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어휘군집의 의미확장 양상

        서정행(Seo, Jeong-Haeng),윤애선(Yoon, Ae-S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코기토 Vol.- No.76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생활 행위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의식주 중에서도 식생활과 관련된 한국어 가열요리동사 어휘군집의 의미확장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다의어에서 의미가 연결된 구조와 의미가 확장되는 양상을 분석하여, 의미들 간의 연관관계를 밝히고, 의미가 확장되는 방향성과 확장되는 거리를 결정하는 언어학적 요인과 인지적 동기를 찾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인지의미론적 방법론과 구조주의적 방법론을 상호보완적으로 통합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우선, 가열요리동사 어휘군집에서 각 어휘의 의미를 원형의미와 확장의미로 구분하고, 의미가 확장되어가는 과정이 의미성분을 매개로 설명이 가능함을 살펴보았다. 이어, 해당 의미장에서 유사한 의미확장 양상을 지닌 어휘를 군집화한 결과와 의미성분분석을 통해 계층화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Nida(1975)가 제안한 변별적 자질의 세 가지 분류인 공통요소, 구분요소, 보충요소의 교체에 따라 원형의미에서 확장의미로 의미가 확장되는 거리가 결정된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의미가 확장되는 거리는 공통요소의 교체가 가장 멀리, 다음으로 구분요소의 교체이고, 보충요소의 교체는 최단 거리로 의미가 확장되어 해당 의미장 내부로 의미가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아울러, 원형의미와 확장의미가 지닌 논항의 선택제약이 의미가 확장되는 방향성과 확장의미가 위치하게 되는 의미장의 종류 그리고 의미가 확장되는 거리 등을 유추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을 밝힐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lexical sense extension of Korean heating verbs in culinary semantic field. We examined the aspects of lexical sense extension of word cluster by surveying the structure of senses within each polysemy and the relation of lexical senses therein, thereby exploring the underlying linguistic factors and cognitive motives that dictate the direction and extent of lexical sense extension. In the course of this analysis, potential integration of methodologies of cognitive and structuralist semantics was also explored. We divided into corresponding prototype and extended senses and verified that the process of lexical sense extension was explainable on the basis of componential analysis. Additionally, in the culinary semantic field, the results from th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pattern of lexical sense extension and the lexical clusters based on the componential analysis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As a result, we show that the variation of the three variables components of distinctive feature suggested by Nida(1975) determines the extent of lexical sense extension from prototype to extended senses. The impact on the extent of lexical sense extension appeared to be in descending order of common component, diagnostic component, and supplementary component. Moreover, we found that selectional restriction conditions of argument embedded in prototype and extended senses provide with substantial information, which could be useful in predicting the direction and extent of lexical sense extension, and the type of semantic field where the extended senses are located.

      • KCI등재

        바스티앙 비베스 작품에 나타나는 소통

        서정행(Seo, Jeong-Haeng),이송이(Lee, Song-Yi)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5

        바스티앙 비베스(Bastien Vivès)는 프랑스 그래픽노블의 대표주자로 손꼽히는 작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바스티앙 비베스 작품 『그녀들』, 『염소의 맛』, 『내 눈 안의 너』를 통해 그의 작품 세계의 특성을 연구하고, 작품 속에 나타나는 소통의 미학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의 작품에서 주로 그려내는 것은 청춘의 사랑과 남녀 간의 소통, 즉 사랑에 빠진 남녀 사이에 소통이 어떤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1984년생인 젊은 작가는 사춘기를 지나고 청소년에서 청년이 되어 성인으로 거쳐 가는 과정에 걸쳐진 청춘 남녀의 풋사랑의 이야기를 본인과 본인 주변인의 이야기를 하듯 일상적인 어투로 그려내고 있다. 독특한 경험담이나 특출한 인물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타인”의 이야기가 아닌 “나”의 이야기를 그림으로써, 평범한 일상을 단순한 이야기 구조로 풀어나가며 독자와 감정을 교류하고, 열린 결말을 제공하여 독자와 감정을 소통해 나간다. 작가는 독자와의 감정 소통에 성공한 듯 보이지만, 결국 세 작품 속 남자주인공들은 여자주인공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녀와의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채 당황스러움 속에 어리둥절하게 남겨진다. 바스티앙 비베스는 본인의 서투른 경험을 토대로 이루어진 사랑에 대한 세 작품을 통해서 남자와 여자 사이의 소통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그에게 사랑에 대한 이야기는 결국 남녀 간의 소통의 이야기인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take a look at the esthetics of communication in Bastien Vivès. Bastien Vivès is the famous author of the graphic novel in France. Then this paper studies both of expressive properties and narrative strategy in Bastien Vivès 『Elle(s)』, 『Les goût du chlore』 and 『Dans mes yeux』 that have been recognized the series "story of young love". His characteristic style is the detail and delicate description of emotions in the visual expression and the narrative. His story is mainly about the love of the young(adolescent) and the communication of man and woman. Through these three books, he wants to describe how important the communication is to man and woman who are falling in love. He gives a talk about the pain of first love(and puppy love) with the simple structure like the freinds" casual activities. And with open-ending, he l eaves something to the imagination for readers. This strategy evoke a feeling of first love in the readers. At these last scenes, a bond of sympathy is developing between readers. Finally, we have failed to communicate with her in first love.

