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판단능력과 인간중심 간호 간의 관계에서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의 조절효과

        서미화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판단능력과 인간중심 간호 간의 관계에서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의 조절효과 제 출 자 : 서미화 지도교수 : 김은아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판단능력과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이 인간중심 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임상판단능력과 인간중심 간호 간의 관계에서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의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중환자 실 간호사들의 인간중심 간호수행 향상을 위한 간호 인적 자원 개발 전략과 간호근무환경 개선 및 효율적 관리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 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3개 지역(G시, G도, J도)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2개 와 500병상 이상의 2개 종합병원, 총 4개 병원(1개 병원 당 33∼78명)에서 근무하는, 재직기간 3개월 이상의 간호사 중 현재 간호 업무를 직접 수행 중인 중환자실 간호사를 편의표집 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23년 9월 4일부터 2023년 9월 1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에는 192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임상판단능력은 권시내(2023)가 개발한 간호사의 임상판단 측정도구를,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은 이효진 등(2021)이 개발한 한국형 중 환자실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를, 인간중심 간호는 강지연 등(2018)이 개발 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정규성 검 정(왜도와 첨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Welch’s test, Games-Howell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고, 조절효과는 SPSS PROCESS macro (version 4.0)의 PROCESS macro Model 1 (bootstrapping 5,000회, 95% confidence interva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Hayes, 2018).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판단능력 점수는 5점 만점에 3.88(±0.49)점이며,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2.83, p=.005). 2.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55(±0.65)점이며, 여성이 남성보다(t=-3.39, p<.001), 현재 근무 중인 병 원 형태가 상급종합병원인 경우가 종합병원인 경우 보다(t=2.41, p=.017), 현재 근무 중인 중환자실 종류가 내과계 중환자실인 경우가 외과계 중환 자실, 응급 중환자실인 경우보다(F=6.64, p=.002) 유의하게 높았다. 3.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는 5점 만점에 평균 3.53(±0.55)점이며, 현재 근무 중인 중환자실 종류가 내과계 중환자실인 경우가 외과계 중환 자실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F=5.21, p=.006).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는 임상판단능력(r=.59, p<.001), 중환자 실 간호근무환경(r=.66, p<.001)과 모두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고, 임 상판단능력은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r=.54, p<.001)과 유의한 순 상관관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판단능력과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이 인간중심 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 반적 특성 중 인간중심 간호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현재 근무 중인 중 환자실 종류와 임상판단능력을 투입한 Model 1 분석 결과, 임상판단능력 (β=.52, p<.001)과 현재 외과계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경우(β=-.17, p=.034)가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F=29.61, p<.001). 설명력은 수정된 결정계수(Adj.R2)가 .31로 31.0%였다. Model 2에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을 추가로 투입한 결과, 중 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중환자실 간호 근무환경(β=.50, p<.001), 임상판단능력(β=.24, p<.001) 순으로 나타났다 (F=42.79, p<.001). Model 1에서 보다 설명력은 16% 유의하게 증가하여 (ΔR2=.16, F=56.24, p<.001), Model 2의 수정된 결정계수(Adj.R2)는 .47로 설명력은 47.0%였다. 6.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판단능력과 인간중심 간호 간의 관계에서 중환자 실 간호근무환경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임상판단능력(X)이 인간중심 간호(Y)에 미치는 영향(B=0.28, p<.001),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W)이 인 간중심 간호(Y)에 미치는 영향(B=0.41, p<.001), 임상판단능력(X)과 중환 자실 간호근무환경(W)의 상호작용항(X×W)이 인간중심 간호(Y)에 미치 는 영향(B=0.16, p=.026)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모두 95% 신뢰 구간(95% confidence Interval) 내 ‘0’이 포함하고 있지 않아 중환자실 간 호근무환경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7.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의 수준에 따른 조건부 효과는 중환자실 간호근무 환경 점수 평균-표준편차 집단(mean-1standard deviation [1SD]; effect= 0.17, p=.043, 95% CI 0.01∼0.34), 평균 집단(mean; effect=0.28, p<.001, 95% CI=0.13∼.42), 평균+표준편차 집단(mean+1SD; effect=0.40, p<.001, 95% CI=0.20∼.55)에서 모두 유의하였다. 8. Johnson―Neyman 분석에 따르면,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는 값은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 점수가 2.90점(possible range: 1∼5점) 이상일 때부터였다. 이는 조절효과가 유의한 영역에 대상 자의 85.4%가 속하며,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 점수가 증가할수록 조절효 과가 더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해 보면, 본 연구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판단능력과 중환자 실 간호근무환경은 인간중심 간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또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판단능력과 인간중심 간호 간의 관계에서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의 조절효과가 실증적으로 규명되었다. 즉, 중환자실 간호근무환경 수준이 높을 경우 임상판단능력이 인간중심 간호에 미치는 영 향을 더욱 증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 중심 간호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수립 시 임상판단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과 간호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함께 이 루어진다면 인간중심 간호수행 증진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간호사, 중환자실, 인간중심 간호, 임상판단능력, 간호근무환경.

