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탈출증에서 자궁적출술은 필수적인가?

        안가영 ( Ka Young Ahn ),홍재식 ( Jae Shik Hong ),김나영 ( Na Young Kim ),이현주 ( Hyun Joo Lee ),이희정 ( Hee Jung Lee ),최노미 ( Noh Mi Choi ),한호섭 ( Ho Seup Han ),성석주 ( Suk Joo Sung ),김주명 ( Joo Myung Kim ),주관영 ( Kwa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목적: 증상 있는 자궁탈출증의 수술적 치료로서 천골가시인대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경우와 자궁을 보존한 경우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8년 3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천골가시인대 고정술을 시행한 155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자궁을 보존한 경우는 83예 (A군)였으며,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경우는 72예 (B군)였다. 결과: 평균 수술시간, 수술 전과 수술 후 1일 째 헤모글로빈 차이, 요도관 제거까지 기간, 입원기간은 A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수술 후의 재발은 A군에서 14.5%, B군에서 12.5%로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2% vs, 6.9%). 결론: 자궁을 보존한 상태에서 천골가시인대 고정술을 시행함이 자궁적출술을 시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자궁탈출증의 수술적 치료로서 차이가 없고, 따라서 자궁탈출증의 수술적 교정 시에 자궁적출술이 필수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sacrospinous colpopexy without hysterectomy and with hysterectomy for symptomatic uterine prolapse.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in the women who underwent sacrospinous ligament suspension between March 1998 and March 2002. A hundred fifty five women with a symptomatic uterine prolapse were treated with either sacrospinous colpopexy without hysterectomy and/or anterior-posterior repair (83 cases=Group A) or sacrospinous colpopexy with hysterectomy and/or anterior-posterior repair (72 cases=Group B).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surgery, hemoglobin change, catheter days and inpatient days were shorter in group A compared with group B. (Group A 102.5±33.4 min, 2.4±0.7 ㎎/dL, 5.2±1.4 days, 7.6±2.2 days vs. Group B 135.3±33.9 min, 2.9±0.8 ㎎/dL, 6.1±2.1 days, 9.4±3.7 days, p<0.05 respectively) Recurrent pelvic organ prolapse developed in 14.5% in group A and 12.5% in group B. Six patients (7.2%) in group A and 5 patients (6.9%) in group B required repeat operation for recurrent pelvic organ prolapse. Conclusions: Sacrospinous colpopexy without hysterectomy and with hysterectomy are equally effective surgical operation for uterine prolapse. This study shows that hysterectomy is not essential for the correction of uterine prolapse.

      • KCI등재

        조산예측을 위한 임신중기 자궁경부 길이측정의 효용성연구

        김문영,최은화,양재혁,최규홍,한정렬,류현미,김혜옥,성석주,정상희,조준형,안현경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2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단태아에 있어서 임신중기 경질초음파로 측정한 자궁경부의 길이와 조산과의 관계를 보고자 함이다. 방법 : 임신 24주와 28주 사이에 삼성제일병원 외래에 내원한 498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자궁경부의 길이를 측정하여 짧아진 자궁경부의 길이와 조산위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산은 임신 37주 이전에 분만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 총 498명 중 임신중독증, 태아기형, 태아가사, 전치태반, 자궁경관무력증 등이 있었던 21명을 제외한 47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그중 36명이 조산되어 조산율은 7.5%였다. 평균 자궁경부길이는 34.4±3mm(평균±표준편차)이었다. 이시기에 평균 자궁경부길이의 75, 50, 25, 10 percentile에 해당되는 자궁경부의 길이는 각각 39.2mm, 34.0mm, 30.0mm, 24.6mm였고, 자궁경부의 길이가 75 percentile 이상이었던 산모들과 비교하였을때 자궁 경부길이가 75, 50, 25, 10 percentile이하이었던 산모에서 조산의 위험도(Odd ratio)는 각각 0.96, 2.88, 2.93, 7.37로 증가하였다. 자궁경부의 길이가 30mm이하(25 percentile)이었을때 조산예측의 민감도는 47.2%, 특이도는 76.2%, 양성예측도는 13.9%, 음성예측도는 94.6%이었으며, 자궁경부길이가 25mm이하(10 percentile)이었을때는 각각 27.8%, 90.2%, 18.9%, 94.1%이었다. 자궁경부길이가 30mm이하이었던 경우와, 25mm이하이었던 경우 조산위험도는 각각 3.57(95%CI 1.61-7.91), 2.86(95%CI 1.44-5.71)이었다. 또한, 자궁경부길이가 35mm 보다 길었던 경우 조산율은 0.3%에 불과 하였다. 결론 : 임신중기의 자궁경부 길이가 짧을수록 조산의 위험도는 증가하며, 임신 24-28주 사이의 질식초음파를 이용한 자궁경부의 길이측정은 조산예측에 좋은 지표로 이용될수 있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hypothesis that length of the cervix measured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is associated with preterm delivery. Methods : Cervical length was measured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in 477 normal singletone pregnancies(349 primigravid, 128 multigravid) between 24-28 week's gestation. We then assessed the relation between cervical length and the risk of preterm delivery. Results : The mean cervical length was 34.3±3mm. The prevalence of preterm delivery were 7.5%(36/477). When women with shorter cervixes at 24-28 weeks were compared with women with values above the 75th percentile, the relative risks of preterm delivery among the women with shorter cervixes were as follows: 0.97 for cervical lengths between 50-74th percentile, 2.89 for lengths between 25-49th percentile, 2.93 for lengths between 10-24th percentile, 7.37 for lengths at or below the 9th percentile (p$lt;0.05). The cervical length ≤30mm in the prediction of preterm delivery in this data set yielded a sensitivity of 47.2%, a specificity of 76.2%, a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13.9%, and a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94.6%. The cervical length ≤25mm in the prediction of preterm delivery in this data set yielded a sensitivity of 27.8%, a specificity of 90.2%, a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18.9%, a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94.1%. Conclusion : Cervical length measured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during 24-28 week's gestation is a useful predictor of preterm delivery in low-risk singletone pregnancies.

