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등교사의 환경관련 수업에 대한 교사전문성

        손연,김경란,민병미,최돈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5 초등과학교육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draw out factors which elementary teachers should try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study, both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applied: First, randomly selected 483 elementary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 self responded to 5 evaluation areas by Hungerford et al. (1994) to evaluate their environmental education professionalism through the use of five point Likert scale. Second, 2 elementary teachers' environmental classes were observ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strengths and weaknesses in classroom instruction, and then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fessionalism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s shown in the classe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483 elementary teachers including 2 teachers for analyzing classroom instruction who performed a self-evaluation gave themselves mid-scores on the Hungerford et al.'s 5 evaluation areas. However, the result of self-evaluation did not correspond with the result of actual class observation and teacher interview. That is, the actual environmental classes conducted by 2 teachers did not seemed to reflect the evaluation areas which were the foundation of the study: the conceptual awareness, the investigation & evaluation, environmental action skill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reference to develop teaching-learning program and in-service program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 KCI등재후보

        재적응형 대안교육 고등학교의 과학실험수업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일반계 고등학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손연,지덕영,김태훈,이미혜,민병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8 敎員敎育 Vol.24 No.4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observe science classes and to determine students' attitudes as an examination of science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 for Alternative Education and in General High School. Three science classes (one class for Alternative School, two classes for General School) were chosen for science laboratory class observations. A 5-point Likert scale examination on students' science attitudes was developed based on Lee (1998). The science laboratory class observations reveal that two schools had unique features. This was especially evident in the way teacher introduced basic inquiry skills (observation, classification, measurement) in classroom experim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for Alternative Education. Examination of student attitudes indicated that students in both schools prefer classes oriented toward experimentation rather than lectur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rovide a basic reference in improving science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 for Alternative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재적응형 대안교육 고등학교인 D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인 Y고등학교의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 과학실험수업 분석, 과학/과학실험에 대한 학생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수업을 관찰ㆍ분석하고, 수업을 담당한 교사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두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및 과학실험활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두 학교의 과학실험수업을 분석한 결과, D고등학교에서는 Y고등학교보다 수업시 학생들의 의견에 좀 더 수용적인 반면, 실험활동의 전 단계를 교사 주도로 이끌어가는 측면에서 일반학교 보다 교사의존적인 수업분위기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살아가면서 과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와 과학을 신뢰하는 정도가 Y고등학교가 D고등학교보다 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실험활동에 대한 태도 분석 결과, 두 학교 학생들 모두 과학실험과 같은 탐구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재적응형 대안교육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연구

        손연,신수지,손은령 한국진로교육학회 2014 진로교육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variable affecting to career identity. This research used 2,713 people data of 9th grade that are provided from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In particular, we conducted HLM(Hierarchical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to examine a factor that is whether there is person level or school level effect. And it is used Frequency Study to ascertain experience and satisfaction in activities. Also, it was analysed by MRA(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scertain factor related self-esteem, ego identity, life satisfaction, the goal of life, emotion, abuse & neglec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level has found that there is no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Intra-class Correlation(ICC). Second, the goal of life has a higher effect size than others in the factor affecting career identity. Next in order of life satisfaction, ego identity, emotion, study habits, self-esteem, peer attachment, abuse & neglect. Third, students doesn't participate in activities more than 80% but students participating in activities are satisfied with them.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에서 제공받은 중학교 3학년 2,173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특히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개인 간에 존재하는지 학교효과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선형모형(HLM)을 활용하여 기초모형을 확인하였고, 체험학습활동이 진로와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의 검토에 따라 체험활동현황을 기술통계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또,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개인발달환경영역의 변인인 자존감, 자아정체감, 삶의 만족도, 삶의 목표, 정서, 학대방임, 또래애착, 학습습관, 학교생활적응을 중다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집단 내 상관계수(ICC)를 확인한 결과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은 학교 수준에서 설명되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개인발달환경영역의 변인에 대해서는 삶의 목표>삶의 만족도>자아정체감>정서>학습습관>자존감>또래애착>학대방임 순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체험활동은 80%이상이 대부분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체험활동에 참여한 학생들 중 90%이상은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환경 이슈에 대한 ESG기업 태도와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손연,우미원,전종우 한국광고홍보학회 2023 광고연구 Vol.- No.136

        Based on the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ESG companies and purchase intentions of ESG companies' products. A survey was conductedon the general public to investigate personal characteristics, media use, and perception of seriousness.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women's attitudes toward ESGcompanies were favorable and their purchase intentions were high. People with high social conformityshowed high purchase intention. Social conformity did not affect attitude toward ESG companies.It was found that political orientation did not affect both company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In the case of media use, only news use had an effect on both attitudes toward companies andbehavioral intentions. People with a high perception of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have afavorable attitude toward ESG companies and a high purchase intention. These results have academic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antecedent factors constituting consumers' perceptions of corporateESG activities.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ESG기업에 대한 태도와 ESG기업의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구한 것이다.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개인적인 특성과 미디어 이용, 심각성 지각에 대해 조사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여성들이 ESG기업에 대한 태도도 호의적이고 구매의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순응이 높은 사람들은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순응은 ESG기업에 대한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정치 성향은 기업태도와 구매의도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이용의 경우 뉴스이용만이 기업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높은 사람들은 ESG기업에 대한 태도도 호의적이고 구매의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구성하는 선행요인에 대해 학문적인 의미가 있으며 실무적으로 시사점을 찾아볼 수 있다.