      • 시각장애인의 활동지원서비스가 자립의지에 미치는영향 : 활동지원사 전문성, 개인적 특성, 가족특성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미화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등록장애유형 15가지 중 감각장애에 해당하는 시각장애인의 활동지원서비스가 시각장애인의 지각된 자립 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분석한 연구이다. 앞으로 활동지원서비스가 시각장애인의 자립적인 삶에 더욱 효과적인 사회서비스가 될 수 있으려면, 서비스판정에서 제공에 이르기까지 감각적 장애특성을 고려한 유형별 서비스 전달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문제 의식을 전제로 연구하게 되었다.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는 2007년부터 장애인 복지서비스 중 대표적인 사회서비스로 시작되었다가 2010년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제정으로 단독법률을 근거로 한 장애인 사회서비스로 성장 발전해왔다. 그리고 2019년 장애인등급제 폐지와 함께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신청자격이 등록장애인 전체로 확대되는 변화의 시점에 이르렀다. 이어 보건복지부는 장애인들이 지난 12년 동안 그토록 요구해 왔던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로의 전환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보건복지부는 현재까지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시행하겠다고 발표는 하였으나 정부 차원에서 개인별 맞춤형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적 제시가 없는 시점에서 반드시 활동지원서비스가 장애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거나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시각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활동지원서비스 내용을 파악할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와 자립 의지와의 관련성을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활동지원서비스가 장애등급제 폐지와 함께 의미하는 장애 유형을 고려한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로 성장하고 시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는 서비스로 발전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할 목적을 갖고 아래와 같은 내용을 목표로 연구하였다. 첫째, 활동지원서비스 이용 정도의 만족도와 자립의지와의 관계를 파악한다. 둘째, 활동지원서비스의 이용 정도 만족도와 시각장애인의 지각된 자립 의지와의 관계에서 매개변인 대처효능감의 영향요인을 파악한다. 셋째, 시각장애인의 활동지원서비스 이용 정도의 만족도와 시각장애인의 지각된 자립 의지 사이에서 시각장애인의 개인적 특성, 가족특성, 활동지원사의 전문성의 조절 효과를 파악한다. 위에서 파악된 내용을 토대로 시각장애인의 지각된 자립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지원서비스 이용 정도의 만족도 변수들에 대한 연구모형의 검증과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시각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가 시각장애인의 온전한 자립 생활에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가 되게 함으로써 명실상부한 개인별 맞춤형 장애인 사회서비스로 발전할 수 있게 기초적인 자료를 축적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시각장애인을 위한 활동지원서비스 접근성 뜻을 위한 시각장애인 맞춤형 활동지원서비스 판정척도를 개발하여야 한다. 구간의 질문 항이 등급제 폐지 이전과 별다름 없이 주로 지체장애인이나 뇌병변장애인, 외부신체장애인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있어 시각장애인에게 여전히 불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서비스 사정을 위한 판정 도구는 분명히 필요하고 그 판정도구는 장애 유형별로 구별되어야 한다. 둘째, 활동지원서비스 제공인력인 활동지 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시각장애인을 지원하는 활동지 원사는 기능적인 단순 서비스제공을 넘어 시각장애인의 감각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시각장애인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안내, 식사보조 등, 정보전달에서의 대독・대필 등 활동지원서비스의 내용과 서비스 전달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서비스 내용파악, 서비스 공급자로서 도덕성, 책임성을 포함한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교육과훈련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활동지원서비스 제공의 지속성과 일관성 있는 서비스제공이 확보되기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즉, 시각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가 지속해서 일관성 있게 제공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취지, 목표, 서비스전달과정에 대한 이해와 앞으로 발전 방향에 대한 인식을 갖추기 위해 표준화된 교육체계 시스템과 서비스 기술이 공유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 설명서가 작성되고 공유되어야 한다. 넷째, 시각장애인 활동지원의 지속성 유지 측면에서 사례관리와 사후관리의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사례관리는 대상자의 문제와 욕구가 적절히 해결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지속해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사례관리와 사후관리는 결국 본 연구에서 시각장애인의 활동지원서비스와 지각된 자립 의지 사이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시각장애인의 대처효능 감이 향상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시각장애인의 활동지원서비스가 지속해서 유지될 수 있는 방향성을 찾아가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가진 뜻과 그에 대한 시사점을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가진 뜻은 이용자 중심의 활동지원서비스 이용 정도가 시각장애인의 지각된 자립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동시에 활동지원서비스 이용 정도와 지각된 자립감 사이에서 활동지 원사의 전문성, 이용 인의 개인적 특성과 가족특성이 조절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과 활동영역에 따른 활동지원서비스의 이용 정도가 대처효능감과 지각된 자립 의지의 영향을 매개하는가를 분석하여 지금까지의 유사 돌봄서비스와 활동지원서비스와의 차별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 한 시각장애인들은 감각적 특수성이 많아 시각장애인 맞춤형 활동지원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함에 있어 그 정당성을 확보하는 근거를 마련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본연구의 한계는 시각장애인이 자립 의지에 관한 활동지원서비스 내용에 관한 연구를 하면서 측정 도구가 주로 뇌 병변 지체장애인 중심의 서비스 내용으로 구성된 된 척도를 사용한 점이라 할 수 있는데 추후 감각적 시각장애인에게 제공되고 있는 실질적인 서비스 내용의 척도를 개발하여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점과 조절 변인으로 활동지원사의 전문성 부분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면서 연구대상을 시각장애인으로만 한정 지어, 실제 서비스 공급자인 활동지원사가 느끼는 활동지원사의 전문성에 대한 조절 효과를 해석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추후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활동지원사의 전문성에 대한 검증에 대해 서비스이용 수급자와 제공자 모두 참여하게 함으로써 더욱 폭넓은 활동지원사 전문성에 대한 개념과 전문적인 활동내용을 확보하고, 시각장애인의 활동지원서비스 이용 정도가 지각된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 더욱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부분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the independence of the visually disabled which is in the sensory defects’ category of the 15 disability types. I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is to be more effective in the future for an independent life of the visually disabled, this study assumes that the delivery system including from applicant evaluation for the service to the service delivery should be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y defects.