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과대학 연구력 향상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연구 활성화 요인

        김인숙,양은배,Kim, Insook,Yang, Eunbae B.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15 의학교육논단 Vol.17 No.2

        Including the research in the medical curriculum is regarded as an important issue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experience at medical school has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and it motivates them to undertake further research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o activate the research of medical school students. We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research curriculum in medical school.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41 targeted medical school students from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A total of 370 students from 26 medical schools responded. Benefits through research activities were to study about the areas of interest, as researchers had th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professors and career. Students, furthermore, had difficulties in research due to data collection, the lack of research space and research funding. Requirements to activate the research were the time to participate in research activities, opening regular research courses, preparation of practical research program and motivation for such research. The medical school would need to improve the medical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 and situation the school is facing based upon the in-depth analysis results of what the medical school is pursuing through the research activities, what the students want, what the potential difficulties are, and what the requirements are to improve the research curriculum.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공간에 대한 선호도 분석

        김인숙(Insook Kim),양지희(Jihee Yang)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0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4 No.2

        평생교육은 제 4차 산업혁명, 사회적 갈등 증폭 등 불안정하고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 지속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핵심전략으로써 그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 필요 공간에 대한 평생학습의 주체인 시민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향후 평생교육 공간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평생교육 공간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평생교육의 필요 공간 및 구성안을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평생교육 공간별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25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량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도출된 평생교육 공간은 힐링공간, 첨단 스마트공간, 복합문화공간, 집중 학습공간의 4가지 대분류와 18가지 소분류로 분석되었다. 최종 제안된 4가지 공간의 세부 공간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힐링공간은 녹지공간, 카페 등 소통공간, 오락공간, 전신안마기 등이 비치된 휴식공간, 독립된 명상공간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첨단 스마트공간은 3D프린팅룸, XR(eXtended Reality, 확장현실)존, 드론체험장, 사물인터넷(IoT) 기술 융합 체험장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복합문화공간은 소공연장, 미술, 사진 작품 전시장, 세공, 드로잉 등의 실습장, 음악감상 및 악기 연주실, 사진 촬영 스튜디오로 구성하였다. 넷째, 집중 학습공간의 경우 도서관, 토론, 토의가 가능한 회의실, 개별 스터디룸, 오픈 스터디룸으로 구성하였다. 최종 도출된 18개의 평생학습 공간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평생학습 공간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공간은 첫 번째가 도서관, 두 번째가 녹지 공간, 세 번째가 카페 등 소통공간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평생학습 주체인 시민의 요구에 맞는 효과적인 평생교육 공간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scalating social conflict, Lifelong education is increasingly needed as a core strategy for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amid unst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itizen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lifelong education spa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is derived necessary space and composition plan for lifelong education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and confirmed the preference of each lifelong education space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the lifelong education space was analyzed in 4 sections and 18 subsections: The healing space, The high-tech space,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The intensive learning space. First, the healing space is composed of the green space, communication space, recreational space, rest space and independent meditation space. Second, The high-tech space is composed of 3D printing room, eXtended Reality zone, drone space and Internet of Things(IoT) technology space. Thirdly, The complex cultural space is composed of concert hall, exhibition, workroom for craftsmanship and drawing, music room for listening and playing and photo studio. Fourth, The intensive learning space is composed of library, conference rooms for discussion, individual study room and open study room. According to a survey on preferences of lifelong learning spaces, the first is a library, the second is a green space, and the third is a communicatio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create an effective lifelong education space that meets the needs of citizens who are the subjects of lifelong learning.

      • AAL2를 적용한 PCS와 ATM 결합

        김인숙(InSook Kim),송주석(JooSeok Song)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A

        이동 전화의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적은 지연과 높은 대역 효율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typel type3/4, type5의 AAL(ATM Adaptation Layer)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현재 새로이 거론되고 있는 AAL2는 여러 사용자로부터의 음성데이터 또는 잡음 데이터 등과 같은 짧은 가변 길이 데이터를 한 ATM 셀의 패이로드에 합쳐 전송하므로 적은 지연과 높은 대역 효율성을 갖는다. 본 논문은 AAL2를 PCS와 ATM 결합 모델에 적용한 이동 진화 종간 연결 구성에 대한 방안과 그 효율성을 보인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A구 평생교육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평생교육 이해관계자를 중심으로

