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화칼슘 첨가가 생면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성지혜(Jeehye Sung),김로사(Rosa Kim),지혜(Ji-Hye Moon),박호영(Hoyoung Park),최희돈(Heedon Choi),김윤숙(Yoonso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9

        본 연구는 생면의 저장성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주정처리와 AC 처리 및 주정과 AC의 병용처리를 하여 10℃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AC를 처리한 생면은 대조구와 주정을 처리한 생면보다 pH가 높게 나타났고, 저장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생면의 pH는 약간 감소하였다. AC와 주정을 첨가하여 제조한 생면을 조리한 후 경도, 부착성, 탄성, 응집성, 검성, 씹힘성을 측정하였을 때 첨가제에 관계없이 유의적으로 달랐으나 그 차이는 미비하게 나타났다. 생면의 저장기간 동안 일반세균수는 대조구는 7일, 주정처리는 14일에 일반세균수의 기준치인 6.00 log CFU/g을 넘어섰다. 그러나 AC 0.2%와 주정을 함께 첨가 시 미생물의 생육이 억제되어 생면의 저장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C만 0.2% 첨가 또는 AC 0.1% 및 주정 첨가도 일반세균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저장기간이 연장되는 결과를 보였다. 조리된 생면의 관능검사에 있어서 저장기간 동안에 AC를 처리한 생면은 관능적 특성을 더 오래 유지하였으나 AC의 첨가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생면 제조 시 AC를 첨가하였을 때 10℃에서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of activated calcium (AC) as preservatives for wet noodle manufactur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wet noodle made with sterilized distilled water, 5% alcohol, 0.1% AC plus 5% alcohol, 0.2% AC plus 5% alcohol, and 0.2% AC were evaluated. The total microbial count and pH value of wet noodle were determined during storage at 10℃. During storage at 10℃ for 42 days, pH of wet noodles was slightly decreased with increased storage periods. The pH values of wet noodles made with AC were higher than the others. Instrument textural characteristics (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gness) were measured and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storage period. The total microbial counts in wet noodles increased with extended storage duration. With AC, microbial growth rate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for whole storage period. In sensory evaluation, a little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control and AC or alcohol containing wet noodle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the storage period. It was concluded that shelf-life of wet noodles was extended two-fold or more by adding AC for storage at 10℃.

      • KCI등재

        현미 및 백미의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가 및 향기 패턴 분석

        성지혜(Jeehye Sung),김훈(Hoon Kim),최희돈(Heedon Choi),김윤숙(Yoonso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4

        본 연구에서는 현미 및 백미를 이용하여 시료의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 패턴의 차이를 알아보고 지방산가와 비교하여 현미 및 쌀의 품질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현미는 30℃ 항온기에 넣고 30일간 저장하면서 5일 간격으로 각 시료를 채취하였고 백미는 저장기간의 차이를 두기 위해 생산년도에 따라 시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현미와 백미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지방산가가 크게 증가하여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장기간에 차이를 둔 현미 및 백미의 향기패턴 변화를 SMart Nose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현미와 백미사이에 휘발성 향기성분의 감응도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다양한 변수들의 판별력에 가장 차별성을 높게 표현하는 18종류(41~81 amu)의 질량을 선택하여 주성분 분석 결과 현미의 PCA1 및 PCA2 값 기여율은 각각 95.64%, 2.78%로 나타났고 백미의 PCA1 및 PCA2 값 기여율은 각각 81.18%, 13.85%로 나타났다. 백미보다는 현미의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패턴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두 시료 모두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시료의 PCA1값이 음의 방향으로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쌀의 지방산가는 크게 증가하고 향기패턴이 변화하며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쌀의 품질을 판별하는데 있어서 SMart Nose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진 자료를 활용한다면 기존의 방식들보다 더 용이하게 쌀의 품질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quality of the brown rice (BR) and milled rice (MR) during storage. To assess quality, BR and MR were analysed by their fat acidity and flavor pattern using a SMart Nose<SUP>®</SUP>. BR was stored for 30 days at 30℃, and analysed after 5, 15, 20, and 30 days of storage. MR produced in 2005, 2009, and 2010 were also tested. The fat acidity of both rice groups was increased with extended storage and the fat acidity of BR was more rapidly increased than that of MR in general. The flavor patterns from the SMart Nose<SUP>®</SUP>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he major groups of atomic mass unit (amu) for good discrimination contribution were from 41 to 85 amus. The PCA1 and PCA2 of BR were 95.64% and 2.78%, respectively when the samples were categorized by storage period. The PCA1 and PCA2 of MR were 81.18% and 13.85%, respectively when the samples were compared by production year. Both rice groups could be practically differentiated into flavor patterns by volatile properties for storage period. With regard to the correlation between fat acidity and flavor pattern, we could find that increasing storage period increased fat acidity value and changed flavor pattern from SMart Nose<SUP>®</SUP>. Accordingly, SMart Nose<SUP>®</SUP> could be successfully used for easy screening and quality evaluation of stored rice.