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began in 2007 as a social service representing the welfare system for the disabled, and its independent base law, “Act on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enacted in 2010. From 2019, along with the abolition of degree of disabilities, all disabled registrants have become eligible to apply for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he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clared that it would change their policy to customizing its service based on each individual, which the disabled had been requesting for 12 years. However, the government has not presented any specific policy in relation to the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Personal assistance service until now. Therefore, to propose a polic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disabled and developing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into the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service based on the disability type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the independence of the visually disabl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Personal assistant service and the independence of the visually disabled.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disabled and professionalism of service provid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the independence of the visually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help to develop the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Personal assistance service, by testing the research model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the independence of the visually disabled. The study suggested followings: First, fair applicant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must be developed to ensure a better accessibility of the service to the visually disabled. Even after the abolition of degree of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of the application still focuses on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brain lesion, and body functions or body structures, so the application process is still unfair for the visually disabled. New applicant evaluation criteria for the service must be developed and distinguished by the disability types. Second, service providers must be provided with various education systems to empower their professionalism. Not just need they provide basic services, but service providers must be trained systematically and regularly to learn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disabled, various service contents including guidance, meal assistance, reading and writing for information transfer and any service-related considerations, and ethics and responsibilities for service providers. Third, a system ensuring the service persistence and consistency is necessary. To achieve such a goal, the purpose, goal and delivery system of the service must be clearly understood. Besides, a standardized education system is required to recogniz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ervice and a systematic education manual needs to be written to share service technics. Fourth, in terms of the service persistence, the case management and post-event management need to be strengthened. The purpose of the case management is to provide various and comprehensive services to solve problems and requests of the beneficiaries. Therefore, the case management and post-event management may help to increase coping efficacy of the visually disabled that play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the independence of the beneficiaries, and thus the Personal assistant service may remain persistent.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how the user-centered Personal assistance service would affect the independence of the visually disabled and if professionalism of service provide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characteristics as well as coping efficacy of the beneficiaries would play any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age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the independ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und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other similar care and activity support services, and in that this study justifies that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must be individually customized because the visually disabled have many special sensory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to use the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specific services mainly for individuals with brain lesio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the independence of the visually disabled. Therefore, evaluation criteria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visually disabled need to be developed and used for a future study. While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rofessionalism of the service provider, this study focused only on opinions of beneficiaries and did not analyze opinions of service providers about the mediating effects of their professionalism. Therefore, by including both service providers and beneficiaries to test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of service providers, the future study should obtain more comprehensiv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activities. Besides, the future study also needs an in-dept and multifaceted investigation about mediating variables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age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the independence of the visually disabled.

