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 스마트기기 사용 및 이용수준 현황

        노주형(Joo Hyung Roh),이진(Jin Lee),고민숙(Min Suk Koh),김용주(Yong Joo Kim),설인준(In Joon Seol),문진화(Jin Hwa Moo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4 No.3

        목적: 스마트기기의 보편적인 사용으로 많은 영유아들이 이를 손쉽게 접하게 되었다. 그러나 영유아기 아동들의 스마트기기 사용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인 연구결과가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스마트기기 사용현황과 이용수준을 재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구리시와 남양주, 서울의 어린이집 4곳에 등원 중인 만 3-5세 유아 130명(남:여=71:59) 이었으며, 질문도구지에 대한 부모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질문도구는 앞선 연구들에서 사용되었던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 현황에 대한 질문지’와 ‘부모용 유아 스마트기기 이용수준 척도’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초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기는 만 1-2세가 가장 많았으며 (37.7%), 사용빈도는 주 1-2 회가 가장 많았고(35.4%), 하루 중 총 사용시간은 주중(57.6%) 또는 주말(53.8%) 모두 1시간 미만인 경우가 많았다. 주 사용목적은 동영상 시청이었다(73.9%). 대부분의 어머니들이 스마트기기의 사용자제를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으며(66.1%),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53.0%). 미디어이용수준척도의 평균점수는 3.34점으로(1-5점 척도) 보통 정도의 이용수준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사용빈도(F), 최대사용시간(Tmax)을 이용하여 이 두 값의 곱인 FxTmax 값을 구하고 이를 인구학적 변수에 따라 비교하였다. 형제가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Tmax 가 의미 있게 더 높았으며, 5세 유아 군이 3세 또는 4세 유아군에 비하여 Tmax 또는 FxTmax 값이 의미 있게 더 높았다. 결론: 유아의 성장에 따라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의 조절과 바람직한 이용수준에 대한 지도가 더 필요하며,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With the widespread use of the smartphone, many preschool children have gained easy access to the smartphone or tablet PC (Personal computer). However, there are not much studies about the current status of smartphones usage or in-flu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valuate the current state of the smart-phone usage and utilization levels in preschool children. Methods: Total 130 preschool children between 3-5 years old were enrolled from four daycare centers at Guri, Namyangju and Seoul (M:F=71:59). We used 1) the questionnaires for usage of smartphones and 2) the scales for use of smartphones by parents, which developed by preceding publications. Results: The most common age at first use of smartphones was between 1 and 2 years old (37.7%) and the most common frequency of using smartphones was 1-2 times a week (35.4%). Most children used smart devices less than an hour both in weekday (57.6%) and weekend (53.8%). The main purpose of usage was watching videos (73.9%). Average score of smart device utilization level was 3.34 (1-5 points scale), which showing moderate level. In addition,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usage (F), maximal usage time (Tmax), and the product of F and Tmax (FxTmax) score by demographic data. The children having sibling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max. 5 years old group showed higher Tmax and FxTmax than 3 or 4 year old group. Conclusion: As preschool children grow up, more guidance for the smartphone usage time and desirable usage level will be needed. The effects of smartphone usage and diverse developmental outcome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 KCI등재후보

        신생아의 간질양 뇌파 및 뇌 영상 검사 소견에 대한 연구

        전진훈(Jin Hun Jeon),설인준(In Joon Seol),문수지(Soo Ji Moon) 대한소아신경학회 199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7 No.1

