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한성 두경부 대세포성(Diffuse Large Cell) 림프종의 적정 방사선 조사선량

        금웅섭(Woong Sub Koom),서창옥(Chang Ok Suh),김용배(Yong Bae Kim),심수정(Su Jung Shim),표홍렬(Hongryull Pyo),노재경(Jae Kyung Roh),정현철(Hyun Cheol Chung),김귀언(Gwi 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4

        목적 : 두경부에 국한된 1기, 2기 대세포성(diffuse large cell) 비호치킨 림프종의 항암화학방사선 병용요법 시 방사선 조사영역 내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적정 방사선 조사선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5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국한성 두경부 대세포성 림프종으로 항암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13세부터 69세까지였으며 중앙값은 49세였다. 남녀 비는 1.65대 1이었고 1기, 2기 환자가 각각 27명, 26명이었다. 종양 크기별로 5cm 미만이 30명, 5cm 이상이 23명이었다. 원발부위는 경부림프절 22명, 편도 20명, 비인두 4명, 설기저부 3명, 부비동 2명, 후두 1명, 연구개 1명이었다. 항암화학요법은 1명을 제외하고 3회 이상 시행되었으며 방사선치료는 48명이 원발부위와 경부임파선을, 5명이 원발부위만 치료하였다. 생존율, 무병생존율, 조사영역 내 무재발생존율과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방사선 조사영역 내에서의 재발빈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항암화학요법 후 44명(83%)이 완전관해 되었고 연이은 방사선치료 후 53명 모두 완전관해 되었다. 12명(23%)이 재발하였고 그중 2명은 방사선 조사영역 내 재발이었고 방사선 조사영역 바깥 재발은 11명으로 복강 및 ㄱ 반 내 림프절이 가장 많았다. 방사선 조사선량 별 조사영역 내 재발은 30~35 Gy에서 7명 중 1명, 35~40 Gy에서 16명중 1명이었고 40 Gy 이상에서는 재발이 없었다. 방사선 조사영역 내 재발은 30~35 Gy에서 7명 중 1명, 35~40 GY에서 16명중 1명이었고 40 Gy 이상에서는 재발이 없었다. 방사선 조사영역 내 재발에 유의한 예후인자는 없었으나 5cm 이상인 종양에서 재발하였고 5cm 미만인 종양은 30 Gy에서도 재발하지 않았다. 10년 방사선 조사영역내 무재발 생존율, 무병생존율, 전체생존율은 각각 96%, 76%, 75%였다. 결론 : 국한성 두경부 대세포성 림프종서 함암화학방사선 병용요법 시 종양의 크기가 5cm 미만은 경우에는 30 Gy의 방사선 조사선량으로도 국소제어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치료에 따르는 구강건조증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5cm 이상의 종양에서는 30 Gy 이상의 방사선 조사 선량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o determine the optimal radiation dose in a localized non-Hodgkin's lymphoma of the head and neck in the treatment setting for combined chemo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Fifty-three patients with stage Ⅰ and Ⅱ diffuse large cell non-Hodgkin's lym-phoma of the head and neck, who were treated with combined chemoradiotherapy between 1985 and 1998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an age was 49 years, and the male-to-female ratio was ap-proximately 1.6. Twenty-seven patients had stage I disease and 26 had stage Ⅱ. Twenty-three patients had bulky tumors (≥5 cm) and 30 had non-bulky tumors (<5 cm). The primary tumors arose mainly from an extranodal organ (70%), most cases involving Waldeyer's ring (90%). All patients except one were initially treated with 3~6 cycles of chemotherapy, which was followed by radiotherapy. Radiation was de-livered either to the primary tumor area alone (9%) or to the primary tumor area plus the bilateral neck nodes (91%) with a minimum does of 30 Gy (range 30~60 Gy). The failure patterns according to the radiation field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se and the in-field recurrence was evaluated. Results : The 10-year overall survival and the 10-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similar at 75% and 76%, respectively. A complete response (CR) after chemotherapy was achieved in 44 patients (83%). Subsequent radiotherapy showed a CR in all patients. Twelve patients (23%) had a relapse of the lym-phoma after the initial treatment. Two of these patients had a recurrence inside the radiation field. No clear dose response relationship was observed and no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the in-field recur-rence <5 cm in diameter, there were no in field recurrences after a radiation dose 30 Gy. The 2 in-field recurrences encoutered occurred in patients with a tumor ≥5 cm. conclusion : A dose of 30 Gy is sufficient for local control in patients with a non-bulky (<5 cm), lo-calized, diffuse large cell non-Hodgkin's lymphoma when combined with chemotherapy. An additional boost dose in the primary site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bulky tumors (≥5 cm).