      • 나노키토산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당뇨효과와 유제품에 응용 연구

        서미화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verall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nopowdered chitosan (NPC)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microbial and antidiabetic activities, and apply the chitosan into dairy products. To achieve the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steps. In the first step,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article size, moisture content, ash content, nitrogen content, molecular weight, degree of deacetylization and absorption capacity(water, lipid and dye)] of NPC were evaluated. The average particle sizes of powdered chitosan (PC) and NPC measured were about 150 ㎛ and about 560 nm in diameter, respectively. In moisture and ash contents, the NPC samples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the PC samples, however, nitrogen content was slightly lower in NPC samples. Furthermore, molecular weight of NPC decreased to one fifth of PC, which was caused by nano-treatment. However, the degree of deacetylization was not changed. Water and lipid absorp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PC than those in PC, but dye absorption showed the opposite result. In the second step,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PC and PC on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bulgaricus, Candida albican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investigated. In the all microorganisams studied, NPC exhibited the higher antimicrobial activities as compared to PC. Therefor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bulgaricus, Candida albican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9, 5, 2, 3, 4 and 27 times higher than those of PC, respectively.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depended upon the kinds of microorganism. In the third step, the effects of NPC on antidiabetic activity (glucose level,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insulin and pancreatic islets morphology) in db/db mice, which were subdivided into four groups of normal control, diabetic control, PC and NPC group were determined. The glucose level of NPC group reduced by 56%, as compared to PC, which reduced by 28%. The total cholesterol level of NPC group decreased by 31.6%, while PC group reduced by 18.2%.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decreased by 33.6% with NPC group and 22.5% with PC group. The insulin level of NPC group and PC group reduced by 57.1% and 42.8%, respectively. In comparison between groups on the pancreatic islets morphology, pancreatic islets of NPC groups was prevented from the β-cell destruction which was caused by high blood glucos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NPC has higher antidiabetic activities than PC. In the fourth step, the objective was to develop an NPC-added and cholesterol-reduced yogurt, and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final products during storage. The pH values and mean lactic acid bacteria counts of NPC (0.3~0.7%, w/v)-added and cholesterol-reduced yogurt ranged from 4.19 to 4.41 and from 4.75 x 108 to 9.70 x 108 CFU/mL, respectively, when stored at 4°C for 20 days, thereby indicating a possibility of prolonging the shelf-life of yogurt. In color, the a- and b-values for cholesterol-reduced yogurt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dding NPC (0.1~0.7%, w/v), however, the L-valu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highest concentration (0.7%, w/v) of NPC at 0-day storage. The sensory test revealed that the astringency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at 0-day storage when the highest concentration (0.7%, w/v) of NPC was added into cholesterol-reduced yogurt.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concentrations (0.3~0.5%, v/v) of NPC could be used to produce an NPC-added and cholesterol-reduced yogurt without the significantly adverse effects on the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sensory properties. In the fifth step, the objectives were to investigate a possibility of adding the ascorbic acid-soluble nanochitosan into milk for improving the functionality of milk and determine the effects of adding the ascorbic acid-soluble nanochitosan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product during storage at 4℃ for 20 days. The storage test showed that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the ascorbic acid-soluble nanochitosan added milk were not changed when stored at 4°C for 15 days. The addition of the nanochitosan solution (1~9%, v/v) into the milk samples led to an increase in the amounts of L-ascorbic acid, thereby indicating an enhancement in health benefits. The L- and a-values for the milk samples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dding the nanochitosan solution (1~9%, v/v). On the other hand, the b-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nanochitosan solution (5~9%, v/v). The sensory test revealed that astringency scores increased and color scores decreased when the nanochitosan solution (9%, w/w) was added into the milk samples.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concentrations (1~3%, v/v) of the nanochitosan solution can be used to produce a NPC-added milk without the significantly adverse effect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it is concluded that antimicrobial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NP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C. Furthermore, the production of yogurt and milk which incorporate NPC can broaden the utilization of chitosan, and the products can be regarded as possible health-promoting nutraceutical foods.

      • 전북지역 일반소비자와 식품학관련 전공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및 구매행동

