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동굴의 구조적 특징

        홍시환,정민채 한국동굴학회 1996 동굴 Vol.46 No.-

        동굴이 휴양명소로 자리잡아 감에 따라 동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때에 우리 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동굴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에 분포한 동굴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중 대표적인 석회동굴과 회산동굴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우리 나라에는 260개 이상의 동굴이 분포하고 있는데, 강원도와 충청북도 지방에 75% 이상이 집중되어 있으며, 이것은 이들 지역이 우리 나라의 지체구조사 옥천지향사에 해당하는 곳이어서 석회석이 발달한 때문이다. 둘째, 우리 나라의 동굴은 성인상으로 분류하면 석회동굴 · 화산동굴 · 해식동굴 · 저리굴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석회동굴이 가장 많고, 화산동굴은 제주도에 주로 분포한다. 셋째, 동굴지형면에서 석회동굴은 이차 생성물의 성장으로 인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반면에, 제주도의 화산동굴은 규모면에서 세계저이라는 것이 특징이고, 몇몇 동굴에서는 해안가 패사류의 퇴적으로 인해 석화동굴에서만 볼 수 있는 이차 생성물이 발달된 곳도 있다. 마지막으로 동굴생물적 측면에서는 동굴의 깊이가 클수록 진동굴성 동물이 비교적 많이 발견된다. 또한 본토의 석회동굴과 제주도의 화산동굴 내에 분포하는 동굴생물은 다소 그 종류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제주도의 화산동굴에는 그곳에만 독특하게 사는 동굴생물들이 발견 되어 종의 이름에 ‘제주도 …’라고 명명하는 것이 특장이다.

      • 한국동굴학회의 동굴에 관한 주제별 연구동향 분석

        최병천 ( Byong Cheon Choi ) 한국동굴학회 2008 동굴 Vol.84 No.-

        우리나라의 동굴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동굴학회지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 중분류 및 소분류에 의한 주제별 연구동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초기에는 연구논문편수가 적고 동굴개론 및 동굴의 자연 환경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198년대 중반에서 2000년에 이루는 기간 동안 가장 활발한 학술 활동이 전개되었으며,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1990년대 이후 동굴개발보다는 동굴의 환경 변화와 관리 보전대책 등에 관심이 주어졌으며, 최근에는 인문환경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고 동굴을 하나의 관광자원적 입장에서 동굴 주변시설물과 주변 관광지들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지고 있다. In an early stage, a study on speleologyand cave environment was very active even though the number of papers was limited. From the mid 1980s to 2000, the academic activities on caves were the most active with a variety of subjects. Since the 1990s, people started to focus on the environmental change in caves and preservation rather than development. Recently, many studies have dealt with humanistic environment, seeing caves as a tourism resource.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ve and surrounding tourist destinations has been actively studied.

      • KCI등재

        불완전한 데이터를 위한 딥러닝 모델

        이종찬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2

        The proposed model is developed to minimize the loss of information in incomplete data including missing data. The first step is to transform the learning data to compensate for the loss information using the data extension technique. In this conversion process, the attribute values of the data are filled with binary or probability values in one-hot encoding. Next, this conversion data is input to the deep learning model, where the number of entries is not constant depending on the cardinality of each attribute. Then, the entry values of each attribute are assigned to the respective input nodes, and learning proceeds. This is different from existing learning models, and has an unusual structure in which arbitrary attribute values are distributedly input to multiple nodes in the input layer. In order to evaluate the learning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various experiments are performed on the missing data and it shows that it is superior in terms of performance. The proposed model will be useful as an algorithm to minimize the loss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제안 모델은 소실 데이터를 포함하는 불완전한 데이터에서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를 위한 과정은 우선 데이터 확장기법을 이용하여 손실 정보를 보상하도록 학습 데이터를 변환한다. 이 변환 과정에서 데이터의 속성값은 원-핫 인코딩으로 이진 또는 확률값으로 채워진다. 다음 이 변환 데이터는 딥러닝 모델에 입력되는데, 이때 각 속성의 카디너리티에 따라 엔트리 수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각 속성의 엔트리 값들을 각각의 입력 노드에 할당하고 학습을 진행한다. 이점이 기존 학습 모델과의 차이점으로, 임의의 속성값이 입력층에서 여러 개의 노드로 분산되는 특이한 구조를 가진다. 제안 모델의 학습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소실 데이터를 대상으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여 성능 면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제안 모델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본다.

