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동포의 ‘제기놀이’에 관한 사례연구 -신대방제기협회를 중심으로-

        성치원 실천민속학회 2018 실천민속학연구 Vol.31 No.-

        이 글에 등장하는 6명의 제보자는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제기놀이’를 접하게 된다. 제기놀이는 각자가 처한 불완전한 상황(불법체류, 강제추방, 달성해야만 하는 경제적 욕망, 사고, 질병 등)을 극복해 가는 사물(事物)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한국과 중국을 오가며 상실된 자아를 회복하는 중국동포의 일상과 작은 공동체가 형성되는 제기놀이의 현장에 주목하고 있다. 제기놀이는 제기를 선택하는 과정과 함께 차는 방법 및 기술 등을 익히게 된다. ‘둘레차기’나 ‘마주차기’를 통해서 타자를 구별하게 되고, 그러한 과정에서 웃음과 격려 혹은 다툼과 미움이 존재하는 놀이의 속성은 제기차기의 기술을 성장시킨다. 이러한 문화는 제기를 차는 시공간을 넘어 중국동포 사회의 일상생활세계로 확장되어 신대방제기협회, 안산다문화제기협회, 성남제기협회 등이 생성되었다. 각 협회가 모여 연합회가 결성되고, 성격이 다른 중국동포 단체들과 연계하여 체육대회, 민속문화축제, 다문화행사 등에 동참함으로써 단결과 화합으로 이어지는 연대의 중요성과 그 유연성을 표현하고 있다. 제보자들은 제기놀이를 통해 흥겨움과 즐거움, 경쟁과 협력의 인간관계를 회복하기도 한다. 인간성의 회복은 상실된 자존감과 일상생활에서 쌓인 정신적 육체적 피로를 해소하고 안정을 가져가 준다. 이러한 일상의 회복에서 잊고 있었던 자아를 발견하고 타자를 재인식하며, 중국동포 사회의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는 과정에 의미를 담았다. 한민족 전통민속놀이의 표상 중 하나가 제기이다. 제기에 대한 기억과 경험에서 시작된 제기놀이는 일상에 은폐된 순수한 자아를 찾도록 도와주는 ‘문화장치’이기도 하다. 놀이를 통해 더욱더 풍부해진 웃음과 재미, 시기와 질투가 뒤엉킨 개인의 삶에서 만족하지 않고 부부, 친구, 지인, 지역민과 함께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2007년부터 걸어온 길이 무겁지만은 않을 것이다. The six informa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learned to play ‘Jegi game’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one another. For these informants, Jegi games also become a method to overcome their precarious living, such as illegal stay, forced expulsion, desire to accomplish financial success, accident and illnes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focus on everyday life of Korean-Chinese, recovering from loss of self-esteem they gained while moving between Korea and China, and fields that Jegi games are performed, which creates small community of on their own. By learing how to choose Jegi and to play together with techniques, people get familiar to play Jegi-Chagi. Playing ‘Dulre-chagi’ and ‘Maju-chagi’draws the line with others, and emotional features that exists inside this game - such as laughter, encouragement, arguments and hatred - improves techniques to play Jegi-Chagi. This custom now became the part of everyday life in Korean-Chinese society. Inside this society, Sindaebang Jegi club, Ansan multicultural Jegi club and Sungnam Jegi club were associated. Each clubs were gathered to organize united association and bended together with other Korean-Chinese groups, participating in athletic meetings, folk festivals and multicultural fests. By taking parts in these events, importance of solidarity and flexibility can be found, which may lead to unity and harmony. Through playing Jegi game with joy, these informants relieve their stress gained from living abroad, and recover their relationships of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Restored everyday life helps to recover themselves and to have a new understanding towards the ohters, along creating the new cultures in Korean-Chinese society. Jegi is one of the representations of traditional folk games among the Korean people. Jegi games started from memories and experiences about Jegi. It also can be interpreted as ‘cultural tool’ to recover pure ego that had been hidden so far in everyday life. Their path started since 2007. Laughter and fun restored through Jegi games, life filled with jealousy and envy, and efforts to share that feelings and experiences with families, friends and neighbors. Since those efforts always existed along them, that path may never be that difficult.