      • KCI등재

        유방 보존술 후 내유림프절을 포함하는 방사선치료 기법에 관한 연구

        정경근(Kyoungkeun Jeong),심수정(Su Jung Shim),유세환(Sei Hwan You),김용배(Yong Bae Kim),금기창(Ki Chang Keum),김종대(Jong Dae Kim),서창옥(Chang Ok S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7 No.1

        목 적: 유방암 환자에서 부분적 유방절제술 후 내유림프절(internal mammary lymph node: IMN)을 포함하여 방사선 치료하기 위한 최적의 치료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초기 유방암으로 부분적 유방절제수술을 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은 10명의 환자들의 CT simulation 데이터를 얻어서 각 환자들에서 4가지 치료방법을 계획하고 평가하였다. 5명은 오른쪽 유방을, 나머지 5명은 왼쪽 유방을 치료 받았다. 각 환자에서 유방, 쇄골 상부 림프절(supraclavicular lymph node: SCL), IMN (위쪽 3개의 늑골사이에 있는 림프절만 포함)을 조사하는 치료계획을 하였다. IMN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4가지 방식, 즉 표준적인 접선방향 치료(Standard Tangential Field: STF), 확장접선치료 방법(Wide Tangential Field, WTF), 부분 확장접선치료방법(Partially Wide Tangential Field: PWT), 광자와 전자를 혼합한 방법(Photon-Electron Mixed 5 Field: PEM)을 사용하였다. SCL field는 3 cm에, 유방조직은 중심점에 50.4 Gy를 28회에 나누어 치료하도록 처방하였다. 결 과: 각각의 치료 기법은 환자마다 차이는 있었으나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 유방조직의 선량은 각 치료 기법마다큰 차이가 없었다. IMN는 치료 기법마다 차이가 있으나 STF를 제외한 세 가지 방법은 대체로 IMN을 잘 감싸고 있었다. 왼쪽 유방을 치료하는 경우 심장이 받는 선량은 고선량 영역에서는 WTF, PWT, PEM, STF의 순으로 많은 체적에 선량을 받았으며 낮은 선량 영역에서는 PEM, WTF, PWT, STF의 순이었다. 동측 폐의 선량 역시 마찬가지의 순서를 보였다. Lyman-Kutcher-Burman model에 의한 방사선 폐렴에 대한 NTCP는 개인별 편차가 컸다. 대체로STF가 가장 작고 PWT가 다음이었으나 PEM와 WTF의 경우는 환자마다 큰 차이를 보였다. 결 론: 환자들의 다양한 체형에도 불구하고 IMN를 포함하여 치료하는 경우 PWT가 폐와 심장의 조사선량을 줄이고 IMN에 표적선량을 전달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optimum radiotherapy technique for internal mammary node (IMN) irradiation after breast-conserving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ten cases of early stage partial mastectomy for plan comparison. Five of the patients were treated to the right-side breast and the rest of the patients were treated to the left-side breast. For each case, four different treatment plans were made to irradiate the entire breast, IMNs and supraclavicular lymph nodes (SCLs). The four planning techniques include a standard tangential field (STF), wide tangential field (WTF), partially wide tangential field (PWT) and a photon-electron mixed field (PEM). We prescribed a dose of 50.4 Gy to the SCL field at a 3 cm depth and isocenter of the breast field. Results: The dose distribution showed clear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echnique used. All of the techniques covered the breast tissue well. IMN coverage was also good, except for the STF, which was not intended to cover IMNs. For the cases of the left-side breasts, the volume of the heart that received more than 30 Gy was larger (in order) for the WTF, PWT, PEM and STF. For radiation pneumonitis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NTCP), the PWT showed the best results followed by the STF. Conclusion: Despite the variety of patient body shapes, the PWT technique showed the best results for coverage of IMNs and for reducing the lung and heart dose.