        목 적 : 신생아 경련 발작은 대부분 증후성이고 그 형태가 다양하고 비정형적이며 환아들 에서 기록되는 뇌파소견 또한 신생아기 이후 환아들의 뇌파와는 다른 모양을 갖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신생아들에서 흔히 나타나는 간질양 뇌파의 형태, 기질적 원인의 빈도, 뇌파와 뇌 영상 검사 소견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3년 3월부터 1997년 2월까지 만 4년 동안 한양대학병원 소아과에서 생후 7일 이내에 경련발작이 의심되어 뇌파 검사를 시행한 환아들 중 뇌파 검사상 확실한 간질양 뇌파가 기록되고 동시에 뇌초음파검사, 뇌전산화단층촬영, 뇌자기공명영상 등의 뇌 영상 검사를 시행하여 양 검사간의 상관성을 비교할 수 있는 41례를 대상으로 후향성 연구를 하였다. 결 과 : 1) 경련의 형태는 비정형적 경련이 20례(48.8%)로 가장 많았고, 전신 강직성 경련 11례(26.8%), 다국소 간대성 경련 7례(17.1%), 국소 간대성 경련 2례(4.9%), 근간대성 경련 1례(2.4%)의 순이었다. 2) 환아들에서 기록된 간질양 뇌파를 빈도순으로 보면 과도한 일과성 예파가 28례로 가장 많았고, 그 외 다초점성 극파, 다초점성 예파, 반복적 α파, 반복적 θ파 등의 순으로 관찰 되었고 출현 부위별로는 양측이 28례로 가장 많았고 우측반구 9례, 좌측반구 8례의 순이었다. 3) 뇌 영상 임상소견들은 정상이 27례로 가장 많았으며 14례에서 뇌부종, 두 개강내 출혈, 백질 연화증, 뇌 지주막하 출혈, 두혈종, 두개골 조기봉합 등이 관찰되었다. 4) 뇌 영상 검사상 이상소견이 발견된 14례중 5례에서 국소성 이상소견이 발견되었고 이들 중 3례에서 동일 부위에서 간질양 뇌파가 기록되었지만, 국소성 간질양 뇌파가 기록된 17례 중 3례에서 만 양 검사가 일치되는 소견을 보여 전반적으로 볼 때 양 검사간의 연관성이나 뇌 영상 검사상의 이상소견에 따른 특징적인 간질양 뇌파의 출현은 관찰할 수 없었다. 5) 환아들의 경과를 보면 23례에서는 항경련제 투여 없이, 13례에서는 항경련제 투여 후에 경련이 소실된 후 재발되지 않았고, 5례에서만 지속적인 항경련제 투여를 필요로 하는 양호한 경과를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 경련시 뇌파의 출현 부위와 뇌 영상 검사상의 병변 부위와의 연관성을 관찰할 수는 없었으나, 신생아 경련시 뇌 영상 검사는 환아의 뇌증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Neonatal seizures are mostly symptomatic and have variable atypical clinical features with very different EEG findings from those of post-neonatal perio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mmon types of epileptiform discharg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abnormalities in imaging study in neonates with seizures. Methods : Fourty one neonates under 7 days of age who had been hospitalized at th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93 to May 1997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eir medical records, results of EEG and brain imaging study were reviewed. Results : 1) The types of neonatal seizures were subtle, generalized tonic, multifocal clonic, focal clonic, myoclonic in order of frequency. 2) The most common epileptiform discharge was excessive sharp transients recorded in 28 cases and the rest showed multifocal spikes, sharp waves, repetitive alpha, repetitive theta in order. Epileptiform discharges appeared on the both hemisphere in 24 cases, right hemisphere in 9 cases and left hemisphere in 8 cases. 3) Imaging study showed no abnormal findings in 27 cases and abnormal findings in 14 cases such as brain edema, intracranial hemorrhage, leukomalacia, subarachnoid hemorrhage, cephalhematoma, craniosynostosis. 4) Among 14 cases with radiological abnormalities, 5 cases had localized abnormalities and 3 of them had the abnormal EEG discharges on the same area concomittantly. But in total only 3 cases of 17 cases with localized epileptiform discharges had abnormalities in imaging study on the same site and s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wo studies was not observed. 5) As for the prognosis of seizures, subsided in 23 cases without any antiepileptic drugs, 13 cases had no seizure after taking medicine for few days and 5 cases needed continuous antiepileptic drug.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no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abnormal EEG findings and localization by imaging study in neonatal seizure but we concluded that brain imaging study was needed to determine degree of encephalopathy in neonatal seizures.

