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키 - 범위 로킹에 관한 연구

        서효정(Hyo-Jung Seo),방대욱(Dae-Wook Bang)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1A

        키-범위 로킹은 트랜잭션들이 레코드들을 로크할 때 해당 레코드를 포함하는 레코드 그룹을 로크하게 하여 로크 오버헤드를 줄여준다. 정적 키-범위 로킹은 레코드들을 키-범위로 나눌때 키-범위가 고정적이어서 한 키-범위에 많은 레코드가 삽입될때 데이타의 편중을 가져 올수 있다. 동적 키-범위 로킹은 자료갱신이 있을 때마다 키-범위가 변하고, 이에 따른 오버헤드가 커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제안한 가변 키-범위 로킹은 로크대상을 키-범위 뿐만 아니라 테이블, 데이타베이스로 하여 여러 키-범위를 로크해야 할 경우 하나의 테이블 또는 데이타베이스를 로크할 수 있게 하여 로크절차를 단순화한다. 그리고 키-범위를 처음에는 고정된 크기로 나누고 범위내의 레코들 수의 증감에 따라 범위를 다시 분할 또는 합병 할수 있게 하여 고정 키-범위 로킹과 가변 키-범위 로킹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 XML기반 개인건강기록 사양

        서효정(Hyo-Jung Seo),방대욱(Dae-Wook Bang) 한국정보과학회 영남지부 2006 한국정보과학회 영남지부 학술발표논문집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MyPHR, a specification of XML-based personal health records that can be carried along with and also represent personalized medical records. MyPHR can represent both health records created by an individual and medical records personalized by hospitals. In addition, MyPHR document contains its use, valid period, integrity and access control information during its circulation after leaving its repository.

      • KCI등재

        연구 보고지침에 기초한 특수교육분야 실험연구의 비교분석

        강성구(Kang Seong-goo),송재옥(Song Jae-ok),권혁상(Kwon Hyuk-sang),김정기(Kim Jung-gi),김민정(Kim Min-jung),서효정(Seo Hyo-jeo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특수교육 분야 실험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 보고의 질을 살펴보기 위해 국외에서 주요 연구 질 평가 도구 및 보고지침으로 활용하는 AERA 표준, JARS 지침, TREND 진술문, CEC의 EBP 기준, WWC 표준 등을 기준으로 논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적 실험연구의 비중이 높은 국내 학습장애 분야 관련 논문 15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심리학 분야의 연구 보고지침(AERA 표준, JARS 지침, TREND 진술문)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국내 연구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기본적인 보고지침은 준수하고 있으나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과 관련된 보고지침들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윤리 부분과 관련된 보고지침 준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복 연구를 위한 충분한 정보를 제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 분야의 연구 보고지침(CEC의 EBP 기준, WWC 표준)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국내 연구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다수의 연구 보고지침을 준수하고는 있으나, CEC의 EBP 기준에서 제시한 중재자의 자격이나 훈련 항목에 대한 구체적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WC 표준 분석에서 제시한 무선할당으로 수행된 연구가 부족하여 연구 설계 표준에 부합되는 연구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증거기반실제로서 기준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국내 특수교육 분야 연구 보고지침의 마련이 필요하며, 나아가 연구의 질 향상과 학교 현장에 적용되는 중재 연구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는 국가 및 지방 교육 당국의 체계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This study uses (AERA’s Standards, JARS, TREND statements, CEC’s EBP Standards, WWC Standards, etc., which are used as the main research quality evaluation tools and reporting guidelines to examine the quality of research reports of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The pap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is, 15 papers related to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ith reporting standards applied in psychology (AERA’s Standards, JARS, TREND statements), Korean journal articles reported relatively insufficient information pertaining to reliability, validity, and research ethics. Furthermore, lack of information for future replication studies was also noticeable among the selected Korean journal articles. Second, with the reporting standards applied in special education (CEC’s EBP Standards, WWC Standards), the selected Korean journal articles abided by multiple indicators of the reporting standards. The selected Korean journal articles, however, showed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qualification and training for people who provide interventions, which is recommended by CEC’s EBP Standards. In addition, a majority of selected Korean journal articles did not correspond with random assignment of research design recommended by WWC.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research standards for special education in Korea is needed to satisfy the standards for evidence-based practices. Furthermore, systematic supports at both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must be provided to improve quality of research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in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SACIE-R 구성 타당도 검증