      •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동굴" 컨텐츠 내용 분석

        김원진 ( Won Jin Kim ) 한국동굴학회 2006 동굴 Vol.72 No.-

        고등학교 한국지리 8종 교과서에 수록된 동굴명과 학습 컨텐츠 유형별로 제시된 동굴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8종 교과서에 수록된 자연동굴의 경우 석회동굴에 대한 사례가 많으며 용암동굴과 해식동굴에 대한 소개는 상대적으로 미약하다. 둘째, 동굴에 대한 학습 컨텐츠의 경우 사진자료의 이용빈도가 매우 높은 편이며 그 외 모식도와 지형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셋째, 교과서 본문에 수록된 동굴명과 학습컨텐츠에 제시된 동굴의 경우 고수동굴에 대한 내용이 매우 높은 편이며 지역적으로도 충북 단양군을 사례로 한 경우가 많다. 특히, 북한에 분포하고 있는 동룡굴에 대한 소개가 특이할 만하다. 향후 천연자원으로서 자연동굴에 대한 주요 관광수요층인 고등학생들의 자연동굴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간접체험을 위한 학습컨텐츠의 개발이 기대된다. 이러한 학습컨텐츠의 개발과 교육현정에서의 적응은 학생들로 하여금 지속가능한 자연동굴의 보존관리와 환경친화적인 관광개발 및 관광객의 관람태도가 왜 필요한가에 대한 당위성을 충분히 이해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 동굴의 자연음향 효과, 그리고 음악회장 운영사례