      • KCI등재후보

        처방선량 및 치료기법별 치료성적 분석 결과에 기반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최적 방사선치료 스케쥴

        조재호(Jae Ho Cho),김현창(Hyun Chang Kim),서창옥(Chang Ok Suh),이창걸(Chang Geol Lee),금기창(Ki Chang Keum),조남훈(Nam Hoon Cho),이익재(Ik Jae Lee),심수정(Su Jung Shim),서양권(Yang Kwon Suh),성진실(Jinsil Seong),김귀언(Gwi 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3

        목 적: 고선량률 강내근접치료와 외부방사선의 병합치료는 자궁경부암의 표준치료법이지만, 최적의 병합 방식 및 선량 분할 스케쥴은 아직 정해지지 않고 있다. 부분적으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다양성 및 기존의 문헌 들의 방사선 선량에 관한 자세한 정보 부족을 그 이유로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선량률 강내근접치료에 대 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단일기관에서 비교적 균일한 치료를 받은 많은 수의 환자 모집단을 대상으로 이들 다 양한 인자들 및 방사선치료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통해서 최적의 방사선치료를 위한 지침을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연세암센터에서 고선량률 강내근접치료 및 외부방사선치료로 자궁경부암 에 대한 근치적 치료를 받은 74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앙추적관찰 기간은 52개월이었다. FIGO 병기 분포는 IB 198명, IIA 77명, IIB 364명, IIIA 7명, IIIB 89명, IVA 8명이었다. 전골반방사선 선량은 23.4∼59.4 Gy (중앙값 45 Gy)의 분포를 보였으며, 진단 시 종양의 크기 및 외부방사선치료에 대한 종양의 반응에 따라서 그 시기를 조절 하는 중앙차폐는 495예에서 시행되었으며, 그 시기는 14.4∼43.2 Gy (중앙값 36.0 Gy)로 비교적 광범위하고 다양한 분포를 보였다. 강내근접치료와 외부방사선치료의 분할 선량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생물학적 유효선량(Biologically Effective Dose, BED)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종양 및 정상 조직에 대한 α/β비는 각각 10 및 3으로 하였다. 모든 개 별 환자의 직장 전벽 및 방광 흡수선량을 분석하였고, 합병증 및 골반제어율과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외에도 방사선치료 스케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인 총 치료기간, 강내근접치료의 분할 선량 크기, 주치 의의 선호도에 따른 치료 스케쥴 차이 등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에서 RTOG Grade 1-4 독성 발생률은 33.1%였다. 전체 환자의 5년 골반제어율은 83%로 분석되었다. 중앙차폐이전 외부방사선선량과 강내근접치료의 합산 BED값(=MD-BED Gyα/β은 α/β=10인 경우 62.0∼121.9 Gy10 (중앙값= 93.0 Gy10)의 분포를, α/β=3인 경우 93.6∼187.3 Gy3 (중앙값=137.6 Gy3)의 분포를 보였다. MD-BED Gy3는 직장합병증 발생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방광합병증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직장합병증과의 연관성은 MD-BED Gy3보다 개별 환자의 직장전벽 총 선량 BED값인 R-BED Gy3가 훨씬 더 높았다. 요도카테터 풍선의 후방지점이 대변하는 방광의 총 선량 BED값인 V-BED Gy3도 방광합병증과 경향성 테스트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하지만, 어떠한 방사선선량도 골반제어율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기관에서 주치의의 선호도에 따라 강내근접치료가 외부방사선치료의 중간에 시행되는 형태인 샌드위치기법과 외부방사선치료 후반부에 시행되는 순차적 기법으로 구분하였을 때, 두 방식간 치료성적 및 합병증의 차이는 없었다. 총 치료기간에 대한 분석에서는 치료기간이 길어질수록 재발 위험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나이 및 병기, 종양의 크 기, MD-BED Gy10 등의 예후 인자를 보정한 다변량분석에서는 치료기간이 100일 이상인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강내근접치료 분할선량 크기인 3 Gy와 5 Gy 사이에 골반제어율 및 합병증의 차이는 없었다.결 론: 자궁경부암의 최적방사선치료 스케쥴에 대한 지침을 세우기 어렵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강내근접치료가 갖는 선량분포 특성에서 기인하는 방사선선량-골반제어율 상관 관계의 부재 및 개별 종양의 방사선에 대한 반응 속도가 환자마다 크게 다를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원칙과 함께 개인화된 맞춤치료가 필요하다. 치료 지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의 복합적인 고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합병증 발생이 우려되는 경우 생물학적 유효선량을 낮추기 위해 적절한 조기 중앙차폐 및 강내근접치료의 분할선량 크기 감소를 고려해볼 수 있다. Background: The best dose-fractionation regimen of the definitive radiotherapy for cervix cancer remains to be clearly determined. It seems to be partially attributed to the complexity of the affecting factors and the lack of detailed information on external and intra-cavitary fractionation. To find optimal practice guidelines, our experiences of the combination of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and high-dose-rate intracavitary brachytherapy (HDR-ICBT) were reviewed with detailed information of the various treatment parameters obtained from a large cohort of women treated homogeneously at a single institute.