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Paraquat 중독 환자에서 전폐 방사선치료의 효과

        이창걸(Chang Geol Lee),김귀언(Gwi Eon Kim),서창옥(Chang Ok S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3 No.4

        목적 : 제초제로 사용되는 Paraquat(Gramoxone??)는 10cc미만의 소량복용으로 사망이 가능하여 자살목적 혹은 사고로 복용한 후 응급실로 내원하게 되는데 적극적인 치료방법으로 신장 및 간장에 대한 독성은 가역적으로 회복이 가능하나 폐에 대한 독성은 가장 치명적으로 초기에 폐부종, 폐출혈등의 성인형호흡곤란증후군의 양상을 보이며 더욱 진행하면 폐섬유화를 초래하여 궁극적으로 사망하게 된다. 1984년 Webb등이 폐부종이 진행되는 paraquat중독환자에서 전폐방사선치료를 시행, 폐섬유화로의 진행을 억제하여 생존시킨 예를 보고한 이래 전폐 방사선치료가 paraquat에 의한 폐독성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저자들은 연세의대 치료방사선과에서 paraquat중독으로 전폐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폐섬유화 예방에 대한 효과 및 궁극적으로 생존율 향상에 기여하였는지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7년 6월부터 1993년 8월까지 paraquat중독으로 연세의료원에 내원하여 치료하였던 3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 14예에서 전폐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다. 환자들의 특성을 보면 남녀비가 12:18 이었고 3-76세의 연령에서 20-30세사이가 가장 많았고, 자살목적이 22예, 우발적인 사고로 복용한 예가 8예였다. 환자 및 보호자의 진술에 따라, 복용한 양을 소량(<5cc), 한모금(5-50cc) 그리고 과량(>50cc)군으로 세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응급실에 도착하여 적극적인 치료와 함께 24시간 이 내 시작하였고 방사선량은 10Gy/5ft/1주으로, 전폐를 범위로 폐밀도 보상 없이 전후 2문 대향조사하였다. 3예에서 방사선치료도중 중단하였는데 치료거절(2Gy) 및 사망(2Gy, 6Gy)이 원인이었다. 결과 : 소량복용군에서는 방사선치료와 상관없이 7예 전원이 생존하였고 대조군에서 2예의 경미한 폐부종이 나타났으나 방사선치료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모금 복용군의 경우 15예 전예에서 폐독성이 나타났는데, 대조군에서는 7예중 1예(14%0에서만 회복된 반면 방사선치료군에서는 8예중 4예(50%)에서 폐독성에서 회복되었다. 한모금 복용군에서 음독후 4일이내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경우 5예중 4예(80%)에서 폐독성이 회복된 반면 5일 이후에 치료한 3예에서는 전원(100%)이 호흡부전으로 사명하여 차이를 보였다. 4일이내 방사선치료군에서 2Gy 조사 후 치료를 거절한 1예를 제외하면 4예 전원(100%)에서 폐섬유화를 예방할 수 있었다. 과량복용군에서는 방사선치료와 상관없이 8예 전원이 다기관 손상과 함께 호흡부전으로 사명하였는데 방사선치료는 3예 모두 음독2일 이내에 시행되었지만 모두 폐섬유화로 진행되어 사망하였다. 결과 : Paraquat중독으로 궁극적인 사망의 원인이되는 폐섬유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폐방사선치료는 비록 복용량이 정확하지는 않으나 약 한모금(5-50cc)정도 복용한 경우 paraquat배설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와 함께 조기에(적어도 4일 이내에) 시행될 경우 폐섬유화로의 이행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생존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소량복용의 경우와 과량을 복용한 경우 전폐방사선치료는 필요가 없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향후 음독후 정확한 혈중 paraquat농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전폐방사선효과를 규명하는 임상실험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o evaluate whether the early pulmonary irradiation can prevent or decrease the pulmonary damage and contribute to improve ultimate survival in paraquat lung.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un. 1987 to Aug. 1993. thirty patients with paraquat poisoning were evaluated. Fourteen of these patients were received pulmonary irradiation(RT). All of the patients were managed with aggressive supportive treatment such as gastric lavage, forced diuresis, antioxidant agents and antifibrosis agents. Ingested amounts of paraquat were estimated into three groups(A: minimal <about 5cc. B: mouthful 5-50cc. c: large>50cc). Pulmonary irradiation was strated within 24 hours after admission(from day 1 to day 11 after ingestion of paraquat). Both whole lungs were irradiated with AP/PA parallel opposing fields using Co-60 teletherapy machine. A total of 10Gy(2Gy/fr. x 5days) was delivered without correction of lung density. Results : In group A, all patients were alive regardless of pulmonary irradiation and in group C, all of the patients were died due to multi-organ failure, especially pulmonary fibrosis regardless of pulmonary irradiation. However, in group, six of 7 patients(86%) with no RT were died due to respiratory failure, but 4 fo 8 patients with RT were alive and 4 of 5 patients who were received pulmonary irradiation within 4 days after ingestion of paraquat were all alive though radiological pulmonary change. One patient who refused RT after 2Gy died due to pulmonary fibrosis. All 3 patients who were received pulmonary irradiation after 4 days after ingestion were died due to pulmonary fibrosis in spite of recovery from renal and hepatic toxicity Conclusion :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effect of pulmonary irradiation on the course of the paraquat lung because the precise plasma and urine paraquat concentration were not available between control and irradiation groups. But early pulmonary irradiation within 4 days after paraquat poisoning with aggresive supportive treatment appears to decrease pulmonary toxicity and contribute survival in patients with mouthful ingestion of paraquat who are destined to have reversible renal and hepatic damage but irreversible pulmonary toxicity.