        서효정 ( Seo Hyo Jeong ),박윤정 ( Park Youn J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판 SACIE-R (Korean version of Sentiments, Attitudes, and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Revised)의 측정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예비교사의 학령기 통합교육 경험이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하는 총 427명의 예비교사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을 위해 잠재변인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SACIE-R의 3요인 구조는 만족스럽게 나타났고, 신뢰도 계수(크론바크 알파, 맥도널드 오메가) 또한 0.70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학령기 통합교육 경험은 그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는데, 학령기에 통합교육을 받은 참여자들이 통합교육에 대한 SACIE-R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ACIE-R의 측정구조는 학령기 때 통합교육을 받은 참여자와 통합교육을 받지 않은 참여자 간에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후속연구와 교육 실제에 대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Sentiments, Attitudes, and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Revised (SACIE-R) Scale for Korean pre-service teachers. Also,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having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on pre-teacher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Method: The total number of 427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participated in the survey. Latent modeling was conduc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First, the model fit of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the SACIE-R was satisfactory; reliability indices (i.e., Cronbach alpha, coefficient omega) were greater than the acceptable level of .70. Second, participants’ inclusion experiences during school age were significantly impacted on their perspectives of inclusive education, indicating that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inclusive education during K-12 had higher scores on SACIE-R than those who had not experienced inclusive education.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measurement structure of the SACIE-R behaved differently between groups of participants who had and had not experienced inclusive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e importance of having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tools to identify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inclusion was discussed. In addition,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한 예비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교수적 수정 실행, 교사 효능감에 대한 인식 변화 및 관련성 분석

        서효정(Seo, Hyo-jeong),박윤정(Park, Youn J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3

        연구목적: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예비 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 교수적 수정 실행, 교사 효능감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특수교육학개론 과목을 수강하는 예비 일반교사 9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인식을 측정하였으며, 사전과 사후 인식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상호관련성은 Pearson r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및 교수적 수정 실행에 대한 인식과 교사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의 교육적 성과로 나타난 예비 일반교사의 인식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특수교육학개론 이수를 통한 교육적 효과로 연구된 3가지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상호관계를 종합적으로 검증함으로써, 강좌 내용 구성 및 교수법 개선과 통합교육 관련 교사교육에 도움이 되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 연구결과에 따라 교사교육 관련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and correlations among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teacher efficacy of gener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taken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Methods: A total of 99 gener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the three perceptions. The changes in teacher perceptions and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perceptions were analyzed by the paired t-test and Pearson’s r, respectively. Results: First,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inclusion,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their teaching efficac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existed among the three perceptions of educational outcomes for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Conclus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because the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changes of the three perceptions and their mutual relationships through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for gener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rovid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improve teaching content and methods for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inclusion. Based 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및 역할에 대한 실태 및 개선 요구 분석

        서효정 ( Seo Hyo Jeong ),강은영 ( Kang Eun Young ),박윤정 ( Park Youn J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내실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담당 특수교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및 역할의 실태와 기대 요구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 소속 특수교사 7명과의 면담을 반구조화 질문으로 진행하고, 3단계 코딩 과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과 기능의 범위가 교육청 및 단위 학교와 중복됨에 따라 고유의 권한 및 위상이 모호하여 겪는 어려움이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공간 및 기능적인 독립성 확보, 인력 구성 및 전문성 확대를 위한 질적 개선, 기능 및 역할의 정상화를 위한 체계적 지원방안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육의 지역 균형적 발전과 학생 중심의 미래지향적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내실화를 도모하기 위한 연구의 시사점으로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법적·정책적 근거 마련, 기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 및 기능에서 연구 기능 활성화, 인적 구성 및 전문성 발휘를 위한 구조적 변화 모색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in the operation and rol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SESCs) and expected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explore ways to ensure substantiality of SESCs. Interviews with 7 special teachers belonging to the Gyeonggi SESCs were conducted as semi-structured questions, an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step coding proces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SCs suffer from ambiguity in its authority and status because the SESCs overlap functions and roles with the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s. Second, it was necessary to find a systematic support plan for securing independence of the SESCs for space and its function, qualitative improvement to expand personnel composition and expertise of the SESCs, and normalization of functions and roles of the SESCs. As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promote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operation of student-centered and future-oriente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legal and policy ground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field, strengthening the study function of SESCs, and exploring ways for changes in personnel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SESCs to demonstrate professionalism.