      • KCI등재

        큰눈벼와 일품벼의 발아에 의한 생리활성물질 함량 및 암세포 증식억제활성 변화

        성지혜(Jeehye Sung),이준수(Junsoo Lee),오세관(Sea-Kwan Oh),이점식(Jeom-Sig Lee),최원석(Won-Seok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7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발아를 통해 큰눈벼와 일품벼 두 품종에서의 GABA(γ-aminobutyric acid) 함량, 항산화성분 함량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두 품종의 현미는 발아 과정을 통해 GABA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일품벼의 미강층에서 발아 후 가장 큰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성분의 경우, 큰눈벼에서는 발아 후 polyphenol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flavonoid 함량의 경우 두 품종 모두 발아 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세포 증식억제활성 측정 결과, 폐암 세포주의 경우 두 품종 모두 현미상태에서는 발아 후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위암 세포주에서 발아 후에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이 보다 증가하였다. 따라서 현미의 발아 시 항산화 성분이 용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조건이 확립된다면, 향후 발아현미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보조제 등을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measure the changes in γ-aminobutyric acid (GABA) and polyphenolic content of two different rice varieties (Geunnun and Ilpum), as well as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both germinated brown rice varieties in cancer cells. The contents of GABA in Geunnun and Ilpum, especially in the bran of Ilpum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germination. The content of polyphenol in Geunnun also increased after germination, but the contents of flavonoid in both varieties decreased after germinatio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both varieties on human lung and gastric cancer cell line was observed after germination.

      • SCOPUSKCI등재

        국내에서 소비되는 상용 식품의 비타민 K<sub>1</sub> 함량 분석

        이성응,성지혜,최용민,김영화,정헌상,이준수,Lee, Seongeung,Sung, Jeehye,Choi, Youngmin,Kim, Youngwha,Jeong, Heon-Sang,Lee, Juns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8

