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산품 안전인증에 대한 소비자 태도, 공산품 안전인증 효과에 대한 소비자인식, 공산품안전인증에 대한 소비자 신뢰 분석

        홍상진,여정희,허경옥,한승수 표준인증안전학회 2019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9 No.1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how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necessity of safety certification of industrial products, consumers'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industrial safety certification, and consumer confidence of industrial safety certification var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 attitudes toward the necessity of industrial safety certification were positive when the male, 40s, married, and his income exceeded 2 million won. Second, consumers in their forties and resi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howed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ndustrial safety certification system. Third, consumer confidence in industrial safety certification was relatively high for men, graduates, highly educated workers, employed persons, 20s and 50s, and the group with the highest monthly average income. Wh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nd synthesized, it can be seen that men, elderly consumers, and those with a high income level are positive about industrial product safety certification. In other words, women, younger people, and consumers with low income levels are required to improve awareness, publicity, and education on industrial product safety certification.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공산품안전인증 필요성에 대한 태도, 공산품안전인증 효과에 대한 소비자인식, 공산품안전인증에 대한 소비자신뢰도가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산분석과 t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t검증과 분산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산품안전인증의 필요성에 대한 소비자태도는 남성, 40대, 기혼, 본인 소득이 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0대 소비자, 서울수도권 거주 소비자의 경우 공산품 안전인증제도의 효과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산품안전인증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는 남성, 대학원이상 고학력자, 취업자, 20대와 50대, 본인 월평균소득이 가장 높은 집단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정리․종합할 때 대체로 남성, 고연령층 소비자, 소득수준이 높은 경우 공산품 안전인증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여성, 젊은층, 소득 수준이 낮은 소비자들은 대상으로 공산품 안전인증에 대한 인식 개선, 홍보, 각종 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대학 영어졸업인증제 요건과 방식의 표준화 방안

        남지영(Nam, Ji Young)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4

        본 논문은 각 대학이 재학생들의 영어실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시행하고 있는 영어졸업인증제의 현황을 살펴보고, 인증제를 시행하는 요건, 방식과 표준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부터 영어졸업인증제를 실시해온 대학을 중심으로 1) 인증제의 시행방식, 2) 인증제의 표준화된 기준 및 요건, 3) 인증제의 표준화를 위한 방안 등을 살펴보았다. 조사한 대학들에게서 보이는 일반적인 특징은 우선 공인영어시험을 인증의 기본 수단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대학 자체의 강좌를 단계적으로 이수하는 인증제도를 시행하는 대학도 일부 있다. 두 번째 특징으로 다양한 어학관련 공인시험을 허용하고 있는데, 이는 미국영어를 중심으로 하는 표준화 시험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고, 읽기 중심의 시험이 더 많다. 하지만, 최근에 말하기 중심의 시험이 추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세 번째 특징으로 대학 자체에서 개발한 평가를 주로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공인시험을 대체하는 특별시험도 거의 운영하지 않아서, 대내외에 표준화된 기준을 제공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실제로 하나의 표준화된 시험을 사용하기보다는 대학이나 학생들이 원하는 영어기능을 채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표준화된 시험과 대학별 혹은 학과별로 다른 기준을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서 영어졸업인증제를 하나의 표준화된 기준으로 통합하는것은 효율적이지 않지만, 공인시험과 같은 표준화된 기준들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각 대학은 학생들의 영어실력을 강화하기 위해 영어인증 설정단계에 따라서 그 대학에 적합한 인증제를 시스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English proficiency requirements for graduation implemented by universities, and to examine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ertification systems, and the possibility of certification standardization. At universities that have implemented English certification systems for graduation since the 2000s, 1)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ertification, 2) the requirements and standards of the certification, and 3) possible ways to standardize the certification system were examined. Above all, the TOEFL and TOEIC English proficiency tests are the most common means of measuring English proficiency, and a few universities have implemented a certification system where students complete the university s own courses in stages. The second feature is that various language-related accredited tests are allowed. They include mostly standardized tests centered on American English and mostly reading-oriented tests. However, it appears that speaking-oriented tests have been added recently. The third feature is that universities rarely conduct assessments that they have developed themselves, and university-created special tests that replace accredited tests are rarely used, so most universities provide standardized results from generally accepted accredited tests for their English certification requirement. In fact, rather than using one standardized test and proficiency level, various standardized tests, even different foreign language tests, and proficiency levels are allowed for different colleges and departments so that universities or students can adopt the desired English function and proficiency level. Instead of a single standardized system, each university should systematize the optimal certification system using standardized tests by the proper steps to strengthen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 KCI등재후보