        서미화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안전 및 식품위해요인에 대한 인식, 식품구매행동,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원 등을 조사/분석하여 식품안전성 확립을 위한 안전지침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소비자 272명과 식품학관련전공자(영양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전공․농과대학 식품관련전공학부생) 276명을 대상으로 2009년 4월 6일부터 4월 16일 사이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은 ‘불안하다‘고 생각하는 일반소비자가 191명(70.2%), 식품학관련전공자는 145명(52.5%)으로 일반소비자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식품안전에 대한 관심도는 일반소비자가 134명(49.3%), 식품학관련전공자는 156명(56.6%)으로 관심도가 유사하였다. 식품 구매 시 식품안전성 고려정도로는 ‘고려한다’고 생각하는 일반소비자가 173명(63.6%), 식품학관련전공자는 188명(68.1%)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식품구매 시 고려사항으로는 조사대상자 모두 ‘품질‘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식품안전성, 영양가, 가격, 제조회사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구매 시 확인사항은 영양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이나 일반소비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식품 구매 시 세부항목을 항상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식품위해요인에 대한 인지정도는 영양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식품위해요인으로는 ‘식품첨가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금속, 식품이물질혼입, 식중독 균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 모두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보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위해요인에 대한 정보는 비전공자의90명(52.9%)이 ‘TV나 라디오 등 방송매체’로부터 얻고 있으며, 식품학관련전공자 96명(34.8%)은 ‘식품관련기관’에서 얻는 정보를 가장 신뢰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식품안전에 대한 책임 소재 여부로는 영양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 35명(46.7%)은 ‘정부’라고 응답하였고, 일반소비자나 식품관련전공 학부생은 ‘식품제조업체’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해 일반소비자 93명(34.2%)은 ‘불법업체 처벌강화’를 식품학관련전공자 74명(26.8%)은 ‘정부규제강화 및 식품표시인증제의 확대’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p<.01). 본 연구 결과, 설문대상자들은 전공에 따라 식품안전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식품 안전성에 대한 높은 관심도에 비해 잘 확보되지 않다고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향후 주 소비자층으로 성장한다는 점을 감안했을때, 대학 내 관련교육과정 개설과 정보제공 등을 통하여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소비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자료를 제공해 줌으로써 소비자들의 ‘알권리’가 실현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undamental data of the safe guide for a food safety establishment. In order to obtain the data, we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 awareness and purchase behavior of non-major consumer and food science major student about food safety. Survey respondents were 272 people of non-major consumers and 276 people of food science major students (nutrition education-major graduate students, food and nutrition-major undergraduate students, food science related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in Jeonbuk province during April, 2009.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program. In the question of food safety, non-major consumers and food science major students felt anxious with 70.2% and 52.5%, respectively. The interest degree of food safety is similer to non-major consumer (49.3%) and food science major student (56.6%). When purchasing the foods, non-major consumer and food science-major student considerd the food safety with 63.6% and 68.1%, repectively and importance was quality, food safety, nutrition, price, and manufacturer in the order named. In the survey of awareness of food hazard factor, graduate students of nutrition education-major were high (p<.05). As food hazard factor, food additive is most important and heavy metals, foreign substances mix and bacteria in the order named. Non-major consumer got the information of food hazard factor from TV or radio (52.9%) and food science-major student got from food related agency (34.8%). 46.7% of nutrition education-major graduate students answered to responsibility of government about food safety, and non-major consumer and food science related major undergraduate student answered to responsibility of manufacturer (p<.001). It appeared the difference that 34.2% of consumers need to punish illegal companies to ensure food safety, and 26.8% of food science related major students need to the certification system of government regulations, and food displays (p<.01). Results of this research, respondent answerd that it has differences of food safety’s awareness according to the major subjects and food safety is not well secured compared with the interest degre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need to provide education and information from university to increase awareness for food safety.

      • 유아의 기질과 보육기관 적응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효과

        서미화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fant’s temperament and teacher-infant relationship on the infant’s Adaptation to child care institution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temperament and the adaptation of child care institutions. To this end, a total of 215 pairs of the questionnaire which is consist of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and questionnaire for parents who raise children aged 3 to 5 were used for analysis, and data from 215 pair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pearson's correlation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 that intimacy, conflict, and dependence among sub-regions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 behavior inhibition, effortful control, social sensitivity among sub-regions of infant’s temperament have a significant bearing on the infant’s adaptation of in child care institution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infant temperament and teacher-infant relationship on infant's adaptation to chilid care institutions, effortful control among the sub-regions of infant temperament, and intimacy, conflict, and dependence among the sub-regions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fant's adaptation to child care institutions. The magnitude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was in the order of conflict, intimacy, effortful control, and depende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infant's temperament on the teacher-infant relationship, behavior inhibition and effortful control among the sub-regions of the infant's tempera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flict among the sub-region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Fourth, among the sub-regions of the teacher-infant relationship, conflict is a mediator that completely mediates between behavior inhibition among the sub-regions of infant’s temperament and infant’s adaptation to child care institutions. Also,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 mediator that partially mediates between effortful control among the sub-regions of infant’s temperament and infant’s adaptation to child care institution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보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과 보육기관 적응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5세의 유아에 대한 양육자용 설문지 1부, 교사용 설문지 1부를 1쌍으로 총 215쌍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기질의 하위 영역 중 행동 억제, 의도적 조절, 사회적 민감성과 교사-유아 관계의 하위 영역 중 친밀감, 갈등, 의존이 유아의 보육기관 적응과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보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 기질의 하위 영역 중 의도적 조절과 교사-유아 관계의 하위 영역 중 친밀감, 갈등, 의존이 유아의 보육기관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들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갈등, 친밀감, 의도적 조절, 의존 순이었다. 셋째, 유아의 기질이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기질의 하위 영역 중 행동 억제와 의도적 조절이 교사-유아 관계의 하위 영역 중 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사-유아 관계의 하위 영역 중 갈등은 유아 기질의 하위 영역 중 행동 억제와 유아의 보육기관 적응 사이를 완전매개하며 또한 유아 기질의 하위 영역 중 의도적 조절과 보육기관 적응 사이를 부분매개하는 매개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와 향후 연구 방향 및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이슬람 여성베일에 나타난 양가성