      • KCI등재후보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조기 혹은 지연 교대 방사선-항암제치료의 전향적 비교연구

        이창걸,김주항,김성규,김세규,김귀언,서창옥,Lee Chang Geol,Kim Joo Hang,Kim Sung Kyu,Kim Sei Kyu,Kim Gwi Eon,Suh Chang O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Purpose : A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icacy of early or late alternating schedules of radiotherapy, and carboplatin and ifosfamid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limited-disease 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1993 to August 1996, a total of 44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limited-disease small cell lung cancer, PS $H0\~2$, wt $loss<10\%$ were enrolled in a randomized trial which compared early alternating radiotherapy (RT)/chemotherapy (CT) and late alternating RT/CT. The CT regimen included ifosfamide $1.5\;g/m^2$ IV, d1-5 and carboplatin AUC 5/d IV, d2 peformed at 4 week intervals for a total of 6 cycles. RT (54 Gy/30 fr) was started after the first cycle of CT (early arm, N=22) or after the third cycle of CT (late arm, N=22) with a split course of treatment. Results : The pretreatm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arms were well balanced. The response rates in the early $(86\%)$ and late $(85\%)$ arm were similar. The median survival durations and 2-year survival rates were 15 months and $22.7\%$ in the early arm, and 17 months and $14.9\%$ in the late arm (p=0.47 by the log-rank test). The two-year progression free survival rates were $19.1\%$ in the early arm and $19.6\%$ in the late arm (p=0.52 by the log-rank test). Acute grade 3 or 4 hematologic and nonhematologic toxicitie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arms. Eighteen patients $(82\%)$ completed 6 cycles of CT in the early arm and 17 $(77\%)$ in the late arm. Four patients received less than 45 Gy of RT in the early arm and two in the late ar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ilure patterns. The local failure rate was $43\%$ in the early arm and $45\%$ in the late arm. The first site of failure was the brain in $24\%$ of the early arm patients compared to $35\%$ in the late arm (p=0.51). Conclusion :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overall survival rate and the pattern of failure between the early and late alternating RT/CT in patients with limited-disease small cell lung cancer. 목적 :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의 교대 방사선-항암제 병행치료(alternating radio-chemotherapy)에서 방사선치료의 시기의 차이에 따른(조기 혹은 지연) 치료반응률, 생존율, 재발양상, 치료에 따른 부작용을 비교하기 위해 전향적 무작위 비교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8월부터 1996년 8월까지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은 연세암센터에서 조기(early arm) 혹은 지연(delayed arm) 교대 방사선-항암제치료군으로 무작위 분류되었다. 