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고에 대한 공감반응이 광고태도 형성에 미치는 효과

        소현진(Soh, Hyeonji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광고연구 Vol.0 No.105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공감반응은 성공적인 광고의 필수요건이다. 본 연구는 2014년 소현진이 개발한 광고공감반응 척도를 이용하여 광고공감의 하위 요인인 공감적 이해·동일시·대리적 감정반응과 광고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상황변인인 제품유형(이성제품·감성제품)이 광고공감과 광고태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적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편의 표집된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가 진행되었다(이성제품 광고:100명, 감성제품 광고:100명).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공감의 세 요인은 제품유형에 관계없이 광고태도와 긍정적인 상관관계에 있다. 그러나 다중회귀분석 결과, 이성제품의 경우에는 대리적 감정반응의 영향력이 유효하지 않으며 감성제품의 경우에는 동일시의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제품유형과 광고공감 요인의 상호작용을 탐구한 회귀분석에서는 대리적 감정반응에서만 제품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으며, 대리적 감정반응은 이성제품보다 감성제품의 경우에 광고태도 형성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감적 이해와 동일시 요인은 제품유형과 관계없이 광고태도 형성에 주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광고공감의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Consumer empathic response to advertising is an essential requirement of successful advertis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empathic response-empathic understanding, identification, and vicarious emotional response- and attitude toward the ad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oduct type(think vs. fe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athic response and the ad attitude. An experimental study of a convenience sample with 200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think product 100 participants, feel product 100 participants). The empathic response toward advertising was measured by the Consumer Empathic Response to Advertising scale(the CERA scale developed by Soh(2014)).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factors of empathic response to advertis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 the ad regardless of product type. However,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vicarious emotional response do not have valid effect in the case of think product but identification do not meaningful effect in the case of feel product. Second, additional multiple regression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type showed that only vicarious emotional response was interacted with product type in terms of attitude toward the ad. Vicarious emotional response showed a greater influence on ad attitude in the case of a feel product than a think product. Empathic understanding and identification factors showed only a main effect on ad attitude regardless of product type. In conclusion and discussion, academ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posed.

      • 전통식품과 동굴과학 -전통(傳統) 숙성식품(熟成食品)과 인공토굴(人工土窟) 응용기술 중심-

        소현진 ( Hyun Jin Soh ),홍영자 ( Yong Ja Hong ) 한국동굴학회 2007 동굴 Vol.79 No.-

        인공토굴(人工土窟) 숙성식품의 장기가공보관 수단의 원조로 자리 잡아, 광천옹암리 토굴이 전통식품 산업의 지혜와 관광산업의 역동으로 변신하고, 인공 굴은 폐광토굴에서 농산물저장을 위한 인공제작 굴의 활용기술로 이어져 산업화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대표적인 인공토굴중의 하나는 광천토굴이며, 마을뒤편 야산에 활석암으로 된 암반을 굴착한 토굴이다. 폭과 높이가 각각 2m 정도, 200여 m의 토굴 속에 수많은 젓갈을 담은 드럼통을 저장하여 숙성, 발효시킨다. 젓갈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산발효식품이며, 어패류 등에 비교적 다량의 식염을 가해 자가소화효소 및 미생물분해 작용으로 알맞게 숙성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젓갈은 일종의 균 식품으로 식품을 발효시킴으로써 독특한 맛과 향 영양을 갖게 되며, 빵, 요구르트, 장류(간장 된장 등), 김치, 막걸리, 동동주, 식혜뿐 아니라 심지어는 버섯조차도 균 식품에 해당한다. 특히 어패류를 염장 발효시켜서 독특한 감칠맛이 나도록 한 우리나라 특유의 저장식품으로 예로부터 기호식품, 조미료 및 김치의 재료로서 널리 식용되어 왔던 양질의 단백질인 동시에 칼슘과 지방질 공급원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상품화된 자연친화적 농산물저장 굴로 사용되는 인공토굴도 등장하였다. 그것은 타공판과 흙을 이용한 생태환경지중건축물(生態環境地中建築物)로서 우리조상들이 오래전부터 지열을 이용하여 주거와 농산물을 저장하였던 재래식 토굴을 현대화시킨 구조물의 지중저장토굴 공간이다.

