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COVID-19에 대한 두려움 측정도구 타당도와 신뢰도

        성미현,김인숙,강미란,이미순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는 COVID-19에 대한 두려움 측정도구(FCV-19S)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FCV-19S-K의 번역은 번역-역번역 과정을 통하였으며 내용타당도, 문항분석, 구성타당도, 수렴, 판별 및 준거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데이터는 208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내적 일관성 및 Guttman split-half coeffiicient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FCV-19S-K는 7개 문항으로 최종 확정되었고 Cronbach’s α= .87, Guttman split-half coeffiicient .84로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전체 문항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었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개의 요인으로 산출되었고 2개 요인은 .70~.82의 요인적재량을 보였고 전체 분산의 71.2%를 설명하였다. 2개 요인은 ‘COVID-19에 대한 생리적 반응’ Cronbach’s α= .86과 ‘COVID-19에 대한 정서적 반응’ Cronbach’s α= .81 이었으며, 수렴, 판별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FCV-19S-K와 Korean Anxiety Screening Assessment(K-ANX)의 상관관계를 분석결과 FCV-19S-K와 K-ANX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 .56, p<.001). 본 연구를 통해 FCV-19S-K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FCV-19S-K가 COVID-19에 대한 두려움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추후연구에서 FCV-19S-K를 통해 COVID-19로 인한 심리사회적 반응에 대한 연구 및 간호 실무에 대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FCV-19S by developing the fear measuring tool (FCV-19S-K) for Korea's situation. Translation of the FCV-19S-K was validated through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ethod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08 general people.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ere evaluated.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Guttman split-half coefficient were calculated to assess reliability. This study confirmed that FCV-19S-K was finalized with seven questions, and reliability was confirmed with Cronbach's .8= .87, Guttman split-half coefficient .84. The overall questions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two factors, with two factors having a factor load carrying capacity of .70–.82 and accounting for 71.2% of the total variance. The two factors were 'physiological response to COVID-19' Cronbach's α= .86 and 'emotional response to COVID-19' α= .81, and the convergenc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FCV-19S-K and K-ANX showed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FCV-19S-K and K-ANX(r= .56, p<.001).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FCV-19S-K have been verified through this study, and the rationale is that FCV-19S-K can be used to measure the fear of COVID-19.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and nursing practice on psychological and social reactions caused by COVID-19 through FCV-19S-K.

      • KCI등재
      • KCI등재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

        성미현(Mihyeon Seo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20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 유형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는 심층면담을 통해 Q 모집단을 구성하여 Q 방법론에 정통한 교수 3인과 연구자가 조정하여 Q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50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으며 25명의 중년여성이 P-표본으로 선정되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약 3개월이었으며 PQ Method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은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1유형 ‘건강순응형’, 2유형 ‘욜로형’, 3유형 ‘자녀성공형’, 4유형 ‘성숙형’, 5유형 ‘이상형’이었다. 본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 5가지 유형에는 건강한 삶, 여가, 경제력이 뒷받침되며, 지혜와 성숙,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체계를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유형의 주관적 측면의 이해를 높이고, 통찰력을 제공하여 앞으로 중년여성들의 성공적 노화를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전략을 연구하고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Q methodologie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type of successful aging perception in middle age. The study organized the Q popul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select 50 Q samples that could represent the Q population by coordination with three professors and researchers familiar with the Q methodology, and 25 middle-aged women were selected as P-samples. The data collection was about three months from December 2018 to February 2019 and was analyzed using the PQ Method Program. According to this study, middle-aged women s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was divided into five types: Type1 health adaptation type, Type2 yolo type, Type3 the success of one s children type, Type4 maturity type and Type5 ideal typ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ive types of successful aging perceptions of middle-aged women are supported by healthy life, leisure, and economic power, and they all recognize wisdom and maturity, and a positive social support system.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researching and developing effective nursing strategies that can help middle-aged women face successful aging in the future by enhancing understanding of each type of subjective aspect and providing insight.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우울 및 자기효능감 비교연구: Type D 성격군과 non-Type D 성격군을 중심으로

