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창업주기별 온라인 창업교육 콘텐츠 개발 및 운영현황 분석

        변영조(Youngjo Byun),최종인(Jong-in Choi),김재영(Jaeyoung Kim)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8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2

        우리나라 창업지원 사업의 구조는 2018년 7개의 정부부처가 27개의 산하 공공기관 등을 활용하여 61개의 사업에 약 7,8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였다. 거대한 규모의 예산은 창업교육, 멘토링, 사업화, 연구개발(R&D), 행사네트워크, 창업지원 인프라 등을 구축하는데 활용되었다. 창업지원 예산은 창업의 생태계 관점에서 창업준비((0~1년 이내), 창업실행(3년 이내), 도약(4~7년), 재도전 단계 등으로 구분하여 배열해 본 결과 실행 및 도약단계가 가장 많은 예산(6,505억원)이 배정되어 있었다. 지원내용별로 분류를 해 본 결과 61개 사업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창업교육 분야로 61개 지원사업 중 32개 지원사업 내 창업교육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처럼 창업의 전주기에 걸쳐 중요한 요소인 창업교육 분야에 있어 초중고, 대학, 일반인까지 포괄하여 교육실행이 가능한 것이 온라인 교육이다. 본 연구에서 오프라인 교육으로는 33개 창업선도대학의 창업교과목 분석과 온라인과정으로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에듀의 179개 콘텐츠의 창업주기별, 역량별 과목 개발현황 및 분포등을 조사분석 하였다. 조사방법은 콘텐츠를 구성하고 있는 교과목명과 과정의 설명 등을 바탕으로 창업주기 및 역량별로 키워드를 도출하여 그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오프라인 강좌에 비하여 온라인 강좌가 역량별로 세분화되어 과정이 분포 되어있었으나 약30%에 해당하는 52건의 교과가 단순한 슬라이드 교육자료가 업로드 되어있어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콘텐츠 개발 확충이 필요하였고 창업주기 부분에서는 도약기와 재도전 단계의 창업콘텐츠가 부족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창업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고 산업의 발전은 가속화 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창업 교육을 위해 온라인 교육은 매우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며 이의 발전을 위해 창업교과의 확충, 창업콘텐츠를 개발 및 운영할 수 있는 교원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효과적인 창업교과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등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The structure of Korea’s Startup support programs was to invest about 780 billion won in 61 programs, using 27 government funded agencies. The huge budget was used to build foundation education, mentor programs, commercialization, R&D, Startup Festivals, and start-up support infrastructur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application, the largest portion of 61 projects were supported to startup education. Online education is an important element of start-up education, which include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In this study, an analysis of online courses investigated the start-up of 179 contents by the start-up period of the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department, and the distribution status. The survey method elicited keyword for each start-up cycle and capability based on descrip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purpose of organizing the contents, and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status. According to the survey, additional online contents need to be develop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apabilities of entrepreneurs and develop contents and teaching models according to their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The importance of start-up education is increasing and industrial development is accelerating. Therefore, for effective start-up education, online education is a very effective method of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art-up course, to develop and operate the start-up contents, and to continuously study the teaching methods for effective start-up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 창업교육프로그램 효과성 측정지표 개발 연구