        소비자의 소비행동유형, 안전인식이공산품 안전인증마크 제품구매에 미치는 영향

        여정희,임연희 표준인증안전학회 2018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8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urchase of goods with industrial products safety certification mark to consumer’s consuming behavior, safety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purchase style and characteristics, safety consciousness, and purchase of goods with industrial products safety certification mark by socio-demographic feature. Second, set the variables by consumers purchase style characteristics to independent variable, safety consciousness to parameter, purchase of goods with industrial products safety certification mark to dependent variable, and tested the relationship of these variables by using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First, the results of difference verification of distrust of product safety, consumers awareness for safety, purchase product with certification mark as in the following. Consumer’s distrust of product safety showed high level by woman, and university graduated consumers, By the other hand, woman, age of 50s, unemployed, not a capital area dweller, having income of 2,010,000- 4,000,000won, having house income of 2,010,000-4,000,000won. Last, purchase of goods with industrial products safety certification mark was higher by old ages, married, having monthly income of more than 3,010,000won. Second, this study use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o test the effects of the purchase of goods with industrial products safety certification mark to consumer behavior characteristics such as ethical consumption, new product seeking behavior, brand seeking behavior, impulse buying,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and distrust of safety, safety consciousness.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effects positively to distrust of safety. In the other hand, ethical consumption effect positively to safety consciousness. Lastly, distrust of safety effected positively to purchase of goods with industrial products safety certification mark statistically.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소비행동유형과 안전인식이 공산품 안전인증마크 제품구매에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소비행동유형 및 특성, 안전의식, 공산품 안전인증마크제품 구매가 소비자의 여러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또한 소비행동유형 특성은 독립변수로, 안전의식은 매개변수로, 공산품 안전인증마크제품 구매는 종속변수로 간주하여 변수들 간의 영향력 관계를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첫째, 소비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제품안전불신, 소비자안전의식, 인증마크제품구매의 차이 검증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비자의 제품안전불신은 여성, 대졸자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여성, 50대 이상, 미취업자, 비수도권 거주자, 본인 월평균 소득이 201∼400만원인 경우, 가계 월평균소득이 201∼400만원인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안전의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인증마크제품 구매는 대체로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자, 본인 월소득이 301만원 이상인 경우 더 적극적으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소비행동유형 특성 즉 윤리적 소비, 신제품추구, 브랜드추구, 충동구매, 정보탐색추구 그리고 안전불신 및 안전의식이 소비자의 공산품 안전인증마크제품 구매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해 공변량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보탐색추구는 제품안전불신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윤리적 소비는 소비자안전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제품안전불신은 공산품 안전인증마크제품의 소비자구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입법대응 방안으로서의 서비스 인증제도에 관한 법적 연구

