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집 : 도시인문학의 등장 - 학문적 담론과 실천

        서우석 ( U Seok Seo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2

        최근 도시와 인문학의 연결이 다양해지면서 도시인문학이 새로운 학문영역으로서 등장하였다. 도시인문학은 엄밀하게 정 의된 분화학문으로서의 인문학이 아니라 다양한 접근이 공존하 는 복합적인 학술적 논의들과 실천 행위로 볼 수 있다. 본 연 구는 도시인문학의 등장 배경을 분석하고 도시인문학의 다양한 구성을 제시함으로써 도시인문학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 고 도시인문학 발전을 위해 필요한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도 시인문학은 정부의 인문학 지원사업을 배경으로 새로운 인문학 의 융합학문으로서 등장하였는데 대학의 제도화된 움직임으로 서 서울시립대의 도시인문학 이외에도 다른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마을 인문학이나 로컬리티 인문학도 도시인문학의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학 밖에서의 도시인문학은 도 시 공간의 장소성을 보완하는 내러티브와 역사적 지식을 제공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오늘날 도시브랜딩과 도시관광이 도시경쟁력의 중요한 자원이 되는 상황에서 도시인문학이 도시 마케팅의 자원 구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비판 담론으로서의 도시인문학은 도시기업가주의와 토건주의 개발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인문학은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으로서도 기능하는데 이는 인문학의 대중화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도시정치의 프로 그램으로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수원의 사례에서 보듯이 인문도 시 사업으로 구체화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서 서울시립대의 도시인문학 이외에도 다른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마을 인문학이나 로컬리티 인문학도 도시인문학의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학 밖에서의 도시인문학은 도 시 공간의 장소성을 보완하는 내러티브와 역사적 지식을 제공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오늘날 도시브랜딩과 도시관광이 도시경쟁력의 중요한 자원이 되는 상황에서 도시인문학이 도시 마케팅의 자원 구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비판 담론으로서의 도시인문학은 도시기업가주의와 토건주의 개발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인문학은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으로서도 기능하는데 이는 인문학의 대중화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도시정치의 프로 그램으로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수원의 사례에서 보듯이 인문도 시 사업으로 구체화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Recently, urban humanities emerged as a new academic field and gained an increasing attention from an academic world as well as from a side of public policy. Observing the current discourses and practices leads to acknowledge that urban humanities can be viewed as a complex array of academic discourses, as sociology is described as a multi-paradigm science. First, urban humanities appeared in the academic world as a new kind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Second, urban humanities provide narratives and historical knowledge for cities so that the placeness of city space could come into being or, if it already existed, be strengthened. Third, urban humanities offers a critical perspective to the urban entrepreneurialism in general and especially a construction-oriented growth coalition in Korea. Fourth, urban humanities function as an underlying logic for diverse action plan programs ranging from a Clemente course to humanistic city planning as the case of Suwon City shows. To conclude, I make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discussions.

      • 글로벌폴리스와 도시인문학의 가능성

        이성백 ( Seong Paik L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09 도시인문학연구 Vol.1 No.1

