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벤트 통지를 기반으로 한 이동 에이전트 통신

        서효정(Hyo-Jeong Seo),방대욱(Dae-Uk Bang)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Ⅰ

        최근 들어 에이전트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지는 가운데 에이전트의 통신 방법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통신 방법들은 대부분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을 위한 방법들이 이었다. 이런 방법을 이동 에이전트에 적용 시키기에는 에이전트 이동, 네트워크 과부하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은 이벤트를 기반으로 한 통신방법을 이동 에이전트에 적합하도록 확장시켰다. 확장된 이벤트 통지 방법은 이벤트들이 모든 에이전트에게 에이전트의 위치에 의해 이벤트를 전달하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각 에이전트가 관심을 가지는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통지를 함으로써 특정 이벤트를 원하는 에이전트에게만 전달하고, 에이전트의 이동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부하가 감소되고, 각 에이전트들의 통신 부하도 감소되고, 원하는 자료에 대한 필터링도 가능해 진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및 역할에 대한 실태 및 개선 요구 분석

        서효정 ( Seo Hyo Jeong ),강은영 ( Kang Eun Young ),박윤정 ( Park Youn J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내실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담당 특수교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및 역할의 실태와 기대 요구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 소속 특수교사 7명과의 면담을 반구조화 질문으로 진행하고, 3단계 코딩 과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과 기능의 범위가 교육청 및 단위 학교와 중복됨에 따라 고유의 권한 및 위상이 모호하여 겪는 어려움이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공간 및 기능적인 독립성 확보, 인력 구성 및 전문성 확대를 위한 질적 개선, 기능 및 역할의 정상화를 위한 체계적 지원방안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육의 지역 균형적 발전과 학생 중심의 미래지향적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내실화를 도모하기 위한 연구의 시사점으로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법적·정책적 근거 마련, 기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 및 기능에서 연구 기능 활성화, 인적 구성 및 전문성 발휘를 위한 구조적 변화 모색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in the operation and rol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SESCs) and expected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explore ways to ensure substantiality of SESCs. Interviews with 7 special teachers belonging to the Gyeonggi SESCs were conducted as semi-structured questions, an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step coding proces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SCs suffer from ambiguity in its authority and status because the SESCs overlap functions and roles with the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s. Second, it was necessary to find a systematic support plan for securing independence of the SESCs for space and its function, qualitative improvement to expand personnel composition and expertise of the SESCs, and normalization of functions and roles of the SESCs. As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promote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operation of student-centered and future-oriente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legal and policy ground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field, strengthening the study function of SESCs, and exploring ways for changes in personnel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SESCs to demonstrate professionalism.

      • KCI등재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한 예비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교수적 수정 실행, 교사 효능감에 대한 인식 변화 및 관련성 분석

        서효정(Seo, Hyo-jeong),박윤정(Park, Youn J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3

        연구목적: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예비 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 교수적 수정 실행, 교사 효능감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특수교육학개론 과목을 수강하는 예비 일반교사 9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인식을 측정하였으며, 사전과 사후 인식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상호관련성은 Pearson r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및 교수적 수정 실행에 대한 인식과 교사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의 교육적 성과로 나타난 예비 일반교사의 인식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특수교육학개론 이수를 통한 교육적 효과로 연구된 3가지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상호관계를 종합적으로 검증함으로써, 강좌 내용 구성 및 교수법 개선과 통합교육 관련 교사교육에 도움이 되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 연구결과에 따라 교사교육 관련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and correlations among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teacher efficacy of gener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taken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Methods: A total of 99 gener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the three perceptions. The changes in teacher perceptions and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perceptions were analyzed by the paired t-test and Pearson’s r, respectively. Results: First,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inclusion,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their teaching efficac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existed among the three perceptions of educational outcomes for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Conclus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because the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changes of the three perceptions and their mutual relationships through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for gener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rovid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improve teaching content and methods for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inclusion. Based 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SACIE-R 구성 타당도 검증

        서효정 ( Seo Hyo Jeong ),박윤정 ( Park Youn J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판 SACIE-R (Korean version of Sentiments, Attitudes, and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Revised)의 측정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예비교사의 학령기 통합교육 경험이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하는 총 427명의 예비교사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을 위해 잠재변인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SACIE-R의 3요인 구조는 만족스럽게 나타났고, 신뢰도 계수(크론바크 알파, 맥도널드 오메가) 또한 0.70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학령기 통합교육 경험은 그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는데, 학령기에 통합교육을 받은 참여자들이 통합교육에 대한 SACIE-R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ACIE-R의 측정구조는 학령기 때 통합교육을 받은 참여자와 통합교육을 받지 않은 참여자 간에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후속연구와 교육 실제에 대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Sentiments, Attitudes, and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Revised (SACIE-R) Scale for Korean pre-service teachers. Also,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having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on pre-teacher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Method: The total number of 427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participated in the survey. Latent modeling was conduc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First, the model fit of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the SACIE-R was satisfactory; reliability indices (i.e., Cronbach alpha, coefficient omega) were greater than the acceptable level of .70. Second, participants’ inclusion experiences during school age were significantly impacted on their perspectives of inclusive education, indicating that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inclusive education during K-12 had higher scores on SACIE-R than those who had not experienced inclusive education.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measurement structure of the SACIE-R behaved differently between groups of participants who had and had not experienced inclusive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e importance of having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tools to identify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inclusion was discussed. In addition,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음식물류폐기물 종합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배출부터 이용까지의 문제점 도출 및 개선사항 검토