총 56명의 환자 중 44명이 비교분석 되었다. 환자들의 특성은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교대 방사선-항암제치료는 항암제치료기간 중 방사선 치료를 쉬는 방법으로 교대로 쉬지 않고 치료를 하는 방법으로 조기방사선치료군(N=22)은 항암제 1차치료 후 방사선치료를 시작하였고 지연방사선치료군(N=22)은 3차 항암제치료후 방사선치료를 시작하였다. 방사선치료는 1.8 Gy/fr으로 54 Gy/30 fr을 조사하였고 항암제치료는 Ifosfamide $1.5\;g/m^2$, 정맥주사로 제1일에서 5일까지 투여하였고 Carboplatin AUC (area under the concentration-time eurve) 5/day, 정맥주사로 제 2일째 투여하였으며 4주 간격으로 총6회 시행하였다. 관해율은 방사선치료 종료 한달 뒤 판정하였고 부작용의 빈도와 정도는 RTOG 등급체계를, 생존율은 Kaplan-Meier 법을 사용하였고, 비교는 Log-rank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치료에 대한 반응률은 조기군 $86\%$, 지연군 $85\%$로 차이가 없었다. 전체환자의 2년 생존율은 $18.9\%$, 중앙생존기간 15개월이었다. 치료시기별 2년 생존율, 중앙생존기간은 조기군 $22.7\%$와 15개월, 지연군 $14.9\%$와 17개월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47). 2년 무재발생존율은 조기군 $19.1\%$, 지연군 $19.6\%$로 차이가 없었다(p=0.52), 국소재발은 조기군 $43\%$, 지연군 $45\%$로 차이가 없었고, 원격전이는 조기군 $81\%$, 지연군 $70\%$으로 재발양상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첫 재발부위로 뇌전이는 조기군 $23\%$, 지연군 $35\%$로 차이가 없었다(p=0.51). 치료에 따른 부작용(RTOG 등급 $3\~4$)도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비교해볼 때 항암제치료를 6회 이상 시행받은 환자가 조기군 $82\%$, 지연군 $77\%$, 방사선치료를 45 Gy 이상 받은 환자가 조기군 $82\%$, 지연군 $91\%$로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양군에서 대부분의 환자들은 치료에 잘 순응하였다. 결론 :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의 교대 방사선-항암제치료시 방사선치료를 조기 혹은 지연하여 시행하였을 때 치료 반응률, 생존율, 재발양상, 부작용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교대 방사선-항암제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순응도는 높았다.

      • KCI등재후보

        증상완화목적의 방사선치료

        이창걸,Lee, Chang-Geol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2 No.1

        방사선치료의 목적은 완치목적 그리고 증상완화목적 두 가지로 나뉜다. 전체 암환자의 약 45%는 방사선치료를 받으며 이중 25${\sim}$30%는 증상완화목적의 치료를 받고있다. 방사선치료는 비록 생존기간의 연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증상완화효과는 대단히 우수하며 임종시까지 삶의 질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증상완화 방사선치료의 적응증으로는 골전이에 의한 통증, 뇌전이, 척수압박으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 암으로 인한 기관지, 식도, 상대정맥 폐쇄 증상, 기관지, 비뇨생식기계 직장의 암성출혈 등이다. 이 중 골전이에 대한 치료가 가장 흔한 적응증이며 통증조절 외에 병적골절예방 및 척수압박예방의 효과를 가지며 약 70${\sim}$80%의 증상 완화효과를 나타낸다. The aim of palliative radiotherapy (RT) is to control cancer-related local symptoms with minimal radiation reaction. About one third of all radiation treatments are given with palliative intent. Indications for RT in symptom palliation are as follows: Pain from bone metastasis, pressure symptom from brain and spinal cord, obstruction of bronchus, esophagus, superior vena cava and malignant cancer bleeding from bronchus, urinary tract, uterine cervix and rectum. In hospice palliative care, RT is very effective for symptom palliation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without influence on survival.