      • 양수과소증 산모에서 경복부 양수주입술 후 원인별 임상성적 비교

        김문영,최은화,양재혁,최규홍,한정열,성석주,정상희,조준형,안현경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1

        목적 : 다양한 원인에 의한 양수과소증 산모에서 경복부 양수주입술 후 임상성적을 비교하고 그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과 방법 : 1994년 8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삼성제일병원을 방문한 산모중에서 양수과소증으로 경복부 양수주입술을 시행했던 임신 2기와 임신 3기의 단태 산모 2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양수과소증의 추정원인을 분석하여 각 원인에 따른 신생아 생존률, 체중, Apgar score, 재원기간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성, 신생아 합병증 또한 분석하였다. 결과 : 첫번째 양수주입시 임신주수는 26.8±5.8주였으며 분만시의 평균임신주수는 29.5±6.2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01)를 보였는데 이는 태아 생존 가능시기까지의 연장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태아기형을 제외한 각 원인별 임상성적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원인미상이나 자궁내 태아성장부전을 동반한 경우 예후가 좋은 경향을 보인다. 또한 발생한 몇가지 합병증은 적극적 처치로 치유 가능하였다. 결론 : 양수과소증 임산부에서 양수주입술은 태아의 선천성기형등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원인미상이나 자궁내 태아성장부전을 동반한 양수과소증의 경우 신생아 생존에 유리한 시기의 제태연령까지의 임신유지에 사용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efficiency and fetal outcome following antepartum transabdominal amnioinfusion in various causes of oligohydramnios. Materials and Methods : Forty four transabdominal amnioinfusion were performed in twenty seven cases of singleton pregnancy with severe oligohydramnios. Severe oligohyadrmnios defined as amnionic fliud index of 5cm or less than. In all cases, high resolution sonographies were done before and after amnioinfusion in order to detect fetal anomalies. Transabdominal amnioinfusion was performed through a closed system with warmed normal saline. Results : Infusion (mean volume 435.9ml) of normal salin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mniotic fluid index from 3.2cm to 7.5cm. The causes of oligohydramnios were as follows,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was 8 cases (29.6%),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as 10 cases (37.0%), congenital anomaly was 4 cases (14.8%) and idiopathic was 5 cases (18.5%). The gestational weeks were prolonged significantly from 26.8 weeks to 29.5 weeks. The overall survival rate except congenital anomalies was 67%. Babies with idiopathic oligohydramnios were heavier and required less hospitalization dates than those of badies with oligohydramnios of other cause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several complications as follows, chorioamnionitis 2 cases, neonatal sepsis 2 cases,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2 cases and fetal bradycardia 1 case. All of the babies discharged healthy without sequele.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antepartum transabdominal amnioinfusion is a relatively safe procedure. And i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amnionic fluid index and prolong the gestational age which is optimal for neonatal survival in oligohydramnios of idiopathic cause or with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