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차원 중첩 기술 차이에 따른 디지털 치과용 지대치 인상체 및 경석고 모형의 스캐닝 정밀도 평가

        전진훈(Jin-Hun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중첩 기술 차이에 따른 디지털 치과용 지대치 인상체 및 경석고 모형의 스캐닝정밀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상악 제1 소구치 지대치 인상체와 경석고 모형를 제작했다. 청색광 스캐너로 스캔하여 stereolithography (STL)을 얻었다. 지대치 인상체와 경석고 모형에 대하여 스캐너 테이블에서 이동하지 않은 채로 10번의 추가 스캔을 수행하였다. no control과 best-fit-alignment 기술을 사용하여 지대치 인상체와 경석고 모형 스캐닝 데이터를 중첩시킴으로써 10개의 color-difference maps과 root mean square (RMS) 데이터를 얻었다. 서로 간의 그룹 사이에 RMS data를 가지고 독립 t 검정을 수행하였다(α=0.05). 지대치 인상체 스캐닝에 있어서 no control과 best-fit-alignment의 RMS±Standard Deviation (SD) 값은 6.86±0.94, 5.04±0.24로 나타났고, 경석고 모형 스캐닝에 있어서는 4.98±1.16, 3.39±0.07로 나타났으며, 모든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본 연구 결과를 통해 best-fit-alignment뿐만 아니라 no control은 디지털 치과캐드캠 연구 분야 및 임상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precision of scanning the digital abutment impression and gypsum model according to 3-dimensional superimposing different skills. There were made with the abutment impression and gypsum model of a maxillary 1st premolar, blue light scanner scanned to obtain the stereolithography (STL) file. After the same process was performed 10 more times without moving them on the scanner table about the abutment impression and gypsum model, respectively (n=11, per types). By superimposing the date of scanning the abutment impression and gypsum model used with no control and best-fit-alignment skills, 10 color-difference maps and root mean square (RMS) data were obtained. The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RMS data between the each other groups (α=0.05). In the scanning abutment impressions, RMS±SD of no control, best-fit-alignment showed 6.86±0.94, 5.04±0.24. in the scanning gypsum model, 4.98±1.16, 3.39±0.07, all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Trough the this study’s result, not only best-fit-alignment but no control is used with digital dental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research and clinical part.

      • KCI등재후보

        신생아의 간질양 뇌파 및 뇌 영상 검사 소견에 대한 연구

        전진훈(Jin Hun Jeon),설인준(In Joon Seol),문수지(Soo Ji Moon) 대한소아신경학회 199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7 No.1

