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3학년 영어 학습활동책 말하기와 쓰기 활동 분석 : 상호작용과 언어 산출의 양을 중심으로

        손희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영어 학습활동책의 말하기와 쓰기 활동들이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이 되어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학습활동책에 있는 활동들이 더 많은 발화의 양을 유도하여 학생들이 유창성을 달성하도록 되어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대구시에 위치해있는 중학교 중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학습활동책 5종을 분석하였다. 학습활동책에서 제시된 활동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상호작용이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그 책들이 어느 정도 보다 다양한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기준으로서 상호작용의 수를 계산하였다. 유창성은 학생들이 얼마나 많은 또는 복잡한 단어와 문장들로 발화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만약 활동들이 학생들에게 더 많은 단어와 문장들을 발화하도록 요구한다면 보다 나은 의사소통 또는 유창한 발화가 촉진될 수 있을 것이다. Pienemann(1998)의 처리 제약설에 기초하여 활동들을 단어접근, 범주화 과정, 구 과정, S- 과정, 절 영역 등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현재 5종의 학습활동책이 학생들의 유창성을 향상하도록 쓰여졌는지 알아보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해 각 그룹에 속해 있는 활동들의 수를 세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 상호작용 유형들의 대부분은 말하기 활동에는 짝 활동으로 편중이 되어있었고, 쓰기 활동에는 모두 개인 활동으로 구성이 되어있었다. 이 연구는 또한 말하기와 쓰기 활동에서는 유창성 발달보다는 정확성의 연습으로 구성이 되어있음이 밝혀졌다. Pienemann(1998)의 기준표를 바탕으로 언어 산출을 분석한 결과 문장과 절의 발화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것들은 모두 통제적인 유형하에서 발화가 높게 나타난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 쓰인 학습활동책들은 다양한 상호작용이 많이 언급 되어있지 않았고 짝 활동에 편중이 되어있었다. 학생들의 영어 발화를 늘이기 위해서는 통제나 지시 없이 학습자의 생각과 느낌을 말로 표현하고글로 쓸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학생들의 창의성을 많이 발휘할 수 있는 활동들을 하도록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교사들은 또한 학생들이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지지해주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activities of speaking and writing in third grade middle school English activity books were constructed to facilitate different types of interactions and promote communication skills. It also checked if the activities in the books induce more speech production so that students may achieve greater fluency. The five activity books analyzed are currently used in most middle schools located throughout the city of Daegu. Different types of interactions were instructed to perform activities offered in the activity books and the number of the interaction types were counted to use as a criterion to check whether the books have more various types of interactions. Language fluency can be viewed in terms of the quantity or complexity of the words or sentences produced by students. If the activities require the students to produce a greater number or more intricate utterances, then they could promote better communication or more fluent speech. Based on Pienemann’s Processability Theory(1998), the activities were categorized as different groups, such as words, categorization of words, phrases, sentences, and embedded sentences. The numbers of activities that belong to the each group were counted to act as a criterion to decide whether the current five activity books were written to improve student’s fluen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Over the course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interaction types were pair work and individual work for speaking and for writing respectively. The study also identified that the activity books contain more activities directed toward accuracy practice rather than fluency development. The result of the production analysis based on Pienemann’s(1998) Processability Theory indicates that the activities in the books encourage the production of sentences or embedded sentences. However, these are controlled activities. In conclusion, the activity books in this study investigated do not offer a variety of interaction types and are heavily dependent on pair work. To increase production of English, students need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nd to write their sentences without control or direction. Above all, chances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student language creation. Teachers should also assist and support students to enable them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more positively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a greater variety of interactions.

      • 노인환자의 비내시경 수술에서 기저질환에 따른 위험인자

        손희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and Objectives: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goes up, the number of geriatirc patients being seen by rhinology specialists is increasing. These patients prefer surgery to medical treatment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perioperative complications that geriatric patient experience when undergoing ESS.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preoperative risk factors of geriatric patients who undergo endoscopic sinus surgery. Subject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64 patients who underwent ESS under general anesthesia from January 1998 through January 2008. This study analyzed the underlying diseases and medicine-taking history, and we investigated which complications were caused by these past medical histories. In addi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past medical histories and the complications to determine the preoperative risk factors. Fisher’s exact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two group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05. Results: Among the 64 patients, 63% (N=44) had underlying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Hypertension was the most common disease. The medicines the patients were taking included antihypertensive drug and aspirin to control underlying diseases. The hypertension group showed higher systolic blood pressure changes than the normal group at 30 minutes after anesthesia induction. The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group had more postoperative voiding difficulties than did the normal group (Fisher’s exact test,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spirin taker group and non-taker group for intra- and post-operative bleeding (Fisher’s exact test, P>0.05). The other underlying diseases did not cause complications. Conclusions: The preoperative risk factors of geriatric patients who undergo endoscopic sinus surgery were hypertension and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For elderly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sinus surgery, these underlying diseases should be checked to prevent perioperative complications.