        서미화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define the ambivalent concept of the du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f the Muslim women's veil. To examine its symbolism, periodic Muslim veil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country of origin. This study referenced literature and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Types and styles of the veil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However, hijab, niqab, burka, and chador were used in this paper from international data presented by the BBC. The symbolism of the Islamic veil was viewed through diversified viewpoints including religious, cultural, social and psychological. The symbolism of Muslim women’s veil and its role in costume culture can be categorized as: 'seclusion and protection', 'resistance and acceptance', 'humiliation and price', and 'concealment and decoration'. First, a Muslim woman's veil ambiguously symbolizes 'Seclusion and Protection' from a religious and cultural perspective. In the teachings of the Koran, the veil acts as part of the costume. The Purdah institution, an Islamic harem culture, emphasizes isolation of women, while also using the veil for protection. Most of the in-depth interviews revealed how the veil is used to segregate and oppress women, while also benefiting them by offering protection. Muslim women remain silent and follow the command of Allah, but they also wear the veil for physical, social, psychological protection. Second, the Islamic veil can offer both societal 'Resistance and Acceptance'. The influx of Western civilization and feminism in the Islamic culture has modernized the consciousness of women to unveil and reject its traditional Islamic values that are symbolic to the veil. On the other hand, Muslim women have also accepted the veil as a tool for social empowerment and identity within the Islamic culture. While Western people judged the veil as a tool to oppress women, Muslim women voluntarily chose to wear the veil for their own benefit. Third, Muslim women psychologically view the veil with 'Humiliation and Pride'. The veil is a lifelong social taboo in Islamic societies, and women are sometimes humiliated because they are forced to wear the it despite their own views on what it represents. However, the veil is also considered sacred and women may find a sense of pride in carrying on its tradition. A patriarchal society demanded women wear the veil to protect their men's honor. Despite the role of women in Islamic society, they feel authority and pride when wearing the veil. Diaspora Muslim women in other countries feel pride when wearing the veil as it helps to define their Islamic identity. Fourth, the Islamic woman's veil has the ability to express mixed attitudes of 'Concealment and Decoration' through religion, culture, social, and psychology. Culturally, the Muslim women concealing and decorating at the same time through their fashion. These ambiguous expressions match with Flugel's theory of clothing motivation. Although Muslim women wear their veils to hide their faces and bodies, the veil is also used to decorate their appearance and feed their egos.

      • 아동을 위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의 효과

        서미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분노조절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들의 분노조절능력, 분노인식능력 및 분노표현행동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I. 분노조절훈련은 아동의 전체적인 분노조절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가설 II. 분노조절훈련은 아동의 분노인식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가설 III. 분노조절훈련은 아동의 분노표현행동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위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시 K초등학교 4학년 7개 학급 아동 280명을 대상으로 Morganett(1994)의 분노조절검사를 실시하여 M±1SD에 해당하는 20명의 아동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실험집단 10(남5, 여5), 통제집단 10(남5, 여5)씩을 무선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Ferbert, Griffith, Forrest(2000) 및 Morganett(1994)이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을 본 연구자가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현실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훈련은 실험집단에만 1회기부터 9회기까지 1주일에 2회씩 매회 2시간씩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기간은 총 한 달이 소요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검사 도구는 Morganett(1994)이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분노조절검사와 Novaco(1994)가 개발한 분노검사를 남궁희승(199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의 방법으로는 첫째, 실험·통제 두 집단에 대하여 각 영역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을 SPSSWIN 10.0을 이용한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비교하였다. 둘째, 분노조절프로그램의 내용 분석을 위하여 9회의 전 과정에서 수집한 아동의 소감문과 비디오 내용, 프로그램에 대한 피험자의 평가 결과 등을 토대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피험자의 정서, 행동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조절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전체적인 분노조절능력이 통제집단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노조절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분노인식능력이 통제집단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노조절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분노표현행동능력이 통제집단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험집단의 경우 전체적인 분노조절능력, 분노인식능력 및 분노표현행동능력 검사의 사전·지연 점수 검증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분노조절훈련이 4주 후에도 실험효과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각 회기별 소감문의 내용을 분석 해 본 결과, 실험초기에는 분노에 대한 인식과 대응방법이 거의 없었고, 피험자들은 주로 공격적인 분노 표현과 소극적인 분노표현 두 가지 양상을 보였는데 훈련이 진행되면서 분노에 대한 바른 이해와 자신의 분노단서를 찾고, 분노의 표현방법과 해결방법을 알고 행동하는 등 전체적인 분노조절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nger control program o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whole anger control ability, anger cognition ability, and anger expression behavior ability. The research hypothesis set up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nger control training would improve children's whole anger control ability. Second, the anger control training would improve children's anger cognition ability. Third, the anger control training would improve children's anger expression behavior ability. To verify these hypotheses, 20 elementary students were selected in 4th-grade 7 classes(280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Korea. 20 elementary stude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male 5, female 5) and control group(male 5, female 5).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were drawn from anger control training program developed by Morganett(1994) and Ferbert, Griffith, Forrest(2000) modified by the researcher taking into a curriculum and account of the reali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9 sessions training for two hours a week at a time throughout a month.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nger control test developed by Morganett(1994), Novaco anger scale developed by Novaco, which were translated by Namgoong, Hee-Seung(199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the content of children's impressions about the 9 sessions training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whole anger control ability of the children.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anger cognition ability of the children. Third,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anger expression behavior ability of the children.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pretest and 1month delayed test of experimental group in whole anger control ability, anger cognition, and anger expression behavior ability. Fifth,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through the letters of children's impressions and video showed development of the whole anger control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 전문한식당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객만족을 매개효과로