        최종권(Choi, Jongkwon)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3

        4차 산업혁명의 진전에 따라 서비스 산업도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적합하고 적절한 법제도적 규율이 필요하게되었다. 기존의 법적 대응방안에 한계가 발생하면서 다양한 대응수단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 자체의본질적 특성, 기능 및 평가방법 등을 고려하여 서비스 인증제도를 제안하였다. 서비스는 무형성, 생산과 소비의 동시성, 소멸성, 평가의 비계량성과 전문성을 특징으로 하는데, 서비스의 이러한 특성은 서비스를 평가하고 평가기준을 마련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서비스의 내용을 구체화하기가 어렵고, 서비스 제공 즉시 소멸하기 때문에 평가하기도 쉽지 않으며, 서비스의 비계량성과 전문성은 평가의 방법 등에 대한한계를 잘 보여준다. 서비스 표준의 제정이나 평가 등을 위해서 단체표준제도가 활용될 수 있다. 단체표준 및 인증제도는 표준의 제정 및 평가주체의 확보 등에 있어 좋은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단체표준 및 인증제도를 구현할 수 있는 실증연구로써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표준 및 인증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서비스 표준 및 평가기준에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에 고유한 심사 사항을 추가함으로써 충분히 제도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향후 우리나라의 서비스산업 분야의 법제도적 규율 수단으로 서비스 단체표준 및 인증제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산업발전 뿐만아니라 소비자의 안전과 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국제경쟁력까지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판단된다. With the progr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ervice industry also developed rapidly, requiring appropriate legal and institutional discipline. As the existing legal countermeasures are limited, various countermeasures are being discussed. This study proposed a service certifica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functions, and evaluation of the service itself. Services are characterized by intangibility, simultaneity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perishability, non-measurement and professionality of evaluat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make it difficult to evaluate the service and prepare the evaluation criteria. The content of the service is difficult to materialize. It is not easy to evaluate because it disappears immediately after the service is provided. Due to the non-measurement and professionality of the service,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evaluation method, etc. For the establishment of service standards or service evaluation, the collective standard system can be used. Collective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are useful in that they establish a good system for establishing standards and securing evaluation subjects. As an empirical study that can implement collective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standards and certifications for smart healthcare services are presented. It is understood that the system can be sufficiently institutionalized by adding the unique examination items to the smart healthcare service to the existing service standards and evaluation criteria. In the future,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not only industrial development but also safety of consumer,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actively introducing collective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as legal and institutional means of regulation in the service industry in Korea.

      • KCI등재후보

        단체표준 활성화 및 운영체계 개선 방안 연구

        이재학,허경옥 표준인증안전학회 2019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9 No.3

        This study discusses and suggests the activation of Collective Standards,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Standard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Collective Standards management system. Specific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basic understanding of Collective Standards, the current status of Collective Standards, the main issues of Collective Standards, the problems of the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direction of Collective Standards activation. Collective Standards are established in areas where national standards fall short, and there are points that duplication with national standards, fairness of certification related to Collective Standards and Collective Standards, and management, verification and monitoring of Collective Standardization and certification activities are not efficient. have. Tasks include organizing a dedicated organization to conduct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tasks, securing certification auditors, retaining certification task regulations, ensuring fairness of certification tasks, and securing test facilities and product inspectors.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system for designating and managing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bodies, the duplication of national certification and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nsumer-oriented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system still need to be improved. Organizations and administrations that manage and operate Collective Standards should thoroughly manage the management of Collective Standards and related certification systems, including the legal requirements of organizational standards, compliance with certification work regulations, and fairness of certification audit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plan for the activation and efficient operation of Collective Standards. In particular, the Collective Standards policy that responds to market changes, the redundancy problem and rearrangement of Collective Standard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utonomous and efficient operating system of Collective Standards, and the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reditation system to secure credibility, to strengthen and improve the management of Collective Standards, and to expand the research on Collective Standard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manage organizational standards-setting organizations, manage the competence of group-based standards-setting organizations, and improve the review and registration procedures for Collective Standards.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consumer confusion and to promote consumer welfare in the too many certification systems such as private certification and national certification, the certification system related to the Collective Standards in terms of public financial characteristics, consumer interests and consumer welfare should be operated.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reinforce the management of Collective Standards organizations and Collective Standards-related certification system, to improve the advanced country type of Collective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and to establish and use a consumer-oriented Collective Standards operating system. 본 연구는 단체표준의 활성화, 민간표준 발전, 효율적인 단체표준 운영체계 구축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단체표준에 대한 기초 이해, 단체표준의 현황, 단체표준의 주요 이슈, 단체표준 인증 제도의 문제점, 단체표준 활성화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단체표준은 국가표준이 미치지 못하는 분야에 제정되는데 국가표준과의 중복 문제, 단체표준과 단체표준 관련 인증의 공정성 문제, 단체별 표준화 및 인증 활동에 대한 관리, 검증 및 모니터링이 효율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존재하고 있다. 단체표준 인증 업무 수행을 위한 전담조직 구성, 인증심사원 확보, 인증업무규정 보유, 인증업무의 공정성 보장, 시험설비 및 제품검사원 확보 등이 과제로 남아 있다. 단체표준인증 단체에 대한 명확한 지정 기준 확보, 단체표준인증 단체를 지정 및 관리하기 위한 관리체제 수립, 국가 인증과 단체표준 인증의 중복 문제, 소비자 지향적 단체표준인증제도 확립은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과제이다. 단체표준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단체 및 운영 사무국은 단체표준제정 단체의 법적 구비요건, 인증업무 규정 준수, 인증심사 공정성 등 단체표준 및 관련 인증제도 운영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체표준의 활성화 및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시장변화에 대응하는 단체표준 정책, 단체표준의 중복문제 및 재정비, 단체표준의 자율․효율적 운영체제 구축 및 운영, 단체표준 인증제도 신뢰성 확보를 위한 인정제도 개선, 단체표준 운영체계의 개선 및 관리 강화, 단체표준 관련 연구조사 확대가 필요하다. 특히, 단체표준제정 단체 관리, 단체표준제정 단체의 적격성 관리, 단체표준의 심의 및 등록절차 개선 등이 필요하다. 또한, 민간 인증과 국가 인증 등 너무 많은 인증 제도 속에서 소비자혼란을 막고 소비자복지 증진을 위해 인증 제도의 공공재적 특성, 소비자 이익과 소비자복지 관점의 단체표준 관련 인증제도가 운영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단체표준 기관 및 단체표준 관련 인증제도의 관리 강화, 단체표준 및 인증제도의 선진국형 개선, 소비자 지향적 단체표준 운영체계 구축 및 활용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국내 인증제도 발전방향을 위한 연구

