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明齋遺稿 번역의 의의와 향후 과제

        徐正和(Suh, Jung-hwa) 한국고전번역원 2011 民族文化 Vol.- No.37

        본고는 17세기의 대표적인 학자 尹拯의 저술인 『明齋遺稿』의 완역에 즈음하여 번역서의 현황과 의의, 향후 과제를 고구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조선 후기 특히 윤증이 활동했던 17세기는 붕당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정치사적으로 첨예하고 복잡한 사안들이 대두되던 시기였으며, 윤증은 이 시대를 이해하는 키워드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역사와 철학 분야 에서는 윤증을 둘러싼 논의들이 일찍부터 진행되어 왔지만, 정작 그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문집은 근래에 와서야 번역이 이루어졌다. 먼저 충남대 유학연구소에서 번역한 선역서는 윤증의 문학과 학문을 다룬 한시와 상소ㆍ편지를 선역하였다는 점, 번역의 수준이 비교적 높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다만 선역이 갖는 근원적인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여 대상 자료의 선별 기준이 모호하다는 문제점을 노정하였다. 또한 관련 전고나 정황을 이해하기 위한 주석이 소략하였으며, 이 때문에 발생한 오역 역시 발견되었다. 다음으로 한국고전번역원의 『국역 명재유고』는 윤증의 방대한 저작을 완 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으로 오역하거나 缺譯한 부분을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 『국역 명재유고』가 그만큼 우수한 번역서임을 입증한 것이며, 이것은 수준 높은 역자의 참여와 여러 차례의 교열과 윤문을 거치는 한국고전 번역원의 시스템이 가져온 결과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국의 고전 번역을 책임지고 또 선도하는 입장임을 감안할 때, 번역가의 전문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국역 명재유고』에서 노정된 문제점은 단순하게 번역가의 역량이나 성실성의 문제로 파악할 것이 아니라 아래와 같은 제도를 개선하는 측면에서 논의해야 할 것이다. 첫째, 번역가와 외부전문가의 협력을 통해 충실하고 정확한 정보를 담은 번역서를 생산해야 한다. 둘째, 번역가가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계획과 집중 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셋째, 종합DB의 오류신고 꼭지를 활성화하여 번역의 질적 제고뿐만 아니라 쌍방향성의 강화를 통한 소통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present condition, meaning, and task ahead about Myeongjaeyugo(明齋遺稿) that was writted by Yunjeung(尹拯), representative scholar in 17th century. Specially, 17th century is not too much to say factions age, sharp and complex problems came to the fore. So, he is keyword that understand this age. Accordingly, discussions that enclose him in history and philosophy field had been gone early, but translation of his collection that can grasp his whole aspect was consisted at recent times. First, sorting translation by Chungnam universitys Confucianism laboratory handles Chinese poem and appealㆍletter that understands his literature and learning, this translation has a high standard. Only, this translation dont escape underlying limit of sorting translation, the biggest problem is that sorting standard of target data is vague. Also, comment for understanding authentic precedent and situation is inattentive, on this account mistranslation has arisen. Secondarily, the Korean translation of Myeongjaeyugo(明齋遺稿) by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韓國古典飜譯院) translates completely, dont have crucial mistranslation and omission-translation. Such truth proves that this book is superior translation, also it is as result that system of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by sophisticated translators participation, several revision, and several embellishment. However, if considers position that takes the responsibility and guiding of Korean Classics translation, institute needs to build up translators professionalism. But, the problem that is found in this book may have to discuss in side that improves the system and not that grasp by translators capacity and sincerity unartificially. First, through cooperation of translator and outside specialist, must produce translation that filsl faithful and correct information. Second, translator needs long-term plan and intensive investment so that can be operative of relevant field. Third, it must activate overall DBs mistake report and ready chapter of mutual understanding through reinforcement of interactivity as well as qualitative raising of translation.