        서효정 ( Hyo-jeong Seo ),김영신 ( Yeong-shin Kim ),조준연 ( Jun-yeon Cho ),배재근 ( Chae-gun Pha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심포지움 Vol.2016 No.2

        정부의 지속적인 음식물 처리 및 감량에 대한 정책추진으로 ’08년부터 음식물류폐기물 발생량 연평균 3% 이상 감량 성과를 달성하였으나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20년까지 연평균 0.32%씩 증가가 예상되고 1인 가구 증가, 외식문화의 발달로 인한 음식물류폐기물에 대한 지속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음식물류폐기물은 분리배출 기준 및 단지별 종량제 등으로 인한 주민불편과 자원화 시설의 기술 및 법·제도상의 문제, 제품의 유통 관리 미비로 인하여 음식물류폐기물의 체계적 관리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민 편의 증대 및 자발적 자가 감량 유도와 지역별 맞춤형 지원 순한 사회 구현을 목적으로 음식물류폐기물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사항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검토를 위해 배출부터 이용까지의 물질흐름 분석, 주민 설문 및 문헌조사를 통한 민원 발생·신고 현황, 해외 우수사례 현황, 과거 음식물류폐기물 관련 종합대책 세부 추진 비교·분석, 자원화 업체 현장조사, 각종 포럼 참석을 통한 현황 파악, 관련 법 및 제도의 물질흐름 작성 등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발생원 관리, 수집·운반 체계 관리 및 선진화, 지역별 맞춤형 자원화 방법 도입, 자원화 시설 관리, 자원화 제품의 이용 촉진에 대한 개선사항과 각각의 세부사항을 검토하였다. 각 단계별로 도출된 대표적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배출단계에서는 종량제 봉투 내 이물질 혼입 문제, 낮은 주민부담률로 인한 지자체 청소행정비용의 부담 문제, 음식물류폐기물의 분리배출 기준에 대한 주민 불편문제 등이 도출되었다. 수집·운반 단계에서는 양질과 저질의 음식물류폐기물이 혼합되어 수거되는 문제, 종량제 방식(종량제 봉투, RFID, 납부필증, 전용용기)별 문제, 공동주택 단지별 종량제(공동용기 배출)로 인한 비용부담의 형평성 문제, 수집·운반 차량으로 인한 악취, 침출수 등의 미관 저해 및 환경문제, 수집·운반 대행자 선정 기준의 공정성 문제 등이 도출 되었다. 또한 자원화(처리) 및 이용단계에서 도출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시설의 문제와 음식물류폐기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자원화 제품의 유통과 수요창출 등의 문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의 종합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첫째, 발생원 관리를 통한 자가감량 유도대책 추진(분리 배출기준 확대, 가정 내 간이 탈수기 사용 장려, RFID 종량제 확장 및 다양화, 주민부담률 현실화 등) 둘째, 수집·운반 개선을 통한 무게 종량제 확대 및 수거체계 다양화(단독주택 거점 수거 확대, 수거차량 현대화 및 다양화 등) 셋째, 처리 다각화를 통한 지역별, 폐기물특성별 맞춤형 대책 추진(지역별 맞춤형 자원화 방법도입, 바이오 가스화 시설 병합처리 유도, 수분 감량기기 부산물의 이용 확대 등) 넷째, 자원화 제품 관리를 통한 인식제고 및 관리 강화(재활용 사료·퇴비에 대한 인식 개선 홍보 추진, 생산·유통 추적 시스템 구축 등)를 개선사항으로 검토하였다. 향후 연구 진행에 있어서는 중앙정부, 지자체, 관련업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음식물류폐기물의 발생억제와 관리체계 선진화, 재활용 다각화 및 활성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장애학생의 개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이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장애학생의 자기결정과 장애범주, 성별, 및 교육적 환경간의 관계 분석