      • 기존 성악선율을 활용한 19세기 실내악에 관한 연구 : 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1번 op. 78, 3악장을 중심으로

        손희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nineteenth century, some composers used to apply existing music to the new one.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background of such convention, especially focusing on historical surroundings of the 19th century Europe. First of all, the thesis searches chamber music with vocal melody that was written based on existing music. In addition, it categorizes such music according to two axes : (1) who is the composer of the applied music and (2) the genre of the newly composed music. After such categorization, the thesis mainly focuses on Sonata for Piano and Violin No. 1, Op.78 composed by J. Brahms during 1878-1879. This music is subtitled as “Rain Sonata” because the 3rd movement has the theme melody of <Regenlied> Op. 59-3, a song composed by Brahms himself in 1873. <Nachklang> Op. 59-4, another song which Brahms composed right after finishing <Regenlied> Op. 59-3, has the same theme melody, tonality, and time signature. The words for both songs are based on the poem of German poet, Klaus Groth. In order to analyze the songs more precisely, analysis on the poem’s words is performed based on the rhythm structure. From this analysis, it is observed that songs of Brahms have lengths of sounds and rhythm, which are highly correlated to both rhythm and accent of the poems. Brahms applied <Regenlied> Op. 59-3 into the 3rd movement of his new music, Sonata for Piano and Violin No. 1, Op. 78. However, the whole movement is not identical. Brahms composed the music much colorful with new themes and techniques.

      • 청소년연극의 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 : D여자중학교 「방과 후 학교」사례를 중심으로

        손희영 동덕여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청소년연극의 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로 “연극 만들기”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에게 청소년연극이 미치는 교육적 기능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D여자 중학교의 「방과 후 학교」 연극반 사례연구로 참여 학생들의 실제적용과정에 관한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관찰, 반응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제1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제한점을 밝히며, 제 II장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한 교육과 연극의 이론적 체계를 알아보고 청소년기의 특징 및 연극의 교육적 가치를 파악하였다. 또한 「방과 후 학교」 기능과 학교 내 연극반의 역할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공연학적 접근으로 서울 D여자 중학교의「방과 후 학교」 연극반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준비 - 공연화 - 평가와 토론”의 “연극 만들기”과정을 통해 총 49차시, 약160여 시간의 교육을 경험하고, 지역구민회관과 노인복지회관에서 총 3회의 뮤지컬 [그리스]를 공연한 과정을 관찰하였다. 「방과 후 학교」연극반 참여 학생들은, 준비에서 내성적인 성격과 부족한 자신감으로 긴장과 함께 기대감을 표출하였다. “연극놀이”를 통한 자연스런 접촉과 신체 표현으로 친밀감을 형성하고 긴장과 두려움의 부담을 덜은 참여 학생들은 “상황극”, “역할 만들기” 과정에서 자신의 고민과 문제를 표현, 공유, 소통하며 안정감과 신뢰성을 싹틔우게 되었다. 공연화 에서 공동의 목표가 형성되고, 서로 의지하며 협동한 무대 경험이 긍정적인 평가를 얻자, 참여 학생들의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특히, 청소년기에 의미 있는 타자들인 교사, 부모, 친구들의 긍정적인 평가는 학교생활에 즐거움과 대인관계 향상에도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방과 후 학교」를 활용한 연극반은 지역구청의 공간적 지원, 문화재단의 재정적 지원, 인근 대학의 무대세트 대여를 통한 교육적 지원으로 지역과의 연계를 통해 일선 학교에서 직면할 수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극을 교육함으로 청소년의 자질과 능력을 함양시키고, 사회공동체적 의식의 올바른 결속감을 경험하게 하여, 학교생활의 즐거움과 학습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이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이 전인적 민주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방과 후 학교」를 활용한 연극반을 교육활동의 한 방향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As this is a research on the educational function in youth thea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function upon middle-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making a play." As a case study for the 「After School」play class in D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the specific practice method on the process of actual application to participatory students was performed through the observation and the survey on reaction. Chapter II of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system in education and a play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and grasped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 in the adolescent period. Also, it examined the「After School」function, roles and problems about the play class within school. Chapter Ⅲ experienced the education of about 160 hours in totally 46 sequential time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a play" in “warm-up - presentation - post-work and follow up stage” targeting 14 students, and educated and observed the process, which was presented the performance "Greece," which is the musical in totally 3 times, at the center for inhabitants and the Elderly Welfare Center.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After School」play class, expressed a sense of expectation along with tension due to the introspective personality and to the lake of self-confidence at the warm-up. The participatory students, who were formed intimacy and were alleviated the burden caused by tension and fear with natural touch and physical expression through "dramatic play," came to form convenience and confidence while expressing, sharing and communicating own agony and problems in the process of “situation drama” and “making a role.” At the presentation, the goal in common was formed. And, the stage experience of relying on each other and cooperating was evaluated positively. Thus, the participatory students' self-confidence was enhanced. Especially, the positive evaluation in teachers, parents, and friends, who are significant other people in the adolescence, had influence even upon pleasure at school life and upon enhanc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 The play class, which utilized「After School」 in this study, overcame difficulty that the first-line school can face through connection with region owing to security in educational time and place, financial support of the regional ward and cultural foundation, and education support though lending stage set in the neighboring university. Educating a play leads to promoting quality and ability in youth. The upright sense of solidarity in the consciousness of social community is allowed to be experienced. The pleasure in school life and the improvement in learning ability are devised. Thus, the play class, which utilized 「After School」, which can continue to develop and systematize in order to possibly grow as the holistic democratic citizen, is aimed to be suggested as a direction in the educational activity.