        현행복 ( Haeng Bok Hyun ) 한국동굴학회 2009 동굴 Vol.95 No.-

        태곳적부터 동굴은 인간의 주거 공간뿐만 아니라 문화공간으로까지 활용되어 왔다. 즉 동굴 내부의 어떤 장소에서 소리를 낼 경우 거기서 나오는 소리는 특별히 확대되어 거대한 메가폰처럼 작동하여 들려 온다. 이른바 공명현상이다. 이럴 때 동굴 전체는 하나의 거대한 관악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특히 알타미라 동굴처럼 벽화가 발견 되는 동굴의 경우, 대개가 벽화가 발견되는 지점이 광장과 같은 넓은 공간이란 점과 종종 매머드 뼈로 된 피리나 북 등이 동시에 발견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결국 그곳 동굴 속에서 선사인들이 주술의식과 더불어 예술 활동을 펼쳐왔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한편 한국전통예술 가운데 대표적 성악장르의 하나인 판소리의 경우 그 노래를 부르는 가창자의 창법수련 장소로 동굴의 활용된 예도 있다. 이른바 토굴독공(土窟獨功)이라 불리는 것이 바로 그러한데, 이는 폭포독공(瀑布獨功)과 더불어 명창이 되기 위한 창법수련자가 마지막으로 수행하는 과정으로서 흡사 철기류 제작의 마지막 담금질과 같은 공정(工程) 과정이기도 하다. 이는 이미 한국의 전통예술가들이 오래 전부터 자연 속에서 자연과 부합하는 소리감각을 터득하기 위한 선례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 주목하여 필자는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성악수업 지도를 맡으며 늘 이런 생각을 지니게 되었다. 즉 "자연스런 소리내기는 동굴과 같은 자연 공간 속에서 자연스럽게 체득된다!" 그래서 지난 1992년 1월, 필자는 제자들과 함께 동굴소리연구회란 일종의 동호인 모임을 결성하여 특히 방학 때와 같은 휴가철을 이용해 제주 전역의 동굴을 답사하며 동굴 탐사와 더불어 소리 탐구를 실험적으로 시도해 왔다. 그 후 5년 뒤인 1997년 9월, 마침내 우도의 해식동굴인 고래콧구멍 동굴(東岸鯨窟)에서 국내에서 첫 동굴음악회를 개최했다. 그 후 매년 한 차례씩 동굴음악회를 개최해왔다. 올해, 2009년까지 총 14회째의 동굴음악회를 개최한 기록 가운데, 강원도 석회암동굴에서 2회, 용암동굴인 만장굴에서 2회, 우도의 해식동굴 고래콧구멍에서 총 10회의 기록이 그것이다. 아울러 1999년 5월 협재동굴에서 필자는 동굴음악CD제작을 위해 녹음작업을 특별히 펼치기도 했다. 이 글은 필자가 그 동안 동굴을 음악회장으로 이용한 경험을 바탕을 주요 소재로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앞으로 제주에서 해마다 개최되는 동굴음악회는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매우 독특한 체험이벤트로서 제주의 우수한 자연공간과 또한 동굴만이 지닌 우수한 자연음향의 효과를 만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Ever since the beginning of time, caves not only have offered a place to live for humans but they have also been used as cultural spaces. That is, in the event of making some sounds in a location within the cave, the sound that is created is greatly magnified and sounds out as if it is being amplified from a giant megaphone. This, as we well know it, is known as the resonance effect. Here, the cave itself appears to function as a massive wind instrument. Especially in cases like the Altamira Cave (Spain) where cave paintings were found, the point where the cave drawings were found has commonalities in that it is a wide space and that it is usually discovered together with flutes and drums that are made with mammoth bones. We need to focus on this point. We can infer from these facts that the prehistoric people have carried out cultural activities along with their incantation rituals within those caves. In the meantime, amongst the Korean traditional arts, in the case of pansori which is a representative vocal genre, there have been examples where caves were used as practicing locations for those people who are training to perfect their singing. This is known as toguldoggong(土窟獨功) which literally means ``obtaining one`s own art by oneself in the earth cave by practicing incessantly``. This process along with pokpodoggong (瀑布獨功) (same as above except that the location is by the waterfall) is the final training stage in order to become a recognized virtuoso on the part of the apprentice. This could be compared to the final annealing and finishing process of producing a metalwork. This has been a long tradition followed by most Korean traditional artists in order to perfect their sound which is harmonious with nature within natural surroundings. By honing in on this point, I have come to think about this matter repeatedly while coaching the university students in vocal singing. In short,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making of natural sounds will be obtained naturally within natural surroundings like caves!" Consequently, The Society for Studying Cave Sounds was inaugurated on January 1992 along with some of my students. We made use of times like vacations to go around exploring caves all over Jeju and carried out investigations of sounds along with cave exploration on an experimental basis. After 5 years, in September of 1997, we were able to host the first ever cave concert domestically at the Whale Nostril Cave(東岸鯨窟) on Wu-do. After that, we have been hosting the cave concert once every year. We have achieved a record of a total of 14 cave concerts until 2009 of this year. Out of these, 2 were held in Seokhwaeam Cave in Kangwon Province, another two were held in Manjang Cave which is a lava cave, and the remaining 10 were held in the Whale Nostril Cave of Wu-do. Along with that, I have carried out a special recording for the production of a cave music CD in May of 1999. This paper was written and organized by using the main materials that were derived from the experiences of using caves as concert halls in the past. It is hoped that this cave concert will offer a very unique experience to tourists who come to Jeju every year and give them the best possible superior natural sound effect that only Jeju caves can offer.

      • 동강 유역의 석회암 동굴에 관한 연구- 백용 석회암 동굴의 2차생성물을 중심으로 -

        한국동굴학회 한국동굴학회 2005 동굴 Vol.66 No.-

        동강 유역에는 이미 알려진 석회암 동굴이 30여기 발달되어 있다. 이들중 학술적 가치와 아울러 관광자원으로서의 개발의 가치가 높은 동굴로는 백용동굴, 화암굴, 절골굴 등이 있으나 이들 중 으뜸은 백용동굴이다. 따라서 필자는 수몰 위기에 놓인 천연기념물 제260호로 지정된 백용동굴의 2차생성물(speieothem)과 동굴 계통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체계화 함으로써 사라질지도 모를 백용동굴의 모습을 후세에 영구히 남기고자 여기에 동굴 퇴적물 및 그 경관을 중심으로 한 동굴현상을 상론하기로 한다. 백용동굴의 휘귀경관으로서는 (1) 위석순(pseudo stalagmite) (2) 석화(anthodites) (3) 기형석순(erratic stalagmites) (4) 동굴방폐(cave shield) (5) 암하(lost river) (6) 규석 (cave flint) (7) 함정 (Pit fall) 등 일곱 가지가 있으나 기타로도 일반적이며 부수적인 관련 사항들도 종합하였다. About 30 limestone cave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at the basin of the River Dong. baekyong Cave, Hwaam Cave, and Jeolgol Cave are of great worth, not noly as a matter of study, but as a matter of the tourist resources they develop. Among them Baekyong Cave is the best. I``m going to give a full detailed account of cave deposits and cave phenomena focused on its view to preserve the looks of Baekyong Cave by analyzing the speleothem of Baekyong Cave and cave system scientifically and systematizing them. Baekyong Cave, Natural Monument Ho. 260, is on the verge of being submerged. Peculiar things in Baekyong Cave are 1) pseudo stalgmite 2) anthodites 3) erratic stalagmites 4) cave shield 5) lost river 6) cave flint 7) pit fall but I have also mentioned general and related matters.

