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필리핀 주택 보안장치와 범죄두려움과의 관계 : 앙헬레스 한국 주민을 대상으로

        조윤오 한국경찰연구학회 2015 한국경찰연구 Vol.14 No.3

        최근 필리핀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총기 살해 사건 및 인질 납치, 공무원 사칭 강도 등의 흉악범죄가 다수 발생했다. 필리핀 거주 한국인들은 자신들의 안전 과 범죄예방을 위해 거주지 내 쇠창살 설치와 사설 경비원 고용, CCTV 설치 등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필리핀 앙헬레스 지역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제 가정용 보안장치(home security system)가 범죄두려움(fear of crime)과 어떤 관 계를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분석을 위해 114명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2015년 7월 21일부터 약 일주일 동안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필리핀 앙헬레스 지역에서 한국인이 느끼는 범죄피 해 두려움은 주택 보안장치와 같은 경비 강화 시설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결과, 한국인 응답자가 CCTV 설치나 창문 쇠창살 설치, 현관 이중자물쇠 장치와 같 은 보안장치를 했을 때 오히려 증가된 수준의 범죄피해 두려움을 보였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필리핀 거주기간이 짧고, 월수입 액수가 적을수록 범죄두려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1)낮선 사람에 의해 발생하는 범죄 (납치·유인, 주거침입, 스토킹, 성범죄)와 (2)알고 지내는 사람 사이에서 많이 일어나 는 셋업 함정범죄, 청부살인 두려움 양쪽 모두에서 주택 보안장치가 범죄피해 두려 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정책적 논의를 본문에서 보다 상세히 다루도록 한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impact of home security system such as CCTV, iron bar across windows, and double securing locks on the fear of crime among Koreans who live in Angeles, Philippines. In spite of the increased level of fear of crime, kidnapping for ransom or frame up crimes gainst Koreans were not often reported to local police due to the mistrust of authorities who were corrupt and sometimes involved in committing the crimes with the offenders. In this context, Korean government has stepped up fighting against crimes in Philippines building partnerships with local law enforcement and has assigned Korean policeman(so called “Korean Desk”) in order to protect Koreans who live in Angeles in 2015. More importantly, previous studies in criminology field have not fully tested the effect of home security on the fear of crim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14 Koreans in Angeles from July 12 to July 25, 2015. With the aid of Korean Voluntary Association and the Korean Desk policema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various places which include Korean bars, business sectors, and touristic places in Angeles, Philippines. Multiples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home security on the fear of crime.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duration of stay in Philippines, income, and direct home security syst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fear of crime. More specifically, the physical home secur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level of fear of crime. Therefore the outcome demonstrated that the target hardening method and the use of lock and chain, CCTV, or bar across windows could result in detrimental effect if there were not enough consideration regarding the informal crime prevention strategies such as neighborhood and educational approaches in the community.