        남지영,이재학 표준인증안전학회 2018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8 No.3

        The domestic certification system can be roughly divided into mandatory certification and optional certification. First, the mandatory certification system is a forced certification system implemented by the state, and KC certification is representative. Secondly, the optional arbitrary certification system can be divided into optional certification specified by law, which is enforced by law, and private certification without legal basis. The statutory voluntary certification system is a certification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specific policy objectives, such as KS (Korean Standard), NET (New Excellent Technology) and NEP (New Excellent Product) certifications and the collective standard certification is a certification that is carried out by a private institution as its own profitable business. In addition to statutory certifications, there are too many private certifications and thus, consumers' interest in certification is diminishing. In other words, consumers are confused by complex and diverse certification schemes, and various problems in the certification system are being raised. This study suggests future direction of the domestic certification system, such as KS, NET and NEP certifications and the collective standard certification. 국내 인증제도는 크게 의무인증제도와 임의인증제도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의무인증제도는 국가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시행되는 인증제도로 KC 인증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임의인증제도는 법률에 의해 시행되는 법정임의인증제도와 법적 근거 없는 민간인증으로 나눌 수 있다. 법정임의인증제도는 KS 인증을 포함하여 신기술인증(NET), 신제품인증(NEP) 등 특정정책목적 달성을 목적으로 시행되는 인증이며, 민간(단체표준)인증은 민간기관이 자체수익사업으로 시행되는 인증이다. 법정인증 외에도 민간인증이 너무 많아 인증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 즉 소비자는 복잡하고 다양한 인증제도로 혼란을 겪고 있으며, 인증제도상의 여러 다양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KS인증, 신기술 및 신제품인증과 함께 민간(단체표준)인증의 개선 방향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능 안전 설계 목표 PLc∼PLd를 갖는 이동식 기계류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요구되는 대표적 시험 평가 항목의 도출 - 건설기계 및 농기계 분야의 국제 표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백종희(Baek, JongHee)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2