        변영조,김명숙,양영석,Byun, Youngjo,Kim, Myung Seuk,Yang, Young Seok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4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창업교육의 목적은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창업구성요소의 개별적인 훈련보다는 창업이라는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기업가정신을 함양하며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교육의 효과는 창업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며 창업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어 준다. 따라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생들이 교육을 통하여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검증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효과측정을 통하여 더 나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측정도구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통한 효과에 대한 정의와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경험적 접근방법을 통해 청소년의 창업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체화될 수 있는 학습효과를 기업가지향성, 창의성, 창업준비행동 등의 3개영역과 11개의 하위영역으로 구분하고 효과측정을 위한 49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항목을 비즈쿨 선정학교인 5개의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287명을 표본으로 실중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3개영역, 8개의 하위영역(혁신성, 위험감수성,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의사결정, 효율적 행동능력, 정보수집, 진로탐색, 창업탐색 및 준비), 38개의 측정문항을 확정하였고, 마지막으로 척도의 신뢰도를 확보함으로써 최종의 청소년 창업교육프로그램 효과성 측정항목을 완성하였다. 추가적으로 비즈쿨 대상의 학생중에서 적극적으로 창업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창업동아리 참여자와 비참여자와의 효과성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한 것과 9개의 측정지표에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A goal of Bizcool entrepreneurship education targeting on the youth falls on letting understand the process of starts-up, enhance entrepreneurship will and their business creativities rather than training trivial starts-up skills such as writing business plan for successful starts-up. The effects of education enable Bizcoo students to recognize rightly the concept of starts-up training and lead to spread out demand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feedback check-up for how entrepreneurship education affects students getting through of it is necessary and possible to bring its' improvement alternatives. Despite of such highlight, not many measuring tools and indexes of evaluating an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re developed and studied up until. This research suggests for the optimal indexes for them. In specific, this research 49 the first question sets of evaluating an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lassified 3 large categories and 11 following sub categories each of them such as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creativity, entrepreneurship preparing activities etc,. representing embedding education effects though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research carry out the empirical survey research utilizing driven question sets against 5 different Bizcools sampling 287 students. The survey research delivers the final 3 large categories and 8 following sub categories(Innovativeness, risk-taking, problem-solving potent, cooperative decision-making potent, efficient behavior capacity, data collecting potent, career search, starts-up search and preparation), and 38 measuring indexes by search and confirming factor analysis. This research never drop the confidence test over each indexes and obtain the proper figures. Last but not least, this research confirm the gap between starts-up club members and non members as to an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9 different indexes.

      • KCI등재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변영조,우승한,Byun, Youngjo,Woo, Seung Han 한국청정기술학회 2022 청정기술 Vol.28 No.2

        The term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was first used in the 2003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Finance Initiative (UNEP FI). Among the three areas of ESG, environment refers to the impact of companies on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factors address climate change policies and attempts to reduce emissions, waste and natural resource consumption. Social factors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a company can improve the social impact of stakeholder includes employees, customers, communities, and governments involved in direct or indirect interaction with the organization itself and the company. Governance factors refer to stakeholders who make major decisions, the composi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their diversity and independence, and the internal policies that set limits and expectations for decision-making. Research related to ESG management is par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ustainability, corporate or financial performance, and social responsibility investment. Through case studies and data-based empirical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ESG management companies had positive results for most of the ESG related field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ESG history, introduction background,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is paper presents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s by confirming that ESG's introduction and operation strategies are strong competitive strategies that directly affect corporate growth by creating attractive factors.

      • KCI등재

        가치창출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주요 5개국 인문·기술 융합연구 정책지원 사례 분석

        구인혁(Inhyouk Koo),변영조(Youngjo Byun),김상준(Sang-Joon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5

        본 연구는 지난 20년 간 한국, 미국, 일본, 대만, 중국의 인문학 진흥정책 변천사를 고찰하였다. 국가별 인문학-기술융합 정책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고 초기-실행-발전 과정에 따른 정책 차별성을 비교·분석하였다. 트리플 힐릭스 모델(Triple Helix Model)을 적용하여 대학-정부-산업의 행동 양식을 구조화하고, 국가별 인문학 진흥계획에서 제시된 목표와 결과를 전략적 측면에서 재조명하였다. 예를 들어, 학제·학문 간 통섭, 인문학과 첨단 연구의 유기적 결합을 목표로 장기 지원책을 제공하는 미국, 인문학 디지털화를 정부 주도의 경제, IT 프로젝트와 연계하는 일본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대만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정책으로 인문학 유산의 디지털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고, 중국은 사회주의 이념에 입각한 인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교육과정, 인문학 부흥 계획을 국가 주도로 속도감 있게 추진해왔다. 한국은 ‘인문학 제주 선언(1996)’을 필두로 인문 기반의 新지식 창출과 연계 사업화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추진하였고, 인문학법 제정을 통해 중앙부처와 교육청까지 포괄한 정책지원까지 법제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워드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5개국, 34개 지원사업에서 56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인문학 지원의 특성에 따라 인프라 확산, 연구범위 확대, 산업화 연계, 디지털 기반구축 등 네 가지 핵심전략을 개념화하였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인문-기술융합 확산을 위한 인문학 연구사업의 확대 필요성을 제시하고, 창업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융합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논의하였다. 즉, 기존 인문학 인프라의 효과적인 정비와 더불어 보유, 강화, 재확장 측면에서 인문-융합 연구의 균형 성장을 도모하고, 디지털 인문학의 패러다임내에서 인재양성, 제도 합리화, 창업지원 등 실현 가능한 계획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단순히 기술을 접목하는 수준을 넘어 인문·사회, 과학기술 영역의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저변확대, 지원방식의 전환, 사업화(창업화) 중심의 성과문화도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of humanities policies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Taiwan, and China over the past 20 years. Each country has taken different initiatives to develop the humanities in tandem with technology. For example, the United States provides a longitudinal support plan to facilitate an interdisciplinary combination of cutting-edge technologies with the humanities, and Japan combines the digitization of the humanities with government-led projects in the economic and IT sectors. Taiwan has also actively promoted collaboration between technology and the humanities as a means of solving social problems, and China has a state-led humanities revitalization plan to nurture new talent. South Korea, following its “Jeju Humanities Statement (1996)”, has not only implemented various programs to generate new knowledge based on the humanities, but also legalized educational policy support for such actions by enacting a “Humanities Law”. Using the triple helix model, we aim to define the actions of its three pillars (i.e., university, government, and industry) and analyze the strategic aspect of the goals and outcomes of each nation's policies. Through word cloud text analysis, 56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34 projects in 5 countries and conceptualized as the following four core strategies: (a) expanding infrastructure, (b) widening research scope, (c) linking to industrialization, and (d) building a digital foundation. Further,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need to expand humanities research and proposes a new paradigm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with the potential to lead social change. In conclusion, our study calls for both the revitalization of existing humanities infrastructures and the cultivation of humanities research integrated with other sectors. We also suggest the nee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experts from all fields can actively collaborate, a shift in support mechanisms, and practice-based performance evaluation.