        Vitamin $K_1$ (phylloquinone) content of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were determined by solvent extraction followed by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post-column derivatization and fluorescence detection. Samples were obtained in the years of 2013 and 2015. In this study, 46 vegetables, 14 fruits, and 6 legumes were analyzed. Relatively higher amounts of vitamin $K_1$ were found in sweet potato leaves, green kiwi, and mung beans among vegetables, fruits, and legumes, respectively. The content of vitamin $K_1$ in vegetables including spinach, broccoli, and potato ranged from non-detectable (ND) to $1,467.3{\mu}g/100g$. The content of vitamin $K_1$ in fruits ranged from ND to $42.7{\mu}g/100g$. The content of vitamin $K_1$ in legumes, including soybeans, mung beans and peas ranged from 1.7 to $63.4{\mu}g/100g$. In addition, the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parameters including recovery, reproducibility, repeatability, peak purity, and linearity were calculated to ensure the method's validity. The results showed high linearity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99. Overall recovery was close to 100% (n=5). This study revealed reliable vitamin K content in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for a nutritional information and food composition database.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일부 상용식품의 비타민 $K_1$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이 분석방법을 검증하며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각 식품군의 비타민 K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포스트칼럼이 장착된 역상 HPLC를 통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채소류에서는 고구마 잎이 $1,467.3{\mu}g/100g$으로 가장 높았으며, 과일류는 녹색 키위가 $42.7{\mu}g/100g$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두류에서는 녹두가 $63.4{\mu}g/100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분석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선성, 재현성, 반복성, 회수율 및 peak purity를 구하였으며 분석관리 차트를 작성하여 분석 결과 값을 관리하였다. 그 결과 본 시험법에서 표준물질의 피크 머무름시간과 모시잎 시료의 피크 머무름시간이 일치하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검량선의 상관 계수는 0.9999 이상으로 높은 유의 수준을 보여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반복성과 재현성의 변동계수는 각각 2.33, 3.93%로 나타났고 회수율은 103.67%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자료는 표준화된 식품성분표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품종별 장미꽃 메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이선미,이림,성지혜,양진우,김영화,정헌상,이준수,Lee, Seon-Mi,Li, Lin,Sung, Jeehye,Yang, Jinwoo,Kim, Younghwa,Jeong, Heon Sang,Lee, Junsoo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장미꽃 methanol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LPS에 의해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염증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염증 억제의 지표로서는 세포가 방출하는 NO 생성량과 iNOS 및 $NF-{\kappa}B$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품종별 장미꽃 methanol 추출물($500{\mu}g/mL$)이 NO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O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iNOS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LPS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iNOS 단백질의 발현이 장미꽃 methanol 추출물 처리 시 유의적으로 수준으로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Luciferase activity를 실행한 결과, LPS로 자극한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염증과 관련된 $NF-{\kappa}B$ promoter activity가 장미꽃 methanol 추출물 처리시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세포질의 $I{\kappa}B{\alpha}$의 인산화를 저해함으로써 전사요소인 $NF-{\kappa}B$ p65, p50을 핵 속으로 유리시키는 과정을 억제하였다. 이 결과로 장미꽃 methanol 추출물이 전사단계에서 저해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장미꽃 methanol 추출물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만성 질환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genus Rosa (Rosaceae) is an abundant source of phenolics and is traditionally used as a food supplement and as herbal medicine. Various plant phenolics are known to have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ose methanolic extracts (RMEs) from four different rose cultivars (Macarena, Onnuri, Oklahoma, and Colorado) in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RAW 264.7 cells.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pretreatment of REMs ($500{\mu}g/mL$) significantly reduced NO production by suppressing iNOS protein expression in LPS-stimulated cells. Anti-inflammatory effects by RMEs were observed in the following order: Oklahoma > Colorado > Onnuri > Macarena. Consistent with this finding, RMEs inhibited the translocation of $NF-{\kappa}B$ from the cytosol to the nucleus via the suppression of $I{\kappa}B{\alpha}$ phosphorylation and also inhibited LPS-stimulated $NF-{\kappa}B$ transcriptional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MEs exert anti-inflammatory actions and help to elucid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potential therapeutic values of RMEs. Therefore, RMEs could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inflammatory agents.

      • KCI등재

        포도씨 추출물과 분획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한지영(Jiyoung Han),성지혜(Jeehye Sung),김대중(Dae-Jung Kim),정헌상(Heon-Sang Jeong),이준수(Jun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2

        본 연구에서는 포도 가공 부산물인 포도씨를 이용하여 피부노화 및 색소침착에 관련된 tyrosin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폴리페놀 화합물과 총항산화력과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포도씨 80% 메탄올 추출물은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water 층의 순서로 분획되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각 분획물보다 crude한 형태인 methanol 추출물의 효과가 더 높았으며 분획물 중 ethyl acetate 층이 가장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추출물과 분획물 모두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포도씨 분획물 중 ethyl acetate층이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ABTS 라디칼 소거능 또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water 분획층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tyrosinase 활성과 항산화 성분, 항산화 활성 경향이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포도씨는 미백, 항노화 효과로 화장품 산업에서 천연 물질로 잠재적인 기능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ethanolic extract from grape seeds an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 The 80% methanol extracts of grape seeds were fractionated subsequently with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water. The methanolic extract and fractions from grape seeds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 methanolic extracts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ctivity.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the methanolic extract on tyrosinase activity was higher than other fractions.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methanolic extracts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nd contained higher poly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compared to other fraction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polyphenoilc content of methanolic extracts,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were relatively hi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ape seeds may have potential as a depigmentation agent for cosmetics and functional food products.

      • SCOPUSKCI등재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토란분말의 비만억제 및 지질저하 효과

        지혜(Ji-Hye Moon),성지혜(Jeehye Sung),최인욱(In-Wook Choi),김윤숙(Yoonsook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5