      • KCI등재

        쌍매당(雙梅堂) 이첨(李詹)의 문예에 대한 관심과 산문세계

        서정화 ( Jung Hwa Suh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2

        본고에서는 李詹(1345 1405)의 산문 중에서 문예에 대한 관심을 일별하고, 그의 산문을 긴장과 이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첨은 성리학적 이념에 충실하면서도 文翰과 밀접한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人事와 만물을 문학으로 형상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여 문예에 가진 관심이 동류들보다 강했다. 또한 原?辨?對?論?說?假傅?哀辭?雜文 등 각종의 문체를 다채롭게 창작하고 11권 분량의 많은 작품을 창작하였다. 그의 산문 세계를 조망하면 먼저 유가의 기본 덕목 중에서도 특히 心, 信, 直 등을 강조하는 작품이 빈번하게 등장하는데, 구호처럼 외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면밀하게 근원을 탐색하려는 모습이 엿보였다. 이것은 사물을 대하여 근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앎을 극대화시키는 格物致知의 정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격변하는 시기를 살아가면서 수많은 부침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삶과 사물을 대하는 이첨의 유연한 태도를 엿볼 수 있는 작품도 많았다. 그래서 그의 산문에는 일상에서의 여유로움과 한가로움, 그리고 호사로움이 아울러 배어 있었고 심각하거나 우울하지 않고 오히려 정겹고 유머러스한 작품도 있었다. 다만 이첨의 산문 중에 주제가 산만하며 비약이 심한 작품이 더러 있으며, 나쁘게 말하면 가벼운 느낌이고 좋게 말하면 발랄하면서도 친근하여 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작품이 착종되어 있다는 점은 유감스러웠다. In this paper, I shed light on Lee Cheom`s interests in literature and tried to analyze his prose from the point of view of tension and relaxation. He had successively filled various government posts which are closely connected with literature. And he insisted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can be transformed in literary works. That means his interests in literature was much bigger than other writers. He also wrote large amount of works in various style. In his works, he stressed the need of heart(心), trust(信), and rightness(直) as fundamental virtues of Confucian scholar. He tried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fundamental virtues while not to use them as vain slogan. I believe that his efforts were the spirit of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Meanwhile, there were considerable number of works which showed his flexible view of the world. This is meaningful if we think of his life in a unpredictable society. These kind of works were peaceful, splendid, and bright. And these characteristics made his works warm and humorous. However, it is somewhat regretful that he often had a tendency to jump to conclusions in his works. Even though these kind of works had a merit that helps readers understand easily, they looked like superficia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徐正和(Suh, Jung-hwa) 대동한문학회 2010 大東漢文學 Vol.32 No.-

        李齊賢의 산문은 여유롭고 명쾌하면서도 작품의 주제를 선명하게 전달하므로 그를 뛰어난 고문가로 평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그간 이제 현을 ‘고문의 창도자’로 규정한 것에 대해 필자는 견해를 달리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문화교류는 신속하게 진행되어 늦어도 100, 150년 정도 내에서 수용되고 變奏되었다. 그러나 이제현을 한국의 고문창도자로 규정할 경우, 중국의 고문창도자라고 할 수 있는 한유와의 거리가 500여년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한중 문화교류의 일반사와 크게 괴리된다. 둘째, 고문운동은 문학운동이자 사상운동이지만, 이러한 잣대를 적용하여 이제현에게 고문창도의 공을 물려줄 필요는 없다. 고려 문단에서 고문운동이 반드시 일어날 필요도 없거니와 이 두 가지 중에서 어떤 하나가 먼저 발생할 수도 있다. 중국의 잣대를 고려 문단에 적용시켰기 때문에 고려전・중기는 적막한 시대가 되었고, 이 당시의 산문은 그 의미가 평가절하 되었다. 셋째, 고려문단에서는 12세기 무렵부터 당송고문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었고, 이제현에 비해 사상운동의 측면은 미약하였으나, 문학운동의 측면은 보다 활발하고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金黃元이 변려문에 반발하여 고문을 창작한 것, 林椿이 형식에 치우친 場屋文學을 신랄하게 비판한 것, 李奎報가 새로운 문학론을 제출한 것이 그 예이다. 넷째, 고려 중기에 假傳이 창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송고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贈序類와 論說類 산문들이 창작 현장에서 이미 실현되고 있었다. 또한 당송고문의 字句만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도를 개진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자신의 시각으로 재해석하는 등 자유자재로 당송고문을 변주하였다. 고려시대 산문사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그간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다’라고 설정한 좌표는 수정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고려시대 산문사를 바라보는 온당한 시각을 재정립해야 할 것이다. Lee Je-hyun demonstrated his writing talents during the Koryo dynasty, and temporary critics evaluate him as a great writer. However, I would like to offer an alternative view of estimating him as an advocate of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I suggested several reasons in this paper like below. First,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always had been progressed within 150 years top. In this case, we can't define Lee Je-hyun as an advocate of writing classcical style prose in Korea. Because he was born over 500 years later than Han Yu, who was an advocate of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during the Tang dynasty in China. Second, the movement of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was about literature and also about ideas. But we can't apply this concept to Lee Je-hyun as it is. That is because the condition of Koryo was totally different from China's. Writing prose had not that big meanings during the Koryo dynasty. Third, the literary world of Koryo certainly recognized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There were several writers who presented their own theory about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Kim Hwang-won(金黃元), Lim Chun(林椿) and Lee Kyu-bo(李奎報) were typical writers during that period. Fourth, a number of writers already created variety form of prose skillfully before Lee Je-hyun. They were not limited just following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Considering above reasons, I think we should revise erstwhile evaluation of Lee Je-hyun as an advocate of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nd we should reestablish a proper view of the literary history of Koryo dynasty