      • 극단 미추 마당놀이 연구 : 축제적 성격을 중심으로

        손희영 울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 of the most famous Korean outdoor performance play Madangnori is the drama style invented by Theatre Michoo. It has uniquely adapted the dramatic essences of the traditional performance plays, particularly the mask dance plays. Although it is intended to revive the traditional heritage in modern pattern, Madangnori was criticized as the formalistic copy of the traditional mask dance plays without the essential exaltation of the popular spirit. Hence, most researchers have not dealt with this drama. Only recently, a few critics paid atten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the 30-year history of Madangnori and published studies. Still, however, the few studies focused only on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Madangnori. Drama takes both form and content as the core elements of its style. Given Madangnori is a sort of drama, studies should deal with the content as well as the form of Madangnori. Mindful of this, this study intends to expand the research on Madangnori into the realm of its content. In doing so, this research will explore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of the mask dance plays and those of Madangnori. It will review the criticism claiming the irrelevance of Madangnori to the mask dance plays in terms of the contents. For this, the characteristics of Madangnori will be defined in terms of communication, play and popularity, and each part will be discussed in details in the following chapters. It will be revealed that Madangnori has inherited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 traditional mask dance plays. Chapter 2 analyzes the communicational aspects of the performance form of Madangnori. Unlike other performances, Madangnori adopts 'madang' (yard) as the performance place and displays unique performance esthetics. Mandang is a flat yard without a demarcation line between the stage and seats. It is an open space allowing free communications between the actors and audience. This chapter analyses the features of open space created by the "madang"and communicational aspects promoted by the special nature of the open space. Chapter 3 reviews the spectacular effects of the Madangnori performance. As the name denotes, Madangnori is a type of drama emphasizing the playing aspects. The playing aspects are accentuated in the display of spectacular scenes of Madangnori. This chapter explores the playing aspects of Madangnori through spectacular scenes and reviews the dance, song and accessory as the elements creating spectacular effect. It will analyse how these elements are used in different fashion from the modern drama or musical. Chapter 4 analyzes the transformation of the subject matters of Madangnori. Madangnori takes its subject matters from the classic tales and in the process attempts a variety of interpretation and transformation. The transformation takes on the patters, i. e. toppled hierarchy, affirmation of sexual instincts and practical attitude. This chapter intends to analyse in details these patterns. In this