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국내에서 소비되는 상용 식품의 비타민 K<sub>1</sub> 함량 분석

        이성응,성지혜,최용민,김영화,정헌상,이준수,Lee, Seongeung,Sung, Jeehye,Choi, Youngmin,Kim, Youngwha,Jeong, Heon-Sang,Lee, Juns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8

        Vitamin $K_1$ (phylloquinone) content of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were determined by solvent extraction followed by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post-column derivatization and fluorescence detection. Samples were obtained in the years of 2013 and 2015. In this study, 46 vegetables, 14 fruits, and 6 legumes were analyzed. Relatively higher amounts of vitamin $K_1$ were found in sweet potato leaves, green kiwi, and mung beans among vegetables, fruits, and legumes, respectively. The content of vitamin $K_1$ in vegetables including spinach, broccoli, and potato ranged from non-detectable (ND) to $1,467.3{\mu}g/100g$. The content of vitamin $K_1$ in fruits ranged from ND to $42.7{\mu}g/100g$. The content of vitamin $K_1$ in legumes, including soybeans, mung beans and peas ranged from 1.7 to $63.4{\mu}g/100g$. In addition, the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parameters including recovery, reproducibility, repeatability, peak purity, and linearity were calculated to ensure the method's validity. The results showed high linearity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99. Overall recovery was close to 100% (n=5). This study revealed reliable vitamin K content in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for a nutritional information and food composition database.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일부 상용식품의 비타민 $K_1$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이 분석방법을 검증하며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각 식품군의 비타민 K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포스트칼럼이 장착된 역상 HPLC를 통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채소류에서는 고구마 잎이 $1,467.3{\mu}g/100g$으로 가장 높았으며, 과일류는 녹색 키위가 $42.7{\mu}g/100g$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두류에서는 녹두가 $63.4{\mu}g/100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분석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선성, 재현성, 반복성, 회수율 및 peak purity를 구하였으며 분석관리 차트를 작성하여 분석 결과 값을 관리하였다. 그 결과 본 시험법에서 표준물질의 피크 머무름시간과 모시잎 시료의 피크 머무름시간이 일치하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검량선의 상관 계수는 0.9999 이상으로 높은 유의 수준을 보여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반복성과 재현성의 변동계수는 각각 2.33, 3.93%로 나타났고 회수율은 103.67%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자료는 표준화된 식품성분표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국내에서 소비되는 상용 식품의 비타민 K₁ 함량 분석

        이성응(Seongeung Lee),성지혜(Jeehye Sung),최용민(Youngmin Choi),김영화(Youngwha Kim),정헌상(Heon-Sang Jeong),이준수(Jun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8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일부 상용식품의 비타민 K₁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이 분석방법을 검증하며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각 식품군의 비타민 K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포스트칼럼이 장착된 역상 HPLC를 통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채소류에서는 고구마 잎이 1,467.3 μ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과일류는 녹색 키위가 42.7 μg/100 g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두류에서는 녹두가 63.4 μ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분석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선성, 재현성, 반복성, 회수율 및 peak purity를 구하였으며 분석관리 차트를 작성하여 분석 결과 값을 관리하였다. 그 결과 본 시험법에서 표준물질의 피크 머무름시간과 모시잎 시료의 피크 머무름시간이 일치하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검량선의 상관계수는 0.9999 이상으로 높은 유의 수준을 보여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반복성과 재현성의 변동계수는 각각 2.33, 3.93%로 나타났고 회수율은 103.67%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자료는 표준화된 식품성분표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itamin K1 (phylloquinone) content of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were determined by solvent extraction followed by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post-column derivatization and fluorescence detection. Samples were obtained in the years of 2013 and 2015. In this study, 46 vegetables, 14 fruits, and 6 legumes were analyzed. Relatively higher amounts of vitamin K1 were found in sweet potato leaves, green kiwi, and mung beans among vegetables, fruits, and legumes, respectively. The content of vitamin K1 in vegetables including spinach, broccoli, and potato ranged from non-detectable (ND) to 1,467.3 μg/100 g. The content of vitamin K1 in fruits ranged from ND to 42.7 μg/100 g. The content of vitamin K₁ in legumes, including soybeans, mung beans and peas ranged from 1.7 to 63.4 μg/100 g. In addition, the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parameters including recovery, reproducibility, repeatability, peak purity, and linearity were calculated to ensure the method"s validity. The results showed high linearity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99. Overall recovery was close to 100% (n=5). This study revealed reliable vitamin K content in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for a nutritional information and food composition database.

      • KCI등재

        조리에 의한 곡류와 두류의 비타민 E 및 K 함량 변화와 영양소 보존율

        심웅(Ung Sim),이성응(Seongeung Lee),이상훈(Sang Hoon Lee),최용민(Youngmin Choi),이준수(Jun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6

        본 연구는 곡류 5종과 두류 5종을 대상으로 조리 전후의 비타민 E와 K의 함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조리 중 발생하는 시료의 중량 변화와 비타민 함량 변화를 고려하여 영양소 보존율을 나타내었으며 분석방법을 검증하였다. 곡류와 두류 모두 끓인 후 중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곡류의 비타민 E 영양소 보존율은 73.5~104.9%였으며 현미에서 가장 높고 귀리에서 가장 낮았다. 두류의 비타민 E 영양소 보존율은 88.8~125.3%였으며 영양소 보존율이 100% 이상인 것은 검은콩, 팥, 대두였다. 비타민 K의 영양소 보존율은 검정콩(107.2%), 강낭콩(104.8%), 대두(104.2%), 녹두(91.8%), 팥(69.5%)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수율, peak purity, 반복성 및 재현성을 측정하였다. 회수율의 경우 곡류는 현미, 두류는 녹두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88.8~102.7%로 나타났고 peak purity는 같은 파장에서 측정된 표준용액과 시료의 peak ratio가 매우 유사하였다. 반복성 및 재현성의 변동계수는 현미의 α-토코트리에놀, 녹두의 α-토코페롤과 비타민 K를 제외하곤 6% 이내로 우수하였다. 3가지 성분의 변동계수가 6%를 초과한 이유는 시료 중 함량이 너무 미량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vitamin E and K contents of cereals and legumes according to the cooking process. True retention was assessed using a formula that compensated for the loss or gain of moisture and soluble solids. The true retention of vitamin E in cereals and legumes by cooking ranged from 73.5 to 104.9% and from 88.8 to 125.3%, respectively. The highest true retention of cereals was observed in boiled brown rice, whereas the lowest retention was in boiled oats. In the case of legumes, the highest true retention was found in boiled red bean while the lowest true retention was found in boiled mung bean. Vitamin K was detected in all legumes but not in cereals. The true retention of vitamin K in legumes ranged from 69.5 to 107.2%. The results of the validation parameters showed that the analytical methods were reliable and reproducible for determining the vitamin E and K level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appropriate cooking methods for cereals and legu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