        이 글은 도시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가 어떤 문제를 다루며, 어떤 식으로 도시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한다. 이 글은 (1) 우선 앞부분에서 이 물음에 대한 직접적인 대답을 간단히 제시하고, 이어서 (2) 지구화 과정에 대한 역사철학적 분석을 통해 도시인문학적 연구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1) 도시연구와 인문학은 전혀 무관한 것이 아니다. 이미 인문학은 도시연구에 다양한 방식으로 개입되어 왔다. 도시인문학의 기본 과제는 선행적인 도시인문학적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도시연구에 필요한 새로운 인문학적 주제들을 개발하여, 도시인문학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도시인문학은 현재의 도시연구들의 주제와 논의 방향을 따라가면서 이 논의들에 필요한 인문학적 연구들을 수행하여 현재의 도시연구에 기여해야 한다. 그리고 21세기 도시연구에서 화두가 된 문화, 문화도시에 대한 관심은 오늘날의 도시연구가 사회과학과 인문학을 가로지르는 포괄적인 도시연구로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오늘날 도시연구에서 활발한 쟁점은 지구화 시대에서의 도시의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그런데 아직까지 지구화 과정에 대한 역사철학적 연구가 별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채, 지구화의 역사적 위상이 탈산업주의와 탈현대주의에 대한 혼란 속에서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탈현대주의가 탈산업주의와 혼동됨으로써, 현대의 도구적 합리성의 한계를 비판하고, 다시금 인간적 삶의 논리를 모색하려던 탈현대주의의 인식론적 가치가 지구화 시대 도시연구에서 충분히 파악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지구화 시대에 도시 속에서 초래되고 있는 여러 문제점들을 비판하는 대안적인 이론적 논의가 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This article deals with what the humanistic research on the city deals with and how it may contribute to urban studies. After a direct answer to these questions is briefly proposed in the beginning, a histo-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globalization process is introduced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humanistic research on the city. (1) Humanities have not been separated from urban studies at all, but have intervened in them in a variety of ways. Urban humanities at this stage may well aim to estimate preceding research in a systemic way and to create new humanistic frameworks needed for urban studies, establishing theoretical foundations for them. Urban humanities should catch up with what is discussed in urban studies and, based upon this, fill up with what is missing in them.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culture and culture city, on which urban studies have focused in the 21st century, means that urban studies should encompass not only all disciplines of social sciences but also humanities. (2) Another heated debate in the area of urban studies is about the changing character of the city in the ear of globalization. Because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profound histo-philosophical study, the historical context of globalization has not been accurately captured. The confusion of post-modernism with post-industrialism has resulted in failing to understand the epistemological strength of post-modernist approach which criticizes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attempt to explore humane logic of life. As a consequence, alternative theories, as a critique of the urba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could barely emerge.

      • 도시연구동향 : 국문학 분야 도시 연구의 동향과 전망

        정인숙 ( In Sook Jeong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1 도시인문학연구 Vol.3 No.1

        이 글은 국문학 연구 분야에서 도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그 현황을 검토하고 나아가 연구의 전망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그동안 세부 전공 영역에 따라 도시를 바라보는 시각이나 연구 방법에서 서로 다른 측면이 발견되는데, 넓은 의미에서 도시적 성격이나 도시문화의 양상을 분석한 연구에서부터 도시시, 도시소설 등 하나의 독립적인 장르를 설정하여 분석한 연구에 이르기까지 국문학 분야에서 도시 연구는 상당히 다양하고도 넓은 편폭으로 진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18세기∼20세기 초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도시를 인구 밀집 거주 지역으로 각종 물적 시설이 갖추어진 지역 공간으로 바라보면서 주로 도시의 형성과 도시문화의 탐색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한 도시의 소비, 유흥문화가 확산되는 양상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롭게 대두된 도시문화의 측면이 자세히 논의되었다. 그런가 하면 일제강점 이후 에는 근대문학의 논의와 맞물려 주로 1930년대 문학에 연구가 집중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1930년대가 식민지적 근대체험의 특수성이 가장 집약적으로 드러난 시기로, 식민지 수도 서울을 중심으로 한 도시풍경이 하나의 근대충격으로 받아들여지고 도시적 일상성을 중심에 두는 작품들이 하나의 추세를 이루면서 집중적으로 쓰여지기 시작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시는 근대성의 총합이자 구현 또는 자본주의의 압축으로서 리얼리즘, 모더니즘 문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코드로 인식된다. 이후 해방과 한국전쟁을 겪은 다음 1970년대를 전후한 시기의 문학 연구에서 다시 도시가 중요하게 대두된다. ``유신``이라는 강압적 정치 체제 아래 근대화된 도시를 살아가는 도시인들의 삶의 모습을 담은 문학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연구도 활기를 띠게 된다. 최근 여러 학문분야에서 도시 연구의 열풍이 뜨겁다. 국문학 분야에서도 선행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연구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문학지리학적 관점을 원용한다거나 도시 자체를 텍스트로 삼는 도시시학의 이론을 모색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서울 외의 다른 도시에 대한 관심도 점점 고조되는 추세이다. 앞으로는 서양의 근대이론에 매몰되지 않고 동아시아 문화권 안에서 한국문학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도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고, 동아시아 비교문학적 측면에서의 도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하리라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urban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and try to find a new way of urban studies. Meanwhile urban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was conducted variously. We can find that sometimes researchers look at the city from kind of different angles and they have different ways of studying city. In the studies of literature from 18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city was recognized as a densely populated area. And in those studies urban consumption culture and entertainment culture was discussed in detail.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urban studies were interlinked with a discussion of modernity or modern literature. Especially 1930s was a period that colonial modern experiences began to be revealed, city was recognized as the sum total of modernity or compression of capitalism. After the Korean War the front and the rear of 1970s urban studies came into the spotlight. Under the oppressive political system lives of citizen or laborer were attention in many ways. Now there is a fever to study city in many field of research. In the studies of literature, new research method is attempted. For example some researcher use the method of literary geography or urban poetics. In the future urban studies considered the korean characteristics in east Asian cultural area are necessary. Further more urban studies with a view of comparative literature are necessary.