        서효정 ( Hyo Jeong Seo ),( Michael L. Wehmeyer ),( Susan B. Palmer ),( Jane H. Soukup ),( Kendra Williams Diehm ),( Karrie Shogre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2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관한 미국 연구는 1990년 초반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0년에 걸쳐 자기결정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동안, 자기결정의 이론을 구축하여 자기결정의 개념을 확립하려는 노력이 행해졌다. 이 이론들은 개인의 특성 요인과 환경적 영향 요인을 공통적으로 설명하여 자기결정의 개념을 구축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인적 요소(학생의 주요 장애 영역, 성별)와 학생이 배치된 교육적인 환경(일반학급, 특수학급, 특수학교)에 따라서 학생의 자기결정력이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학생의 자기결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중재전략들의 효과를 살펴보고, 졸업 후 학생의 교육결과를 살펴보고자 한 5년 종단연구(2005년 ~ 2010년)의 한 부분으로, 학생들에게 자기결정 중재 전략을 실시하기 이전의 기초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참여자는 미국 6개의 주(Arkansas, Kansas, Missouri, Nebraska, Oklahoma, and Texas)에서 임의적으로 선별된 청소년기 장애학생 230명이고, 종속변수인 학생들의 자기결정을 측정하기 위해서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과 The AIR Self-determination Scale (학생용)이 사용되었다. 연구 분석결과, 학생의 주요 장애영역에 따라서만 학생들의 자기결정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자기결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제안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들이 제공되었다.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gained increased attention in special education since the early 1990s. During this time, research has documented theoretical frameworks to provide a solid understanding of self-determination. Des Desppite different theoretical frameworks to consolidate the underlying construct of self-determination, each framework has common trait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examin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e., primary rimary disability and gender)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e., educational setting) to identify the impact on the levels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Results indicate that only disability categor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relative levels of self-determination.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a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장애 학생의 교육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생 주도적 학습전략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분석

        서효정 ( Hyo Jeong Seo ),임해주 ( Hae Ju Lim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4

        학생 주도적 학습전략은 학습의 중심을 교사에서 학생 자신으로 옮기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최근 교육과정의 통합 및 일반교육과정 접근 증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16년간 학생 주도적 학습전략을 적용한 학습장애 관련 국내 중재연구 14편을 선정하여 1차 내용 분석 및 2차 질적 분석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1차 내용 분석 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 쓰기, 수학, 읽기, 사회과, 과학과, 미술과 영역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전략을 활용한 중재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대부분 초등학생이고 자기교시훈련, 자기점검 전략 훈련, 자기조정전략 교수, 자기평가 교수전략,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의 중재들이 활용 되었다. 셋째, 단일대상연구(8편)방법을 적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집단 실험연구(3편), 사전사후검사(3편)으로 나타났다. 질적 지표에 따른 2차 연구방법 분석의 결과, 첫째, 평균 질적 지표 점수의 범위는 3점 만점에 1점에서 3점으로 나타났다(집단연구 평균: 2.17점, 단일대상연구 평균:2.43점). 둘째, 집단연구에서는 중재에 대한 기술, 측정도구, 중재후 자료 수집시기 영역에서 강점(평균 3점)을 보이는 반면, 중재자의 동질성 검증, 효과크기 영역에서는 다소 미흡한 점수(평균 1점)을 나타냈다. 셋째, 단일대상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 인적정보, 측정 과정, 측정 빈도, 실험효과, 효과의 반복과 관련된 영역에서 강점(평균 3점)이 나타난 반면, 중재 충실도, 사회적 중요성, 변화의 크기, 독립변인의 실용성 및 비용 효율성에 관련된 지표에서는 평균 점수 2점 이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wo purposes of this research synthesis were to identify trends of studies that used student-directed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education outcome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content analysis) as well a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quality of research methods used (study method analysis). A total of 14 studies was selected for content analysis; among them, three studies were dropped for the study method analysis. Study findings from content analysis indicated that (a) studies were concentrated in areas of writing, math, reading, social studies, science, and art; (b) participants were main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 self-instruction, self-monitoring, self-regulation, self-evaluation, and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were used. Study results from the method analysis suggested that (a) the average quality index score for group and single-subject design study was 2.17 and 2.43, respectively; (b) quality indicators that showed high scores were populated in areas of "description of intervention", "multiple measures or measures of generalized performance", and "appropriateness of time of data collection" in the group design study whereas "participant description", "measurement procedure", "measurement frequency", "experimental effect", "replication of effects" were strong areas in the single-subject design study; and (c) quality indicators that had low scores were found in the areas of "equivalence of intervention agents across conditions" and "effect size" in group design study while "fidelity of implementation" and "social validity-related indicators" had low scores in the single-subject design study.