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743 cervical cancer patients (Stage IB 198, IIA 77, IIB 364, IIIA 7, IIIB 89 and IVA 8) treated by radiotherapy alone, between 1990 and 1996. A total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dose of 23.4∼59.4 Gy (Median 45.0) was delivered to the whole pelvis. High-dose-rate intracavitary brachytherapy (HDR-ICBT) was also performed using various fractionation schemes. A Midline block (MLB) was initiated after the delivery of 14.4∼43.2 Gy (Median 36.0) of EBRT in 495 patients, while in the other 248 patients EBRT could not be used due to slow tumor regression or the huge initial bulk of tumor. The point A, actual bladder & rectal doses were individually assessed in all patients. The biologically effective dose (BED) to the tumor (α/β=10) and late-responding tissues (α/β=3) for both EBRT and HDR-ICBT were calculated. The total BED values to point A, the actual bladder and rectal reference points were the summation of the EBRT and HDR-ICBT. In addition to all the details on dose-fractionation, the other factors (i.e. the overall treatment time, physicians preference) that can affect the schedule of the definitive radiotherapy were also thoroughly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MD-BED Gy3 and the risk of complication was assessed using seri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e associations between R-BED Gy3 and rectal complications and between V-BED Gy3 and bladder complications were assess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after adjustment for age, stage, tumor size and treatment duration. Serial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estimate the relative risks of recurrence due to MD-BED Gy10, and the treatment duration. Results: The overall complication rate for RTOG Grades 1∼4 toxicities was 33.1%. The 5-year actuarial pelvic control rate for all 743 patients was 83%. The midline cumulative BED dose, which is the sum of external midline BED and HDR-ICBT point A BED, ranged from 62.0 to 121.9 Gy10 (median 93.0) for tumors and from 93.6 to 187.3 Gy3 (median 137.6) for late responding tissues. The median cumulative values of actual rectal (R-BED Gy3) and bladder point BED (V-BED Gy3) were 118.7 Gy3 (range 48.8∼265.2) and 126.1 Gy3 (range: 54.9∼267.5), respectively. MD-BED Gy3 showed a good correlation with rectal (p=0.003), but not with bladder complications (p=0.095). R-BED Gy3 had a very strong association (p=<0.0001), and was more predictive of rectal complications than A-BED Gy3. B-BED Gy3 also showed significance in the prediction of bladder complications in a trend test (p=0.0298).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ose-response relationship for pelvic control was observed. The Sandwich and Continuous techniques, which differ according to when the ICR was inserted during the EBRT and due to the physicians preference, showed no differences in the local control and complication rates; there were also no differences in the 3 vs. 5 Gy fraction size of HDR-ICBT. Conclusion: The main reasons optimal dose-fractionation guidelines are not easily established is due to the absence of a dose-response relationship for tumor control as a result of the high-dose gradient of HDR-ICBT, individual differences in tumor responses to radiation therapy and the complexity of affecting facto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수모세포종의 방사선치료 후 전두엽하방 재발된 환자에서 원인 분석 및 구제 치료