      • KCI등재

        기우제문(祈雨祭文)의 양식적 전통과 문학적 변주 양상

        서정화 ( Jung Hwa Suh ) 근역한문학회 201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4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genre convention of writings for rain calling ceremony. This also includes its literary variations. It is so much affiliated with the national rituals, while it is related to the writer`s daily life. With this in mind, I look into its rhetoric and the individuality of writers. It is the custom for courtiers to write writings for rain calling on behalf of the King. It generally is classified as the funeral oration. It usually composed by four words poem, and distich was used to improve its solemnity. Otherwise, writings for snow calling ceremony were written for winter drought. I categorized it as type of reproaching oneself, plea for rain, and berating according to its contents. The gist of each type is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reproaching oneself regards the cause of drought as one`s own self. In Confucian custom, it is common to blame oneself when the natural disaster occurs because Confucian ideas emphasize moral training. Second, the type of plea for rain describes the tragic sight in detail to arouse sympathy of the heaven. In this type, writers depicts the grim realities of the people. Third, the type of berating blames the heaven for the natural disaster. This type is more aggressive than above two types. And readers can understand the ability of writers more clearly. Writings for rain calling ceremony were usually written by well known writers. And the writers showed their literary ability to persuade the heaven. They also tried to comfort people and to reunite people by writings.

      • KCI등재

        광통교, 조선 후기 한양의 핫 플레이스 - 강이천의 「한경사」를 중심으로

        서정화 ( Suh Jung-hwa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8 도시인문학연구 Vol.10 No.2