      • KCI등재

        소비자 공감반응 척도 개발: 이야기 광고를 중심으로

        소현진(Hyeonjin Soh)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본 연구는 광고에 대한 소비자 공감을 개념 정의하고 이야기 광고에 대한 소비자 공감반응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관련 문헌과 소비자 조사 결과 이야기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공감은 공감적 이해, 동일시, 대리적 감정반응의 세 하위 요인으로 이루어진 다차원적 개념임을 제시하였고, 소비자 실증조사를 통하여 총 11개의 항목과 세 하위 요인으로 이루어진 소비자 공감반응 척도를 개발하였다. 소비자 공감반응 척도는 기존 척도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동일시 요인을 반영하여 측정도구의 내용타당도를 제고한 점에서 학문적 기여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measuring consumer empathic response to advertising drama. Through a series of consumer surveys and factor analyses, the Consumer Empathic Response to Advertising Scale (the CERA scale) containing 11-Likert format items was developed. The CERA scale consists of three factors which are empathic understanding, identification, and vicarious emotional response. The CERA scale improve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xisting consumer empathy scales by including identification factor which has been ignored.

      • KCI등재

        친환경 소비 행동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환경의식, 지각된 소비자 효율성과 개인적 규범의 관계를 중심으로

        소현진(Soh, Hyeonji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광고연구 Vol.- No.129

        본 연구는 환경의식과 지각된 소비자 효율성이 친환경 소비 행동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개인적 규범의 매개변인으로서의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20대에서 60대의 연령대에서 남녀 각 15명씩, 총 300명이 표집되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으며, 가설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의식이 친환경 소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적 규범에 의하여 완전 매개되었다. 둘째 지각된 소비자 효율성이 친환경 소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적 규범에 의하여 부분 매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환경의식과 지각된 소비자 효율성은 개인적 규범을 활성화하여 결과적으로 친환경 소비 행동의 실천을 유도하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연구결과에 근거한 학술적·정책적 시사점들이 결론에 제시되었다. This work empirically analyzes the influence as parameters of personal norms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concern and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leading to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A total of 300 people, 15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60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oncern on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is fully mediated by personal norms. Second, the impact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on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has been partially mediated by personal norms.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environmental concern and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ctivate personal norms, resulting in the practice of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스토리텔링 광고에서 스토리유형에 따른 광고모델의 효과 분석

        소현진(Hyeonjin Soh),박범순(Pumsoo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광고에서 스토리유형에 따른 유명인 모델과 일반인 모델의 효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광고모델유형(유명인, 일반인)과 스토리유형(라이프체험형, 신화상징형)을 조작한 2x2 요인설계 실험이 진행되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30-40대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라이프체험형 광고의 경우,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 등 세 가지 종속변인 모두에 대해 일반인 모델이 유명인 모델보다 높은 광고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화상징형 광고의 경우, 광고태도에 대해서는 유명인 모델이 일반인 모델보다 높은 광고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나,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모델 유형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결과의 이론적·실무적 함의는 결론에서 논의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between celebrity and consumer endorsers by type of story in storytelling ads. A 2 x 2 factorial design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type of advertising endorser (celebrity, consumer) and the type of story (life experience, brand myth). 200 women in their 30s and 40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Study shows that for a life-experience ad, the consumer model has higher advertising effectiveness than the celebrity endorser for all three dependent variables : ad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 In the case of brand-myth ad, the celebrity endorser had more favorable ad attitude than the consumer endorser did,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후보

