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행목표 재개념화에 의한 5요인 성취목표 척도 개발

        봉미미(Mimi Bong),정윤경(Yoonkyung Chung),이선경(Sun Kyung Lee),이지수(Jeesoo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수행목표를 둘러싼 논쟁들을 해결하고, 동시에 성취목표 이론의 핵심적 특징을 반영하는 새로운 성취목표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접근-회피, 숙달-수행목표 구분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규준중심 수행목표와 능력중심 수행목표를 추가 구분함으로써, 숙달목표, 규준중심 수행접근목표, 능력중심 수행접근목표, 규준중심 수행회피목표, 능력중심 수행회피목표로 이루어진 5요인 성취목표척도를 개발하였다. 각각 고등학생과 중학생으로 이루어진 두 표본의 응답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요인 성취목표 구조의 안정성을 지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개발된 성취목표척도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주요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을 함께 포함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역시 5요인 구조를 지지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숙달목표를 제외한 모든 수행접근목표와 수행회피목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숙달목표와 수행접근목표를 정적으로, 수행회피목표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특히 규준중심 수행접근목표는 학업성취를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능력중심 수행접근목표는 학업성취를 부적으로 예측함으로써 수행목표의 상이한 두 측면을 독립적으로 측정할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five-factor achievement goal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that reflects the essential components of each achievement goal and, by doing so, resolves the ongoing controversy surrounding the performance goal. The new five-factor achievement goal scale consists of the mastery, normative performance-approach, ability-focused performance-approach, normative performance-avoidance, and ability-focused performance-avoidance goal subscal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responses from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monstrated structural stability of the five-factor achievement goal structure. Validity of the five-factor achievement goal scale was further supported by the relationship of each achievement goal to its respective antecedents and an achievement index. Differential predictive utility of normative and ability-focused performance-approach goals was identified, as the former predicted achievement positively while the latter did so negatively.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new five-factor achievement goal scale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 KCI등재

        교실목표구조와 학업지연 행동의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의 매개 효과

        이선영 ( Lee Sun-young ),봉미미 ( Bong Mimi ),김성일 ( Kim Sung-il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실목표구조,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를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지각하는 수학 교과의 숙달목표구조,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행회피목표는 학업지연 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자신이 속한 수학 교실을 숙달목표구조로 강하게 인식하고 수학 교과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은 감소할 수 있지만 학습자의 수행회피목표가 높으면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은 증가할 수 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숙달목표구조와 학업지연 행동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매개 효과 검증을 통하여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실목표구조가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을 직접 예측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을 간접적으로 예측하기도 하는 유의한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습자의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사가 숙달목표구조의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수 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classroom goal structur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Participants were 23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W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and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16.0 and AMOS 18.0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stery goal structure negative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self-efficacy and mastery goals. Also, self-efficacy negative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More specifically, students who are perceiving strong mastery goal structure or endorsing high academic self-efficacy showed less academic procrastination. However, students who are pursuing performance avoidance goals showed greater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evidence supported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mastery goal struct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astery goal structure directly and indirect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refore, teachers should construct mastery goal structure and apply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to enhance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helping students who are suffering from chronic academic procrastination in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자의 학업성취, 동기, 수업참여에 대한 예측요인으로서의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권순구 ( Kwon Soon Koo ),봉미미 ( Bong Mimi ),김성일 ( Kim Sung-il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교사효능감과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동기, 수업참여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새로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척도가 기존의 교사효능감 척도와 달리 동일한 변인에 대해 어떠한 변별적인 설명력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중ㆍ고등학교의 국어, 영어, 수학교과 교사 35명과 이들에게 수업을 듣는 1,27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edeling)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이해와 포용 효능감만이 직접적으로 학업적 흥미와 정서적ㆍ주도적 수업참여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유일한 변인이었다. 한편, 이해와 포용 효능감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성취압력과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정서적ㆍ주도적 수업참여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유일한 변인이었다. 또한, 이해와 포용 효능감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학업적ㆍ정서적 지원과도 상호작용을 통해 모든 학습자 관련 변인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반면, 교실관리 효능감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학업적ㆍ정서적 지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 개인적 흥미, 행동적ㆍ정서적 수업참여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기존 교사효능감 척도의 하위요인 가운데 교수전략 효능감만이 지각된 교사의 학업적ㆍ정서적 지원과 유의한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척도의 필요성과 교사-학생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see how teacher efficacy scale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predicted students`` achievement, academic motiva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For this study, survey responses of 35 middle and high school subject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In addition, survey responses of 1,276 students, who take a class of those teachers, were also analyzed. Academic interest, such as individual interest and situational interest,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assessed as motivational variables. Considering nested structure of dat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HLM) analysis method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 efficacy scale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especially efficacy for understanding and tolerance, was only direct and positive predictor for academic interest, emotional engagement, and agentic engagement. In addition, all student variables, through interaction effect with perceived teachers`` academic-emotional support, were positively predicted by efficacy for understanding and tolerance. In contrast, academic self-efficacy, individual interest, behavioral engagement, and emotional engagement, through interaction effect with perceived teachers`` academic-emotional support, were negatively predicted by efficacy for classroom management. Lastly,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interaction effect with perceived teachers`` academic-emotional support, was predicted by efficacy for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findings pointed to the importance of teacher-student relations for student motiva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in classroom environment.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a teacher-student relations in teacher efficacy scale related with student motivation was verified.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의 지원, 성취압력과 초등학생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습동기 변인의 매개효과