      • KCI등재

        필리핀 거주 한국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범죄피해 두려움에 관한 연구

        조윤오 한국치안행정학회 2014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1 No.3

        본 연구는 필리핀 지역에서의 한국인 범죄피해 실태 및 범죄피해 두려움 관련 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 필 리핀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총기살해 및 납치 등의 흉악사건이 계속발생하고 있는 상황인바, 범죄피해 실태 및 범죄피해 두려움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실효성있는 대책을 제시할 필요성이 크다고 하겠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필리핀에서의 과거 범죄피해경험을 범죄유형(대인, 재산, 기타) 별로 구분하여 어떤 피해 경험이 범죄두려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한국인과 필리핀 사람에 의한 범죄피해 두려움이 각각 그 독립변수 차원에서 어떤 차 이점을 보이는지 비교ㆍ검토하도록 한다. 분석 자료는 2011년 9월에 형사정책연구원 자료(『동남아시아 지역의 한국인 범죄 실태와 보호방안』를 활용하는데, 필리핀에서 직접 수집한 592명의 설문 자료를 기초로 한다. 한국인에게느끼는 범죄피해 두려움과 필리핀 현지인에게 느끼는 범죄피해 두려움이 서로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다중회귀모델을 두 가지로 구분해 범죄피해 두려움에 미 치는 각각의 요인을 개별 모델내에서 검토한다. 분석 결과, 전체의 9.5%는 필리핀에서 폭력, 강도, 납치 등의 대인범죄 피해를 경험했고, 전체의 5.6%는 약물 및 도박 등의 기타범죄 피해를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발 요인 차원에서는 한국인에 의한 피해모델이 성별(여 성), 개인피해 예방, 필리핀 정부활용 대책을 유의미한 독립변수로 가진 반면, 필리핀인에 의한 피해 두려움 모델에서 는 성별(여성), 연령, 거주기간,개인피해 예방, 필리핀 정부활용 대책, 그리고 대인범죄 피해경험이 유의미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필리핀인에 의한 폭력 피해 유경험자에게는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피해방지 가 이드라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고, 피해자의 성별, 연령, 거주기간 요인을 고려한 개별화된 범죄피해 예방 지침을 제공 할 필요가 있음을 실질적으로 확인했다. The current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prevalence of crimes committed againstKoreans and identifying the crucial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crimes towardKoreans in the Philippines. It is imperative to examine the root causes of crimecommitted against Koreans in the Philippines and analyze the key factors that cause fearof crime. This study attempts to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the fundamental crime preventionstrategies for reducing the fear of crime among Koreans in the Philippines. Numerousstudies have suggested the important determinants of fear of crime by focusing onvarious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gender, media consumption, a levelof satisfaction with government policy, crime victimization, and community concerns.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fear of crime toward Koreans who live in thePhilippines. In the Philippines, one of the most problematic issue is brutal crimes againstforeigners. Recently, crimes against Koreans and fear of crime of Korean in the Philippinehave dramatically increased. With a high crime rate toward Koreans, fear of crime thatKorean might feel is more likely to be high among many foreigners in the Philippine. In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vicitmizationexperience and level of fear of crimes of Koreans who live in Philippines. The present study utilized the data that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hadcollected in Philippin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oward 592 Koreans who havelived in Philippines in 2011. The current study used t-test, ANOVA,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 showed that 48.3% of respondents do not have anyvicitmization experience in Philippines. More importantly, the key variables such asgender, age, individual cautions attitude for crime prevention, and need to change forPhilippines government variables were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ing the fear of crime in the regression model. Further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경찰의 내부고발 관련 요인 연구 :미국 경찰을 중심으로

        조윤오 한국공안행정학회 201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8 No.4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factors that facilitate the willingness of police to blow the whistle. Due to the Code of Silence in police organization, it is known that police are far more likely to maintain reciprocal silence when they observe corruptive behaviors of police.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current study depends heavily on Greenberg(1990) model of organization justice theory to explain the causes of whistle-blowing. It mainly focuses on whistle-blowers' satisfaction level by measuring the whistle-blowing procedures which is administered fairly and the outcome of the whistle-blowing that can be a significant indicator of terminating the wrongdoers. By using the data that is downloaded from ICPSR(Inter-University Consortium for Political and Social Research), the current study specifically examine police officers' subjective perception of and the level of tolerance for corruption in the United States, 1997.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find factors that can impact the willingness of whistle-blowing to policemen in states. Ten different corruption scenarios a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situations in the regression models to see whether or not the policemen will report the corruption of co-workers; (1) minor deviant behavior and (2) major deviant behavior. Furthermore, there are two categories(situation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justice factors) in the predictors that explain the willingness of whistle-blowing in each model. The situational factors include four variables; (1) length of service for police agency, (2) current rank, (3) supervisionary position or not, and (4) type of assignment in police department. The organizational justice factors have two predictors; (1) seriousness of discipline from organization and (2) existence of whistle-blowing protection process. The result indicates that both situational and organization justice predi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police willingness to report internal misconduct. Drawing on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policy suggestions for whistle-blowers protection in police department. 본 연구는 미국에서 시행된 경찰 3,232명의 청렴도 정도 및 내부고발 설문조사 자료를 2차 데이터로 삼아 관련 요인을 분석한 실증연구이다. 원래 데이터는미국 ICPSR 인터넷 자료에서 SPSS 파일 형태로 다운받은 것이고 본 연구의 목적과 위계적 다중회귀모형 의도에 맞게 일부 변수들을 재코딩하는 절차를 거쳤다. 향후 유사한 형태로 우리나라 경찰관을 상대로 내부고발 의사정도와 관련유발요인을 분석할 예정인 바, 본 연구는 이미 1997년에 미국 30개 州에서 실시된 설문자료를 국제간 비교검토 전에 독립적으로 분석해본다는 사전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세부 연구 목적은 미국 경찰의 동료 부정행위에 대한 내부고발 의지 및 실태를 살펴보는 것이고 동시에 내부고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상황적 요인과 조직적 정의 요인을 검토해보는 것이다. 개인 상황적 요인에는 근무기간, 직급, 관리직 업무담당 여부, 업무형태(행정, 순찰, 수사 등)가 포함된다. 조직적 정의요인에는 (1) 내부고발 처벌결과와 (2) 처리절차 공식여부라는 두 변수가 포함된다. 내부고발 처벌결과는 경찰이 자신의 내부고발로 인해 조직이 부정행위를 저지른동료 경찰을 어느 정도 가혹하게 처벌할 것인가를 측정하는 것이고 처리절차 공식여부는 내부고발자를 보호하는 정책과 절차가 경찰 조직 내에 어느 정도 보장되어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경찰 비리행위 시나리오 상황을 (1) 경미한 부정행위와(2) 중대한 부정행위로 구분하여 각각의 독립된 다중회귀모델을 도출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경미한 부정행위 모델과 중대한 부정행위 모델 양쪽에서 모두“조직적 정의요인”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비록 개별예측변수 내용에서 두 모델이 다소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분석결과를 통해내부고발 결정이 경찰관 개인의 상황적 요인 외에 조직 차원의 정의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피고발자가 엄중한 처벌을 받을 것이라는 결과적 측면의 기대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동시에 내부고발 사실을 공정하게 조사할 것이라는 구성원들의 절차적정의 측면의 기대가 내부고발 의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경찰 내부고발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정책과 구성원의 고발의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관련 요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 KCI등재