        본 연구는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체중과 체내 지질 함량에 미치는 토란분말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수컷 C57BL6 mice를 정상 식이군(Normal), 고지방 대조군(HF), 고지방-토란분말 20%군(HF-Taro 20%), 고지방-토란분말 30%군(HF-Taro 30%)의 4가지 처리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토란분말을 8주 동안 급여한 후 체중, 지방 조직량, 혈청 및 간 지질농도, 혈중 leptin 및 인슐린 농도, 간조직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 활성도 및 간조직의 지질 침착도를 관찰 하였다. 고지방 대조군(HF)의 체중은 정상식이군(Normal)에 비해 약 75%가 증가하였으며 HF-Taro 20% 및 HF-Taro 30% 처리군에서는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각각 12.5, 14%가 감소하여 고지방식이에 토란분말을 첨가시 마우스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낮추었다. 또한 토란분말 첨가군은 내장지방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혈청 중성지방의 농도는 고지방 대조군(HF)이 정상식이군(Normal)에 비해 약 89%가 증가하였다. HF-Taro 20% 및 HF-Taro 30% 처리군에서는 고지방대조군에 비해 각각 62, 81%가 감소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LDL 콜레스테롤 농도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토란분말 첨가에 의하여 지질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청 leptin 농도 및 인슐린 농도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토란분말의 간기능 개선 효과는 고지방 식이에 의하여 지방간이 유발되어 간의 중량이 증가하였으며 간세포질에 지방공포가 많이 출현하였으나 토란분말 첨가군에서는 상대적으로 지방 침착이 억제되었고 지방세포의 크기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간조직의 중성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 대조군에서 각각 3.6배, 1.8배 증가하였으나 토란분말 첨가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간 효소치인 AST 및 ALT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고지방 식이에 토란분말을 첨가하여 마우스에 급여했을 때 비만을 억제하고 혈청 지질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ro powder on body weight and lipid metabolism in high fat and cholesterol fed mice.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normal) diet group, a high fat and cholesterol (HF) diet group, and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 groups with 20% taro powder (HF-taro 20%) and 30% taro powder (HF-taro 30%). After 8 weeks, body weight in the HF group increased to 175% of the normal group, while those of HF-taro 20% and HF-taro 30% group decreased by 12.5 and 14% compared to the HF group. The HF-taro 20% and HF-taro 30% groups had significantly reduced epididymal adipose tissue weight. Plasma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while their amounts were significantly diminished in the HF- taro 20% and HF- taro 30% groups. Furthermore, the leptin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blood plasma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HF-taro 20% and HF-taro 30% groups. Accumulation of triglycerides and cholesterol in the liver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HF- taro 20% and HF-taro 30% groups through liver weights, a blood analysis, and histological find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ro powder may be an effective material for anti-obesity by reducing plasma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levels.

      • KCI등재

        국내에서 소비되는 상용 식품의 비타민 K₁ 함량 분석

        이성응(Seongeung Lee),성지혜(Jeehye Sung),최용민(Youngmin Choi),김영화(Youngwha Kim),정헌상(Heon-Sang Jeong),이준수(Jun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8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일부 상용식품의 비타민 K₁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이 분석방법을 검증하며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각 식품군의 비타민 K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포스트칼럼이 장착된 역상 HPLC를 통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채소류에서는 고구마 잎이 1,467.3 μ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과일류는 녹색 키위가 42.7 μg/100 g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두류에서는 녹두가 63.4 μ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분석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선성, 재현성, 반복성, 회수율 및 peak purity를 구하였으며 분석관리 차트를 작성하여 분석 결과 값을 관리하였다. 그 결과 본 시험법에서 표준물질의 피크 머무름시간과 모시잎 시료의 피크 머무름시간이 일치하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검량선의 상관계수는 0.9999 이상으로 높은 유의 수준을 보여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반복성과 재현성의 변동계수는 각각 2.33, 3.93%로 나타났고 회수율은 103.67%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자료는 표준화된 식품성분표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itamin K1 (phylloquinone) content of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were determined by solvent extraction followed by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post-column derivatization and fluorescence detection. Samples were obtained in the years of 2013 and 2015. In this study, 46 vegetables, 14 fruits, and 6 legumes were analyzed. Relatively higher amounts of vitamin K1 were found in sweet potato leaves, green kiwi, and mung beans among vegetables, fruits, and legumes, respectively. The content of vitamin K1 in vegetables including spinach, broccoli, and potato ranged from non-detectable (ND) to 1,467.3 μg/100 g. The content of vitamin K1 in fruits ranged from ND to 42.7 μg/100 g. The content of vitamin K₁ in legumes, including soybeans, mung beans and peas ranged from 1.7 to 63.4 μg/100 g. In addition, the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parameters including recovery, reproducibility, repeatability, peak purity, and linearity were calculated to ensure the method"s validity. The results showed high linearity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99. Overall recovery was close to 100% (n=5). This study revealed reliable vitamin K content in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for a nutritional information and food composition datab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