      • KCI등재

        직렬 배열된 두 기포의 bursting jet에 대한 수치적 연구

        이창걸(Chang Geol Lee),이선엽(Sun Youb Lee),Cong-Tu Ha,이재화(Jae Hwa Lee)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20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Vol.18 No.3

        When a bubble reaches a free surface, a bursting of the bubble produces a high speed jet. Despite its practical importance, significant effort has been devoted to investigate a bursting jet by a single bubble near a free surface. In the present study, we perform numerical simulations of bubbles in a tandem arrangement at Bo=0.05. The configuration of the tandem bubbles is systematically varied by changing a radius of a following bubble (RF) and the gap distance between two bubbles (L). Compared to a single bubble case, we show that the bursting bubble in the tandem arrangement accelerates, and the jet velocity increases. Moreover, we find that a critical gap distance at which the jet velocity unexpectedly changes exists in the tandem case.

      • KCI등재후보

        식도암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이창걸(Chang Geol Lee),김충배(Choong Bae Kim),정경영(Kyung Young Chung),이두연(Doo Yun Lee),성진실(Jinsil Seong),김귀언(Gwi Eon Kim),서창옥(Chang Ok S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4

        목적 : 식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보조적 요법으로 방사선치료의 역할은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후향적 분석을 통하여 식도암 환자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 수술단독군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 간의 생존률, 재발양상을 비교하여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1월에서 1993년 12월까지 식도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병기별로 Ⅰ기 13예, ⅡA기 12예, ⅡB기 4예, 그리고 Ⅲ기가 22예였다. 이 중 병기 Ⅰ은 전 예에서 수술만을 시행받았고, 병기Ⅱ와 Ⅲ의 38예 중 12예는 수술단독 그리고 26예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다. 수술은 35예에서 경흉적 식도절제술(transthoracic eso-phagectomy)을 그리고 16예에서 경식도공 위장절제술(transhiatal esophagectomy)을 시행받았다. 방사선 치료는 원발병소를 기준으로 종격동, 쇄골상부림프절 그리고 복강림프절을 포함하여 3,000~6000 cGy/ 5~6주(중앙값 5400 cGy)조사하였다. 추적기간은 18개월에서 107개월 중앙치 38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2년 및 5년 생존율은 56.4%, 36.8%였고 중앙생존기간은 45개월이었다. 병기별 2년생존율, 5년생존율 그리고 중앙생존기간은 병기 Ⅰ 92%, 60.3%, 병기 Ⅱ 63%, 42%, 51개월, 병기 Ⅲ 34%, 23%, 19개월이었다. 병기 Ⅱ와 Ⅲ 전체에서 수술단독군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간의 5년생존율은 22.8%와 37.8% 그리고 중앙생존기간은 45개월과 22개월로 차이가 없었다(p=0.89). 그러나 병기 Ⅲ에서는 비록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만(p=0.14) 중앙생존기간 11개월, 20개월로 그리고 2년생존율에서 0%, 36.5%로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에서 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병기 Ⅱ, Ⅲ에서 국소재발률, 원격전이율은 수술단독군 50%, 16%,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 39%, 31%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N1병기에서 국소재발률은 수술단독군 71%, 수술  방사선치료군 37%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p=0.19) 병합치료군에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군에서 국소재발된 경우는 전체 26예 중 10예로, 방사선치료 조사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조사면 내 재발이 2예, 경계부위 재발이 1예, 조사면 외부 국소 재발이 5예, 그리고 문합부 재발이 2예였다. 치료에 따른 부작용은 양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근치적 절제술 후 병기 Ⅱ, Ⅲ 식도암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방사선치료는 수술단독군과 비교하여 생존율, 재발률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병기 Ⅲ 혹은 N1의 경우는 국소재발을 낮추고 생존율향상의 경향을 보여 향후 좀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방사선치료시 국소재발률을 낮추기 위해 방사선치료의 범위를 종격동, 쇄골상부림프절, 복강림프절 그리고 문합부위 등을 모두 포함하는 좀더 넓은 조사면의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whether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can improve survival and decrease recurrence as compared with surgery alone in resected esopha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 1985 to Dec. 1993, among 94 esophage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fifty-on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ransthoracic esophagectomy was performed in 35 patients and transhiatal esophagectomy in 16.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was performed 4 weeks after surgery in 26 among 38 patients in stage Ⅱ and Ⅲ. A total does of 30~60 Gy in 1.8 Gy nodes or celiac lymph nodes according to the tumor location. Forty-seven patients(92%) had squamous histology.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8 months. Result : The overall 2-year and 5-year survival and median survival were 56.4%, 36.8 and 45 months. Two-year and 5-year survival and median survival by stage were 92%, 60.3% ofr stage Ⅰ, 63%, 42% and 51 months for stage Ⅱ and 34%, 23% and 19 months for stage Ⅲ(p=0.04). For stage Ⅱ and Ⅲ patients, 5-year survival and median survival were 22.8%, 45 months for the surgery alone group and 37.8%, 22 month for the postoperative RT group (p=0.89). For stage Ⅲ patients, 2-year survival and median survival were 0%, 11 months for the surgery alone group and 36.5%, 20 months for the postoperative RT group (p=0.14). Local and distant failure rates for stage Ⅱ and Ⅲ were 50%, 16% for the surgery alone and 39%, 31% for the postoperative RT group. For N1 patients, local failure rate was 71% for the surgery alone group and 37% for the postoperative RT group (p=0.19). Among 10 local failures in the post-operative RT group, in-field failures were 2, marginal failures 1, out-field 5 and anastomotic site failures 2. Conclusion :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ither the overall survival or the patterns of failure between the surgery alone group and the postoperative RT group for resected stage Ⅱ and Ⅲ esophageal cancer. But this study showed a tendency of survival improvement and decrease in local failure when postoperative RT was performed for stage Ⅲ or N1 though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o decrease local failure, a more generous radiation field encompassing the supraclavicular, mediastinal, and celiac lymph nodes and anastomotic site in postoperative adjuvant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 SCOPUSKCI등재

