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s RNA 추출방법에 의한 원내감염 원인균으로서의 Rotavirus의 가능성조사

        서억수,이상화,설성용,조동택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9 慶北醫大誌 Vol.30 No.4

        Rotavirus에 의한 급성 장염이 원내감염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는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D병원 소아과에 1989년 10월에 각종의 질병으로 입원한 61명으로부터 대변을 채취하여 적정수의 검체가 모이면 rotavirus의 double stranded RNA를 추출하여 agarose로 전기영동을 하였다. 임상적 진단에 의해 human rotavirus 감염증으로 인한 장염으로 판명된 입원환자 7명중 3명으로부터 rotavirus 특유의 dsRNA genome을 검출할 수 있었다. 초기진단이 rotavirus 감염증과 무관한, 폐렴을 주소로 입원한 생후 10개월된 환자에서도 rotavirus genome을 입원후 6일째 3회 설사한 변에서 검출할 수 있었다. 이 환자가 입원한 병실은 rotavirus로 인한 장염으로 입원한 환자들이 동일 병실에 수용된 적이 있었다. 초기 임상진단과 rotavirus의 발병에 이르는 잠복기를 감안할 때 이 경우는 rotavirus가 원내감염의 원인균이 되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For the study of molecular epidemiology of ratovirus as a possible agent on nosocomial infections, a total of 61 stool specimen was obtained from patients with various kinds of diseases who were admitted to the pediatric ward at a teaching Hospital during October, 1989. The stool specimens were tested throught the method of the extraction of ds-RNA follow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We could detect the rotavirus specific ds-RNA genomes from the three stool sepciments among 7 patients whose clinical diagnosis were human rotavirus gastroenteritis. A 10 month-old infant whose primary diagnosis was pneumonia and unrelated to the rotavirus infection developed three episodes of diarrhea at the 6th admission day, and rotavires genomes were also detected from the diarrheal specimen. This infant was admitted to the same room where the patients with human rotavirus gastroenteritis had admitted previously. Considering the clinical diagnosis at admission and incubation period of the rotavirus gastroenteritis, this case of rotavirus infection strongly suggested a typical nosocomial infection.

      • 독사 교상 후 마비외사시를 보이는 환자에서 항콜린에스테라제 치험 1예

        이중호,서억수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7 東國醫學 Vol.14 No.1

        독사 교상 후 눈근육마비는 드물게 오는 신경독성에 의한 심각하지 않은 합병증이지만 복시, 어지러움증, 시력장애 등이 빨리 회복되지 않을 시에는 환자로 하여금 정신적 불안감을 갖게 한다. 본 저자는 200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뱀 교상으로 인해 본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은 146명 가운데, 복시나 어지러움 등의 증상으로 안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1명에게 항콜린에스테라제 치료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마비외사시에 의한 안증상이 대증치료와 항뱀독소로만으로 치료한 경우보다 더 빠른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lthough the paralytic exotropia following viper bite is the rare complication, it is not severe complication. Patients suffer from a sense of uneasiness if ophthalmic complications like diplopia, dizziness and decreased visual acuity are resolved rapidly.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6, the authors treated one patient among four patients with ophthalmic symptoms by snakes bite with anticholinesterase medication. The authors report that symptoms are improved rapidly by anticholinesterase medication.

      • 헤르페스 각막염 후 발생한 각막 신생혈관에서 Bevacizumab 점안액 적용 1예

        석수지,서억수,정보영,김호창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東國醫學 Vol.16 No.1

        각막 신생혈관은 각막의 염증성,허혈성 변성,외상성 질환 등에 의해 혈관형성인자와 혈관형성억제인자의 균형이 깨지면서 발생하며, VEGF가 각막의 신생혈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64세 남자환자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후 각막 염증이 지속되면서 각막의 전 영역에 신생혈관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각막혼탁으로 시력저하를 호소하였다. 신생혈관 억제를 위해 단기간동안 VEGF 억제제인 1.25% bevacizumab을 하루에 2회 점안 후 반복적으로 시력측정과 세극등검사를 시행하였다. 4개월 점안 후 각막 신생혈관이 억제되고 각막 혼탁이 호전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Corneal neovascularization occur as a result of disequilibrium between angiogenic and antiangiogenic stimuli, caused by inflammation, ischemia and truama. VEFG is a important factor of corneal neovascularization. 64 year-old man with herpetic keratitis presented with a complant of decreased vision. He also presented with ocular surface inflammation and corneal new vessels on the whole cornea. He received 1.25% topical bevacizumab twice daily that is directed against VGEF. Ophthalmic evaluation included visual acuity and slit-lamp examination. 4 months later, topically administered bevacizumab reduces corneal new vessles and corneal opacity