      • KCI등재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의 이론과 실제

        손연,최돈형,Pottenger, Francis M.,King, Arthur,Young, Donald B. 한국과학교육학회 200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1 No.1

        현재 세계 여러 나라는 학교교육을 통해서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광대한 양의 지식정보에서 자신이 필요한 지식을 선별하여 활용하는 방법과 과정, 그 지식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도덕적 ·윤리적으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과 과정, 이러한 가치평가 결과에 인간답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과 과정 등을 가르칠 수 있는가에 고심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교육의 추세에 따라 과학교육도 미래를 장기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개혁의 중심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학교 과학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은 과학을 통합적이고 전체적인 지식체계 내에서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민주주의 사회 속에서 과학적 사업과 개인생활의 다른 측면들 간의 관계성을 충분히 이해하여 미래에 진정한 민주시민이 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통합과학교육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통합과학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함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교육과정 개발 이전에 반드시 먼저 숙고하여야 할 것은, 어떻게 여러 교육과정 이론들을 교육과정 실제와 연관지어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지에 대해 규명해줄 수 있는 "통합과학 교육과정 설계이론"을 정립하는 일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에 대한 이론과 실례를 제시하였다.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지식중심 기초이론" (knowledge-based theory)은 무엇인가?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설계할 떼 적용할 수 있는 "학교중심 기초이론" (schooling-based theory)은 무엇인가? ·지식중심 기초이론, 학교중심 기초이론, 그리고 통합과학 교육과정 설계이론 간의 관계성은 무엇인가? ·실제로 상기의 이론들을 적용하여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준거 틀은 무엇인가? ·실제로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포함시켜야 할 필수적인 구성 요소들은 무엇인가? ·어떻게 상기의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통합과학 교육과정 설계이론을 정립할 수 있는가? ·상기의 통합과학 교육과정 설계이론을 실제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설계이론 내의 구성요소들과 연관지어 예시 · 설명할 수 있는 통합과학교육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Our world is becoming one of globalized sharing of a vast knowledge reservoir, and much of this knowledge is the product of science and associated technology Worldwide. nations have responded with new formulations of goals and standards for education, hoping to meet the challenge of vast new knowledge and the need for a citizenry capable of assessing, creating moral and ethical evaluation of social implications, and responding humanely to those implications. Envisioned in these reforms is a program for scientific literacy that balances conceptual understanding, skills, and application and presents a view of a socially and conceptually integrated science composed of disciplines. Experience exists for the creation of disciplinary curriculum ; however, historically few science curricula have been successful in representing the desired ideas of integrated science. To achieve these national goals curriculum designers must believe in the importance of integration and must begin conceptualizing the part to be played by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ISC) in the total science program. Most difficult to solve will be the problem of how to develop and implement ISC. This will require a new curriculum design theory that will achieve goals; guide identification of the concepts, principles, and theories to be included in an integrated science framework; and direct development of a system of supportive pedagogy and instruction. In search of such theory key questions discussed here are ·What knowledge-based theory of design can support ISC? ·What schooling-based theory of design can support ISC?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based and schooling-based theories and curriculum design theory in ISC? ·What kind of operational framework will support development of ISC theory? ·How can one select components of ISC design? ·How can one design an ISC theory based on the above components? ·What program can be used to illustrate an ISC that is in keeping with the above curriculum theory?

      • KCI등재후보

        한 엄마의 가정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손연아 ( Yeon A Son ),손은령 ( Eun Young So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1

        본 연구는 엄마가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르침이 어떻게 자신에게 형성되었는지를 생각해보고, 내 자녀에게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스스로 성찰하여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함으로서 자녀의 가정교육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한 연구 질문은 ``엄마의 가정교육 경험은 어떠한가? 이고, 연구 참여자인 한 엄마의 가정교육 경험 이야기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내러티브 연구방법인 이야기형식으로 접근 하였다. 연구 결과 엄마의 가정교육경험은 자녀에게 영향을 주고 반영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엄마의 가정교육경험이 자녀에게 반영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면, 엄마의 가정교육 경험이 그대로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mothers to perform children`s home education better by identifying how the lessons that she thought important were composed, reviewing how the lessons were reflected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understanding themselves bett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What is a mother`s home education experience like?’ The story of a mother`s home education who was the study participant was approached in the form of a story, a narrative study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From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home education experience of mothers influenced their children and was reflected on their children`s home education. Additionally, if we perceive that home education experience of a mother is reflected to her children, it may suggest that mother`s home education experience may not be reflected int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