        브랜드 스토리유형이 광고반응에 미치는 영향: 제품유형과 제품관여도의 조절효과 탐색

        소현진 ( Soh Hyeonjin ),김효규 ( Kim Hyo Gyoo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광고에서 활용되는 브랜드 스토리 유형이 광고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제품유형과 제품관여도를 조절변인으로 고려하여 탐구하였다. 독립변인은 스토리 유형(제품관련 스토리, 비제품관련 스토리)으로 설정하고 종속변인인 광고반응은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의 세 변인으로 측정하였다. 조절변인으로 제품유형(실용재, 쾌락재)과 제품관여도(고관여, 저관여)를 고려하였다. 스토리 유형이 소비자의 광고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집단간 평균차이분석(t-test)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전문 조사업체의 온라인 조사를 통하여 30~40대 성인여성 314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제품유형과 제품관여도에 관계없이 제품관련 스토리가 비제품관련 스토리에 비해 더 우수한 광고효과를 나타내었다. 소비자 공감수준을 고려한 추가 분석을 통하여 광고공감 정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제품관여도에 따라 브랜드 스토리 유형의 효과크기가 달라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광고공감 정도가 낮은 집단에서 고관여 제품은 제품관련 스토리가 비제품관련 스토리보다 광고반응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저관여 제품은 스토리 유형의 영향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실무적 함의가 결론에서 논의되었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impact of brand story types in storytelling ads on advertising responses by considering product types and product involvement as moderate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et up as a story type (product-related story, non-product-related story) and the advertisement response, which was a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y three items : attitude toward the ad,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 As moderate variables, the product type (utilitarian goods, hedonic goods) and the level of product involvement (high involvement, low involvement) were considered. The impact of the story type on the consumer's response toward the ad was analysed by T-test. In an online survey conducted by a professional research firm, 314 adult women in their 30s and 40s were surveyed. Research shows that product-related stories, regardless of product type and product involvement, have better advertising effects than non-product-related stories in terms of ad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 Further analysis considering the level of consumer empathy found that the size of effects of brand story types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product involvement. For those who with low level of empathy for advertising, product-related stories had a greater impact on advertising response than non-product related stories in terms of a high-involvement product, while the types of brand story had less impact in terms of a low-involvement produc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s.

      • KCI등재

        텔레비전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식구조 탐색

        소현진(Hyeon Jin Soh),박범순(Pum Soon Par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88

        본 연구는 텔레비전광고에 대한 20대 소비자의 인식구조를 탐색하여 광고인식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대 남녀 소비자 40명을 심층 인터뷰하고 질적 연구방법인 래더링 기법을 이용하여, 소비자들이 텔레비전광고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들을 밝히고 이러한 속성들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결과는 무엇인지, 그리고 해당 결과가 소비자의 가치와 연결되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속성-결과-가치의 사다리에서 나타난 주요 연결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소비자의 텔레비전광고 인식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주요 속성은 독창적 표현, 연예인 광고모델, 시청각표현, 공감 등 광고표현과 관련된 속성이었다. 이들 속성 이외에 반복, 빠른 전환 등의 텔레비전광고의 매체적 특성에 관련된 속성들도 빈번히 언급되었다. 둘째 ``독창성``과 ``시청각표현`` 속성이 ``재미`` 결과로 이어져 ``쾌락`` 가치로 이어지는 사슬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재미는 텔레비전광고가 제공하는 가장 핵심적인 혜택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재미있는 광고는 대화소재로 사용됨으로써 소비자가 추구하는 동시대성과 소속감 가치를 실현하는 데에도 공헌하고 있다. 셋째, 광고의 반복, 중요성 낮음, 불필요한 정보제공 등이 광고회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 연구결과에 근거한 이론적 논의와 실무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consumer`s cognitive structure of television advertising. Using laddering technique, researchers interviewed 40 young consumers and examined their attribute-consequence-value ladder of television advertising. The main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significant attributes forming consumer perception on TV advertising are novelty, celebrity endorser, audio/visual expression and sympathy. Those attributes are relevant to advertising creativity. Second, the ladder of novelty or audio/visual expression-interest-pleasure was the strongest one. Young consumers perceive ``interest`` as the best benefit from TV advertising they can get, then fun advertising stimulates chat with friend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광고효과모형에 관한 문헌연구

        소현진(Hyeonjin Soh)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본 연구는 주요 광고효과모형을 검토하여 광고효과의 발생과정에 대한 광고계의 주류적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광고효과 연구의 한계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헌연구 결과, 기존의 광고효과 연구는 설득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 안에서 브랜드태도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며 광고효과의 다른 측면은 심도 있게 논의하지 못하였다는 점을 밝혔다. 저자는 급변하는 광고매체환경 속에서 브랜드태도 변화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광고효과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특히 저관여모형에서 강조하는 브랜드인식의 틀 제공, 브랜드친숙성, 브랜드현저성의 제고와 같은 보다 다양한 변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With reviewing major advertising effect models, this research aimed to describe the accepted view of how advertising works, to discover the limits of current advertising effects research paradigm and to suggest the solutions. The results show that current advertising research has been mainly focused on brand attitude but other advertising effects have been neglected. Due to radically changing advertising media, the author proposes that new perspectives on the advertising effect are needed such as brand perception, brand familiarity and brand salience.