      • KCI등재

        한국 소재 연변냉면으로 본 음식 문화의 변용과 적용

        성치원(Sung, Chi-Won) 한국민속학회 2015 韓國民俗學 Vol.61 No.-

        본 연구는 북한과 중국의 접경 지역에서 한국에 온 ‘냉면(북한→중국→한국)’에 주목하였다. 또한 19~21세기 동북아시아의 격동기 속에서 국경을 넘어야(북한→중국→한국)하는 선택을 세대에 걸쳐서 하고 있는 중국동포들이 연변과 한국에서 어떻게 적응 해 가는지 그 과정을 냉면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과계민족(跨界民族)의 접경지역인 연변에 기반을 둔 연변냉면은 한국, 북한, 중국이라는 다국적?다문화 속에서, 자문화 중심주의(ethnocentrism) 시각에서 벗어나 양쪽 문화의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있었다. 또한 중국 국가권력은 소수민족정책이라는 명목아래 ‘조선족자치구 · 자치주’라는 국가적인 개념을 심어주면서, 문화적 동화 정책을 통하여 차별을 최소화시킨다. 하지만 연변냉면을 구성하는 전체적인 요소 및 구조와 틀은, 한국 전통으로부터 전승된 지식 체계를 잘 활용하고 있었다. 한국으로 온 연변냉면은 중국동포 밀집지역이라는 지역적 한계와 국가권력에 의한 정책적 무지와 태생적으로 하위계층이라는 공간인식에서 비롯되는 차별과 무시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한국사회의 차별적 시선은 심리적 장애로 작용하고 권력과 함께 집단화하여 그들의 커뮤니티 공간까지 어지럽게 하고 있었다. 또한 연변냉면은 한국의 정치적 · 사회적 환경 속에서 재현의 반복적인 학습을 통한 성공과 불안이 내재한 ‘공간속의 기능인’으로 전략화 할 수밖에 없는 상황과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우호적인 권력 및 소수집단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혼탁한 상황이었다. 여기서 우리는 이주민, 이주노동자, 유학생, 중국동포 등을 관찰할 때 자기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야 하며 인간의 보편적인 목표와 목적이 더 나은 삶의 지점을 지향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현지적응 뿐만 아니라 출신지역과의 긴밀함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은 이상현의 주장처럼 현지적응이라는 과정 속에서 그들의 수많은 도전과 실패로 오는 다양한 심리적 충격과 스트레스와 사회적 불평등에서 발생하는 변화에 대하여 가족이나 친구, 친척들이나 가까운 그들의 공동체와 긴밀한 관계망에서 풀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이처럼 다양한 심리적 상황은 21세기 연변냉면의 패러다임을 풀어가는 열쇠가 되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Naengmyeon coming to Korea from the North Korea-China border (North Korea → China → South Korea). Through Naengmyeon, the author discusses how Korean Chinese adapted themselves to Yanbian and South Korea, crossing the border (North Korea → China → South Korea) for generations in the turbulent times in Northeast Asia from the 19th century up to the 21st century. As a result, Yanbian Naengmyeon based on Yanbian, a border area of cross-border ethnicity, was open to form a community space for bilateral cultures, giving ethnocentrism in multi-national and multi-cultural environment of 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Moreover, under the ethnic minority policy, the Chinese government tried to minimize discrimination by means of cultural assimilation, by giving the area the name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Nevertheless, overall components, structure and framework of Yanbian Naengmyeon remained knowledge system handed down from Korean tradition. Upon arrival to South Korea, Yanbian Naengmyeon failed to shatter limitations of discrimination and neglect caused by policy makers’ ignorance and the government recognition of lower class origin as well as space constraint as an area densely populated by the Korean Chinese. In particular, discriminative views of South Koreans worked as a psychological obstacle and broke their community space, coupled with a collective power. In addition, Yanbian Naengmyeong was reduced to a craftsman in a space filled with success via repeated learning of representation and anxiety in South Korea’s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and to overcome this, it had to reinforce cooperation with favorable power and minority groups. In this respect, we have to escape self-centered viewpoint of immigrants, migrant workers, foreign students, and Korean Chinese and realize that not only local adaptation but also maintenance of close relationship with our native places is very important, given that universal goals and aims of humanity seek for a better life. As argued by Lee, Sang-Hyun (2000), in the process of local adaptation, they tended to overcome diverse psychological shocks and stresses from their trials and failures and changes due to social inequality with the help of family, friends, relatives or a close community network. Like this, many different psychological situations are expected to understand the paradigm of Yanbian Naengmyeon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후보

        중국동포 노인의 일상생활에 대한 재해석

        성치원(Sung, Chi-Wo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7 民俗硏究 Vol.0 No.35