        경찰의 내부고발 관련 요인 연구 : 미국 경찰을 중심으로

        조윤오 한국공안행정학회 201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9 No.4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factors that facilitate the willingness of police to blow the whistle. Due to the Code of Silence in police organization, it is known that police are far more likely to maintain reciprocal silence when they observe corruptive behaviors of police.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current study depends heavily on Greenberg(1990) model of organization justice theory to explain the causes of whistle-blowing. It mainly focuses on whistle-blowers' satisfaction level by measuring the whistle-blowing procedures which is administered fairly and the outcome of the whistle-blowing that can be a significant indicator of terminating the wrongdoers. By using the data that is downloaded from ICPSR(Inter-University Consortium for Political and Social Research), the current study specifically examine police officers' subjective perception of and the level of tolerance for corruption in the United States, 1997.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find factors that can impact the willingness of whistle-blowing to policemen in states. Ten different corruption scenarios a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situations in the regression models to see whether or not the policemen will report the corruption of co-workers; (1) minor deviant behavior and (2) major deviant behavior. Furthermore, there are two categories(situation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justice factors) in the predictors that explain the willingness of whistle-blowing in each model. The situational factors include four variables; (1) length of service for police agency, (2) current rank, (3) supervisionary position or not, and (4) type of assignment in police department. The organizational justice factors have two predictors; (1) seriousness of discipline from organization and (2) existence of whistle-blowing protection process. The result indicates that both situational and organization justice predi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police willingness to report internal misconduct. Drawing on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policy suggestions for whistle-blowers protection in police department. 본 연구는 미국에서 시행된 경찰 3,232명의 청렴도 정도 및 내부고발 설문조사 자료를 2차 데이터로 삼아 관련 요인을 분석한 실증연구이다. 원래 데이터는 미국 ICPSR 인터넷 자료에서 SPSS 파일 형태로 다운받은 것이고 본 연구의 목적과 위계적 다중회귀모형 의도에 맞게 일부 변수들을 재코딩하는 절차를 거쳤다. 향후 유사한 형태로 우리나라 경찰관을 상대로 내부고발 의사정도와 관련 유발요인을 분석할 예정인 바, 본 연구는 이미 1997년에 미국 30개 州에서 실시된 설문자료를 국제간 비교검토 전에 독립적으로 분석해본다는 사전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세부 연구 목적은 미국 경찰의 동료 부정행위에 대한 내부고발 의지 및 실태를 살펴보는 것이고 동시에 내부고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상황적 요인과 조직적 정의 요인을 검토해보는 것이다. 개인 상황적 요인에는 근무기간, 직급, 관리직 업무담당 여부, 업무형태(행정, 순찰, 수사 등)가 포함된다. 조직적 정의요인에는 (1) 내부고발 처벌결과와 (2) 처리절차 공식여부라는 두 변수가 포함된다. 내부고발 처벌결과는 경찰이 자신의 내부고발로 인해 조직이 부정행위를 저지른 동료 경찰을 어느 정도 가혹하게 처벌할 것인가를 측정하는 것이고 처리절차 공식여부는 내부고발자를 보호하는 정책과 절차가 경찰 조직 내에 어느 정도 보장되어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경찰 비리행위 시나리오 상황을 (1) 경미한 부정행위와 (2) 중대한 부정행위로 구분하여 각각의 독립된 다중회귀모델을 도출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경미한 부정행위 모델과 중대한 부정행위 모델 양쪽에서 모두 "조직적 정의요인"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비록 개별예측변수 내용에서 두 모델이 다소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분석결과를 통해 내부고발 결정이 경찰관 개인의 상황적 요인 외에 조직 차원의 정의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피고발자가 엄중한 처벌을 받을 것이라는 결과적 측면의 기대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동시에 내부고발 사실을 공정하게 조사할 것이라는 구성원들의 절차적 정의 측면의 기대가 내부고발 의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경찰 내부고발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정책과 구성원의 고발의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관련 요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 KCI등재후보