        조재호(Jae Ho Cho),금웅섭(Woong Sub Koom),이창걸(Chang Geol Lee),김경주(Kyoung Ju Kim),심수정(Su Jung Shim),박진호(Jino Bak),정경근(Kyoungkeun Jeong),김태곤(Tae-Gon Kim),김동석(Dong Seok Kim),최중언(Joong-Uhn Choi),서창옥(Chang Ok Su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3

        목 적: 두개척수조사(Craniospinal irradiation) 후 전두엽 하방에서 재발(Subfrontal recurrence) 한 수모세포종 두 예를 경험하고, 방사선치료 측면에서 재발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효과적인 구제 치료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두 예 모두 고위험군(T3bM1, T3bM3) 수모세포종으로 수술, 항암화학제 및 방사선 병합요법을 시행 받았으며, CT-Simulation으로 방사선치료계획이 이루어졌다. 한 예는 방사선치료 후 16개월에 재발하여 구제수술을 시행하고, 세기조절방사선치료로 30.6 Gy의 방사선을 재조사하였다. 다른 한 예는 12개월에 재발하여 구제수술만 시행하였다. 재발인자 확인을 위해 초기 방사선치료 시 사용되었던 모의치료사진을 확인하였고, 안구차폐의 과다 여부 및 가능한 원인 인자의 분석과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한예에서 방사선재조사에 대한 부담과 주변 중요정상장기의 인접성 때문에 전두엽하방재발 종양에 대한 구제치료로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계획하였으며, 표적체적에 대해서 7문 조사, 평균선량 30.6 Gy (1.8 Gy 분할, 최대선량의 85%)를 처방하고, 주변 정상중요장기인 시신경은 평균선량을 25 Gy, 안구는 10 Gy로 제한하였다. 결 과: 두 예 모두에서 모의치료사진상 정상장기 보호를 위한 안구차폐과다로 인한 전두엽하방 표적체적 일부에서의 저선량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T-Simulation 상에서 automatic organ drawing 기능을 이용하여 전뇌와 안구의 외측 경계를 모의치료사진 화면에 같이 올릴 경우 차폐의 적절성을 판단하기가 더 용이하였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계획 결과 표적체적에는 평균선량 31.1 Gy, 최대선량 36 Gy, 좌측 및 우측 시신경의 평균선량은 각각 13.9 Gy와 14.7 Gy, 좌우측 안구의 평균선량은 각각 5.5 Gy와 6.9 Gy로 우수한 치료계획을 획득하였다. 구제치료로 수술 및 세기변조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이후 방사선치료에 의한 부작용 없이 1년 간 무병상태이다. 결 론: 수모세포종의 전두엽하방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두개척수조사 시 전두엽하방 및 체판 부위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 차폐를 실시하여야 하겠고, 일단 재발하여 방사선재조사의 필요가 있는 경우 주변정상장기와의 방사선 선량 차이를 극대화할 수 있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통해 방사선치료 부작용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Firstly, to analyze factors in terms of radiation treatment that might potentially cause subfrontal relapse in two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by craniospinal irradiation (CSI) for medulloblastoma. Secondly, to explore an effective salvage treatment for these relapses. Materials and Methods: Two patients who had high-risk disease (T3bM1, T3bM3) were treated with combined chemoradiotherapy. CT-simulation based radiation-treatment planning (RTP) was performed. One patient who experienced relapse at 16 