더 큰 상처로 남을 수 도 있으며 이 연구의 결과에서도 사이버 폭력의 피해경험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우울감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이버 폭력의 피해를 당하는 청소년은 일반적인 학교폭력의 피해자와 같은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아닌 더욱 섬세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n fear of crime fear that can negatively make juvenile’s lives and to suggest ways to reduce their fear of crime. The study based on the crime victimization experience model and vulnerability model that explained the fear of crime. It also looked at the mediated effects of juvenile s depression. The experience of crime victimization was examined by dividing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cyberbullying. Studies show that school violence and cyber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have a direct impact on increasing fear of crime. Teenagers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regardless of offline or cyber space, have higher crime fears than teenagers who do not. First of all, depression appears to have no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and fear of crime. On the other h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experiences and fear of crime has the effect of partial medication.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that violence suffered in a non-face-to-face state makes teenagers psychology more negative than violence suffered in a face-to-face state, and such negative feelings affect raising fear of crime again. These results mean that teenagers affected by cyberbullying victimization need to provide more delicate programs, not the same programs as victims of general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데이트폭력 피해에미치는 영향

        신소라(Shin So ra),김연수(Kim Yeon Soo) 한국피해자학회 2016 被害者學硏究 Vol.24 No.2

        Dating violence has become a serious issue among the couple along with traditional domestic violence. Given this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tical implication on dating violence prevention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The variables of this study have grounds on previous study that explain dating violence offence. neglect from parents,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were adopted to explain negative family factors, and violence approval was set as a mediating variable. The model of this study examines how negative family factors and their violence approval affects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Outcome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how often they experience neglect from parents or domestic violence affects their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Second, violence approval, the mediating variable, shows that it positively affects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It implies that the previous study which were to explain offence of dating violence can be applied to explain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as well and student who experience more domestic violence can have higher violence approval and more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Thus, it suggest that new efforts onto current policy and program can be a measure to prevent dating violence include domestic violence family chi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