        신지연(Jiyoun Shin),권순구(Soon Koo Kwon),봉미미(Mimi Bo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3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부모로부터의 지원과 성취압력이 그들의 학습동기와 전략 사용, 그리고 학업성취도를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원주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이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이 때 학업성취도 지표로는 담임교사의 평정을 활용하였으며, 부모 변인과 학습동기 변인은 중간시험 이전에, 전략 사용과 학업성취도는 중간시험 이후에 측정하여 변인 간 예측관계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 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부모의 지원과 성취압력 사이에는 부적 상관이 존재하였으며, 이들 부모 변인이 전략 사용과 학업성취에 이르는 경로는 학습동기 변인에 의해 유의하게 매개되었다. 예상과 달리, 부모의 지원뿐만 아니라 성취압력 역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숙달접근목표, 수행접근목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숙달접근목표가 강한 학습자일수록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많이 사용하였고, 이는 다시 높은 학업성취도로 연결되었다. 반면 수행접근목표가 강한 학습자일수록 또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습자일수록 시험스트레스가 높았고, 시험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이 감소하고 자기손상전략 사용이 증가하였다. 수행접근목표와 자기효능감은 시험스트레스와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의 다중매개를 통해 학업성취도를 예측하였다. Survey responses of 25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Korea, were analyzed to see how their perceptions of parental support and achievement pressure predicted their motivation, strategy use, and achievement. Parental variables as well as student motivation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achievement goals, and test stress were assessed before midterm, while strategy use and teacher ratings of achievement were assessed after midter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motivation variable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variables with strategy use and achievement of students. Further, as mastery-approach goals became stronger, use of self-regulatory strategies increased, which resulted in higher achievement. As performance-approach goals became stronger and self-efficacy became weaker, students reported higher test stress. Higher test stress subsequently resulted in decreased use of self-regulatory strategies and increased use of self-handicapping strategies. Performance-approach goals and self-efficacy thus linked to achievement via test stress and self-regulatory strategy use as multiple mediators.

      • KCI등재

        학업지연 행동의 기질적, 환경적, 동기적 선행요인 검증

        이선영(Sun-Young Lee),김성일(Sung-il Kim),봉미미(Mimi B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3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학습자의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업지연 행동의 선행요인으로써 학습자의 기질적, 환경적, 동기적 요인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연구 1의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 결과, 학습자가 자신이 속한 수학 교실을 숙달목표구조로 지각하고, 수학 교과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흥미가 높을수록 학업지연 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가 지각하는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숙달목표구조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흥미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수학 교과에 대한 실패공포와 유용가치는 학업지연 행동을 설명하지 않았다. 연구 1의 결과로부터 학업지연 행동에 회피적인 심리 기제가 관여하는지를 추가로 검증하기 위하여 후속 연구를 하였다. 연구 2의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 결과,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업지연 행동은 감소하는 반면 학습자가 정서비용을 높게 느낄수록 학업지연 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흥미와 학업지연 행동의 관계에서 정서비용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Academic procrastination refers to learners" irrational delay of schoolwork in the learning process. Academic procrastination deteriorates learners" successful academic experience and induces negative affection such as guilt and shame. In spite of diverse attempts to clarify anteceden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findings on relevant antecedents have been either inconsistent or limited in scope. In this research, we examined potential anteceden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that included learners’ disposit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environmental and motivational factors. Moreover, we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the antecedents to explain their predictive pattern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In Study 1, contrary to our expectation, neither learners’ fear of failure nor learners’ utility value direct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Mastery goal structure,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erest were direct negative predictor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self-efficacy was also a significant mediator between mastery goal struct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s well as between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Study 2, academic self-efficacy was again a direct negative predictor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lso, both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erest negatively predicted learners’ emotional cost, which in turn,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Even though interest did not predict academic procrastination directly in Study 2, it indirect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via emotional cost.