      • KCI등재

        웹툰에서 재현하는 입시문제

        서정행(Seo, Jeong-Hae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7

        웹툰은 PC와 인터넷의 폭발적인 보급을 통해 새로이 대두된 콘텐츠로서 더 이상 출판만화의 연장 혹은 대안으로 볼 수 없는 독자적인 문화 콘텐츠 영역을 구축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웹툰이 지니는 사회적 기능에 대하여 조명해보고자 한다. 웹툰은 출판만화의 특징인 표현의 자율성을 그대로 이어받아, 소외되거나 배척되던 것에 대해 신랄하고 자유롭게 표현해내는 역할을 지속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호작용적인 특징을 지닌 콘텐츠가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작가와 독자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웹툰은 주류미디어에서 축소되거나 정화되고 미화되어 드러난 사회문제를 있는 그대로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떠안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크게 이슈화 되는 사회문제 중 하나인 입시문제를 다루는 네이버 웹툰 <공부하기 좋은날>과 <입시명문사립 정글고등학교>를 통해 웹툰의 사회적 기능에 대하여 분석한다. 두 웹툰은 입시 스트레스, 학교라는 권력에 대항할 수 없는 학생의 무력감, 선생님이나 부모, 친구 등 주변인들과의 갈등에 대한 에피소드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입시와 관련된 기존 영화나 드라마에서처럼 극적이거나 추상적, 혹은 비현실적이거나 미화된 결말을 보여주지 않고, 현실적이고 열린 결말을 제시하고 있다. 두 웹툰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1) 현실을 여과없이 투영하고 주류 미디어에서 축소되고 미화되어 드러난 사회문제를 있는 그대로 직설적으로 보여주는 웹툰의 특성을 밝히고. (2) 이를 바탕으로 기존 매체에 비하여 생산자와 수용자간의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소통이 가능하고, 여러 세대를 아우르는 사회적 담론의 장을 형성하는 새로운 소통의 콘텐츠로서 웹툰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아울러 두 웹툰에서 사회문제인 입시문제를 어떻게 재현해나가는지 웹툰의 표현기술적 측면과 스토리텔링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본고에서는 사회문화적 소통매체로서의 특성을 지닌 웹툰에서 재현하는 사회문제와 그 해결에 대한 제안점은 독자와 작가가 직접적인 소통과 교류가 일어나는 가운데 만들어진 것으로서 개인의 것이 아닌 사회적 담론의 결정체로 인정되어야 하고, 웹툰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가치가 새롭게 평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An infatuation with webtoons is facilitated by the ultra-rapid internet infrastructures and the highest ratio of penetration of smartphones in the world. Recently, the webtoon has been the focus of a new cultural content and its development has been noticed both and home and abroad. This study aims to find the new role of webtoon as a socio-cultural communication media. The webtoon reflects the reality as it is and shows directly and minutely the social problems, even although the other media make it glorified or reduced. We observe the role of webtoon as a new communication media content that can make the place for social discussion within several generations and social stratums, in which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can communicate directly and immediately. Two webtoons(<A Good Day for Study> and <Distinguished Private School for Entrance Examination : Jungle Highschool>) have been selected for a textual analysis. In two webtoons, we analyse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of the social problem in the technique of expression and storytelling. This helps us maintain that the webtoon deserves as the socio-cultural communication media and the social problems represented in webtoon must have been evaluated more valuable in a new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전유와 재창조 - <더 리턴드 Les Revenants>과 <부산행>에 나타난 좀비와 가족