        중국동포 노인은 슬럼화(slumism)된 도시마을에서 소수자, 노인의 타자성과 차별성을 극복하기 어려워 사회문화적 활동에 제약이 따를 수도 있다. 이 글은 중국동포 노인과 그들의 일상에 주목하여 새로운 공동체(경로당)에서 일어나는 일상생활의 문화화 과정을 살펴본 연구이다. 연구 결과, 경로당의 일부 노인은 신체적 상황에 맞게 춤, 노래, 무용, 봉사활동 등의 일상적 접촉을 교차해가면서 삶을 새롭게 구성하고 있었다. 어떤 노인은 삶속에서 체득한 농업 기술과 경험을 활용하여 최적화된 농업노동으로 수확한 작물을 매개체로 가족과 이웃관계를 재생산하며 삶의 연속성을 축척하고 있었다. 현재의 실존적 삶의 공간을 살고 있는 중국동포 노인은, 삶에서 체득한 농업 기술과 경험을 활용하거나 특정 교육자, 기술자로서 배운 전문 지식과 기술 등을 교류하는 과정에서 일상을 체계화시키고 있는 것이 발견된다. 노인의 일상은 순수한 노동의 결실과 즐거움, 개인의 구체적인 삶의 질과 행복감을 성취하고 있는 현실의 공간에서, 다양한 실천적 행동에 함께 참여함으로써 노년의 접촉(일상)이 발견되고 이해될 수 있다. 이렇게 재발견된 일상은 노인의 삶에 연속성을 부여하는 ‘일거리(생업, 사회, 문화, 봉사 활동)’와 자존감을 회복하는 일상적 행위라는 점에서 그 맥락이 이어지기 때문에 노년의 정체성을 잇는 중요한 자산이 되고 있다. The Korean-Chinese senior citizens might experience restrictions on socio-cultural activities as it is difficult for them to overcome discrimination and otherness as a minority group and also the aged in urban villages of slumism.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enculturation process in daily life that occurred in a new community (senior citizen center) by focusing on senior Korean-Chinese and also their daily routin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search, some of the senior citizens in senior citizen center enjoyed a new life by interacting with others in their daily life including the dance, song, choreography, and volunteer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physical conditions. Some of the senior citizens utilized their experience and skills in agriculture they accumulated in their lives from the past reproducing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in a medium of crops through optimized agricultural labor and building the continuity of life. Korean-Chinese senior citizens living in the present were found to utilize their skills and experience in agriculture they learned in their lives or to systemize their daily life while exchanging the expertise and skills they absorbed as an educator or technician. Daily life of the senior citizens were found and understood in the practical space where they achieved accomplishment and pleasure in labor and the quality and happiness of their particular lives by participating in various practical activities. Daily life of them found hereof continue to last as they are a part of daily routine for restoring the ‘work opportunity’ (life-work, social/cultural/volunteering activities)’ that grants the continuity on their lives and also the pride in their hearts. Seen in this context, they have become an important asset for connecting the identity of the senior citizens.

      • KCI등재

        중국동포의 `제기놀이`에 관한 사례연구

        성치원(Sung, Chi-won) 실천민속학회 2018 실천민속학연구 Vol.31 No.-

        이 글에 등장하는 6명의 제보자는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제기놀이`를 접하게 된다. 제기놀이는 각자가 처한 불완전한 상황(불법체류, 강제추방, 달성해야만 하는 경제적 욕망, 사고, 질병 등)을 극복해 가는 사물(事物)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한국과 중국을 오가며 상실된 자아를 회복하는 중국동포의 일상과 작은 공동체가 형성되는 제기놀이의 현장에 주목하고 있다. 제기놀이는 제기를 선택하는 과정과 함께 차는 방법 및 기술 등을 익히게 된다. `둘레차기`나 `마주차기`를 통해서 타자를 구별하게 되고, 그러한 과정에서 웃음과 격려 혹은 다툼과 미움이 존재하는 놀이의 속성은 제기차기의 기술을 성장시킨다. 이러한 문화는 제기를 차는 시공간을 넘어 중국동포 사회의 일상생활세계로 확장되어 신대방제기협회, 안산다문화제기협회, 성남제기협회 등이 생성되었다. 각 협회가 모여 연합회가 결성되고, 성격이 다른 중국동포 단체들과 연계하여 체육대회, 민속문화축제, 다문화행사 등에 동참함으로써 단결과 화합으로 이어지는 연대의 중요성과 그 유연성을 표현하고 있다. 제보자들은 제기놀이를 통해 흥겨움과 즐거움, 경쟁과 협력의 인간관계를 회복하기도 한다. 인간성의 회복은 상실된 자존감과 일상생활에서 쌓인 정신적 육체적 피로를 해소하고 안정을 가져가 준다. 이러한 회복에서 잊고 있었던 자아를 발견하고 타자를 재인식하며, 중국동포 사회의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는 과정에 의미를 담았다. 한민족 전통민속놀이의 표상 중 하나가 제기이다. 제기에 대한 기억과 경험에서 시작된 제기놀이는 일상에 은폐된 순수한 자아를 찾도록 도와주는 `문화장치`이기도 하다. 놀이를 통해 더욱더 풍부해진 웃음과 재미, 시기와 질투가 뒤엉킨 개인의 삶에서 만족하지 않고 부부, 친구, 지인, 지역민과 함께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2007년부터 걸어온 길이 무겁지만은 않을 것이다. The six informa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learned to play `Jegi game` in different directions form one another. For these informants, Jegi games also become a method to overcome their precarious living, such as illegal stay, forced expulsion, desire to accomplish financial success, accident and illnes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focus on everyday life of Korean-Chinese, recovering from loss of self-esteem they gained while moving between Korea and China, and fields that Jegi games are performed, which creates small community of on their own. By learning how to choose Jegi and to play together with techniques, people get familiar to play Jegi-Ghagi. Playing `Dulre-chagi` and `Maju-chagi` draws the line with others, and emotional features that exists inside this game – such as laughter, encouragement, arguments and hatred – improves techniques to play Jegi-Chagi. This custom now became the part of everyday life in Korea-Chinese society. Inside this society, Sindaebang Jegi club, Ansan multicultural Jegi club and Sungnam Jegi club were associated. Each clubs were gather to organize united association and bended together with other Korea-Chinese groups, participating in athletic meetings, folk festivals and multicultural fests. By taking parts in these events, importance of solidarity and flexibility can be found, which may lead to unity and harmony. Though playing Jegi game with joy, these informants relieve their stress gained from living abroad, and recover their relationships of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Restored everyday life helps to recover themselves and to have a new understanding towards the others, along creating the new cultures in Korea-Chinese society. Jegi is one of the representations of traditional folk game among the Korean people. Jegi games started from memories and experiences about Jegi. It also can be interpreted as `cultural tool` to recover pure ego that had been hidden so far in everyday life. Their path started since 2007. Laughter and fun restored through Jegi games, life filled with jealousy and envy, and efforts to share that feelings and experiences with families, friends and neighbors. Since those efforts always existed along them, that path may never be that difficult.