      • KCI등재

        민족-국가의 사이 혹은 너머에 대한 상상 ―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트랜스내셔널 양상

        구재진 ( Koo Jaeji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2

        본고는 문학사의 ‘이방인’으로서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나타나는 트랜스내셔널한 양상을 고찰하였다. 특히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한국문학사의 영토화를 경계하고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이 디아스포라 문학으로서 지닌 새로운 방향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경향을 대표하는 미중일의 세 작품을 검토하였다. 대상 작품은 허련순의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 가네시로 가즈키의 『GO』, 그리고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 이다. 이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나는 트랜스내셔널한 상상력의 세 가지 양상을 밝혔다. 허련순의 작품에서는 부유하는 노동와 트랜스로컬 주체를 통해서 트랜스내셔널한 상상력이 펼쳐진다. 코리안 드림이라는 판타지를 가지고 밀항선을 탔던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비극적인 결말은 그러한 판타지의 실현 불가능성과 허구성을 암시한다. 그러나 이 작품의 디아스포라들은 자본과 노동의 세계화 속에서 이동할 수밖에 없는 트랜스로컬 또는 트랜스내셔널 주체로서 나타나고 있다. 이창래의 작품은 원어민에 의해 타자화되는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이 ‘타자로의 열림’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통합’이 아닌 ‘공존’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를 통해서 미국이라는 국가적 정체성을 넘어서는 트랜스내셔널한 지향성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가네시로 가즈키의 작품은 민족-국가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폭력과 차별의 패러다임 자체를 문제 삼고 디아스포라의 자유와 일본인에 대한 디아스포라의 (윤리적) 우위성을 선언한다. 그럼으로써 일본인과 재일 디아스포라의 비대칭성을 전복시키고 트랜스내셔널한 지향성을 제시한다. 최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세가지 양상은 하나의 민족-국가의 문학으로 영토화하는 민족주의적 기획에 맞선 디아스포라 문학만의 트랜스내셔널한 기획의 현실성을 입증해준다. This paper studied the transnational aspects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ppearing as ‘stranger’ of history of literature. The purpose is to be alert of Korean literature history’s territorialization on Korean diaspora literature and to illuminate the directivit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s diaspora literature. Three literary works of America, China and Japan representing the new tendenc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re examined. The works are Who Saw the Butterfly’s House by Heo, Ryeon-Sun, GO by Kaneshiro, Kazuki, and Native Speacker by Chang-Rae Lee. Three aspects of transnational imagination in Korean diaspora literature are clarified through analysis of these works. In the work by Heo, Ryeon-Sun, transnational imagination is presented through drifting labor and translocal subject. The tragic ending of Korean diaspora in China who took a smuggler with a fantasy of Korean Dream suggests fantasy is unrealistic and impossible to reach. However, the diaspora in this work are shown as translocal or transnational subjects who have no choice but to migrate within capital and globalization of labor. The work by Chang-Rae Lee shows the possibility of identity of diaspora that is otherized by natives to move towards ‘coexistence’ instead of ‘integration’ through the process of ‘opening towards others.’ Transnational directivity that overcome national identity as America is shown through such process. Lastly, work by Kaneshiro, Kazuki calls paradigm of violence and discrimination done under the name of nation into question and declares diaspora’s (moral) superiority on diaspora’s freedom. Thereby subvert the asymmetr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diaspora in Japan and suggest transnational directivity. These three aspects in recent Korean diaspora literature proves the reality of diaspora literature’s unique transnational plan against nationalistic plan that territorialize as a single nation literature.