      • 동굴 내,외부 종합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신동원 ( Dong Won Shin ),정규환 ( Kyu Whan Jung ) 한국동굴학회 2009 동굴 Vol.95 No.-

        본 연구는 일반인들에게 동굴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행해졌던 학술적 분류법이 아닌 동굴 외부의 자료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유형분류를 해 보고자 함이다. 최근의 관광은 관광지 한곳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관광지들도 함께 관광하는 패키지 형태의 관광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그것이 최근에 추세이기 때문에 동굴, 그 자체만이 아니라 주변의 환경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굴 주변에 관한 변수들이 많을수록 관광객들에게 더 좋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of Cave were classified by type. For tourists, caves are important but surrounding environment of caves is more important.

      • 미국의 동굴(II)

        홍충렬 한국동굴학회 1998 동굴 Vol.53 No.-

        지금은 이미 지하수가 말라버리고 건조한 동굴이 되었지만 프린스 맘모스 동굴과 같이 큰 포화수대 기원의 터널이나 지하천이 사행하면서 거의 수평으로 발달한 장대한 동굴계는 미국의 대동굴 지대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켄터키를 중심으로 북쪽은 펜실베니아, 남쪽은 알라바마까지의 애팔레치아 지방까지 펼쳐진다. 대조적으로 북조지아의 에리존즈동굴은 이 지방의 동굴과 달리 일직선으로 뻗어져 있다. 10이상의 길이로, 양단은 거대한 수직동굴로 되어 있으며 피지온산의 밑을 관통하고 있다. 입구의 수직동굴은 환타스틱 피트, 인크레져블 피트라 불리우며 양쪽모두 150M의 깊이이다. 미국동부의 동굴은 이차생성물은 일반적으로 그렇게 발달되어 있지 않은 것이 하나의 특징이다. 그러나 예외도 있는데 버지니아의 루뤠이 동굴에는 멋진 생성물을 볼 수 있고 관광동굴화 되어 있다.(중략)

      • 동굴의 인터넷 홍보 활성화 방안

        유영준 ( Young Jun,You ) 한국동굴학회 2009 동굴 Vol.90 No.-

        본 연구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진행 중인 동굴의 홍보 현황을 파악하여 인터넷 홍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인터넷상에서 동굴이 어떻게 홍보되고 있는가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첫째 인터넷 검색엔진을 통해 ``동굴``이란 단어를 검색하였고, 둘째 개방동굴을 보유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굴을 관리하는 사무소의 소속이 지방자치단체라고 할지라도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 또는 별도로 운영하는 문화관광 사이트를 통한 홍보보다는 동굴 전용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접촉하거나 문의하는 고객의 요구를 해결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전용 홈페이지를 구축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네이버, 파란, 다음 등과 같은 검색엔진에 동굴의 URL을 게시하여 네티즌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를 통한 동굴의 홍보에서도 관심이 큰 지방자치단체와 그렇지 못한 지방자치단체간의 격차 매우 크다. 마지막으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할지라도 최신 기술을 접목시켜 동굴의 관련 사진을 가급적 많이 제시하거나 신기술 접목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관련 사진을 통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Many researcher contended that the tourism types of modern society has changed to ``xperience tourism``from ``eing tourism`` recently. Therefore attempts to add edutainment factors in the original tour program has been introduced in cases of tourism cave. As we can see the Hwaam-cave in Jungsun-gun, by preparing with various pavilions which are well-matched with tourism cav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presentations of the activation programs that having on characteristics of edutainment tourism resources for tourism cave. Thus, first of all for establishing of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as tourism resources of cave and then observed the roles and examples of edutainment tourism cave, finally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