      • 음식물류폐기물 종합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배출부터 이용까지의 문제점 도출 및 개선사항 검토

        서효정 ( Hyo-jeong Seo ),김영신 ( Yeong-shin Kim ),조준연 ( Jun-yeon Cho ),배재근 ( Chae-gun Pha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정부의 지속적인 음식물 처리 및 감량에 대한 정책추진으로 ’08년부터 음식물류폐기물 발생량 연평균 3% 이상 감량 성과를 달성하였으나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20년까지 연평균 0.32%씩 증가가 예상되고 1인 가구 증가, 외식문화의 발달로 인한 음식물류폐기물에 대한 지속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음식물류폐기물은 분리배출 기준 및 단지별 종량제 등으로 인한 주민불편과 자원화 시설의 기술 및 법·제도상의 문제, 제품의 유통 관리 미비로 인하여 음식물류폐기물의 체계적 관리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민 편의 증대 및 자발적 자가 감량 유도와 지역별 맞춤형 지원 순한 사회 구현을 목적으로 음식물류폐기물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사항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검토를 위해 배출부터 이용까지의 물질흐름 분석, 주민 설문 및 문헌조사를 통한 민원 발생·신고 현황, 해외 우수사례 현황, 과거 음식물류폐기물 관련 종합대책 세부 추진 비교·분석, 자원화 업체 현장조사, 각종 포럼 참석을 통한 현황 파악, 관련 법 및 제도의 물질흐름 작성 등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발생원 관리, 수집·운반 체계 관리 및 선진화, 지역별 맞춤형 자원화 방법 도입, 자원화 시설 관리, 자원화 제품의 이용 촉진에 대한 개선사항과 각각의 세부사항을 검토하였다. 각 단계별로 도출된 대표적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배출단계에서는 종량제 봉투 내 이물질 혼입 문제, 낮은 주민부담률로 인한 지자체 청소행정비용의 부담 문제, 음식물류폐기물의 분리배출 기준에 대한 주민 불편문제 등이 도출되었다. 수집·운반 단계에서는 양질과 저질의 음식물류폐기물이 혼합되어 수거되는 문제, 종량제 방식(종량제 봉투, RFID, 납부필증, 전용용기)별 문제, 공동주택 단지별 종량제(공동용기 배출)로 인한 비용부담의 형평성 문제, 수집·운반 차량으로 인한 악취, 침출수 등의 미관 저해 및 환경문제, 수집·운반 대행자 선정 기준의 공정성 문제 등이 도출 되었다. 또한 자원화(처리) 및 이용단계에서 도출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시설의 문제와 음식물류폐기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자원화 제품의 유통과 수요창출 등의 문제가 도출되었다.

      • 이동에이전트를 이용한 XML 정보의 수집 및 분류

        서효정(Hyo-Jeong Seo),방대욱(Dae-Uook Bang)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Ⅱ

        요즘처럼 웹을 이용하여 정보 검색시 너무나 많은 양의 정보를 수집, 정리, 관리 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상에는 기존의 텍스트 자료 이외에도 이미지, 사운드, 데이터 베이스 등 우리가 원하는 여러 유형의 자료가 존재 한다. 하지만 웹상에서는 텍스트만을 위주로 자료를 검색, 수집, 분류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XML 를 이용하여 정보의 종류에 관계없이 수집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한 정보 검색 모형을 제시하고 이때 이동에이전트가 정보의 표현방법으로 XML를 사용한다. 또한 XML의 계층적인 특성을 활용하여 XML 문서의 분류, 병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집된 정보의 정리된 형태로 쉽게 얻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PTT[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직물(織物)의 물리적 특성(物理的 特性) 및 주관적 평가(主觀的 評價)에 관(關)한 연구(硏究)

        서효정 ( Hyo Jeong Seo ),김종준 ( Jong Jun Kim ),전동원 ( Dong Won Jeon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03 패션 비즈니스 Vol.7 No.4

        A new textile material,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 has been introduced to the textile industry. The structure of PTT is similar to the PET, while the tensile deformation and subsequent recovery property is better than that of PET. In this study,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extile woven fabrics made of PTT, PET, and nylon 6 yarns as the filling yarn were determined using the Kawabata Evaluation System (KES), including tensile, bending, shearing, compression, and surface related parameters. On top of these measurements, the subjective ratings by evaluators were performed on the fabric samples. From the examination of the stress-strain behavior of the yarn specimens focused on the recovery mode, it was evident that the PTT specimen developed lower stress at 3% elongation. The subsequent recovery curve showed that the PTT has less stress-decay rate than the other specimens, implying that the recovery behavior of the PTT is recommendable for the end-uses including stretchable textile materials, sports wears, etc. The KES bending rigidity(B) value of the PTT sample fabric was lower than that of the PET sample fabric.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fabric samples by the evaluators on the descriptive word pair "soft - not soft" showed similar tendency with the KES B determination of the fabric s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