      • KCI등재

        「중소기업연구」 40년 동안의 창업생태계 연구 동향 고찰 및 측정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서리빈 ( Ribin Seo ),최경철 ( Kyung Cheol Choi ),변영조 ( Youngjo Byu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0 中小企業硏究 Vol.42 No.4

        본 논문은 한국중소기업학회 40년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창업생태계 연구 동향을 조명하고, 생산적 창업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생태투입·산출요인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방향을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중소기업연구’의 창업생태계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선행연구는 생산적 창업생태계 조성과 다양한 생태투입요인에 대한 관리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생태투입요인과 기업가정신으로 대변되는 생태산출요인 간 인과성을 검증하려는 실증연구에 필요한 측정모형 및 변수개발을 다루는 탐색적 연구는 실무·정책적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경험적 사실에 근거하여 창업생태계 성공요건을 규명하는 사례연구의 불균형적 발전은 연구 결과의 일반화와 효과적 실무·정책적 대안을 제안하는 데 한계가 있다. 국가·지역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혁신동력으로써 생산적 창업생태계의 조성과 효율적 운영이 중요한 오늘날, 향후 실증연구에서 활용 가능한 생태요인 측정모형의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투입→산출→결과→성과]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생태투입·산출요인을 중심으로 창업생태계 측정 모형을 개념화하였다. 우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생태투입요인(재정적·지식·제도적·사회적 자본)을 체계화하고, 생태산출요인은 설립, 혁신 및 성과기준 기업가정신으로 개념화하여 측정 가능한 변수로 도출하였다. 또한, 향후 실증연구에서 생태투입·산출요인 측정 시 활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제안하고, 각 데이터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창업생태계 측정지표는 생태요인 간 인과성을 검증하려는 후속 연구에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Shedding new light on the research trend on entrepreneurial ecosystems in the 40-year history of the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a potential measurement framework of ecological inputs and outputs in an entrepreneurial ecosystem that promotes entrepreneurship at geographical and spatial leve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search on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in the journal, we found that prior studies emphasized the managerial importance of various ecological factors on the premise of possible causalities between the factors and entrepreneurship. However, empirical research to verify the premised causality has been underexplored yet. This literature gap may lead to unbalanced development of conceptual and case studies that identify requirements for successful entrepreneurial ecosystems based on experiential facts, thereby hindering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for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reating and operating productive entrepreneurial ecosystems as an innovation engine that drives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it is necessary to explore and develop the measurement framework for ecological factors that can be used in future empirical research. Hereupon, we apply a conceptual model of 'input-output-outcome-impact' to categorize individual environmental factors identified in prior studies. Based on the model. We operationalize ecological input factors as the financial, intellectual, institutional, and social capitals, and ecological output factors as the establishment-based, innovation-based, and performance-based entrepreneurship. Also, we propose several longitudinal databases that future empirical research can use in analyzing the potential causality between the ecological input and output factors. The proposed framework of entrepreneurial ecosystems, which focuses on measuring ecological input and output factors, has a high application value for future research that analyzes the caus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