process, the contents of Madangnori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mask dance plays to reveal the popularity of the mask dance plays as expressed in the Madangnori. Madangnori is the unique Korean performance style that has been staged for 30 years. It was spontaneously created as a specific style of drama inheriting the folklore festivals of the past. It plays an important function to revive the sense of community. In Korea the traditional community has been deteriorated and disorganized. Madangnori provides rare opportunities for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midst of animated communications among the present people. It has significant cultural value in that it gives the sense of community culture, promotes human communication and revives the festival culture enlivening people's life. 마당놀이는 한국의 자생적인 연극으로 극단 미추에 의해 만들어진 공연양식이다. 마당놀이는 전통의 현대적 계승을 목적으로 전통공연, 특히 탈춤의 연극적 요소를 극화한 독특한 연극이다. 그러나 이는 탈춤의 형식상의 특징만을 가지고 있을 뿐, 탈춤의 내용상에 드러나는 민중적 가치관이 결여되었다는 비판 아래 오랫동안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왔다. 그나마 최근에서야 30여년의 공연의 역사를 인정받아 연구가 시작될 수 있었다. 그러나 얼마 안 되는 논문들도 연구의 대상을 형식에만 한정하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마당놀이는 연극이고 연극은 형식뿐만 아니라 그 내용도 중요한 양식임을 고려해 보았을 때 마당놀이에 대한 내용 연구는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형식 연구에만 치중했던 마당놀이 연구를 형식 뿐 아니라 내용 연구까지 그 범위를 확장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탈춤의 내용과 마당놀이의 내용의 상관관계를 찾아보고, 그동안 마당놀이의 내용이 탈춤의 내용과 관련성이 없다는 비판을 재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마당놀이의 특징을 소통성, 놀이성, 민중성으로 정의하고 각 장에서 이것들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마당놀이의 형식뿐만 아니라 내용도 탈춤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제2장에서는 마당놀이의 공연 형식에서 유발되는 소통성을 분석하고 있다. 마당놀이는 여타의 공연들과 달리 ‘마당’이라는 공연 장소를 통하여 독특한 공연 미학을 창출한다. 마당놀이의 공연 무대인 ‘마당’은 평편한 땅으로 객석과의 구별이 없는 개방 공간을 연출한다. 이를 통해 관객과 배우는 자유롭게 소통을 할 수 있다. 이 장에서는 먼저 ‘마당’ 무대가 만들어 내는 개방 공간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 개방 공간의 특성을 통한 관객과 배우간의 소통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마당놀이 공연에서 스펙터클을 통한 효과를 살펴보았다. 마당놀이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놀이성이 강조된 연극이다. 마당놀이의 놀이성은 공연의 스펙터클 면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이 장에서는 스펙터클을 통해 형성되는 마당놀이의 놀이성을 춤과 노래, 소품으로 분류하여 살펴보고, 현대 연극이나 뮤지컬에서의 사용과 구별되는 점을 분석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마당놀이의 소재인 고전설화의 변용양상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마당놀이는 극의 소재로 고전설화를 취하고 있는데, 그 과정에서 고전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변용을 시도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마당놀이가 고전을 변용하는 양상을 크게 전복된 상․하 관계, 성본능에 대한 긍정과 현실적인 태도의 추구로 보고 이에 따른 세부 분석을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마당놀이와 탈춤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고, 마당놀이의 내용에 나타난 탈춤의 민중적 가치관을 밝히고 있다. 마당놀이는 30여년의 세월동안 그 역사를 이어온 한국적인 공연 양식이다. 이는 자생적인 연극 양식의 탄생이라는 점에서 뿐만 아니라 민족 축제를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또한 공동체가 파괴된 현대 사회에 축제적 공연을 통해 일시적으로나마 공동체를 체험하게 하고, 참여자간의 소통을 가능케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오래도록 잊혀졌던 공동체 문화를 경험케 하고, 인간간의 소통을 조장하며, 꿋꿋한 민중의 가치관으로 삶을 생기 있게 하는 축제문화를 이어간다는 점에서 마당놀이는 중요한 문화라고 할 수 있다.