        본고는 18세기 후반 광통교에서 다채롭게 펼쳐진 각종의 문화예술 전반을 고찰함으로써 광통교가 한양의 ‘핫 플레이스’로 재부상했음을 주장하였다. 광통교는 선행연구에서 조선 후기의 도시 발달과 관련하여 많이 다루어졌음에도 그 비중은 늘 부수적이고 파편적이었다. 본고는 강이천의 「한경사」를 주 자료로 삼되 세시기나 문집, 역사서 등을 보조 자료 활용하여 ‘핫 플레이스로서의 광통교’를 집중 부각시켰는데, 이렇게 해야만 18세 이후 한양의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하던 광통교의 위상에 걸맞기 때문이다. 광통교가 ‘핫 플레이스’로 재부상하게 된 요인 중 하나는 청계천 준설이다. 영조가 준천사(濬川司)를 설치하여 청계천을 체계적으로 준설하고 2, 3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청계천을 유지·보수함으로써 청계천은 본연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고, 이의 영향으로 광통교 일대도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광통교는 청계천이 준설되어 하천으로서의 제 모습을 찾은 데다 도시상공업의 발달로 인해 종루(鍾樓) 상권이 확대되는 상황과 맞물려 18세기 후반 문화 공간으로 자리 매김하기 시작한다. 특히 입지 조건을 최대로 활용하여 다리밟기와 연날리기와 같은 세시풍속이 행해지고, 속화(俗畵)가 전시되고 판매될 정도로 서화의 유통 공간으로 자리 잡고, 투계(鬪鷄)와 타구(打毬) 시합과 같이 전문화된 스포츠가 개최되기도 하는 등 복합 문화 공간의 중심지가 되었다. 아울러 한양 및 주요 도시에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던 특정 장소 역시 본고에서 광통교를 부각시켜 서술한 것처럼 변두리가 아니라 중심지로서 조명할 필요가 있으며, 본고에서 행한 작업은 이 점에서 유미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wide range of culture and arts in the late 18th century Kwangtong bridge(廣通橋), and argues for the re-emergence of Kwangtong bridge as a hot place of Hanyang(漢陽). The previous studies about Kwangtong bridge has been dealt with much in relation to urban development in the late Chosun Dynasty, but its proportion has always been collateral and fragmentary. This paper analyzes Kang, I-Chun(姜彛天)’s Hangyungsa(漢京詞) as the main text, and utilizes the almanac(歲時 記), the collection of the works, and the history books as the supplementary ones. In doing so, this paper highlights Kwangtong bridge as a hot place, which has been the cultural center of Hanyang since the 18th century. One of the reasons why Kwangtong bridge is re-emerging as a hot place is the dredging of Cheonggyecheon(淸溪川). Since it was systematically dredged by Yeongjo(英祖), Cheonggyecheon was maintained and repaired periodically every two or three years. Accordingly, Cheonggyecheon regained its original shape and also the area around the Kwangtong bridge could be revitalized. Also, Kwangtong bridge was able to hold the prominent position as a cultural space in the late 18th century, due to the fact that the Cheonggyecheon is dredged to find its original shape as a river, and the development of urban commerce and industry through the Jonglu(鍾樓) commerce's extension.

      • KCI등재

        광개토왕비의 서사구조 일고

        서정화 ( Suh Jung-hwa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7

        본고는 광개토왕비를 한 편의 碑誌類 작품으로 간주하여 서사구조를 밝히고, 아울러 광개토왕비의 성격을 구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광개토왕비는 序言과 本詞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사는 다시 本詞Ⅰ(武勳)과 本詞Ⅱ(守墓制)로 구분된다. 그런데 본사의 무훈과 수묘제는 매우 이질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광개토왕비의 성격에 다양한 의견에 제출되었다. 이 중에서 본고는 수묘비라는 주장에 동의하되 그 근거를 산문작품의 영역에서 보완하고 논지를 강화하였다. 그 구체적인 근거로 본사Ⅱ(수묘제)가 이 비문의 중심단락이며, 본사Ⅰ(무훈)은 본사Ⅱ를 수식하는 단락으로 간주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성과에서 밝힌 바, 평양 천도와 관련하여 선왕들의 능을 보호하고 관리할 필요성의 대두, 독자들의 가독성을 고려한 書體 크기를 의도적으로 크게 했다는설을 수용하였다. 또한 필자는 본사Ⅰ이 _삼국사기_에 수록된 것보다 소략하여 광개토왕의 무훈을 선양하기 위한 勳績碑로만 보기에는 미심쩍은 부분이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 비문에 수록한 광개토왕의 무훈은 守墓人 명단을 배정하기 위한 부분만을 간략하게 발췌 하였다고 보았다. 곧 광개토왕의 여러 무훈 중에서 선왕들의 능을 보호하고 관리할 舊民과 新來韓穢들을 차출할 근거가 될 만한 무훈만을 발췌하여 기록하였음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이는 서사구조로 볼 때 본사Ⅰ은 본사Ⅱ의 수식 단락이며, 이와 같이 이해해야 내용적으로 판이하게 이절적인 본사Ⅰ과 본사Ⅱ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밝혔다. This paper reveals narrative structure through considering King Gwanggaeto`s epitaph as a prose of epitaph(碑誌類), it is also plann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King Gwanggaeto the great`s epitaph. This work consists of preface and body text, a whole body text are again divided into body text Ⅰ (military exploits) and body text Ⅱ (system to manage tombs). However, since body text Ⅰ (military exploits) and body text Ⅱ (system to manage tombs) are very heterogeneous content, a various opinions of King Gwanggaeto the great`s epitaph were submitted. This paper agrees with a argument that it was epitaph of manage tombs, supplements its basis and its thesis in the province of classical chinese prose. So this paper give a concrete basis, it is as follows. A body text Ⅱ is the central paragraph of this work, and a body text Ⅰ is the paragraph of modifying body text Ⅱ. In addition, since this paper makes a decision that there are many doubts in its argument, that considered a body text Ⅱ`s contents as epitaph of military exploits entirely, a military exploits contents in this work are regarded as an excerpt of contents to assigned roster of manage tombs. In other words, this paper suggests that a body text Ⅰ is an excerpt from military exploits, which is the basis for selecting people to protect and manage tombs. It also reveals that a body text Ⅰ is a paragraph of modifying body text Ⅱ, in this way, body text Ⅰ and body text which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content are organically connected.