        수강명령 프로그램 인증제 도입에 관한 연구

        조윤오 한국보호관찰학회 2012 보호관찰 Vol.12 No.1

        수강명령 프로그램은 보호관찰관 주관 하에 범죄인을 교화, 개선하기 위하여 지역사 회에서 일정한 강의나 교육을 받도록 명하는 제도를 말한다. 그러나 프로그램 운영 주체 의 전문성이나 프로그램 주변 환경, 기본이론, 지원정도, 참여주체 성격 등에 따라 그 운 영 수준이 매우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강명령 프로그램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 수강 프로그램 “인증제” 도입에 관한 실무자 의견을 조사하는데 연구 목 적이 있다. 영국과 미국에서 활용하고 있는 교정프로그램 인증위원회 내용을 먼저 소개 한 후, 보호관찰소 직원 100명을 상대로 인증제 도입에 관한 실무자 의견을 조사한다. 2011년 9월에 서울, 대전, 대구, 부산 보호관찰소에서 실무자들을 상대로 설문을 실시 한 결과, 수강명령 프로그램 인증제 도입에 찬성하는 비율이 전체의 40%에 해당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보통이다”라는 중립적 태도가 전체의 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명확 히 반대 입장을 표명한 실무자는 전체 응답자의 1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관 찰 실무자들이 규격화된 수강프로그램 도입 자체에는 전반적으로 찬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인증기구 설립위치 문항에서는 다소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 타났다. 즉, 인증기구 설립위치가 “국가기관이 아닌 제3의 외부기구여야 한다”라는 문항 에 긍정적인 답변이 전체의 2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고, 명확한 반대는 전체의 26% 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우리나라에 수강명령 프로그램 인증제 도입이 이루어진다면, 실무자 의견과 외 국 사례를 고려하여 그 탄력적 운영이 초기 계획 단계에서부터 세심하게 이루어져야 하 고, ‘한국형 프로그램 인증제’ 효과성에 관한 평가가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이버도박 규제방향 및 청소년 보호 정책에 관한 소고: 미국을 중심으로