      • 음모이에 의한 안검염 1예

        장영준,서억수,정보영,김호창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東國醫學 Vol.16 No.1

        이(lice)는 인체에 기생하면서 그들의 생활을 영위하고 여러 가지 질병을 전파하는 매개체로서 널리 알려져 온절족동물의 일종이다. 과거에는 인체에 발생하는 많은 질병의 매개체가 되었으나 그동안 의식주의 개선,공중 및 개인위생의 향상으로 최근에는 인체기생의 빈도가 많이 줄었으며 따라서 이에 의한 질병의 발생도 많이 감소하였다. 더욱이 안검을 침범한 음모이의 국내에 보고된 증례는 1976년 백 등이 보고한 2례, 1977년 신 등이 보고한 1례, 1996년 이 등이 보고한 1례, 1997년 김 등의 1례로 총 5례 뿐이다. 저자들은 세극등과 광학현미경 검사로 음모이에 의한 안검염으로 확진한후,세극등을 이용한 물리적 제거와 항생제 안약 및 연고의 도포를 하며 총 4주간 추적관찰을 하였으며 이 기간동안추가적인 음모이의 성충이나 충란의 발견이 없는 좋은 치료 결과를 경헝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We have experienced with a rare case of blepharitis caused by pubic lice, which was confirmed by slit-lamp and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s and resulted with a good outcome with appropriate treatment as follows. A two year old male child complained of foreign body sensations bilaterally, and an itching sensation at both upper and lower eyelids for 2 months. He was diagnosed with blepharitis caused by pubic lice after observation of adult louse and nits on slit-lamp examination. The treatment was accomplished by mechanical removal of the lices and nits by forceps and antibiotic eyedrops and ointment were applied to both eyes. The morphologic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slit-lamp and light microscopy. The follow-up interval was a week for next one month and no louse or nit was found under slit-lamp examination. So we decided that the pubic lice was completely removed.

      • KCI등재후보

        Neuroprotection of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Via Modulation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s in Neonatal Rats with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장윤정,서억수,김우택 대한신생아학회 2009 Neonatal medicine Vol.16 No.2

        Purpose : Erythropoietin (EPO) has neuroprotective effects in many animal models of brain injury, including hypoxic-ischemic (HI) encephalopathy, trauma, and excitotoxicity. Curr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EPO, but limited data are available for the neonatal periods. Here in we investigated whether recombinant human EPO (rHuEPO) can protect the developing rat brain from HI injury via modulation of NMDA receptors. Methods : In an in vitro model, embryonic cortical neuronal cell cultures from Sprague- Dawley (SD) rats at 19-days gestation were established. The cultured cel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oxia (N), hypoxia (H), and 1, 10, and 100 IU/mL rHuEPO-treated (H+E1, H+ E10, and H+E100) groups. To estimate cell viability and growth, a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as done. In an in vivo model, left carotid artery ligation was performed on 7-day-old SD rat pups.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ormoxia control (NC), normoxia Sham-operated (NS), hypoxia- ischemia only (H), hypoxia-ischemia+vehicle (HV), hypoxia-ischemia+rHuEPO before a HI injury (HE-B), and hypoxia-ischemia+rHuEPO after a HI injury (HE-A). The morphologic changes following brain injuries were noted using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Real-time PCR using primers of subunits of NMDA receptors (NR1, NR2A, NR2B, NR2C and NR2D) mRNA were performed. Results : Cell viability in the H group was decreased to less than 60% of that in the N group. In the H+E1 and H+E10 groups, cell viability was increased to >80% of the N group, but cell viability in the H+E100 group did not recover. The percentage of the left hemisphere area compared the to the right hemisphere area were 98.9% in the NC group, 99.1% in the NS group, 57.1% in the H group, 57.0% in the HV group, 87.6% in the HE-B group, and 91.6% in the HE-A group. Real-time PCR analysis of the expressions of subunits of NMDA receptors mRNAs in the in vitro and in vivo neonatal HI brain injuries generally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in the H group was decreased compared to the N group and the expressions in the rHuEPO-treated groups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H group. Conclusion : rHuEPO has neuroprotective property in perinatal HI brain injury via modulation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s.