      • 소아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에서 뇌척수액 내 Interleukine-6, Interleukine-8, Interleukine-10 농도의 증가

        최영진(Young-Jin Choi),나재윤(Jae Yoon Na),문진화(Jin-Hwa Moon),오재원(Jae-Won Oh),김창렬(Chang-Ryul Kim),설인준(In Joon Seol) 대한소아신경학회 201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2 No.2

        목적: Cytokine 은 다양한 신경계 염증성 질환들의 발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들과 다른 급성 뇌증상을 보이는 환자들 간의 CSF 내Interleukine-6, IL-8, IL-10 의 농도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2012년 9월부터 2013년 7월까지 급성 뇌증상으로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입원하여 CSF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냉동 보관된 CSF로 interleukine 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을 급성 뇌증, 뇌전증, 열성경련, 두통, 영아발열, 무균성 뇌수막염의 6가지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임상특징과 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87명 환자의CSF 검체를 조사하였다. IL-6, IL-8, IL-10의 농도는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군에서 다른 질환군보다 대부분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P<0.005). CSF IL-6 (r=0.576, P=0.000), CSF IL-8 (r=0.329, P=0.003), CSF IL-10 (r=0.523, P=0.000) 모두 CSF WBC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군 중 CSF 내 enterovirus 양성군(CSF entero+)이 enterovirus 음성군(CSF entero-)에 비하여 IL-6, IL-8, IL-10이 더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으며(P<0.05), 또 CSF entero+와 IL-10 검출 사이에는 의미있는 연관성이 있었다(χ2=6.827, P=0.033). 결론: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들은 다른 급성 신경계 증상 환자들에 비하여CSF IL-6, IL-8, IL-10의 발현이 더 높았다. 또 enterovirus에 의한 무균성 뇌수막염의 병리기전은 그렇지 않은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들에 비하여 IL-6, IL-8, IL-10의 발현과 더 많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Cytokines play important roles on the expression of various neuronal inflammatory disease and in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s of interleukine (IL)-6, IL-8, IL-10 in cerebrospinal fluid (CSF) in children with aseptic meningitis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the patients having other acute neurological symptom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children who admitted in the pediatric department of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for acute neurological symptoms and had CSF examinations from September 2012 to July 2013. We classified them into six groups as acute encephalopathy, epilepsy, febrile convulsion, headache, infantile fever, and meningitis.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from them. Results: A total of 87 CSFs of the patients were available. The levels of CSF IL-6, IL-8, and IL-10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with aseptic meningitis group a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0.05). CSF IL-6 (r=0.576, P=0.000), IL-8 (r=0.329, P=0.003), and IL-10 (r=0.523, P=0.000)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SF White bood cell (WBC) count. Among the patients with aseptic meningitis, CSF enterovirus positive patients (CSF entero+)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L-6, IL-8, IL-10 levels than CSF enterovirus negative patients (CSF entero-) (P<0.05). In addition, the CSF entero+ and the increase of IL-10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x2=6.827, P=0.033). Conclusion: In patients with aseptic meningitis, the CSF IL-6, IL-8 and IL-10 were more expressed than in other neurological disease group. Among them, the enteroviral meningitis may be more related with IL-6, IL-8 and IL-10 expression than in other causes of aseptic meningitis.

      • KCI등재후보

        급성 뇌병증 환아들에서 임상양상 및 검사 소견에 따른 예후의 예측에 관한 연구

        김정미(Jeong Mee Kim),최재형(Jae Hyung Choi),염명걸(Myung Kul Yum),김남수(Nam Soo Kim),설인준(IN Joon Seol) 대한소아신경학회 200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4 No.2