        이송이,오수지,서정행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6

        Zombies that have come from West Africa to Haiti and then to the United States are appearing as monsters that have undergone relatively many variations compared to other monsters. Zombies, which are reproduced in various forms as variant viruses, are expanding into the unlimited area, mainly from the United States, which has been consumed mostly by B-rated movies and video games. In popular culture studies, zombies have often been considered as monsters that reflect social anxiety and contradictions. Therefore, zombies in Korea and France can be seen as objects that reproduce the anxiety and fear of the countries and cultures in which they are born. While works of Romero the master of zombie movies, who is one of the most mentioned in British and American society, have dissolved the white middle-class family of the American society in the late 1960s and attacked the conservative values reflected by the family, <Train to Busan> (2016) and <The Returned-Les revenants> (2012) focus on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solidarity, a new family which is made by humans who are either against zombies or becoming zombies. It also reveals the definition of a new relationship through the symmetry of human versus human or evil humanity and helpless zombies, one step further from the simplified good and evil composition of zombies versus human. The birth of a new family witnessed in both movies can not be predicatively interpreted as reflecting a conservative ideology specific to a disaster movie that reaffirms and re-establishes patriarchal power through the reinstatement of the family value. For this reason, the new family created in <The Returned> doesn't emerge by a solidarity of survivors, but a zombie and human age. The special character of "family" is also found in <Train to Busan> which is criticized as a conventional and conservative film. In the film, men who are always regarded as the subjects of the opposing group disappear and only women survive. Therefore, we can partially see the possibility of a device that dissolves a patriarchal heterosexual family composed of a single race which is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that inherits the traditional value of Korea and the value reflected by them through a new family that will be composed of pregnant women and girls who are unrelated by blood. 서아프리카에서 아이티로, 다시 미국으로 건너온 좀비는 다른 괴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변형을 겪은 괴물로 나타나고 있다. 변종 바이러스만큼이나 다양하게 변형된 모습으로 재현된 좀비는 미국을 중심으로 주로 B급 영화나 비디오 게임을 통해 소비되던 양상을 벗어나 무한정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대중문화 연구에서 좀비는 흔히 사회의 불안과 모순을 반영하는 괴물이라는 입장으로 고찰되어 왔다. 따라서 한국과 프랑스에 유입된 좀비들은 이들이 탄생한 국가와 문화가 갖고 있는 불안과 공포를 재현하고 있는 대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영미권에서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좀비 영화의 대가 로메로의 작품들이 좀비의 공격에 속수무책인 인간들을 통해 60년대 후반 미국 사회의 백인 중산층 가족을 해체하고 가족이 반영하는 보수적인 가치를 그대로 공격하고 있는반면 <부산행>(2016)과 <더 리턴드>(2012)는 좀비에 대항한 인간들과 좀비가 된 인간들이 새로운연대, 즉 새로운 가족을 만드는 과정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좀비 대 인간의 단순화된 선악 구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새로운 관계에 대한 정의를 드러낸다. 두 영화에서 목격되는 새로운 가족의 탄생은 가족의 가치 복권을 통해 가부장적인 권력을 재확인하고 재확립하는 재난영화 특유의 보수적인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단정적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이러한 이유로 <더 리턴드>에서 만들어지는 새로운 가족은 생존자들의 연대가 아니라 좀비와 인간으로 구성된 연대로 부터 생겨난다. 관습적이며 보수적인 영화로 많은 비판을 받는 <부산행>에서도 “가족”의 특수성은 발견된다. 영화에서 항상 대항 집단의 주체로 상정되는 남성들은 사라지고 오로지 여성들만이 생존한다. 따라서 우리는 임산부와 혈연관계가 없는 여자아이가 앞으로 구성할 새로운 가족을 통해서 단일 인종으로 구성된 가부장적 이성애 가족이라는 한국의 전통적 가치를 전승하는 전통적 가족 구조와 그 가족이 반영하는 가치를 해체하는 장치로의 가능성을 부분적으로 나마 엿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