      • SCOPUSKCI등재

        신생 백서의 저산소 허혈 뇌손상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투여에 따른 Nitric Oxide Synthase 이성체와 N-methyl-D-aspartate 수용체 아단위의 발현

        고혜영,서억수,김우택,Go, Hye Young,Seo, Eok Su,Kim, Woo Tae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2 No.5

        목 적 : $TGF-{\beta}1$는 흥분독성을 억제시키고 질소 산화물 생성 억제를 통한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주산기저산소 허혈 뇌손상에서 그 기전은 아직도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신생 백서의 저산소 허혈 뇌손상에서 산화질소로 인한 신경독성 및 글루탐산염에 의한 흥분독성과 $TGF-{\beta}1$의 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생체외 실험으로 재태 기간 19일된 태아 백서의 대뇌피질 세포를 배양하여 1% O2 배양기에서 저산소 상태로 뇌세포손상을 유도하여 저산소군(Hypoxia), 저산소 손상 30분 전 $TGF-{\beta}1$ (1, 5, 10 ng/mL) 투여군(H+$TGF-{\beta}1$)으로 나누어 정상 산소군 (Control)과 비교하였다. 생체 내 실험은 생후 7일된 백서의 좌측 총 경동맥을 결찰한 후 저산소 (7.5% O2) 상태로 2시간 노출시켜서, 저산소 허혈 뇌손상을 유발하였다.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Control), 경동맥 노출 후 봉합 시술만 시행한 정상 Sham 수술군(Sham-OP), 손상 30분 전 생리식염수를 주입 후 경동맥 결찰과 저산소 노출을 시행한 저산소 허혈 대조군(HI+ Vehicle), 손상 30분 전 $TGF-{\beta}1$을 대뇌로 투여하고 경동맥 결찰과 저산소 노출을 시행한 저산소 허혈 $TGF-{\beta}1$ 투여군(HI+$TGF-{\beta}1$)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흥분독성과의 관련을 알아보기 위하여 NMDA 수용체 아단위를 이용하였고, 질소산화물과의 관련을 알아보기 위해 iNOS, eNOS 및 nNOS를 이용하여 western blotting과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하였다. 결 과 : 생체 외 실험에서 iNOS의 발현은 정상 산소군과 저산소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TGF-{\beta}1$ 투여군에서는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농도와는 상관성이 없었다. eNOS, nNOS의 발현은 1 ng/mL의 $TGF-{\beta}1$ 투여군에서 저산소군보다 감소하였다. 생체 내 실험에서는 iNOS와 iNOS mRNA의 발현은 $TGF-{\beta}1$ 투여한 후 저산소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eNOS와 nNOS 발현은 정상 대조군 보다 저산소 대조군에서 감소하였고, eNOS의 발현은 $TGF-{\beta}1$ 투여군에서 증가하였지만 nNOS의 발현은 증가하지 않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eNOS mRNA와 nNOS mRNA의 발현은 iNOS와 반대로 $TGF-{\beta}1$ 투여군에서 저산소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NMDA 수용체 아단위 mRNA의 발현은 정상 대조군과 Sham 수술군에 비해 저산소 대조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TGF-{\beta}1$ 투여군에서 NR2C를 제외한 나머지 아단위의 발현은 저산소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결 론 : 신생백서의 저산소 허혈 뇌손상에서 $TGF-{\beta}1$ 치료군에서 저산소로 인하여 감소된 NMDA 수용체 아단위의 발현을 증가시켜 흥분독성 기전과 관련성을 보이며, 증가된 iNOS 발현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eNOS 발현을 증가시키는 질소 산화물 중재를 통한 뇌 보호 작용에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1$ reportedly increases neuronal survival by inhibiting the induc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NOS) in astrocytes and protecting neurons after excitotoxic injury. However, the neuroprotective mechanism of $TGF-{\beta}1$ on hypoxic-ischemic (HI) brain injury in neonatal rats is not 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GF-{\beta}1$ has neuroprotective effects via a NO-mediated mechanism and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 modulation on perinatal HI brain injury. Methods : Cortical cells were cultured using 19-day-pregnant Sprague-Dawley (SD) rats treated with $TGF-{\beta}1$ (1, 5, or 10 ng/mL) and incubated in a 1% O2 incubator for hypoxia. Seven-day-old SD rat pups were subjected to left carotid occlusion followed by 2 h of hypoxic exposure (7.5% $O_2$). $TGF-{\beta}1$ (0.5 ng/kg) was administered intracerebrally to the rats 30 min before HI brain injury. The expressions of NOS and NMDA receptors were measured. Results : In the in vitro model, the expressions of endothelial NOS (eNOS) and neuronal NOS (nNOS) increased in the hypoxic group and decreased in the 1 ng/mL $TGF-{\beta}1-treated$ group. In the in vivo model,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OS (iNOS) decreased in the hypoxia group and increased in the $TGF-{\beta}1$-treated group. The expressions of eNOS and nNOS were reversed compared with the expression of iNOS. The expressions of all NMDA receptor subunits decreased in hypoxia group and increased in the $TGF-{\beta}1$-treated group except NR2C. Conclusion : The administration of $TGF-{\beta}1$ could significantly protect against perinatal HI brain injury via some parts of the NO-mediated or excitotoxic mechanism.