      • KCI등재

        `선전(深?) 문학`: 도시에 문화를 채워 넣는 방법

        김태연 ( Kim Tae-you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1

        본 논문은 선전(深?)이라는 도시를 기반으로 하여 선전에 거주하는 작가가 선전의 삶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해낸 문학 작품들을 `선전 문학`으로 헐겁게 규정하고, 이 선전 문학의 창작과 성장이 기실 선전의 도시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문화산업 육성의 일환으로 의미를 부여받음을 주장하면서 오늘날 중국에서 도시의 행정과 문학이 매우 밀접하게 전략적 관계를 맺는 양상을 살펴 보았다. 그를 위해 본문에서는 선전 지역 작가들의 작품 속에서 선전이라는 도시가 재현되는 양상을 먼저 살펴보았다. 선전의 특수성이 문학 작품의 창작에도 반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선전문학의 대표적인 장르인 노동자문학, 저층문학처럼 농민공의 삶을 반영한 작품이 있는 반면, 선전의 경제발전을 반영하는 기업인 문학, 경제문학 같은 장르도 있다. 또한 청춘문학은 선전의 문화소비층의 주류취향을 반영하는 장르로 규정지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작품들을 생산해내는 선전의 문학장을 살펴보았다. 특히 노동자문학의 경우 노동자들이 문학작품을 창작하고 발표할 수 있는 플랫폼이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곧 선전시의 문화 전략과 맞닿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경제특구로 시작해 매우 짧은 도시의 역사와 미약한 문화적 자원을 가진 선전의 경우, `선전 문학`의 육성은 도시의 시급한 과제인 문화적 경쟁력 강화와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당면 과제로 인식되어 많은 투자와 관리가 투입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작가 양성을 위한 다양한 플랫폼의 설치, 시 주도의 발전 전략 수립, 각종 문화행사의 개최 등의 노력이 이루어진다. 오늘날 중국 도시들이 각자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역량과 매력, 즉 도시의 소프트파워의 중요성은 갈수록 강조되고 있다. 본고에서 살펴본 선전의 경우는 도시 소프트파워의 증진을 위해 문학이 어떻게 인식되고 활용되는가를 연구할 수 있는 좋은 실례가 될 것이다. In this paper, I loosely define the concept of “Shenzhen literature” as literary works that express the life in Shenzhen by the writers living in Shenzhen. I claim the creation and growth of Shenzhen literature is a very important part of cultural industry to boot the city`s competitiveness. And I inquired how the literature and the city administration are making a close relationship strategically. Started as the Special Economic Zone, Shenzhen has a very short history and weak cultural resources. So the development of “Shenzhen literature” is a urgent task to improve city`s cultural competitiveness, and there are vast investment and management for it. Today, China cities ar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city`s soft power, the cultural competency and attractiveness. As seen from this paper, the case of Shenzhen can provide a good example of how a city recognizes and uses literature as a good way to promote the city`s soft power.

      • KCI등재후보

        도시인문학의 토대로서 맹자의 공동체 사상 연구 -인문학적 도시를 향한 맹자의 기획

        김성실 ( Sung Sil Ki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5 도시인문학연구 Vol.7 No.1

        이 논문은 도시인문학의 토대로서 맹자의 공동체 사상을 연구하는데 그 목표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흔히 이해하는 ‘도시’라는 이미지는 편리함 등의 긍정적인 면보다 각박함 등의 부정적인 면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또 ‘도시’는 ‘자연’과대비되는 인공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자연 없는 인공이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도시 역시도 자연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도시의 탄생과 기원, 사람이 살아가는 공동체 개념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맹자는 사람은 본래 자연이며, 태어날 때부터 선한 존재임을 밝혔다. 인간본성의 선함은 위급한 순간에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우리의 감정, 즉 측은지심을 통해 살펴보면 더욱 명확히 알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감정은 각자가 고유한 것이지만, 그 감정이 일어나는 보편의 토대를 살펴보면 우리는 만물과 이미 하나인 존재임을 알 수 있다고 보았다. 맹자에게 있어 인간의 본성은 선할 수도악할 수도 있는 선택의 문제가 아닌 오직 선할 뿐이라는 ‘필연’이며, 인간의 존재자체가 바로 ‘자연’이다. 인간에 대한 맹자의 이러한 이해는 곧 사람과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속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는 각자의 고유한 감정을 성선이라는 보편적 토대 안에서 공감을 하는 곳이며, 먹고 사는 문제를 등한시 하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사람과 사람이 서로 믿고 존중하는 곳이다. 이러한 맹자의 공동체 사상은 오늘날 현대도시의 인문학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도시 역시도 사람이 사는 곳이기에 그곳이 바로 자연이라는 것을 아는 순간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인 도시와 사람에 대한 내용을 담은 인문학의 만남은 필연적이자 중요한 것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This article has the objective to study on the Mencius`` Community thought as the foundation of Urban Humanities. Commonly, image of ``city`` that we often understand is the fact that many such positive than on the negative aspects of such hard-hearted. And also ``city`` is considered to be artificial, as opposed to ``natural``. But with the question of what is possible with no artificial nature, not to be bound to the city, neither natural birth and origin of the city, such as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Mencius said that Man is good by nature and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Our emotions immediately appear in the critical moment goodness of human nature, that looked even more evident that look over the natural sympathy. Their feelings, but also a unique one, that sentiment is happening looking at the universal foundation we have already seen that one can see that all things and beings. Mencius``s a human nature is a matter of choice, not necessity, which may also be good evil, and human existence itself is just a natural person. This understanding of Mencius on human communities living together even as it reveals both man and man.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is a place that resonates with their own feelings in the universal foundation of good nature, do not neglect to eat a live issue, a place where people respect each other as people believe. Community thought of these Menciu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a humanistic foundation of today``s modern city, town, neither man knew where to buy that just because there is a natural moment where people gather to buy and contents for the city people Meet containing the humanities will realize that inevitable and important.