        목 적 : 급성 뇌병증은 신경세포의 기능의 장애를 가져오는 일반화된 또는 다발성 자극에 의해 생기는 뇌 기능의 전반적인 장애를 뜻하며 뇌성마비, 지능 발육 지연 및 간질 등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고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뇌병증 환아에 있어서 입원시의 초기 임상 양상에 따른 예후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고 혈청 검사 소견에 따른 예후에 대한 조사를 하였으며 뇌영상 검사와 뇌파검사 사이의 상관성 및 이에 따른 예후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 1일부터 2004년 6월 30일까지 한양대학병원 소아과에 급성 뇌병증으로 입원한 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환아들의 연령 및 성별분포, 내원 당시의 임상증상, 혈청 검사 소견, 뇌 영상검사 및 뇌파검사 소견에 따른 예후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 과 : 1) 내원 당시 환아의 나이가 1세 이하인 경우 사망률은 50% 이었으나, 10세 이상인 경우는 사망한 례가 없었다. 2) 내원 당시 의식 수준이 alert한 경우에서 사망률은 40% 이었고 coma 상태로 입원하였던 1례(100%)는 사망하였다. 3) 내원 당시 경련이 없었던 환아들의 사망률은 35.7%로 있었던 경우의 10.3% 에 비해 오히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4) 내원 당시 간기능 검사상 비정상적인 수치를 보인 환아들의 사망률은 40%로 정상인 경우 7.1%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7). 5) 뇌영상 검사와 뇌파검사 사이에 병변의 위치가 일치한 경우는 뇌파소견을 기준으로 할 때 5명(20%)였으며 뇌영상 검사 및 뇌파검사의 이상 유무와 사망률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급성 뇌병증 환아에서 내원 당시 나이, 의식수준, 경련의 유무 등과 예후와 상관관계는 없었으며 간기능 이상을 보인 경우 나쁜 예후를 시사하였다. 급성 뇌병증의 진단에 있어 뇌파검사 및 뇌영상 검사가 도움이 되었으나 예후와 연관성은 뚜렷하지 않았다. Purpose : Acute encephalopathy is defined as diffuse interference of brain functions due to neuronal dysfunction by generalized or multifocal insul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gnosis and other factors such as clinical patterns, laboratory findings, electroencephalographic and radiologic findings in children with acute encephalopahty. Methods : We carried out a retrospective review on the medical records of 43 patients who were initially diagnosed as encephalopathy from January 1995 to June 2004. We excluded the patients diagnosed as mumps meningitis, Reye syndome and neonatal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Results : 1) The morality rate was 50% in the patients below 1 year old at the admission, but all the patients above 10 years old were survived. 2) The morality rate was 40% in the patients with alert mental status at the admission and one patient with comatous mental status died. 3) The morality rate of the patients without seizures at the admission(35.7%)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atients with seizures(10.3%).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4) In the patients with abnormal liver function tests, the mortality rate(40%) was sin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atients with normal liver functions(7.1%, P value <0.05) 5) Only 5 patients(20%) among 25 patients who took both EEG's and imaging studies were taken showed abnormalities at the same locations in both stud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mortality rate and EEG and the radiologic findings. Concl usi on : In this study, we could not find ou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rognosis and other factors such as age, consciousness levels, the presence of seizures at the admission, and electroencephalographic and radiologic abnormalities. But the patients with abnormal liver functions at the admis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mortality rates than patients with normal liver function.

      • KCI등재

        임상 ; 미숙아에서 정맥 영양 내 아미노산 공급량의 변화가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강성진 ( Sung Jin Kang ),박은경 ( Eun Kyoung Park ),박현경 ( Hyun Kyung Park ),김창렬 ( Chang Ryul Kim ),설인준 ( In Joon Seol )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3

        목적: 최근 미숙아들을 대상으로 생후 직후부터 시작되는 적극적 영양 공급이 권장되고, 정맥 영양 내 아미노산 투여량이 늘고 있어, 정맥 영양 내 고농도 아미노산 공급과 간기능 장애와의 관련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8년 7월까지 한양대학교 서울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중 2,000 g 미만이고 7일 이상의 정맥 영양을 받았던 58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4년 1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입원한 저용량 아미노산이 투여된 군(32명)과 2006년 6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입원한 고용량 아미노산이 투여된군(26명)으로 나누었다.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두 군의 인구학적 및 주산기적 인자를 비교하였으며, 정맥 영양에 관한 인자, 담즙정체증의 빈도, 담즙정체증이 발생한 환아의 간 효소치 등의 생화학적 인자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투여된 평균 단백량은 각각 1.0±0.2 g/kg/day, 2.1±0.6 g/kg/day으로 고용량 아미노산이 투여된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그러나 담즙정체증의 빈도는 각각 25.0% (8명), 46.2% (12명)로 두 군 간에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P=0.092). 또한 담즙정체증이 있는 환아들의 간 효소치들 역시두 군 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미숙아에서 정맥 영양 내 고용량 아미노산 공급으로 인하여 우려되는 담즙 정체를 비롯한 간기능 장애는 본 연구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그러나 더 많은 수의 환아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통제 연구를 통하여 정맥 영양 내 고농도 아미노산 공급의 안정성을 확고히 할 필요가 있는 시점이다. Purpose: To study the safety of more aggressive parenteral amino acid supplementation on liver functions during parenteral nutrition in preterm infants. Methods: Medical records of preterm infants (n=58) treated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rom 2004 through 2008 with birth weight less than 2,000 g and exposure to parenteral nutrition (PN) for more than 7 days were review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low amino acid intake group (LAA, n=32) admitted from January 2004 to May 2006 and high amino acid intake group (HAA, n=26) admitted from June 2006 to July 2008. The incidence of cholestasis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liver functions in infants with cholestasis were evaluated. Results: Mean protein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AA (1.0±0.2 g/kg/day vs 2.1±0.6 g/kg/day, P=0.001).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and duration of cholestasis between the groups. And peak total bilirubin (T.bil), peak direct bilirubin (D.bil), peak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peak asparate aminotransferase (AST), and peak alkaline phosphatase (ALP) in infants with cholestas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Aggressive parenteral amino acid supplementation in preterm infants were not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the liver functions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산전MgSO₄투여와 미숙아 두개강내출혈 발생 빈도와의 관련성