months after CSI was treated with salvage surgery followed by a 30.6 Gy IMRT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The other patient whose tumor relapsed at 12 months after CSI was treated by surgery alone for the recurrence. To investigate factors that might potentially cause subfrontal relapse, we evaluated thoroughly the charts and treatment planning process including portal films, and tried to find out a method to give help for placing blocks appropriately between subfrotal-cribrifrom plate region and both eyes. To salvage subfrontal relapse in a patient, re-irradiation was planned after subtotal tumor removal. We have decided to treat this patient with IMRT because of the proximity of critical normal tissues and large burden of re-irradiation. With seven beam directions, the prescribed mean dose to PTV was 30.6 Gy (1.8 Gy fraction) and the doses to the optic nerves and eyes were limited to 25 Gy and 10 Gy, respectively. Results: Review of radiotherapy portals clearly indicated that the subfrontal-cribriform plate region was excluded from the therapy beam by eye blocks in both cases, resulting in cold spot within the target volume. When the whole brain was rendered in 3-D after organ drawing in each slice, it was easier to judge appropriateness of the blocks in port film. IMRT planning showed excellent dose distributions (Mean doses to PTV, right and left optic nerves, right and left eyes: 31.1 Gy, 14.7 Gy, 13.9 Gy, 6.9 Gy, and 5.5 Gy, respectively. Maximum dose to PTV: 36 Gy). The patient who received IMRT is still alive with no evidence of recurrence and any neurologic complications for 1 year. Conclusion: To prevent recurrence of medulloblastoma in subfrontal-cribriform plate region, w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placement of eye blocks during the treatment. Once subfrontal recurrence has happened, IMRT may be a good choice for re-irradiation as a salvage treatment to maximize the differences of dose distributions between the normal tissues and target volume.

      • KCI등재

        Internal Mammary Lymph Node Irradiation after Breast Conservation Surgery : Radiation Pneumonitis versus Dose­Volume Histogram Parameters

        Joo Young Kim(김주영),Ik Jae Lee(이익재),Ki Chang Keum(금기창),Yong Bae Kim(김용배),Su Jung Shim(심수정),Kyoungkeun Jeong(정경근),Jong Dae Kim(김종대),Chang Ok Suh(서창옥)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4