      • KCI등재후보

        국내 카페 파사드(façade)에서 읽어 낸 문화적 의미

        황성경,김진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5 도시인문학연구 Vol.7 No.2

        Nowadays, coffee is a fundamental treat for Koreans in everyday life; furthermore, the café has been developed by combining coffee drinkers’ diverse tastes and lifestyles with cultural elements, which has in turn formed “the café culture”. Many cafes have incorporated modern city scenery with a succession of clear glass or open-type façades in order to tempt consumers. This study follows the approach of Walter Benjamin, who strolled around the city using a critical review approach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open café façade, which has become a typical part of the Korean cityscape, and elicit their social and culture meanings. The metastatic-type and open-type façade, in contrast with the enclosed façade that was a typical feature until the 1980s, creates an atmosphere of refinement and brightness that strengthens the café’s status. However, in Korea, the open café façade with a “folding door” has rapidly spread, and is different from the European-style open-air café; this open façade is a progressed form of Western arcades or stores formed with glass and iron.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he folding door-façade resulted from heterogeneous encounter with the traditional Korean floored room, and considers how such an open façade changes customers’ experiences in different season and weather. In addition, although the modern social stratum such as the bourgeoisie and Korean noblemen, or “yangban”, have disappeared, this study argues that elaborate social stratification exists in café spaces. As Baudrillard pointed out, this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a postcapitalism society in that everything-not only objects, but also tastes, spaces, and bodies-has changed to a commodity sign. In spite of this critical observation, the open café façade might play a dynamic role of change and transition as a “threshold” or “liminal space” with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fresh consciousness through diverse experiences and events. 오늘날 한국인들에게 커피는 일상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존재가 되었으며, 커피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카페 공간 역시 보다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접목시켜 하나의 독특한 ‘카페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최근 유행처럼 확산되고 있는 커피전문점들의 개방형 파사드는 거리 전체를 투명한 유리벽 또는 이 마저도 제거된 파사드들의 연속으로 구성함으로써 새로운 도시 풍경을 만들어내며 소비자를 유혹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 공간을 산책하며 비평적 시선을 투사한 벤야민의 방식을 응용하여 오늘날 한국 도시의 주요 경관을 구성하는 개방형 카페 파사드의 공간적 특성을 고찰하고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도출한다. 1980년대까지도 주를 이루었던 폐쇄형 카페 파사드와는 대조적으로, 전이형과 개방형 파사드는 밝고 세련된 도시적 분위기를 창출하며 커피전문점의 위상을 강화하게 된다. 특히 노천카페로 대표되는 유럽의 전이형 파사드와는 달리, 국내에서는 노천카페적 성격을 띠면서도 ‘폴딩도어’ 즉 개폐형 유리문을 사용하는 개방형 파사드가 급속도로 확산되어왔다. 본고는 폴딩도어식 파사드가 철골과 유리를 사용한 서구 아케이드의 진화된 모습과 문화적 특징을 내보이면서 동시에 한국 대청마루 창호의 기능과도 혼성적으로 조우한다는 점에 주목하며, 가변적으로 개폐되는 개방형 파사드가 소비자들의 시선과 거리 경험을 어떻게 변모시키는지 고찰한다. 그리고 보드리야르가 후기자본주의 사회의 특성에 대해 지적한대로, 카페 공간에서 작용하고 있는 보다 정교한 육체의 기호화·계층화 과정에 대해 논의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적 기능에도 불구하고, 개방형 파사드는 변화와 이행이 일어나는 역동적인 ‘문지방’ 또는 ‘리미널 스페이스’로 기능할 수 있으며 복합적인 경험과 이벤트를 창출함으로써 새로운 의식적 전환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 KCI등재