      • 국내외 주요대학의 기술지주회사 사례의 비교분석과 시사점 연구

        손희영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학의 역할이 확대되며 기존 교육기관에서 R&D기관으로 최근에는 기업가적 대학으로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지식정보시대의 도래, 인구통계학적 변화, 그리고 교육 환경의 혁신으로 대학교육의 모습이 끊임없는 변화에 당면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들은 대학들이 전통적인 모습을 벗어나서 산업과 협력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재정을 확충함으로써 변화된 환경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시대적 과제에 당면했다는 의미이다. 기존 대학의 기술사업화는 산학공동연구나 기술자문 및 지도, 기술이전이 주를 이루었으나,연구성과의 확산이 더디게 진행될 뿐 아니라 수익도 적은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학의 창업성과 활성화를 위하여 2007년 12월 21일 법안을 개정하여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로 기술지주회사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기술지주는 직접 창업의 방법을 통한 대학 연구성과 실용화에 따른 수익을 대학 내 연구 및 기술개발에 재투자함으로써 산학협력 선순환체계를 능동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모델이 되고 있다. 이에 기술지주회사에 대한 다양한 지원정책들이 나오며 각 대학에서도 기술지주회사를 앞다투어 설립하여 2021년 12월말 기준 전국의 대학기술지주회사는 총 77개에 달하며, 자회사도 꾸준히 증가하여 누적 기준 총 1,253개의 자회사를 설립하였다. 이러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기술지주회사는 소규모 자본금, 적은 인력과 전담인력의 잦은 이탈, 사업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외부 자원과의 협력네트워크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등의 이유로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정부사업비를 통해 운영을 유지하는 대학 기술지주회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몇몇의 대학기술지주회사에서는 수익구조를 만들어낸 사례들이 나오고 있으며, 수익창출 대학기술지주회사의 경우에는 자금 확보, 운영인력의 전문성, 산업계와의 네트워크 연계 등 주요 요인에서 하나 이상의 강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학 내부적 자원이 한정적인 대학의 경우에는 전문분야 특화를 통한 성공사례 창출에 성공하였다. 해외의 경우에도 대학 내부에서 또는 외부의 자원을 활용하든지 창업을 지원하는 전담 부서나 기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의 경우 대학과는 독립적인 운영체계를 갖추고, 산업계와의 네트워크 연계가 가능한 사업화에 전문화된 인력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국의 MIT 대학의 경우 Route 128 로 통하는 지역 클러스트를 형성하여 적극적으로 산업계와의 협력을 이루어나가고 있으며, MIT 교수이자 벤처투자자가 설립한 Martin Trust Center에 의해 창업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Martin Trust Center 내에 별도의 엑셀러레이터 조직인 MIT delta V를 운영하여 초기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MIT 대학의 자회사 형태로 내재화 하지는 않았지만 교원-졸업생-산업계로 연결되는 자생한 창업 에코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어 이러한 역할이 대학과는 독립적이면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스탠포드 대학도 실리콘밸리와의 연계를 통해 초기부터 기술사업화 전문조직인 SRI International을 운영하고 있으며, SRI International의 투자전문 자회사로 SRI Ventures를 운영하고 있다. SRI International은 현재 대학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여, 과학자, 엔지니어, 기술자, 정책연구자, 지원인력 등 1,500여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여 연간 100여개의 글로벌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연간 4억 달러 이상의 수입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스라엘의 히브리대는 기술이전과 창업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Yissum을 운영하고 있으며, 2017년 이스라엘 인수합병 역사상 최대 금액인 18조원에 인텔에 매각된 자율주행 스타트업 모빌아이의 성공사례를 만들어냈다. Yissum의 헬스케어 전문 투자사로 Integra Holdings를 운영하고 있으며, Integra Holdings는 Yissum을 비롯하여 글로벌 투자사, 이스라엘 기관펀드, 바이오제약사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계 리더들이 주주로 참여하고 있어, 비즈니스 관점에서의 투자 및 엑셀러레이팅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일본의 동경대는 기술사업화 전문기관 CASTI와 동경대학의 100% 자회사인 전문 벤처투자사인 UTEC을 보유하고 있다. UTEC은 투자후보 기술 및 기업의 발굴을 위하여 CASTI와 긴밀히 협력함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초기 투자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서 별도의 엑셀러레이터인 IPC를 설립하여 운영하며 창업기업에 대한 단계별 전문화된 지원이 가능하도록 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지주회사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초기 기술창업 기업을 설립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경영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초기 엑셀러레이팅 역할이 잘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 선도적 국내외 대학기술지주회사의 경우 다양한 모습으로 전문화된 조직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연의 역할을 해내며 수익창출이 가능한 대학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적이고 독립적인 조직운영이 필요하고, 시장중심의 인큐베이션이 가능하도록 비즈니스 네트워크 연계를 강화하며, 다양한 투자재원의 확대와 내부자원에 대한 공유체계 구축을 통한 특화분야 집중이 필요함을 도출할 수 있었다.