        식도암 치료에 있어 관내근접치료의 역할

        이창걸(Chang Geol Lee),서창옥(Chang Ok Suh),김귀언(Gwi Eon Kim),추성실(Sung Sil chu),정은지(Eun Ji Chung),김우철(Woo Cheol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3 No.4

        목적 : 식도암의 치료는 진단당시 국소적으로 진행된 예가 대부분 방사선치료 단독 혹은 유도화학 및 방사선병행요법 등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치료에도 불구하고 5년 생존율은 5-10%로 극히 저조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치유율이 저조한 것은 50%이상의 원격전이율이외에 궁극적으로 원발병소의 재발율이 약 80%에 달하는 까닭이다. 최근 동시화학방사선 병행요법으로 생존율 향상을 보고하고 있으나 이 역시 약 50%의 높은 국소재발율을 보고하고 있어서 식도암의 치료에 있어 국소제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치료 단독 혹은 화학 방사선 병행치료후 관내근접치료를 시행하여 반응률, 치료에 따른 합병증, 국소제어율 그리고 궁극적으로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9년 11월부터 1993 3월까지 식도암으로 진단받고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근치적목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7예)혹은 유도화학 및 방사선병행치료(13예)후 관내근접치료를 시행받은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 환자는 남자였고, 연령은 48세에서 82세(median 60.5세), 전신수행도 H1(ECOG)이상 그리고 편평상피세포암의 조직소견을 나타내었다. 발생부위별로는 경부 4예(20%), 상흉부 6예(30%), 중흉부 6예(30%), 그리고 하흉부 4예(20%)였다. 병기(AJCC)별로 Ⅱ기 4예(20%), Ⅲ기 15예(75%), Ⅳ기 1예(5%)였다. 방사선치료는 180-200 cGy/fraction으로 원발병소를 포함하여 종격동 및 국소림프절 영역에 총 5900-6400cGt\y/6-7주(median 5940 cGy) 조사하였고 2-8주후 관내 근접치료를 시행하였다. 관내방사선 근접치료는 고선량률 Iridium-192 등위원소를 이용한 Gamma-Med 12i를 사용하였고 지름이 5-6mm의 nasogastric tube를 식도내 삽입한후 원발병소부위에 고정시키고 원격조정으로 치료하였다. 방사선량 300-500 cGy/fraction를 식도점막하 5mm 조사하였고 1-4fraction/1-3주, 총 500-1200cGy 조사형ㅆ다. 유도화학요법은 5-FU(1g/m2, d1-5), cis-platinum (80mg/m2,d6)을 1-6회(median 3회) 4ㅏ주간격으로 시행하였다. 전환자에서 사망시까지 추적관찰되었으며 생존환자의 최소 추적기간은 13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정중앙 생존기간은 13.5개월, 1년 및 2년 생존율은 65%, 15.8%였다. 관내치료후 반응률은 완전관해 5예(25%), 부분관해a 7예(35%), 부분관해b 7예(35%), 무반응 3예(15%)였다. 외부방사선치료후 반응률이 부분관해a + 완전관해의 경우 관래근접치료의 부가로 50%(4/8)의 국소제어율을 보였고 관내근접 치료후 완전관해가 유도된 환자에서는 80%(4/5)의 높은 국소제어율을 나타냈다. 치료 실패양상은 국소재발이 65%(13/20), 원격전이 0% 그리고 국소 및 원격 동시재발 14%(3/20)로 궁극적인 국소재발율이 75%였다. 치료에 따른 합병증은 경미한 식도염 55%(11예), 중증의 식도염 10%(2예), 식도궤양 10%(2예) 등이었으나 보조적인 치료후 모두 회복되었고 그리고 식도협착의 경우가 1예 있었다. 정중앙 생존기간을 치료군별(방사선 단독 vs. 