        특집 : 경계초월자와 도시 연구 ; 지구화시대의 매체 이주 : Der Ostaisatische Lloyd(『덕문신보(德文新報)』) 와 상해 거류 독일인

        왕웨이지앙 ( Wei Ji Ang Wang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0 도시인문학연구 Vol.2 No.2

        『Der Ostasiatische Lloyd』는 상해 거류 독일인들이 1886-1917년간 상해에서 발간했던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독일 신문이다. 이 신문은 주로 동아시아 지역에 유통되었으며 독일에도 독자가 있었다. 그 만큼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이는 정치, 경제 뉴스뿐만 아니라 중국과 동아시아의 문화, 역사를 포함해 광범위한 정보를 다루었다. 또한 독일 외교관 상인 그리고 독일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하나로 묶어 종교적, 문화적 활동을 함께 하도록 만들어주었다. Der Ostasiatische Lloyd was the oldest german newspaper in East Asia promoted from Shanghai living german people during 1886 to 1917. The newspaper circulated mostly in Est Asia countries and had readers in Germany too, so that it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society. Der Ostasiatische Lloyd dealed with a wide range of informations in a way, that besides the political and economical news worked a lot at culture and history of China and East Asia. Der Ostasiatische Lloyd held the german diplomats, merchants and other german speaking people in Shanghai togather to have their religional, culture activities regularly.

      • 일반논문 : 성적 차이의 현상학 -생활세계의 발생적 구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추은혜 ( Eun Hye Choo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3 도시인문학연구 Vol.5 No.2

        생활세계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관심에 따른 삶의 태도들에 상응하는 각각의 세계들, 즉 이론적 세계 (학문적 세계)를 비롯한 여타 세계들의 바탕이 되는 직접적인 경험의 세계이자 또 한편 그 모든 세계들을 포괄하는 의미에서의 세계 전체이기도 하다. 본 글은 후설의 생활세계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생활세계의 중층적 의미를 분석하고 그러한 이해 위에서 성적 차이의 현상학의 가능성을 조망하고자 한다. 이는 현상학이 여전히 일상생활 속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성적 차이에 기반한 개별 경험들의 차이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체험의 본질구조는 다르지 않다는 측면에서 성차 자체는 허구적임에도 불구하고, 생활세계 내에서 작동하는 성차의 효과는 실제적이다. 이것은 생활세계 내에 거주하는 신체적 실존의 관계적이고 변이적인 의미작용에 기인한다. 신체적 주체와 생활세계는 긴밀하게 얽혀 있으며, 발달의 이념(the idea of development)에 따라 상호침투하는 관계에 있다. 이 가운데 형성된 의미는 생활세계 속에 스며들어 침전되고 이어 신체적 주체에게는 지속적 타당성을 지닌 습성적 통각체계로 현재적 경험의 토대로서 자리잡게 된다. 습성적 통각체계와 관련한 세계 구성의 두 가지 의미(형성과정, 작동과정)는 남성적 신체/여성적 신체로서 살아가는 주체가 경험하는 생활세계가 발생적인 맥락에서 그 문화적이고 의미적인 세계적 차원이 전혀 다른 양상을 드러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노에시스-노에마 보편적 상관관계의 선험성을 고려할 때, 자아의 보편적인 의지적 힘에 상응하는 가능성들의 총체로서 생활세계에 대한 기술이 일종의 중립적이고 자연적인, (남성으로 대변되는) 익명적이고 중성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여성의 신체 도식과 신체 이미지는 그러한 맥락에서 여성이 살고 있는 생활세계와 그 의미화의 억압적인 층위들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Husserl`s theory of life-world has a paradoxical characteristics, as it were, it implies the direct experiential world based on the original clearness on the one hand, indicates the indirect and abstract world as a result of sciences on the other hand. In this respect, this paper analyzes the multi layered meaning of life-world and then trie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 phenomenology of sexual difference. It starts from the phenomenological conviction, what Merleau-Ponty said, that “philosophy does not expect to arrive at an understanding of man and the world from any starting point other than that of their ‘facticity’ all its efforts are concentrated upon re-achieving a direct … and primitive contact with the world(PP ).” However, the practical ⅰ application of this phenomenal descriptions to our daily life expose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explain the individual proper differences based on the sexual difference. What is at stake is that the sexual difference itself is not real, but the effect is real. As such, it is caused by the relational and variable signification of bodily existence in the life-world. The bodily subject and the life-world has a close intertwining relationship and subsequently by repeating this, the established meanings permeates as a certain sedimentation in the life-world. In main discussion, this paper presents two sides of worldly genetic constitution in the genetic phenomenology. According to the genetic position, the constitution is a temporal phenomenon and it can be said qua the genetic transition from low levels to high levels. The worldly genetic constitution consists of the formation of the habitual apperceptive system and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habitual apperceptive system. In our context, the latter can be explained through social norms and the process of embodiment which operate strongly to girls especially. In addition, the former reveals the distortion of body image on account of the limited body schema in the forming process. These two sides of worldly genetic constitution as to the habitual apperceptive system show that the life-world in which sexuate bodily subjects live is totally different to each other in the existential context. Therefore, feminine body schema and image indicate its proper life-world and the repressive layer of signification.