        목 적: 방사선 폐렴과 체적­선량 히스토그램(dose­volume histogram, DVH) 변수들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하고, 내유림 프절이 포함된 유방암의 방사선치료에서 방사선 폐렴을 방지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부분유방절제술을 받은 초기 유방암 환자 20명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전체 유방, 상부쇄골림프절,내유림프절에 총 28회 50.4 Gy가 조사되었다. 방사선 폐렴은 방사선 영상에서의 폐 변화(radiological pulmonary change; RPC)와 증상이 있는 방사선 폐렴(symptomatic radiation pneumonitis)에 의해 평가되었다. DVH 변수들은 grade<2 RPC와 grade≥2 RPC로 나누어 비교되었다. 이 때, DVH 변수들은 평균 폐 선량(mean lung dose), V10 (10 Gy 이상 받는 폐의 백분율 부피), V20, V30, V40, 그리고 정상 조직 합병증 확률(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NTCP)이다. 결 과: 20명의 환자 중 9명(45%)에서 grade 2 RPC가 발생하였고, 11명(55%)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1명의 환자에서 grade 1의 증상이 있는 방사선 폐렴이 발생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DVH 변수 중, NTCP가 두 RPC grade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p<0.05). Fisher의 정확한 검증(exact test)은 NTCP값 45%가 RPC의 threshold level로서 적합함을 보여준다. 결 론: 본 연구는 NTCP가 유방암의 내유림프절 방사선치료 후 RPC 예측인자 중 한가지로 쓰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임상적으로 이는 NTCP 45% 이상에서 RPC가 발생하기 용이함을 의미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radiation pneumonitis and dose-volume histogram parameters and to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to prevent radiation pneumonitis following radiotherapy administered for breast cancer including internal mammary lymph nod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who underwent a partial mastectomy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entire breast, supraclavicular lymph nodes, and internal mammary lymph nodes were irradiated with a dose of 50.4 Gy in 28 fractions. Radiation pneumonitis was assessed by both radiological pulmonary change (RPC) and by evaluation of symptomatic radiation pneumonitis. Dose-volume histogram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with grade <2 RPC and those with grade ≥2 RPC. The parameters were the mean lung dose, V10 (percent lung volume receiving equal to and more than 10 Gy), V20, V30, V40, and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NTCP). Results: Of the 20 patients, 9 (45%) developed grade 2 RPC and 11 (55%) did not develop RPC (grade 0). Only one patient developed grade 1 symptomatic radiation pneumonitis.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dose-volume histogram parameters, NTC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RPC grade groups (p<0.05). Fisher’s exact test indicated that an NTCP value of 45% was appropriate as an RPC threshold level.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NTCP can be used as a predictor of RPC after radiotherapy of the internal mammary lymph nodes in breast cancer. Clinically, it indicates that an RPC is likely to develop when the NTCP is greater than 45%.

      • SCOPUSSCIEKCI등재

        두개강내에 발생한 악성 신경교종에 대한 Iodine-125과 Iridium-192를 이용한 조직내삽입 방사선치료의 임상분석

        조경기,정상섭,김영수,최중언,이규창,김수곤,서창옥 대한신경외과학회 1992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1 No.4

        Twenty-nine patients haboring primary or recurrent malignant gliomas were treated with direct implantation of radioactive sources into the tumor in afterloaded, removable catheters using stereotatic technique between November 1987 and October 1990. Indine-125(I-125) was implanted in 22 patients and high dose rate(HDR) Iridium-192(Ir-192) in 7 patients. All patients had been treated with external radiation and most had been treated with chemotherapeutic agents. one or more sources were placed in each tumor to deliver 5000-8000 cGy to the tumor's periphery for I-125 and 3000 cGy for HDR Ir-192. Eleven of 13 patients with glioblastoma multiforme were alive at 35 weeks whose mean survival was 74 weeks, and remained two were expired at 35 and 78 weeks. respectively. All 5 patients with anaplastic astrocytoma were alive at 39 weeks whose mean survival was 74 weeks. Five of 9 recurrent glioblastoma were alive at 22 weeks whose mean survival was 44 weeks, and remained three were expired at 13, 17 and 22 weeks respectively. All two patients with anaplastic astrocytoma were alive at 22 and 52 weeks, respectively. Four patients with deep seated analplastic astrocytoma(3 in the thalamus and 1 in the third ventricle) were treated successfully by brachytheray without any surgical morbidity and mortality and they were still alive 38, 48, 74 and 123 weeks after brachytherapy. There were few min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3 meningitis. 2 leak of cerebrospinal fluid and 3 radiation necrosis without any mortality.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brachytherapy with temporary implanted I-125 or Ir-192 sources may provide long-term survial in selected patients with primary or recurrent malignant gliom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