      • KCI등재

        특수교사의 IEP 수립 및 운영 실제와 지원요구

        박윤정 ( Park Youn-jung ),서효정 ( Seo Hyo-jeo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3

        본 연구는 개별화교육계획(IEP) 수립 및 운영의 주체인 ‘특수교사’에 초점을 맞추어 교사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IEP 수립 및 실행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 성찰을 통한 실태와 지원요구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에서 근무하는 현장 특수교사 8명이 초등과 중등 두 집단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FGI)에 참여하였다. 면담 자료 전사 신뢰도 확인 후, 연구자가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IEP 수립 및 운영 실제와 지원요구로 다음의 5가지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IEP 관련 최소한의 법적절차 준수, 2)교사의 IEP 관련 전문성 부족, 3)학교 구조 및 교육제도 개선 지원요구, 4)예비 및 현직 교사교육 강화 지원요구, 5)시스템 및 메뉴얼 구축 지원요구. 도출된 주제를 바탕으로 향후 보다 성공적인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을 위한 발전 방안을 예비 및 현장 특수교사 지원을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책무성과 시스템적인 지원체계 강화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고, 연구가 지닌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향후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regarding IEP practices and their support needs, focusing special educators as the main subject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EPs. A total of 8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Seoul and Gyunggi province areas participat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of focus group interviews (FGIs). After confirming the reliability of interview transcripts, researchers conducted content analyses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for the qualitative analyses, the following five themes emerged: (a) the minimum compliance with legal proceedings on IEP practices, (b) lack of professional expertise in IEP practices, (c) support needs on improving school structures and educational system, (d) support needs on strengthening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nd (e) support needs on establishing systems and manuals.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roving the systematic support system and accountability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pre- and in-service teachers.

      • KCI등재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수학 수업 설계 및 실행

        송다인(Dain Song),서효정(Hyo Jeong Seo),강은영(Eun Young Kang),박윤정(Youn-jung Park),박지민(Ji Min Park),전봉철(Bongcheol Joe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백워드 설계(Backward Design)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특수학급 수학 수업을 설계 및 실행한 결과를 분석하여 현재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지는 수학 수업에 대한 개선 방향을 찾아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실행연구로 총 16차시의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6회의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여 수업을 개선하는 과정을 담았다. 수집된 자료는 수업 설계안, 수업 성찰 일지, 수업 영상, 수업 전사본, 전문가 협의회 영상, 전문가 협의회 회의록이고,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분석 방법과 실용적 절충주의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한 특수학급 수학 수업 설계 및 실행을 통해 학습자의 진정한 이해에 기반을 둔 수업의 가능성을 확대하였다. 또한 지적장애를 가진 고등학교 학생들이 수학적 사고 경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백워드 설계가 특수교육에 주는 의미와 특수교육 현장에서 백워드 설계를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high school special class mathematics classes using backward design to fi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current special class mathematics classes and suggest implications.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the process of improving classes by conducting six expert council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total of 16 classes as an action study. The collected data included class design, class reflection diary, class video, class transcript, expert council video, and expert council meeting minut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inductive analysis method and practical compromis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ossibility of classes based on the true understanding of learners was expanded through the design and execution of special class mathematics classes based on backward desig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can cultivat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through mathematical thinking experienc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meaning of backward design on special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using backward design in special education sites were presented.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초등 사회과 수업 전문성에 대한 예비 특수교사의 인식

        박윤정(Park Youn-jung),서효정(Seo Hyo-jeo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좋은 사회과 수업을 실현하기 위해 초등 예비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함이다. 2개 대학 특수교육과에 개설된 초등사회 교과목을 수강한 총 37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초등 사회과 단원 중심 학생 맞춤형 수업 설계에 중점을 두고 강좌를 운영하였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사회과 수업에 관한 기본적인 인식(관심도, 중요도)과 강좌 수강 이전과 이후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인식 변화를 살펴보고, 본 강좌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등 예비특수교사들은 사회과 수업에 대한 관심이 높은 편이었고, 수업의 중요성을 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사회과 수업 설계 및 실행에 중요한 좋은 수업의 요소로는 교육내용의 선정, 교육과정 구성, 교수·학습방법이 1∼3순위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과 수업 전문성(지식 및 이해, 수업기획, 수업실행, 전문성 제고 노력)에 대한 사전-사후 긍정적 인식의 변화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강좌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높았으며 동료 예비교사 및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만족도 또한 높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삶 중심의 배움을 강조한 사회과 교육의 실현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쟁점 및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in order to realize good instructions in social studie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 total of 37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elementary social studies courses offered in the special education departments of two universities learned with an emphasis on instructional design focused on elementary social studies units. The basic perceptions (interest, importance) of social studie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changes in perceptions of teaching expertise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 and satisfaction with this cours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firs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more interested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and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t more. In addition, the selection of content, curriculum composi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ranked 1st to 3rd as the key elements of good instructions i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Second, the positive changes in perceptions of teaching expertise for social studies before and after the course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was high,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interaction with colleagues and instructors was also high. Based on the main findings, several issues to be considered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emphasizing life-orient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future, as well a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