      • KCI등재

        광고 효과 연구의 문헌 분석

        소현진(Soh, Hyunji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6 광고연구 Vol.0 No.109

        본 연구는 국내 광고 효과 관련 연구의 연구 경향을 진단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국내 광고 전문 학술지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광고연구 창간호부터 2015년 107호까지 게재된 광고 효과 관련 연구논문 130편을 분석하였다. 적용 이론, 연구 변인, 연구 광고 매체 및 연구 방법의 범주에 근거하여 130편의 논문을 내용 분석하였다. 광고 효과 연구에 적용된 이론은 관여도 이론, 위계 효과 모델, 정교화 가능성 모델 등의 몇몇 주요 이론에 집중되어 있으며, 최근 연구 경향에서는 전통적인 설득이론 외에 다양한 정보처리 관련 이론과 미디어 몰입 이론, 미디어 수용 이론, 프레이밍 이론 등 새로운 이론을 광고 효과 검증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연구 변인의 측면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독립변인은 광고크리에이티브와 광고메시지 요인과 수용자 요인이며, 종속변인으로는 구매 의향, 브랜드 태도, 광고 태도가 가장 빈번하게 측정되어 왔다. 연구에 활용된 광고 매체는 전체 연구논문의 약 66%가 인쇄 광고와 텔레비전 광고에 집중되어 있으며 2000년대부터 인터넷 광고를 이용한 연구가 늘고 있다.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 약 89%의 광고 효과 연구가 실험 연구를 채택하고 있으며, 70% 이상의 연구가 편의 표집된 학생 표본을 이용하였다. 실험 연구의 연구과정을 살펴보면 약 72%의 연구가 실험 광고물을 일회 노출한 후 즉각 측정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약 94%의 연구가 폐쇄형 자기기입식 보고 방식을 사용하였다. 실험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실험 연구의 특성상, 광고 효과 연구에 주로 이용된 자료 분석 방법은 평균 차이 분석과 분산 분석이었다. 결론 및 토의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연구의 현황과 한계점을 논의하고,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To analyze the trends of advertising effect research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130 of advertising effect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from 1988 to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volvement theory, Hierarchy of Effects Model, and Elaboration Likelihood Models are the major theories on which advertising effect studies have been based. In terms of research variables, advertising creativity factors, message factors and audience factors are the most popular independent variables. Purchase intention, brand attitude and attitude toward the ad are the most frequently measured dependent variables. Sixty six percent of studies utilized print ad and television ad. Eighty nine percent of research used experiments as their research method and more than seventy two percent of studies used a conveniently collected student sample. One-time exposure and immediate measuring with self-reported measures is the most popular experiment procedure. It was also found that T-test and ANOVA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statistical method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the recommendation of future research was discussed.

      • KCI등재

        신뢰받는 블로그 콘텐츠의 특성 탐구

        소현진(Hyeonjin Soh)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블로그 콘텐츠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블로그 속성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단계에서는 블로그 이용자의 질적 설문을 통하여 파워블로그 사용후기의 신뢰 속성을 도출하고, 2단계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신뢰 속성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가 블로그 사용후기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려하는 35개의 신뢰 속성이 도출되었다. 개별 신뢰 속성은 유명도, 실재감, 매력도, 진실성, 전문성의 다섯 신뢰요인으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가치 있는 정보의 제공’과 ‘진실한 의도’가 블로그 신뢰성 평가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블로그의 매력도 역시 신뢰성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이었다. 셋째 전통적인 신뢰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실재감’이 주요한 신뢰속성으로 등장하였다. 남녀의 차이와 블로그 이용 동기에 따른 신뢰속성의 중요도가 함께 분석되었으며, 이에 근거한 이론적·실무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ttributes of trusted blog product-reviews and to examine the weight of each attribute. First, the attributes of trusted blog product-reviews were collected through consumer interviews. Second, the trust attribute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ir relative importance. The results are: 1) Thirty-five of trust attributes were discovered and categorized into ‘popularity’, ‘presence’, ‘attractiveness’, ‘trustworthiness’, and ‘expertise’. 2) In general, attributes reflecting usefulness,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seemed the most important trust factors. 3) ‘presence’, which have not been highlighted so far in trust research, was emerged as an important trust factor in the web blog contex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