      • 안구 건조증 환자에서 0.05% 사이클로스포린 A점안액의 효과

        이중호,서억수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8 東國醫學 Vol.15 No.1

        안구 건조증은 경미한 불편감에서부터 심한 통증까지도 야기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기도 한다. 기존의 안구 건조증은 단순히 눈물의 부족 또는 눈물층의 불안정 때문이라고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는 염증반응의 일환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러한 염증성 안구표면 질환들의 치료방법 중에서 면역을 억제함으로서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은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치료법이다. 사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의 효과에 대한 여러 발표들이 있지만 아직까지 장기간의 결과보고는 미약한 상태이며, 흔한 부작용으로 알려진 자극감이나 충혈 등에 대한 보고도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본원에서 안구건조증으로 치료 중인 환자에게 0.05% 사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를 처방하여 경과를 관찰하여 효과 및 환자만족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달리 점안액의 효과 및 환자 만족도는 크지 않았으며 이물감 등의 불편감이 많아 중도에 사용을 중단하는 환자가 많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Dry eye can cause some troubles in life. Existing understanding about the cause of dry eye is the lack of tear volume or instability of tear layers. But, it is known as inflammatory reaction recently. Cyclosporine A eye drop known as controlling the inflammation by inhibiting the immunity is the widely used treatment for dry eye. Even though there are many reports about the effect of cyclosporine A eye drop, reports about long-term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cyclosporine A eye drop is not many up to now. We prescribed cyclosporine A 0.05% eye drop to patients suffering from dry eye and analyzed the effect of cyclosporine A 0.05% eye drop and the satisfaction grade of them. Our research shows that the effect of it and the satisfaction grade of patients are left something to be desired and many patients stopped the use of it because of ocular discomforts such as foreign body sensation and ocular pain.