      • KCI등재

        부모의 수학 성 고정관념, 고정 마인드셋, 기대에 의한 초등 자녀의 수학 학습동기와 성취도 예측

        이수향 ( Lee Su Hyang ),이현지 ( Lee Hyun Ji ),봉미미 ( Bong Mimi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수학능력에 대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성 고정관념과 고정 마인드셋, 그리고 자녀의 미래 수학성취에 대한 부모의 기대가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와 성취도를 예측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D 광역시에 소재하는 1개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과 학부모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171쌍에게 설문조사와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이 중 학생과 학부모 모두 설문에 참여한 131쌍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부모의 성 고정관념과 고정 마인드셋 모두 학생의 수학 동기와 성취도를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않았다. 그러나, 부모의 고정 마인드셋은 자녀의 미래 수학성취에 대한 부모의 기대를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자녀의 미래 수학성취에 대한 부모의 기대는 다시 학생의 수학 자기효능감과 가치, 성취도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매개분석 결과, 부모의 고정 마인드셋이 자녀의 미래 수학성취에 대한 부모의 기대를 통해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와 성취도를 예측하는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부모가 가지는 수학능력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믿음과 자녀에 대한 기대가 초등학생의 수학학습동기와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test if the gender stereotypes and fixed mindset parents held about math as well as their expectations toward their child’s future success in math predicted students’ math motivation and achievement. Out of 171 pairs of third and fourth graders and their parents at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Daejeon,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the data from 131 parent-child pairs of which both the parent and the child completed the surv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neither parents’ gender stereotypes nor their fixed mindset directly predicted students’ math motivation and achievement. However, parents’ fixed mindset negatively predicted their expectations toward their child’s future success in math, which in turn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math self-efficacy, value, and achievement. The mediation analysis further revealed that all of the indirect effects of parents’ fixed mindset on students’ math motivation and achievement via parents’ expectations toward their child’s future success in ma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parents’ beliefs about the malleability of math ability and their expectations towards their child’s success in math can wield a critical influence on the math motivation and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성별과 과학 관련 직업포부에 따른 초등학생 과학 학습동기와 성취도의 차이

        이민혜(Minhye Lee),신다정(Da-Jung Diane Shin),봉미미(Mimi Bo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3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는 진로발달과 정체성 탐색의 결정적 시기인 동시에 성 고정관념이 견고해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성비 불균형이 문제시 되어 온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과연 초등학생의 과학 관련 직업포부에서의 성차가 여전히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성별과 직업포부에 따라 과학 학습동기와 성취도가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따른 직업포부의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였으며,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는 과학, 통신, 공학 전문가 및 관련 직업포부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남학생이 선호하는 직업 상위 3개는 운동선수, 과학자, 인터넷 컨텐츠 크리에이터인 반면, 여학생이 선호하는 직업 상위 3개는 예술가, 교사, 연예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관련 직업포부를 추구하는 남학생의 비율은 전체 남학생의 53%인 반면, 여학생의 비율은 전체 여학생의 31%에 불과했다. 성별과 과학 관련 직업포부 추구 여부에 따른 과학 학습동기와 성취도의 차이도 발견되었다. 성별의 주효과는 과학 과목에 대한 개인적 흥미에서만 발견됐지만, 과학 관련 직업포부의 주효과는 상황적 흥미, 개인적 흥미, 자기효능감, 유용가치, 학업성취도에서 모두 발견되었다. 학습동기 변인에서는 성별과 과학 관련 직업포부의 상호작용 효과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과학 관련 직업포부를 추구하는 남학생이 과학과 무관한 직업포부를 추구하는 남학생에 비해 대부분 과학 학습동기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학생의 경우 과학 관련 직업포부 추구 여부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곧 남학생의 경우 과학 과목에 대한 동기가 과학 관련 직업포부를 선택하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으나, 여학생의 경우 스스로 지각한 과학 동기 이외의 요인에 의해 과학 관련 직업포부로의 선택 혹은 기피가 결정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앞둔 초등학교 고학년에게 자신의 동기와 적성을 바탕으로 한 진로 탐색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Upper elementary school years are the most sensitive period in the development of career and gender identity. While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related occupation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whether gender imbalance exists in these fields and how this difference explains a gender gap in scie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indeed revealed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career aspirations of fifth and sixth graders, particularly in STEM related careers. The most popular careers among the boys were athletes, scientists, and Web content creators, whereas those among the girl were artists, teachers, and entertainers. Also, 53% of the boys mentioned science related careers among their top 3 priorities, compared to only 31% of the girls who did so. Scie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these students differed depending on gender and science related career aspirations. Among the boys, students who hoped for careers in science showed far superior scie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than those who did not. In contras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girls depending on their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ience motivation and career aspirations are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gender stereotype and that care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designed to reduce the existing gap between girls and boys before they embark on more systematic career explo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