      • KCI등재

        강이천(姜彛天)의 「한경사(漢京詞)」에 나타난 18세기 서울

        서정화(Suh, Jung-Hwa)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7 서울학연구 Vol.- No.67

        본고는 姜彛天의 「漢京詞」 160수 중 그간 다루지 않았던 궁중행사, 군사훈련, 문인 관료의 삶에 의미를 적극적으로 부여하여 18세기 서울의 풍경을 조망하였다. 강이천은 줄곧 安山에 살다가 성균관에 입학하면서 본격적으로 서울 생활을 맛본다. 그는 직접 보고들은 서울 풍경 중에 강렬한 인상을 받은 것들을 시로 읊었는데, 본고가 집중한 부분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궁중행사 중에는 왕의 거둥과 관련된 것이 많다. 정조가 현륭원·사직단·경모궁·관왕묘 등에 행차한 것을 시로 읊었고, 貞純王后의 尊號 봉정식이나 과거시험의 거행과 합격자 발표 등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다음으로 군사훈련 중에는 도성 근처에서 진행된 대규모 군사훈련은 물론이고, 고위 무관의 행차를 통해 본 장군의 위용, 十八技를 익히는 군인, 廣通橋에서 준마를 훈련하는 모습 등을 포착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인 관료의 삶은 강이천의 처지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영역인데, 그는 관료들이 출근하고 휴가가고 전별연을 여는 모습을 포착하여 시로 읊었고, 延祥詩 창작이나 사신 행렬, 하급 관료의 고단한 삶도 함께 묘사하였다. 서울을 대표하는 도시적 특성은 首都로서의 상징성에 있으며, 그 상징성은 왕실을 배경으로 한 인간군상과 문화를 통해 가장 돋보인다. 본고가 집중한 「한경사」는 당시 궁궐 안팎에서 벌어졌던 수많은 왕실 행사, 궁궐을 호위하기 위해 삼엄하고도 분주히 활동했던 무인들의 위용, 궁궐을 드나들며 정사를 펼쳤던 문인 관료들의 모습을 작가의 세밀한 관찰력과 함축적인 시적 형상화를 통해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성과에서 간과했던 18세기 수도 서울의 풍모와 실상을 보여주고, 「한경사」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In this paper, I surveyed the scenary of Seoul in the 18th century focusing on ritual events, military training, and the life of government officials. To do this, I reconsidered Hangyungsa written by Kang I-chun. Kang I-chun had lived in Ansan until he entered Seonggyungwan, the best educational institution at that time. Staying in Seoul, he composed poems about the scenary around Seonggyungwan and palace. In particular, he noted on ritual events, military training, and the life of government officials. First, he was interested in the royal progress. He wrote poems about Hyeonryungwon, Sajikdan, Kyungmogung, Kwanwangmyo while King Jeongjo visited those places. He also paid attention to dedication ceremony and civil service examination. Second, he was interested in the military things. He captured the scene of military training, military officers, and gallant soldiers. Third, he observed the life of government officials. This part is very relevant to Kang I-chun, as he also was a nobleman. He depict in vivid colors the scenes and manners of government officials.