        김인숙(Insook Kim),양지희(Jihee Yang)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1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A구 평생교육에 대한 지역 주민의 평생학습 참여 실태 및 인식과 평생교육 관계자의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지역 주민의 평생학습 참여 확대를 통한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구 평생교육관련 현존자료 및 선행문헌 분석을 실시하고, 지역 성인학습자와 평생교육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평생교육 관계자 및 주민 평생교육 활동가를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FGI)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평생학습 참여 확대를 통한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적 평생학습 네트워크 기반 마련이다. 지역을 연결하는 평생교육체계를 통해 통합적 평생학습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관내 기관 및 실무자 네트워크형성을 통해 평생교육 체계화 및 연계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 공감 평생교육 체계 마련이다. 학습자의 생애발달 단계를 고려한 체계적인 평생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학습 정보, 홍보 등을 일원화한 온라인 학습 플랫폼 구축,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위한 운영제도를 개편하는 것이다. 셋째, 배움-나눔-재성숙의 평생학습 선순환 기반 마련이다. 학습동아리 발전 단계별 지원 체계, 지역사회 통합 평생학습운영 방안, 교육 사각지대 해소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넷째, 학습자 주도 평생학습 기반 마련이다. 학습자 연대 평생학습 운영 체계와 평생학습을 통한 배움-나눔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학문적, 실천적 측면에서 개별 자치구 평생교육 참여 실태 및 인식 조사를 통해 지역 주민 맞춤형 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공한 점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별 자치구 주민을 위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평생교육을 활성화 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ndition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awareness by local residents A district and to present ways to revitalize lifelong education by expanding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To this end, the current condition of lifelong education was analyzed through a survey of adult learners and authorized person.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25,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Focusing group interviews(FGI) were conducted with authorized person and lifelong educational activist. it was analyzed using a method of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measures to revitalize lifelong education are as follows for expanding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First, a cooperative lifelong learning network is needed. Secondly,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of empathy among learners. Third, a virtuous cycle of learning, sharing and rematurity is being established. Fourth, we need a lifelong learning foundation led by learners. The research suggests that, from an academic and practical point of view, individual autonomous districts have provided ways to revitalize lifelong education tailored to local residents by expanding thei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materials for revitalizing lifelong education for residents of each borough.

      • KCI등재
      • KCI등재

        컨설팅, 코칭 분야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김인숙(Insook Kim),양지희(Jihee Yang)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2023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컨설팅, 코칭 분야의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분야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2019년부터 2023년에 발간된 국내 학술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 연구는 지속적으로 전개되었으며, 2020년~2021년에 239편(53.95%)으로 나타났다. 둘째, 게재저널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는 타 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해 전개·확장되었다, 셋째, 연구방법 분석결과, 컨설팅은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코칭은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전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분야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에서 모두 교육 관련 영역에 대해 주로 논의되었으며, 코칭은 스포츠, 군 코칭에 대한 논의가 전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주제 분석결과, 컨설팅 분야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진 반면, 코칭은 변인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컨설팅, 코칭 관련 연구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교육 분야의 컨설팅, 코칭 관련 연구 영역별 키워드를 범주화 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2020년~2021년 동안의 사회 환경적 배경, 연구 주제, 방향성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컨설팅과 코칭이 다양한 분야와 연관성을 가지며 상호작용하는 영역으로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컨설팅과 코칭 분야의 연구에서 연구 방법 차이에 대한 맥락을 확인할 수 있는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컨설팅과 코칭 연구 분야의 지속적 확장과 동시에 학문적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컨설팅, 코칭 분야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컨설팅과 코칭 분야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As a result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443 papers were selected. The selected papers were 116 consulting-related papers and 327 coaching-related papers.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by research period, journal, research method, research field, research topic.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the following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First of all, in-depth research is needed that categorizes keywords for each research area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in the education field. Second, in-depth research on soci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s, research themes, and directions between 2020 and 2021 is needed. Third, in-depth research is needed on the process in which consulting and coaching evolve into areas where they are related to and interact with various fields. Fourth,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context of the differences in research methods between consulting and coaching. Fifth, academic establishment is needed at the same time as continuous expansion of consulting and coaching research field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domestic research trends in the consulting and coaching field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 『수잔 부인』: 오스틴 소설의 원형

        김인숙 ( Insook Kim ) 현대영미어문학회 2018 현대영미어문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

        Some critics consider Lady Susan as an inferior early work in its form, characterization and plot, and slight it as an anomaly or “a deviation in Austen’s canon,” terrified mainly by the cold-blooded, domineering and subversive heroine. Still, many others are fascinated by its deep socio-economic, gender, psychological, behavioral insights. Evaluating the pros and cons of the critical interpretations,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is little epistolary novel contains many characteristics of Austen’s later works, such as the idea of female power, ironic and cynical tone and style, narrative technique and moral distancing, and it concludes that Lady Susan is entitled to be in the rightful place as an archetype of Austen’s texts.