        황기동(Gi-Dong Hwang),신재훈(Jeh-Hoon Shin),설인준(In-Joon Seol) 대한소아신경학회 199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 No.2

        연구배경: 미숙아의 두개강내 출혈빈도와 연관되는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밝혀져 있다. 임신중독증이 있는 산모에서 출생한 미숙아에서 두개강내 출혈의 발생빈도가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 산전 MgSO₄투여가 미숙아 뇌출혈발생빈도를 감소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임신중독증과 산전 MgSO₄투여에 따라 미숙아 두개강내 출혈빈도의 감소가 있는 지를 확인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저자들은 1991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한양대학병원 미숙아실에 입원한 미숙아 174례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분만방법, 산모의 임신중독증 유무와 투약여부, 두 개강내출혈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1. 남녀비는 1:1이었고 평균 재태기간은 33.8±2.3주, 평균 출생제중은 1870 ±460gm이었다. 2. 두 개강내출혈의 발생빈도는 전체 26%이었고, 28주 미만에서는 50%, 28에서 32주의 미숙아에서는 43%, 33이상에서는 20%이었다. 3. 두 개강내출혈의 등급을 나누어 보면 GradeⅠ이 가장 많아서 33명(73%) Grade Ⅱ,Ⅲ,Ⅳ가 각각 4명 (9%), 5명(11%), 3명(7%)이었다. 4. 두 개강내출혈의 발생빈도는 복식분만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 론: 임신중독증이 없는 산모에서 산전 MgSO₄투여에 따른 미숙아의 두개강내 출혈빈도의 감수는 없었으며, 임신중독증이 있는 산모에서 출생한 미숙아에서 두개강내 출혈빈도의 유의한 감소를 확인하였다. Background : Among the factors increasing for the intracranial hemorrhage(ICH) of premature bab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resence of their maternal toxemia decreased the incidence of ICH. And also, some persons reported that the prenatal administration of MgSO₄ for their mothers decreases the incidence of ICH in premature babies. And so. we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their relationship between their maternal toxemia, the prenatal administration of MgSO₄ and the incidence of ICH. Method : We investigated the 174 premature babies who were admitted to NICU of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91 to Dec. 1994. We evaluate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delivery type. medication and toxemia of their mothers, and the presence of intracranial hemorrhage(ICH). Results : 1. The mean intrauterine period was 33.8±2.3 weeks and the mean birth weight was 1870±460gm. 2. The incidence of ICH was 26% in total. 50% in below 28 weeks. 43% in 28 to 32 weeks and 20% in above 32 weeks of gestational age. 3. Grade I ICH by Papile's classification was most common. 4. When compared to vaginal delivery,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in ICH incidence in the cesarean section group(p<.05). 5.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ir mother's MgSO₄ infusion and ICH incidence in groups without toxemia. 6. The incidence of ICH whose mother had toxemi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babies from the non-toxemic mother. Conclusion : Among the non-toxemic mothers, the incidence of ICH had no relation to whether or not the prenatal adiministration of MgSO₄. However, the incidence of ICH in the premature babies from the toxemic mother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식도 동위 원소 검사와 24시간 식도 pH 검사와의 비교 연구