      • A Case of Hypopyon after Repeated Transplantation of Human Amniotic Membrane on the Cornea

        Lee, Joong Won,Lee, Yong Kil,Seo, Eok Su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7 東國醫學 Vol.14 No.1

        We report a case of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rejection that occurred after the amniotic membrane from the same donor during the treatment of an infectious corneal ulcer. The patient was hospitalized due to continuous foreign body sensation and ocular pain still remaining after the foreign body was removed. After the corneal ulcer was diagnosed, topical antibiotics were applied for ten days. Due to the continued existence of an epithelial defect, the patient was given an amniotic membrane transplant. However, the treatment failed, we performed amniotic membrane retransplantion. After the retransplantation of amniotic membrane, hypopyon was discovered and responded to topical and systemic steroids. We experienced a case of rejection of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for infected corneal ulcer, which occurs when transplanting amnion that was obtained from the same donor.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recognize that rejection may occur during amniotic membrane retransplantation if the amnion is from the same donor. 감염성 각막 궤양의 치료로 시행한 양막 이식의 실패로, 같은 공여자의 것으로 시행한 반복된 양막 이식 후 발생한 양막 이식 거부 반응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46세 남자 환자가 3일전 우안 각막 이물 제거 후 지속된 이물감과 안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각막 궤양 진단 하에 10일 간 점안 항생제를 사용하였으나 지속된 상피 결손으로 양막 이식을 시행하였고, 그 후 점안 항생제 사용을 자가 정지하여 상피 결손이 지속되어서 첫 번째 양막 이식을 시행하였으나 실패하여, 양막 이식을 재시행하였다. 양막 이식 재시행 후 전방 축농이 관찰 되었고 이를 양막 이식 거부 반응에 의한 것이라 생각하여 전신적, 국소적 스테로이드 치료를 하였고 그에 반응하는 것을 확인하여 양막 이식 거부 반응을 진단하였다. 동일인에게 공여 받은 양막의 재이식 시 일어나는 양막 이식 거부 반응 1예를 경험하였으며 양막 재이식 시 거부 반응이 있을 수 있으며 거부 반응 시 전신적, 국소적 스테로이드 치료가 필요함을 알아야 하겠다.

      • 눈물점 마개 사용 후 발생한 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의한 눈물소관염 1예

        석수지,이중호,서억수,이종임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8 東國醫學 Vol.15 No.1

        안구 건조증으로 5년 전 좌안의 아래 눈물점에 실리콘 눈물점 마개를 삽입한 53세 여자 환자로 1년 전부터 좌안에 지속적인 눈꼽낌과 눈물흘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시 눈물점에서 비후성 조직 소견과 황색 분비물이 관찰되었다. 실리콘 눈물점 마개 삽입 후 발생한 눈물소관염 진단 하에 항생제 점안을 시행하였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눈물소관절개술과 긁어냄술을 시행하여 눈물점 마개를 제거하였다. 눈물점 입구 분비물의 세균배양 검사에서 표피포도알균(Staphylococcus epidermidis)이 배양되었으며, 조직 검사에서 만성 활동성 염증소견이 나왔다. 눈물점 마개 사용 후 발생한 눈물소관염은 약물 치료가 쉽지 않으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에 있어서 신중함과 제한적 선택 그리고 사용 후 주의 깊은 관찰을 요한다. A 53-year-o1d woman who had undergone implantation of a punctal plug 5 years ago presented with a pinkish mass over the left lower punctum and recurrent mucopurulent discharge lasted for a year. Under the diagnosis of lacrimal duct inflammation, curettage in the lacrimal duct and histologic examination were carried out. Staphylcoccus epidermidis was cultured but did not response to antibiotics eye drop. The lacrimal silicone plug was then removed from the lacrimal duct at the time of the lacrimal duct curettage and tissue biopsy revealed active chronic inflammation. Complications after the use of punctal plugs are relatively intractable should be surgcally treated. These punctal plugs have to be used with careful selection of indication and we should observe the patient carefully.

      • KCI등재

        고주파 전기수술을 이용한 눈꺼풀 표피낭종의 제거

        박종엽,김호창,서억수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12

        목적: 고주파 전기수술기를 이용하여 눈꺼풀의 표피낭종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눈꺼풀의 표피낭종 환자 13명 13안을 대상으로 고주파 전기수술기(Ellman surgitron®)를 이용하여 눈꺼풀 표피낭종을 수술적으로 제거하였다. 수술 후 6개월 이상 추적관찰하여 그 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째 모든 안에서 눈꺼풀의 표피낭종은 재발 없이 제거되었으며, 특별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고주파 전기수술기를 이용한 눈꺼풀 표피낭종 제거술은 재발 없이 효과적으로 표피낭종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4;55(12):1727-173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