        성미현 ( Seong Mi Hyeon ),김옥선 ( Kim Ok Sun ),정연옥 ( Jung Youn Ok ),석소현 ( Sok Sohyune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7 정신간호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clinical practicum stres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between Type D and non-Type D personality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urvey design. Subjects included a total of 120 nursing students (Type D personality: n=60, non-Type D personality: n=60) in Seoul,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descriptive statistics, x<sup>2</sup>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COVA, and Scheffe test as a post hoc test with SPSS/WIN 21.0 program.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clinical practicum stress (t=2.81, p=.029), depression (t=6.67, p<.001), and self-efficacy (t=9.84. p<.001) between non-Type D and Type D personality among nursing students. Conclusion: Type D personality in nursing students had higher clinical practicum stress and depression than them of non-Type D personality in nursing students. Nursing interventions or strategies for Type D personality in nursing students are needed to decrease clinical practicum stress and depression.

      • KCI등재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유형, 대인관계 능력,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미현(Mi-Hyeon Seong),남혜리(Hye-Ri Na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과에 재학중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유형, 대인관계 능력 및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2016년 3월 1일부터 4월 1일까지 간호과 대학생 169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이 32%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해본 결과,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특성에서 동아리유무, 스마트폰 사용동기와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주요변수에서 스트레스 대처유형의 하위영역 문제 중심, 희망적 관측과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문제중심(β=-3.278, p=.031)과 희망적 관측(β=.117, p=.044)을 많이 사용할수록, 자존감(β=-3.149 p=.009)이 낮을수록, 동아리(β=2.744 p=.019)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스마트폰 사용동기(β=-1.122 p=.003)가 의사소통을 위해서일수록, 스마트폰 사용시간(β=2.975 p=.000)이 많을수록 스마트폰 중독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설명력은 43.6%였다. 따라서 간호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특성을 포함한 영향변인들을 고려하여 중독정도에 따른 차별화된 중재전략을 개발·적용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ress coping style,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esteem on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smartphone addi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9 nursing students and analyzed with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21.0 program. The smartphone addiction risk was shown to be 32%.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smartphone addiction were problem focused coping style (β=-3.278, p=.031), hopeful prediction (β=.117, p=.044), circles presence (β=2.744 p=.019), motive for smartphone usage (β=-1.122 p=.003), and average daily using time (β=2.975 p=.000). These factors explained 43.6% of the variance in smartphone addic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smartphone addiction, with consideration to the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outlined in this study

      • KCI등재

        한국판 백신주저성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검증

        성미현(Seong, Mi-Hyeon),김인숙(Kim, In-Sook),윤채민(Yoon Chae-Min)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백신주저성 측정도구(Vaccine Hesitancy scale)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한국판 백신주저성 측정도구의 번역은 번역-역번역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데이터는 탐색적요인분석에 150명, 확인적요인분석에 250명 총 400명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주성분분석과 Varimax회전을 하였으며 aiser-Meyer-Olkin(KMO)검정과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을 통해 두 개의 요인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한국판 백신주저성 측정도구(K-VHS)는 총 9개의 문항으로 최종 확정되었고, 요인 1 ‘신뢰부족’ 7문항, ‘위험’ 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70이었으며, 구성타당도 검정에서 수정지수(Modification Intex)를 적용하여 수정한 모델을 구축하고 외생잠재변수의 측정오차간 상관관계를 설정한 후 모델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χ2=19.16(p<.001), CMIN/DF=1.07, GFI=.98, RMR=.02, SRMR=.02, RMSEA=.02, TLI= .99, IFI= .99, NFI= .96, CFI= .99로 나타났다. 또한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자기효능감 측정도구와 상관관계를 분석결과 유의한 부적상관관계(r= -.21, p= .001)를 보였으나, 준거타당도 기준에는 부합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판 백신주저성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백신주저성 측정도구가 사람들의 백신 예방접종에 대해 망설임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추후연구에서 한국판 백신주저성 측정도구를 통해 사람들의 예방행위에 대한 연구 및 간호실무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accine hesitancy scale by developing it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Korea. The transl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vaccine hesitancy measurement tool was made through the translation-reverse translation process, and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general adults, 150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25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were performed. Two factors were confirmed through Kaiser-Meyer-Olkin(KMO) test and Bartletts sphericity tes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vaccine hesitancy measurement tool (K-VHS) was finally confirmed with a total of 9 items, and factor 1 consists of 7 items of ‘lack of trust’ and 2 items of ‘risk’.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as Cronbachs α = .70, and the model fit was analyzed after establishing a model modified by applying the Modification Intex in the construct validity test, establish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 errors of exogenous latent variables. Results: χ²=19.16 (p<.001), CMIN/DF=1.07, GFI=.98, RMR=.02, SRMR=.02, RMSEA=.02, TLI= .99, IFI= .99, NFI= . 96, CFI = .99. In addi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 = -.21, p = .001) to verify the criterion validity, but it did not meet the criterion validity criteria. Through this stud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vaccine hesitancy measurement tool was verified, and the evidence that the vaccine hesitancy measurement tool could be used to measure peoples hesitation about vaccination was presented. In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vaccine hesitancy measurement tool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preventive behavior and nursing practice.