      • 교정복지 수퍼비전의 발달적 접근에 대한 고찰

        김인숙(Kim Insook),조성민(Cho Sungmin)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6 교정상담학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교정복지 실천현장에서 교정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워커들의 직무만족 수준과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수퍼비전에 대해 발달모델에 입각하여 고찰하였다. 워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으나, 사회복지 실천 또는 교정상담과 같이 사람을 다루는 원조전문직의 업무현장에서 워커의 계속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데는 수퍼비전이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다양한 수퍼비전 모델 중 발달모델은 워커가 초보수준에서 숙련 내지 마스터 수준으로 이르는 일련의 발달단계를 거쳐나간다는 가정하에 워커의 경험수준에 맞추어 적절한 학습방법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Stoltenberg와 Delworth의 통합발달모델과 더불어 이를 더욱 발전시킨 Hawkins와 Shohet의 이론을 중심으로 교정복지 수퍼비전에 대한 4단계적 발달적 접근을 고찰하였다. 발달적 접근은 수퍼비전의 구조와 내용을 형성하고 수퍼비전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는 사회복지실천 또는 교정상담 현장의 직원수퍼비전에서 전문성 발달수준이 낮은 워커를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릴 뿐 아니라 수퍼바이저의 발달수준 향상을 위해서도 유용한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발달모델을 교정복지 실천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수퍼비전 체계구축을 위한 정책과 수퍼비전 프로그램의 구조화에 대해 고찰하면서 개별수퍼비전과 집단수퍼비전의 구조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발달수준에 따른 적절한 수퍼비전 실행을 위해 워커와 수퍼바이저를 어떻게 적절하게 배합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 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development model for the supervision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to clients and job satisfaction levels of worker to provide correctional welfare services in the correctional welfare. There can be a variety of way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workers. But supervision is very important in promoting the continued growth of workers in the workplace of professional helpers to deal with such people as clients of social welfare or correctional counselling. And among various supervion models, development model provides an appropriate learn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experience with the assumption that works proceed through a series of stages of development, ranging from beginner to experienced or master level. This study examines the four phased developmental approach of correctional welfare supervision centering on the integrated development model of Delworth and Stoltenberg and the further developed theory of Hawkins and Shohet. Developmental approach provides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supervision and can increase levels of supervisors as well as boost the low worker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to a high level. And while considering the policy for supervision system building and structuring supervision program,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individual supervision and group supervision is suggested. Finally, proper matching of worker and supervisor is considered to ensure proper supervision depending on their developmental levels.

      • KCI등재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한 상호작용 경험 분석

        김인숙 ( Insook Kim ),유숙영 ( Sookyoung Ryu ),변현정 ( Hyunjung Byun ),서윤경 ( Younkyung Seo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S

        이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Instructional Digital Imagination: IDI)을 통한 교수자의 상호작용 경험을 분석하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 교수자들은 전면적인 비대면 수업을 운영해야 하는 비상사태에 직면하였고, 기존 면대면 방식의 수업과 마찬가지로 학습목표를 달성하고 수업의 질을 유지하고자 하였으나,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상호작용의 부족함을 주요 이유로 불만족을 나타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 수업의 급전환 과정에서 교수자는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해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만들어냈는가?’를 중심으로 세 가지 하위 질문을 구성하였고, 교수자들이 한 학기 동안 상호작용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 중규모 교육중심 사립대학인 A대학 소속 교강사 10명이며, 계획적인 표준화 면접을 실시하여 주요 사건 중심의 키워드 분석 및 의미분석 방법으로 상호작용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실시간 수업 경험은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이 있는 교수자의 특징,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이 있는 교수자의 수업에서 상호작용 설계 및 운영 경험,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이 있는 교수자의 학습자 중심 상호작용을 위한 에듀테크 활용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되었으며, 총 11가지의 하위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한 상호작용 전략,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한 에듀테크 활용 전략,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 촉진을 위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의 다양한 변화 속에서 교수자들이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해 교육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교육적 실천 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structors’ interaction experiences with Instructional Digital Imagination(IDI) for promoting effective interaction in non-face-to-face synchronous classes. This study investigate instructors’ experiences with research question “How did the instructors and professors use their Instructional Digital Imagination(IDI) to create interactions in non-face-to-face synchronous classes in this emergent digital transformation?” The participants were ten faculty members from A university, a medium-sized education-oriented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To extract meaning of experience, keyword analysis and theme analysis on the critical incidents extracted from the planned standardized interview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ir teaching experiences were analyzed in three main themes of instructors’ class with Instructional Digital Imagination: characteristics, interaction design and development experiences, and usage of EduTech. Eleven sub-conception were extracted(or deriv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ree instructional implications in aspects of Interaction Strategies through IDI, Appropriated Use of EduTech with IDI, and Organizational Support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