        목 적 : 신생아 경련 발작은 대부분 증후성이고 그 형태가 다양하고 비정형적이며 환아들 에서 기록되는 뇌파소견 또한 신생아기 이후 환아들의 뇌파와는 다른 모양을 갖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신생아들에서 흔히 나타나는 간질양 뇌파의 형태, 기질적 원인의 빈도, 뇌파와 뇌 영상 검사 소견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3년 3월부터 1997년 2월까지 만 4년 동안 한양대학병원 소아과에서 생후 7일 이내에 경련발작이 의심되어 뇌파 검사를 시행한 환아들 중 뇌파 검사상 확실한 간질양 뇌파가 기록되고 동시에 뇌초음파검사, 뇌전산화단층촬영, 뇌자기공명영상 등의 뇌 영상 검사를 시행하여 양 검사간의 상관성을 비교할 수 있는 41례를 대상으로 후향성 연구를 하였다. 결 과 : 1) 경련의 형태는 비정형적 경련이 20례(48.8%)로 가장 많았고, 전신 강직성 경련 11례(26.8%), 다국소 간대성 경련 7례(17.1%), 국소 간대성 경련 2례(4.9%), 근간대성 경련 1례(2.4%)의 순이었다. 2) 환아들에서 기록된 간질양 뇌파를 빈도순으로 보면 과도한 일과성 예파가 28례로 가장 많았고, 그 외 다초점성 극파, 다초점성 예파, 반복적 α파, 반복적 θ파 등의 순으로 관찰 되었고 출현 부위별로는 양측이 28례로 가장 많았고 우측반구 9례, 좌측반구 8례의 순이었다. 3) 뇌 영상 임상소견들은 정상이 27례로 가장 많았으며 14례에서 뇌부종, 두 개강내 출혈, 백질 연화증, 뇌 지주막하 출혈, 두혈종, 두개골 조기봉합 등이 관찰되었다. 4) 뇌 영상 검사상 이상소견이 발견된 14례중 5례에서 국소성 이상소견이 발견되었고 이들 중 3례에서 동일 부위에서 간질양 뇌파가 기록되었지만, 국소성 간질양 뇌파가 기록된 17례 중 3례에서 만 양 검사가 일치되는 소견을 보여 전반적으로 볼 때 양 검사간의 연관성이나 뇌 영상 검사상의 이상소견에 따른 특징적인 간질양 뇌파의 출현은 관찰할 수 없었다. 5) 환아들의 경과를 보면 23례에서는 항경련제 투여 없이, 13례에서는 항경련제 투여 후에 경련이 소실된 후 재발되지 않았고, 5례에서만 지속적인 항경련제 투여를 필요로 하는 양호한 경과를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 경련시 뇌파의 출현 부위와 뇌 영상 검사상의 병변 부위와의 연관성을 관찰할 수는 없었으나, 신생아 경련시 뇌 영상 검사는 환아의 뇌증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Neonatal seizures are mostly symptomatic and have variable atypical clinical features with very different EEG findings from those of post-neonatal perio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mmon types of epileptiform discharg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abnormalities in imaging study in neonates with seizures. Methods : Fourty one neonates under 7 days of age who had been hospitalized at th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93 to May 1997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eir medical records, results of EEG and brain imaging study were reviewed. Results : 1) The types of neonatal seizures were subtle, generalized tonic, multifocal clonic, focal clonic, myoclonic in order of frequency. 2) The most common epileptiform discharge was excessive sharp transients recorded in 28 cases and the rest showed multifocal spikes, sharp waves, repetitive alpha, repetitive theta in order. Epileptiform discharges appeared on the both hemisphere in 24 cases, right hemisphere in 9 cases and left hemisphere in 8 cases. 3) Imaging study showed no abnormal findings in 27 cases and abnormal findings in 14 cases such as brain edema, intracranial hemorrhage, leukomalacia, subarachnoid hemorrhage, cephalhematoma, craniosynostosis. 4) Among 14 cases with radiological abnormalities, 5 cases had localized abnormalities and 3 of them had the abnormal EEG discharges on the same area concomittantly. But in total only 3 cases of 17 cases with localized epileptiform discharges had abnormalities in imaging study on the same site and s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wo studies was not observed. 5) As for the prognosis of seizures, subsided in 23 cases without any antiepileptic drugs, 13 cases had no seizure after taking medicine for few days and 5 cases needed continuous antiepileptic drug.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no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abnormal EEG findings and localization by imaging study in neonatal seizure but we concluded that brain imaging study was needed to determine degree of encephalopathy in neonatal seizures.

      • KCI등재

        치과 캐드캠 시스템의 가공 방식에 따른 금속 코핑의 적합도 비교

        김동연 ( Dong Yeon Kim ),전진훈 ( Jin Hun Jeon ),박진영 ( Jin Young Park ),김지환 ( Ji Hwan Kim ),김혜영 ( Hae Young Kim ),김웅철 ( Woong Chul Kim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5 치위생과학회지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 of metal coping fabricated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AM) group and subtractive manufacturing (SM) group by dental computer-aided design (CAD)/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M) systems. Twenty same cases of stone models of abutment teeth 16 by the universal numbering system were manufactured and scanned. Ten metal copings of control group were fabricated using SM and ten metal coping of experimental group were fabricated using AM. Marginal and internal gap of copings were measured using the silicone replica technique and digital microscope (×14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1.0 Statistical Software for independent samples t-test (α=0.05). Mean± standard deviation (SD) of marginal and internal gap total size of SM group was 101.00±40.33 μm of AM group was 83.61±40.37 μm. Mean±SD of marginal and internal gap total size of SM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AM group (p<0.05). This study showed that AM metal copings had a better marginal and internal gap than SM metal copings.

      • KCI등재

        세 가지 방식의 스캐너 종류에 따른 모형 정확도 평가

        이재준 ( Jae Jun Lee ),박진영 ( Jin Young Park ),배소연 ( So Yeon Bae ),전진훈 ( Jin Hun Jeon ),김지환 ( Ji Hwan Kim ),김웅철 ( Woong Chul Kim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5 치위생과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model according to three types of dental scanner. A maxillary acrylic model was prepared and duplicated 10 times by silicone impression materials. Corresponding working casts were formed from scannable stone and got a 3-dimensional digital models using three different scanners. The distance of each measurement region was measured using vernier calipers and the respective program. One-way ANOVA and the Tukey 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post hoc test (a=0.05)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1.0. Overall, the stone cast is smaller than the digital models in measurement distance. And measuring point value of laser scanner showed the most similar values and measurement points value of digital vernier calipers. Digital model of white light scanner showed similar values in the measurement points value of the blue light scanner. In conclusion, the laser scanner showed the best accuracy among the three types of dental scanner.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models and the stone cast can be accommodated in making prostheses. Thereby, three types of dental scanner are available in a clinically acceptable r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