        유럽 연합(EU)의 대표적 안전 규제인 기계류 안전 지침(Machinery Directive)에서는 화재․폭발, 비상 정지, 가드 설치, 전도․전복 방지 등의 일반 안전과 함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결함․오류 방지 등 기능 안전에대한 대응책 마련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동식 기계류인 지게차, 굴착기, 로더와 같은 토공 기계 및 트랙터 등 농기계에 대해서는 B-type 안전 표준인 ISO 13849-1:2015의 4.6.2절, C-type 안전 표준인 ISO 19014-4:2020 및 ISO 25119-3:2018의 7절 등에서 기계류 안전 지침에 따른 개발 제품 적합성 입증을 위한 S/W 설계/개발및 시험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로 기계류 안전 지침과 ISO 13849, ISO 19014 및 ISO 25119 등을 연계한 이동식 기계류의 기능 안전 설계/검증/평가 체계와 지게차, 토공기계 및 농기계의 기능 안전 설계 적용 S/W 개발 및 시험방법론의 주요 특징을 비교․검토하고 국내 건설기계 및 농기계 산업계의 대응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로 기능 안전 프로세스에 따라서 설계 목표 PLc 또는 PLd를 갖는 기능 안전 설계 적용 대상 부품에 대하여 개념 설계 단계에서 요구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설계/개발에 대한 대표적 시험 평가 항목의 도출 사례를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결과론적으로, 건설기계 및 농기계와 관련된 B-type, C-type 국제 표준의 비교․검토를 통해 설계 목표 PLc 또는 PLd를 갖는 소프트웨어 기능 안전 설계/평가의 주요 평가 항목을 정적 분석(static analysis) 또는 동적시험(white box-test 또는 black-box test)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EU Machinery Directive 2006/42/EC, which is a representative safety regulation in the states of European Union, provides not only primary safety principle such as safety for fire and explosion, emergency stop, guard installation, FOPS, ROPS, TOPS, etc., but also functional safety related with hardware/software fault prevention, etc. In addition, for fork-lift industrial trucks, earth-moving machinery and agricultural machinery, which are all belongs to representative mobile machinery, software design/development and testing methods are provided at ISO 13849-1:2015, ISO 19014-4:2020 and ISO 25119-3:2018.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compare and review the key features of software development and test methods for applying functional safety designs for mobile machinery with the European Directive and standards such as ISO 13849, ISO 19104 and ISO 25119.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applying functional safety designs in mobile machinery, we would like to briefly introduce the sample case of software design/development and test validation process that may be requested during the conceptual design phase for the SRP/CS belongs to performance level between PLc and PLd.