      • KCI등재

        李齊賢 산문의 수사 기법 연구

        徐正和(Suh, Jung-hwa)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9 No.-

        李齊賢의 산문은 개인적인 감정을 기술한 것보다 국가를 위해 창작한 우국충정과 애민 등 충효를 주제로 한 작품들이 많은 편이다. 이것은 60여 년간 관직 생활을 하면서 국가의 대사를 책임졌으며, 실천궁행을 강조하던 그의 성리학적 사유와 관련이 깊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특징은 무엇을 통해 구현되는가? 본고가 주목하는 것은 이제현 산문의 수사 기법이며, 이는 선행 연구가 주로 주제에 입각하여 작품을 분석한 것에 대한 반성적 차원에서 기획되었다. 수사 기법 연구가 작품 연구에 있어 한계점을 지니고 있음을 충분히 인정할 수밖에 없지만, 본고는 같은 주제라 하더라도 이를 부각시키기 위해 기법들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주목하였다. 이제현은 類比를 통해 상대를 옭죄거나 당부의 바람을 선명하게 드러냈고, 적절한 예증을 통해 논리적 타당을 확보한 후에 이를 요약함으로써 주제를 집약화하기도 하였다. 또한 기존의 논의를 활용하면서도 이를 심화ㆍ확장함으로써 자신의 입론을 강화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제현의 산문이 간명하면서도 의론이 정심하며, 돌출적이지 않고 안정감이 있는 것은 그가 성리학적 사유를 글쓰기에 투사했기 때문만은 아니며 수사 기법이나 구성에 힘을 기울인 결과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Lee Je-hyun, a writer of Koryo Dynasty, left lots of proses. He mostly wrote about the though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This might came from his political position and the thought of Sung Confucianism. Then I wondered the way of embodiment of these characters. Former researches about Lee Je-hyun generally focused on his main theme or subject in his prose. However, I focused on the rhetorical devices which Lee Je-hyun used in his prose. He used various rhetorical devices in his prose, and those really contributed to make subject clear and flourish. Lee Je-hyun used analogy to inculcate his opponents. And he sometimes used illustrations to establish logical propriety. He also made the most of existing debates, and made it deepen and expanded to strengthen his arguments. Lee Je-hyun's prose are highly estimated because of its brevity and logicality. I think those virtues mostly came from rhetorical devices which he used in his prose.

      • KCI등재

        한국고전번역원의 주석DB 활용 및 개선방안 연구

        서정화(Suh, Jung-hwa)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5 No.-

        본고는 한국고전번역원이 구축한 한국고전종합DB의 “고전번역서 각주정보검색(이하 주석DB)”의 활용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주석DB를 선택한 이유는, 187종 1,528책에 수록된 499,151건의 주석이 구축되어 있고 주석의 질적수준이 높기 때문이다. 주석 없는 번역은 그야말로 최상의 번역이지만, 고전이나 전문 영역에서 주석 없이 번역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게다가 주석 작업은 녹록치 않아서 며칠을 고심하며 찾아도 해결하지 못하는 주석이 비일비재하다. 주석DB는 사전에서 찾을 수 없는 전고를 해결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간행한 ‘좋은 번역’에는 ‘좋은 주석’이 달려 있기 때문이며, 결과적으로 ‘좋은 주석’은 ‘좋은 번역’을 재창출하는 선순환 구조가 된다. 본고는 ‘字典 및 類書로서 활용’과 ‘諸子書 학습교재 구성’의 측면에서 주석DB의 활용을 살펴보았고, ‘조각난 정보의 표준안 마련’, ‘인물정보의 표준안 마련’, ‘하이라이팅 추가 및 검색 방식 개선’의 측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필자의 역량 부족으로 잘못 제기한 부분도 있겠지만, 주석DB의 활용방안과 개선방안을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다루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plan to improve the 「DB for Footnotes of Translated Classics」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is DB contains 499,151 entries collected from 187 titles (1,528 volumes) of books and it is of high quality. Therefore I chose this DB for this study. It is true that a translation without footnotes is the best, but it is nearly impossible to translate without any footnotes in the field of classics or specialized works. Furthermore, annotating work is too hard to do in a short time. In this situation, 「DB for Footnotes」 is the best alternative to a dictionary. That is because ‘good translation’ has ‘good annotation’, and ‘good annotation’ brings another ‘good translation’. It is a kind of virtuous circle. In this study, I examined utilization of 「DB for Footnotes」 from various angles. I suggested several plans for improvement, which are called ‘setting standards for fine information’, ‘setting standards for biographic information’, and ‘adding highlights and improving search methods’. I hope this work contributes a first step toward improving the 「DB for Footnotes of Translated Class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