        서미화 경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Master's Thesis An Effect of Specialty Korean Restaurants' Service Quality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 with a mediating effect of customers' satisfaction - Seo, Mi-Hwa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Major in Foodservice Management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Lee, Jong-ho Abstract Research about effects on re-visit intentions from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service quality at Korean restaurants. This research executed surveys on 340 adults living in Busan and other Gyeongnam areas to confirm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from service quality at Korean restaurants affecting re-visit intentions.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SPSS 18.0 statistics program is used for testing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as well as mediator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multiple(simple) regression analysis for statistical population characteristics with factors, reliability analysis, relationship analysis, theory confirmation about frequency analysis,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results are as belows: First, service quality at Korean restaurants has positive effects significant to customer satisfaction.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menu quality among service quality factors is related in P≤.001, service of waiters, physical environment, price, and value in P<.001, and the explanation ability showed 62.6%. The theory that service quality at Korean restaurants will give positive effects significant to customer satisfaction was selected. Second, service quality at Korean restaurants has positive effects significant to re-visit intention.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ervice quality factors including services of waiters, menu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price, and value showed P<.001, and the explanation ability showed 47.6%. The theory that service quality at Korean restaurants will give positive effects significant to re-visit intention was selected. Third, customer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s significant to re-visit intention.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lower factors of service quality at Korean restaurants in the first stage were significant to customer satisfaction(p<.001), which is the parameter, and the ones in the second stage also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 re-visit intention(p<.001). In the third stage, the lower factors of service quality (service of waiters, physical environment p<.01, menu quality, price and value p<.001) were significant to re-visit intention (p<.001), and the standardized coefficient(β) in the second stage were analyzed as service of waiters(.241>.127), menu quality(.333>.187), physical environment(.293>.133), as well as price and value(.469>.273), rather than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in the third stage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s conditions of mediator, but it only has partial mediator effects as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were analyzed significant. Thus, the theory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 significant to re-visit intention was selected. As seen in the results, service quality affects re-visit intention with customer satisfaction as a mediator, and the customers satisfied with service quality have influences on re-visit intention as well.

      • Gigabit 라우터를 위한 고속 IP 라우팅 테이블 룩업에 관한 연구

        서미화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의 TCP/IP 네트워크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터넷 사용과 트래픽의 증가로 네트워크 서비스의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좋은 Qo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결정적인 라우터의 빠른 패킷 전송으로, 그 중에서 특히 패킷 처리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처리 과정은 IP 라우팅 테이블 룩업이다. 본 논문은 빠른 IP 라우팅 테이블 룩업을 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IP 라우팅 테이블 룩업 방법과 프로토콜 기반 알고리즘에 대한 요약 논문이다. IP 라우팅 테이블 룩업을 하기 위한 방법에는 메모리를 비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되도록 메모리 액세스를 줄이려는 방향의 연구와 최대한 포워딩 테이블을 축소하여 SRAM에 들어가도록 만들어서 여러 번 액세스를 해도 전체 룩업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방향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연구 방향은 각각 소프트웨어 기반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기반 알고리즘에서 진행되고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IP 라우팅 테이블 룩업을 피하기 위해서 프로토콜 기반 알고리즘도 소개되고 있다. 태그 스위칭과 IP 스위칭이라는 방법이 있는데, 특히 태그 스위칭에 속하는 MPLS는 현재 각광받고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IP 룩업을 피할 수는 없다. In recent TCP/IP networks, there is a low quality of network service problem, because of explosive expand users and traffic growth. In order to provide good QoS service, the key is a fast packet forwarding of the router, specially IP routing table lookup. This paper is a survey paper for many kinds of IP routing table lookup method and protocol-based algorithms. This is a way for a fast IP routing table lookup. There are two ways for a fast IP routing table lookup. First, using the large and slow memory inefficiency, you can reduce the memory access number. Second, compacting the forwarding table fit into the small and fast SRAM. Both first method and second method are advanced in a software-based algorithm and a hardware-based algorithm. Besides, a protocol-based algorithm is introduced in order to avoid the IP routing table lookup. A Tag switching and a IP switching belong to a protocol-based algorithm. Specially, MPLS belongs to the Tag switching is highlighted. But essentially you can't avoid IP lookups.