      • 노인의 사회참여 확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연구 : 공익(公益)을 넘어 공존(共存)으로

        손희영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사회에서 부각되고 있는 ‘노인 문제’의 해결 방안을 노인의 사회 참여 확장으로 보고,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을 탐색해 보았다. 이것은 노인의 역할 회복과 세대 간 불통 문화 해소를 위한 노인 스스로의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문화 기술적 참여 관찰 방법으로 문화예술교육 단체 <예술 공동체 스케네>의 노인 문화예술교육 과정(목적 ⟶ 목표 ⟶ 내용 ⟶ 활동 ⟶ 평가)을 통해 노인의 사회 참여 과정을 탐구하였다. 우리 사회는 급속도로 고령화가 진행 중이며 개인의 일생에서 노인으로 살아가야하는 물리적 시간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노년의 시간을 인생의 마무리가 아닌 성장과 발전의 시간으로 인식하고 교육을 통해 주제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고령시대의 바람직한 노인 교육의 방향을 학습참여 ⟶ 자발적 실천 ⟶ 사회적 관심 확장으로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교육적 연계를 위해 <예술 공동체 스케네>는 기존의 노인 문화예술교육이 추구하는 기회 균등 차원의 공익(公益)을 위시한 공적(公的)지원을 바탕으로 함께 살아가기 위한, 공존(共存)으로의 상호(相互)적 역할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교육 내용도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경험 ⟶ 노인에 의한 문화예술교육으로 세대 간 소통 ⟶ 노인의 사회 참여 문화형성으로 노인과 노년에 대한 이해’로 순환구조화 하였다.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학습에 참여하는 것으로 자기 계발 및 예술을 즐기고 경험하며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삶을 추구하는 학습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노인들은 동료들과의 만남을 통해 노년의 문화를 창출하며 이로 인한 문화예술과의 매개도 이루어졌다. 앞선 학습참여로 얻어진 지식과 경험을 ‘노인에 의한 교육’으로의 실천적 모색을 통해 어린 세대의 보육을 수행하는 지역의 ‘문화 보육자’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이것은 자신의 경험과 관심을 바탕으로 보살피는 돌봄을 넘어 문화예술을 매개로 돌보고 가르치는 ‘보육’을 수행하는 것이다. 더욱이 보육 과정에서 다른 세대와의 교류를 통한 교감은 세대 간의 물리적 거리감을 줄이고 의미 있는 만남으로 상호 이어주는 통로가 된다. 이것은 특히, 과거 혈연 중심의 세대 공동체가 아닌 관계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형태의 세대 공동체 형성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렇게 노인들은 삶의 경험과 문화예술교육의 방법을 활용하여 살아오면서 쌓아온 지혜와 사회문화를 후세에 전승하게 된다. 노인의 능동적인 참여와 실천은 노인에 대한 우리의 인식 재고와 지위회복을 이끌어 우리 사회에 노인의 ‘사회 참여 문화’ 형성을 기대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노인을 능동적 활동 주체이자 사회적 존재로 이끌어 우리 사회 공존의 교두보이자 새로운 문화 매개자, 문화 보육자, 문화 전승자로 역할을 담당하게 하며 노인의 사회 참여가 실현됨이 본 논문의 요지이다.

      • 모바일 서비스산업에서 고객만족-행위의도 매카니즘에 대한 인지된 가치와 인지된 위험의 역할 : 스마트폰 사용자와 비사용자 비교

        손희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폰 이용자는 급증하고 있지만, 시장은 아직 성숙 단계에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관련된 연구 또한 초기 단계로 마케팅 관점에서의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만족-행위의도의 소비 시스템 접근을 중심으로, 인지된 가치와 위험이 스마트폰 사용자와 비사용자 간의 차이를 비교한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사용자와 비사용자 간의 상반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고객만족-행위의도의 소비 시스템 접근 방법은 두 집단에서 유사하게 조사되었으나, 인지된 가치와 인지된 위험의 결과는 고객만족-행위의도의 소비 시스템 접근 메커니즘에서 완전히 대비되는 결과를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인 부분에서 선행연구와 상당부분 배치되는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연구자들을 위한 이론적인 제언을 제공한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와 비사용자 간의 상이한 결과를 기반으로 모바일 서비스 관리자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Smartphone users are remarkably increasing, but the smartphone market is still in its infancy of evolution. Similarly, research related to smartphone is very limited, particularly in the marketing area.In line with this observ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arison between smartphone users and smartphone non-users and extents a theoretical framework using the consumption-system approach.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wo consumer groups. More specifically, consumption-system approach that addresses the mechanism of the satisfaction-behavioral link is similar between two parties, but the consumption-system approach that results from impacts of both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risk is quite different. The current findings are quite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it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the satisfaction-behavioral intent link. Finally,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for mobile service managers based on comparisons between two different mobile users and suggests further research for schol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