화학방사선 : 13개월 ,15개월), 병기별 (Ⅱ vs Ⅲ : 15개월, 13,5개월), 병소의 길이 (<5cm vs ≥5cm : 18개월, 13개월), T병기(T1-2 vs <T3 : 13개월, 13개월) 국소제어율과 정중앙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분석에서 초기병기일수록, 종양의 길이가 5cm 이하일때, 항암화학요법과의 병합치료시 그리고 총방사선량이 높을수록 좋은 결과를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 식도암의 치료에 있어 외부방사선조사후 관내근접치료의 결과는 과거의 방사선치료 단독 혹은 화학요법과의 병행요법의 치료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비록 궁극적인 국소제어율을 높히지 못하였으나 정중앙생존기간 연장의 경향을 보여 향후 동시 화학방사선 병행치료 혹은 다분할 방사선치료와 같은 좀더 적극적인 치료로 최대한의 반응을 유도후 시행된다면 좀 더 높은 국소제어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관내근접치료시 합병증 발생율의 허용한도내에서 방사선량을 증가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our clinical experience with the combination of teletherapy and Intraluminal brachytherapy in patients with unresectable or inoperable esopa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From Nov. 1989 to Mar, 1993. twenty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were treated with radical radiotherapy and intraluminal brachytherapy at Younsei Caner Center. All patients had squamous histolgy and stag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 stage Ⅱ, 4(20%)patients : Ⅲ, 15 (75%)patients : Ⅳ, 1(5%)patients. A dose of 5-12Gy/1-3weeks with intraluminal brachytherapy (3-5Gy/fraction) to 5mm from the outside of the esophageal tube using high dose rate Iridium-192 remotely afterloading with external radiothrapy. Induction chemotherapy using cisplatin and 5-FU was performed in 13patients with median 3 cycles (1-6 cycles). Response rate, local control rate, survival and complications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Results : Two-year overall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were 15.8% and 13.5 months. Response rates were as follows : complete remission(CR) 5(25%) : partial remission a(PRa) 7(35%) : partial remission b(PRb) 7(35%) : no response(NR) 1(5%). Patterns of failure were as follows : local failure 13(65%). local and distant failure 3(15%). distant failure 0(0%). Ultimate local control rate was 20%. Treatment related complications included esophageal ulcer in two patients and esophageal stricture in one. Conclusion : Though poor local control rate. median survival was improved as compared with previous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8months) and chomo-radiation combined treatment (11months) in Yonsei Cancer Center. High-dose-rate intraluminal brachytherapy following external irradiation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with acceptable toxicity in esophageal cancer.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