      • '공주의 가출'형 서사의 형성 배경과 의미 : 평강·선화·세조공주 관련 문헌설화를 대상으로

        서미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구비에 전승되고 있는 ‘내 복에 산다’계 설화가 문헌으로 수록되면서 변모하는 양상을 살펴본다. 나아가 같은 서사구조를 공유하지만 변주되어 전해 오는『삼국사기』 <온달>, 『삼국유사』 <무왕>, 『금계필담』 <광묘유일공주>를 ‘공주의 가출’로 묶어 차이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 복에 산다’계 설화는 신화, 전설, 민담 3분법에 의거하여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신화계열인 <삼공본풀이>와 민담계열인 ‘내 복에 산다’계 중 초혼형이 구비에 전승된다. 본고에서 살피는 ‘공주의 가출’은 전설에 포함되며 문헌에 수록되어 있다. 구비에 전승되는 <삼공본풀이>와 ‘내 복에 산다’계 중 초혼형의 대략적인 내용은 이러하다. 아버지는 딸들에게 누구의 덕으로 혹은 누구의 복으로 잘 사느냐고 질문한다. 셋째 딸만이 유일하게 정면으로 자신의 복으로 산다고 대답함으로써 갈등이 촉발된다. 이에 집을 나가 새로운 남자(숯구이총각 혹은 마퉁이)를 만나 결혼하고 결국 자신이 타고난 ‘복’대로 부자가 된다. 그 후 친정은 몰락하고 셋째 딸은 다시 아버지에게 돌아가 화해를 청한다. 이러한 구비설화의 공통 서사구조는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온달>, <무왕>, <광묘유일공주>를 묶어 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요컨대 구비에 전승된 것과 마찬가지로 문헌에서도 아버지와 딸 사이의 절연과 그 이후의 삶의 모습을 그려낸다. 핵심화소는 변질되지 않고 살아있다. 다만 아버지와 딸의 관계는 왕과 공주의 관계로 특수화 되고 등장인물은 전설의 주인공 혹은 역사적 실제 인물로 변한다. 구비에서 중요한 갈등요소였던 ‘복’관념은 사라지고 빈자리는 정치적 이유나 역사적 사실로 채워진다. 각각의 변이양상을 살펴보자면 <온달>전은 구비에 전승되는 여성 주인공의 주체성과 열전의 주제의식인 유교이데올로기가 공존한다. 평강공주는 이 두 가지 역할을 서사 속에서 조화롭게 수행하며 초인적인 현자의 모습을 드러낸다. <무왕>조는 서동의 왕위등극과정에 ‘내 복에 산다’서사가 내재되면서 선화공주의 역할은 상당히 축소되며 능동성이 약화된다. 그녀는 대리적 행위자로 변모해 서동의 영웅화를 돕는다. <광묘유일공주>의 세조공주는 계유정난을 바라보는 당대의 유학자나 민중의 비판적 시선을 반영하기 위해 능동적인 성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끝내 아버지와 화해하지 않은 그녀는 세조에 대한 서유영의 시선을 대변해준다. 더불어 앞선 두 이야기에 비해 핍진성과 구체적인 현실성이 드러나며 친소설화 경향도 곳곳에 보인다. 이를 통해 이야기가 차지하고 있는 위치는 다소 독특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서양에 비해 현저하게 양적으로 부족한 우리의 공주 이야기 중에서 세 이야기가 상징하는 바는 크다. 이들은 민중과 사대부들의 관점이 교차하는 접점에 존재한다. 여기에서 공주는 ‘민중들의 공주’이자 역사 속의 실제 공주로 혼효되고 전승되어 살아남았다. 이들의 이야기에는 여러 장르의 변화와 이행, 편찬자의 이데올로기, 시대적 배경 등이 함께 작용하고 있다. 결국 이들 이야기는 역사의 한 사실로서 존재하기도 하고 사람들의 소망을 담은 염원의 한 축으로 존재하기도 하면서 복합적인 의미망을 형성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