      • KCI등재

        성인의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에 대한 두려움, 건강태도, 및 공포의 관계

        성미현 ( Mihyeon Seong ),강미란 ( Miran Kang ),김인숙 ( Insook Kim ),이미순 ( Misoon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COVID-19에 대한 두려움, 질병태도 및 COVID-19에 대한 공포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190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한달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COVID-19에 대한 두려움이 건강태도를 통해 COVID-19에 대한 공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COVID-19로 인한 예방접종, 치료 등 외적인 통제에서 벗어나 환자 및 국민의 정서적 영역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변수를 통해 COVID-19에 대한 두려움, 공포를 낮추고 건강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COVID-19, disease attitude and fear of COVID-19. The study subjects collected data from 190 adults over the age of 19 through an online survey in July 2020.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fear of COVID-19 affects fear of COVID-19 through health attitud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motional realm of patients and the public beyond external control such as vaccination and treatment due to COVID-19.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tervention plan to lower the fear and fear of COVID-19 and to improve the health attitude.

      • KCI등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를 위한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 효과

        조은경,성미현,이윤신,석소현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1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노인 낙상에 대한 지식과 태도, 낙상예방 자기효능감에 대한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 소재 D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실험군, 대조군 각 20명씩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예비교육 프로그램은 타당도 검증을 거쳐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3월부터 5월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지식(F=189.03, p<.001), 태도(F=761.74, p=.003), 낙상예방 자기효능감(F=188.50, p=.002)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과적으로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노인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낙상예방 자기효능감을 향상한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임상실무 현장에서 간호사의 낙상예방행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중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 on the 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self-efficacy of nurses working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general hospital. A quasi-experiment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included a total of 40 nurses as the subjects (Intervention: n=20, Control: n=20) working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general hospital, Seoul. Data were collected form March through May, 2017.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higher knowledge (F=189.03, p<.001), attitude (F=761.74, p=.003), and self-efficacy (F=188.50, p=.002) scores than them of control group. The fall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 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self-efficacy of nurses working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general hospital.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systemic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preventive behavior on falls.

      • KCI등재

        항암화학요법에 관한 가족참여 개별교육이 암환자의 자가간호 지식, 자가간호 수행, 가족지지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고숙미,성미현,조영미,석소현 병원간호사회 2018 임상간호연구 Vol.24 No.1

        Purpose: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education about chemotherapy for cancer patients as well as their family who are receiving the first chemotherapy on self-care knowledge, self-care performance, family support, and anxiety level.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sed in this interventional study. A total of 50 patients with cancer aged above 19 in the K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Experimental group: n=25, Control group: n=25). The education about chemotherapy was offered one week after hospital discharge, which was followed by telephone counseling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WIN 20.0 program using percentag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x2 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better self-care knowledge (t=4.094, p<.001), self-care performance (t=3.532, p=001), family support (t=2.170, p=.035), and anxiety control (t=4.780, p<.001)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dividual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in the clinical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