        조윤오 한국경찰학회 2020 한국경찰학회보 Vol.22 No.4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recent responses of U. S. A for combating cyber gambling problems of youths considering the general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online gambling problems in states.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preventing youth cyber gambling issues in South Korea.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introducing recent efforts of states to deterring illegal cyber gambling behaviors of youths by providing informative opportunities to have deep insight for legal and practical policy decisions of South Korea. The online cyber gambling behaviors of youths might be more detrimental and problematic than the regular offline betting behaviors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highly related to online casino games which have high odds of being addicted. Besides, the online casino style game will have negative impact on having realistic impression of winning from betting among youth players. In this context, the recommendations which are called as “Best Practice Principles” from U.S International Social Game Association will be helpful in protecting the vulnerable young gamblers. The recommendations include various strategics of incentive for voluntary abstinence from illegal cyber gambling toward vulnerable groups of children and youths. Further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최근 사이버도박은 실시간으로 온라인 접속이 가능해지고, 1~2분 내에 끝낼 수 있는 스마트폰의 신속성과 강한 중독성으로 인해 청소년 사이에서 빠른 속도로 번지고 있다. 미국은 사이버도박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커지면서 최근 온라인 불법도박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 사이버도박 문제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 미국의 통제, 관리 상황을 살펴본다는 연구 의의가 있다. 문헌 고찰을 통해 미국 도박정책 전반에 대한 변천 과정과 규제 방향 등을 검토해 보았고, 최근에 발생하고 있는 미국 내 청소년 대상 사이버도박 규제 정책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국은 사행행위 규제에 있어서 사회적, 역사적 변천 과정이 우리나라와 전혀 다르기에 미국의 전반적인 도박 규제 정책 상황을 먼저 검토하고, 최근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 사이버도박 실태 및 대응 전략 등을 폭넓게 소개하는 방법을 취했다. 미국에서 발표된 최근 문헌들을 검토한 결과, 확률형 아이템을 기반으로 한 카지노 온라인 게임 형태(일명 럭키 박스)가 청소년 사이에서 불법도박의 사전 단계로 작동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 소셜 게임협회(Intranational Social Games Association, ISGA)” 내 “모범경영을 위한 최선의 관행 원칙(Best Practice Principles)”을 불법 사이버도박 규제에 적극 활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한 내용은 이하 본문에서 다루도록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외국 교정에서의 시민 자원봉사자 활용 사례 :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조윤오 한국교정학회 2014 矯正硏究 Vol.- No.65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crucial correctional programs which includepartnerships with citizen volunteer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Volunteers are important resources which can bring capacity to exercise informalsocial control in community. Although there are numerous correctional programsthat are associated with the citizen volunteer involvement, the current studyfocuses on introducing the most representative programs that states and UK haveimplemented in order to overcome challenges of government initiative corrections. One of significant advantages of this study is to help Korean government adopt thenew ideas and develope innovative correctional programs which rely on citizenvolunteers. In states, volunteers are able to participate in wide range of correctionalactivities such as offender reentry, victim support, correctional programaccreditation, and offender reintegration processes through volunteer networkcenters. In addition, volunteer participation is reliant on the level of partnershipsfor financial support, case assignment, and the characteristic of relevantorganizations in community. In this context, volunteer-run correctional programs ofthe states depend on professional citizens who acknowledge the principles ofrestorative justice. In UK, correctional volunteerism has a unique and long history, which isconsistent with the origin of community based corrections. More importantly, thecommunity participation has been used as a key method to control crimes by UKgovernment. Therefore the level of commitment and satisfaction of volunteers is animportant measur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itizen participation incorrections. In particular, service user involvement model of UK can capitalize onthe unique position that released inmates may play in correctional programs asvolunteers. In Korea, partnership with volunteers in corrections is often based on weakmanagement, tension between correctional staff and volunteers, poor training ofvolunteers, and ineffectiveness of citizen participation. In presenting some examplesof two countries regarding citizen volunteers in corrections, this study may providebetter understanding into the potential for systematic Korean model of citizenparticipation and mobilization in offender corrections. 본 연구는 교정 분야에서의 자원봉사자 활용 의의를 검토한 후, 미국에서의 민간시민인력 활용 사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응보적 교정(retributive corrections)이념에서 회복적 교정(restorative corrections) 이념이 강조되는 현 상황에서 시민자원봉사자의 교정 참여가 어떤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하는지 고민해보고, 외국의사례를 직접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활용 모델로 삼는 것은 교정의 발전을 이루는초석이 된다고 하겠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의 활동 분야가 크게 교화, 종교, 교육, 의료, 취업등으로 나누어져 있고 그 속에서 상담 및 교육 등의 활동이 교정 시설 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이 직접 교정프로그램 인증 여부를결정하는 주요 프로그램의 개발 정책결정 업무에 관여하기도 하고, 범죄자 리엔트리 및 피해자 지원활동 업무까지 담당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자원봉사자 관리 업무에 있어서, 미국의 경우 국가 주도 하의 특정 협의체가 아니라 자원봉사자들이자발적인 지역사회 네트워크에 속하는 “자원봉사자활동 센터(Volunteer ActionCenter)”나 “자원봉사자 주식회사(Volunteer in Probation, Inc.)”가 주도적인 자원봉사자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우리나라와 차이를 보인다고 하겠다. 영국은 특이하게도 과거에 범죄를 저질렀던 범죄자가 자원봉사자들의 상담 및지원을 통해 새로운 교정 민간 자원봉사자로 변신하게 되는 “서비스 이용자 참여(Service User Involvement)” 프로그램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이것은 과거 전과자로서 알코올 중독 치료 등을 성공적으로 잘 마친 사람이 다시 다른 범죄자들을위한 자원봉사자로 일하게 됨으로써 새로운 시도인 자원봉사자의 활용 모델을 통한교정의 성공 사례라 할 수 있다. 또한, 영국에서는 온라인 등을 통해 일반 시민들이갖고 있는 교정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여 사회봉사명령 집행 방식을 새롭게결정하는 등 국민들의 교정참여를 온라인을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유도하려는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영국과 미국에서는 차별화된 새로운 시민 참여 방식을 교정 분야에도입하여 일반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교정에 대한 새로운 긍정적 인식과 관심, 책임감을 부여하는데 주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자원봉사자 모집, 교정 홍보, 교육, 사후 인력관리 측면에서 영국과 미국이 실시하고 있는 자원봉사자 활용사례는 우리에게도 큰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