      • KCI등재

        젠더이주로 읽어본 버지니아 울프의 『올란도』

        임옥희 ( Im Ok-h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2

        1928년 런던에서 버지니아 울프의 『올란도』와 레드클리프 홀의 『고독의 우물』이 출판되었다. 두 소설 모두 동성애를 다뤘다. 전자는 가볍고 유머러스하게, 후자는 진지하고 우울하게. 다같이 동성애 다뤘지만 『올란도』는 상업적으로 성공했고, 『고독의 우물』은 금서가 되었다. 두 작품 모두 당대 비평가들로부터 형편없다는 혹평을 받았다. 시간이 흘러가면서 이들 작품에 대한 해석은 부침을 거듭했다. 1920년대 메트로폴리스 런던에서 벌어졌던 성전쟁 이후 한동안 잊혀졌던 두 작품은 21세기에 이르러 문학적 주가가 급부상한다.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수행 이론으로 이후 무수히 생산된 새로운 젠더 연구로 인해, 두 작품은 열광적인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페미니즘, 레즈비어니즘, 퀴어연구, 트랜스섹슈얼, 트랜스젠더, 젠더퀴어, 트랜스베스티즘 등 다양한 이론들이 두 작품을 사이에서 두고 경계분쟁과 영역다툼turf war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텍스트들은 새로운 시대적 맥락에 따라 갈등하는 독법들 사이에서 해석의 권력투쟁을 통해 새로운 의미로 재생산되고 재평가된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트랜스이론들을 비교분석한 다음 젠더이주라는 포괄적인 관점에서 울프의 『올란도』에 국한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오늘날의 ‘트랜스’ 연구를 매개로 이 작품을 다시 읽어봄으로써 이 작품이 갖고 있는 현재성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젠더이주라는 관점을 통해서 볼 때 『올란도』가 지니는 다성적인 의미와 현재성이 무엇보다 잘 드러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In 1928, Two novels were published at the same time in London: Virginia Woolf's Orland and Radcliff Hall's The Well of Loneliness. Lesbian themes were described in both of them: the former dealt with it humorously, the latter melancholically. Woolf's Orlando was successful in the publishing market, but Hall's The Well of Loneliness was banned and ridiculed. Literary critics devaluated both of them. As time has gone by, fortunes of them have been up and down. After the war of lesbian sexuality in 1920s in metropolitan London, two books were almost forgotten. However at the beginning of 21 century, all of sudden the literary value of them has been uprising. After un/doing gender performance of Judith Butler, multiple genders were produced: transgender, transsexual, queer, genderqueer, transvestism etcs. Various gender studies have been interested in them. They focus on them and are struggling to get the position of hegemonic interpretation. they are under the way of "turf war" and border war among multi-trans theories. In the new contexts conflicting readings struggle to get to power in the arena of interpretations. The purpose of this essay tries to grasp the productivities and meanings of Orlando's trans(sexual-gender-queer) experiment, When reading it by means of the broad concept of gender-migration, they come out produ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