      • KCI등재후보

        급성 S상 결장 폐쇄로 진단된 크론병 1예 보고

        문종하,성치원,김갑태 대한대장항문학회 2004 Annals of Coloproctolgy Vol.20 No.5

        Crohn's disease is an inflammatory bowel disease like ulcerative colitis. Distinct from ulcerative colitis, Crohn's disease may involve any portion of the alimentary tract from the mouth to the anus. Recently, the incidence of Crohn's disease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The proportion of the colon typ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ileocecal type or the small-bowel type. In the colon, Crohn's disease affects mainly the right side. Relatively, the sigmoid colon is rarely involved. Small-bowel obstruction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requiring surgery in Crohn's disease. On the contrary, an obstruction limited to the colon requiring surgery is less common in Crohn's disease. We experienced a case of a severe acute sigmoid colon obstruction with peritonitis. At first, we suspected colon cancer, but after an emergency laparotomy, we diagnosed it as Crohn's disease. Such a situation is rare in Korea, so we hope this case report may provide a good opportunity to reconsider Crohn's disease.

      • KCI등재후보

        갑상선 결절의 감별에서 외과 의사에 의한 초음파의 진단적 유용성

        한규담,성치원,박영삼,김철승,Kyu Dam Han,Chi Won Sung,Young Sam Park and Cheol Seung Kim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08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8 No.3

        <B>Purpose: </B>High resolution ultrasonography has recently become a useful tool to differentiate malignant thyroid nodules from benign thyroid nodules. We performed this study in order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an ultrasonography examination that's performed by endocrinologic surge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onographic characteristics. <P><B>Methods: </B>A retrospective review was undertaken for 312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and a US examination by the operator before surgery due to thyroid nodules at Jesus Hospital from February 2006 to March 2008. The review consisted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ographic parameters, such as the margin, structure, shape, echogenicity, homogeneity, calcification, sponge sign and the width/height ratio. <P><B>Results:</B> On univariate analysis of the non-follicular neoplasm, the significant parameters were the margin, structure, shape, echogeneity, homogeneity, calcification and the width/height ratio. O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argin, structure, shape and echogenecity were significant parameters. On a univariateanalysis of the follicular neoplasm, the significant parameters were the shape, echogenecity, homogeneity and calcification. O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total thyroid nodules, the margin, structure, shape and echogenecity were significant para</B>meters. Especially, hypoechoic and solid structures are the most potent malignant characteristics. <P><B>Conclusion:</B> Among the ultrasonographic characteristics checked by surgeons before surgery, the hypoechogenecity and solid structures are the most useful ones when planning operative management of thyroid nodules.<B> (Ko</B><B></B><B>rean J Endocrine Surg 2008;8:171-176)</B>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