        위호성,김용주,설인준,최윤영,Wi, Ho Sung,Kim, Yong Joo,Seol, In Joon,Choi, Yun You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4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7 No.2

        Purpose: Many diagnostic modalities have been used for diagnosi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Feeding materials during esophageal pH monitoring may interfere the result of examination and esophageal pH monitoring can not diagnose GER in case of alkaline reflux.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scintigraphy can substitiute 24 hr pH monitoring in children with GERD. Methods: From March 2002 to June 2003, 23 patients (12 boys and 11 girls, mean age 27 months) who have been admitted to Hanyang University Hospital presented with GER symptoms (recurrent vomiting, cough, chest pain, irritability) were included in the study. Scintigraphy and 24 hr pH monitoring were performed in all patients. Results: Six out of the 23 patients (26.1%) had evidence of GER on 24 hr pH monitoring, whereas nine of 23 patients (39.2%) exhibited GER by scintigraphy. Two out of the 23 patients could not be tested because of irritability. Three (14.3%) patients had evidence of GER on both 24 hr pH monitoring and scintigraphy, three (14.3%) patients on only 24 hr pH monitoring, six (28.6%) patients on only scintigraphy, and nine (42.9%) patients had no evidence of GER on both methods.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24 hr pH monitoring and scintigraphic results by Fisher's exact test (p=0.523) or Kendal's tau (t=0.678).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24 hr pH monitoring and scintigraphy. Therefore these modalities could be used as complementary tests to diagnose GERD. 목적: 위식도 역류는 소아에 있어서 흔한 질환으로 이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24시간 식도 pH 검사는 음식물에 의해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알칼리성 역류를 진단할 수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위식도 역류를 가진 환아에서 식도 동위 원소 검사가 24시간 pH 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3년 6월까지 반복성 구토, 기침, 흉통, 보챔 등 위식도 역류가 의심되어 한양대 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23명(남 : 여=12 : 11, 평균연령 27개월)을 대상으로 24시간 pH 검사와 식도 동위 원소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24시간 식도 pH 검사 결과 23명의 환아 중 6명(26.1%)에서 유의한 위식도 역류가 관찰되었으며 2명의 환아는 보채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식도 동위 원소 검사 결과 23명 중 9명(39.2%)의 환아에서 위식도 역류가 영상학적으로 관찰되었다. 24시간 식도 pH 검사와 식도 동위 검사 모두에서 양성으로 나온 환아는 3명(14.3%), 모두 음성으로 나온 환아는 9명(42.9%)이었으며 24시간 식도 pH 검사만 양성으로 나온 환아는 3명(14.3%), 식도 동위 원소 검사에서만 양성으로 나온 환아는 6명(28.6%)이었다. 두 검사의 결과를 Fisher's exact test와(p=0.523) Kendall의 타우(근사 유의 확률=0.678)로 비교하였고 두 검사 간의 결과의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24시간 식도 pH검사와 식도 동위 원소 검사는 연관성이 없고 서로 다른 방법의 검사이므로 이 두 검사는 상호 보완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위식도 역류 환자를 진단할 때 유용하다.

      • KCI등재

        Sandifer 증후군 1례

        이미라,김수현,김용주,설인준,Lee, Mira,Kim, Soo Hyun,Kim, Yong Joo,Seol, In Jo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0

        Sandifer syndrome is a rare manifesta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in children, occurring in association with abnormal movement of the head and neck and recurrent episodes of seizure after feeding. This syndrome may be misdiagnosed as infantile seizure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and may be associated with failure to thrive, anemia, aspiration pneumonia, and esophagitis. In this paper, Sandifer syndrome in a four months old male with recurrent aspiration pneumonia, apnea, and seizure after feeding is presented. Sandifer 증후군은 식도의 역류와 관련되어 음식섭취 후 비특이적인 경련과 자세를 취하게 되는 증후군으로서 증상이 경미할 경우 진단이 지연될 수도 있고 여러 신경학적인 질환과 근골격계의 이상과 감별을 위해 과도한 진단과정이 진행될 수도 있다. 저자들은 흡인성 폐렴과 수유 후 무호흡, 비전형적인 경련을 주소로 한 환아에서 Sandifer 증후군을 의심하고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한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