      • KCI등재후보

        KS 인증제도 운영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

        유수현,성효원,주영란,허경옥 표준인증안전학회 2018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첫째, KS 인증 제도의 개요와 최근 운영상의 변화 등 KS인증 관련 주요 이슈 및 내용을 살펴보았다. 둘째, 지금까지의 논의 및 연구들을 바탕으로 KS 인증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언하였다. 이때, KS 인증의 최종 수요자인 소비자 입장 즉 소비자 지향적 KS인증제도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KS 인증제도는 국가에서 시행 중인 각종 제품인증 중에서 가장 역사가 깊고(1963년 제정), 정부 주도로 운영된 KS 인증제도는 국내 초기 산업사회의 산업기술력 제고, 일정수준의 품질을 제공하는 기준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최근 인증범람, 인증제품의 안전사고 발생, 중복인증 등으로 인한 기업 불만, 기업의 인증비용 부담 등으로 인해 2012년부터 KS 인증제도의 개편이 필수적이다. 최근까지 주요 KS인증의 주요 개정 및 변화 내용은 KS 인증기관의 복수화, 심사비용이나 절차 완화이다. 둘째, KS인증제도에 변화 및 개선이 있어 왔으나 여전히 인증제도 강화 또는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KS인증제도의 기본 패러다임의 정립이 시급하다. KS인증제도를 강화 시키자는 주장은 KS인증에서 소비자신뢰가 우선시 되어 엄격한 기준을 정립하여 경쟁력 없는 업체는 정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확실하고 엄격한 인증 규정이 마련되어 모든 제품의 질을 높이는 것이 당장 기업에게 비용증가이긴 하나 제품의 품질에 대해 소비자들의 신뢰가 높아진다는 주장이다. 결국 KS인증 정책에서 국민, 기업 등 수요자 눈높이에서 좀 더 창의적인 시각으로 규제 개선에 주목해야 함을 알 수 있다. 규제 완화시 부작용은 없는지 관련 업계, 유관기관 등 이해관계자들과 충분한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 KS 인증이 ‘규제’가 아니라 기업들이 부담 없이 생산 활동을 하며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행복이 추구되는 안전정책이라는 확고한 가치가 정립되어야 한다. 셋째, 소비자 지향적 접근에서 그리고 장기적 관점에서 법정 인증제도의 전면 민간화 도입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미국 UL인증을 벤치마킹 하여 민간 스스로가 인증기관협의회 운영, 인증기관 모니터링, 인증 심사기준 제․개정, 인증기관 점검 및 각종 데이터 축적, 시장사후관리 등 정부정책을 지원하면서 인증제도의 경쟁력강화 및 국제적 수준을 갖출 필요가 있다. 넷쨰, KS 인증기관들의 상호정보교류 및 경쟁력 강화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끝으로, 품질인증의 제정 개정 또는 폐지시의 심사단계에 소비자가 참여하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산업표준심의회에 소비자의 참여, 공장 심사 및 인증 후 모니터링에 소비자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first reviewed key issues and contents related to KS certification such as outline of KS certification system and recent operational changes. Secondly, we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KS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previous discussions and studies. We also seek for the direction of consumer-oriented KS certification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KS certification system has the longest history(established in 1963) among certificates implemented by the country. The KS certification system, operated by the government, served as a standard for enhancing industrial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provided a certain level of quality in the early stage of industrial societies in Korea. However, due to company complaints from overflows, safety accidents, overlaps, and cost burdens of certifications, it is essential that KS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revised. Major recent revisions and changes made for KS certification was pluralizing KC certification institutions and reducing examination costs or procedures. Secondly, although there were some changes and improvements of KS certification system, there still needs to be an establishment of the basic paradigm of the KS certification system as it is debatable whether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strengthen or mitigated. The strengthen side insists that KS certification should have a strict standard that has a priority on consumer trust to sort out companies that are not competitive. It is argued that strict and rigorous certification regulations have been put in place to increase the quality of all products, which is true that it will increase the cost to the company immediately, but ultimately increase the consumers’ trust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 product. This indicates that KS certification polices should focus on regulation improvements within a creative viewpoint at the level of demanders including consumers and enterprises. It is necessary to gather opinions with interested parties who are related industries or organizations to see whether there are any side effects of deregulation. KS certification should not be ‘regulated’, but firm value should be established as a safety policy in which companies are willing to produce and ultimately pursue consumer happiness.

      • KCI등재

        미국병리학회의 생물자원센터 인증프로그램

        김혜경(Hyekyung Kim),정민경(Minkyung Jung),안경숙(Kyungsook Ahn),류기현(Ki Hyun Ryu) 표준인증안전학회 2017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7 No.2

        최근 바이오산업, 맞춤의학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늘어나면서 인체유래물은행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표준화된 운영 및 인증제도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1946년에 설립된 미국병리학회(CAP)가 병원의 실험실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보급하였으며 2012년에는 생물자원센터 인증프로그램(BAP)을 추가로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CAP BAP은 인체유래물 및 유전자원의 수집, 처리, 보존, 분양, 정보 전산화 과정을 표준화해 소재의 품질 및 균일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AP은 인증을 신청한 기관에 맞는 체크리스트를 배부하여 현장평가를 준비하도록 하고, 최초 인증 후 3년 주기로 신청기관의 자체평가와 CAP의 현장평가를 반복한다. 미국의 사례와 함께 의학 실험실에 적용되는 국제표준화기구(ISO) 발간 표준들과 생물자원센터 기본 요건에 관한 국제표준 개발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국내 인증제도 도입에 참고할 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With a growing interest and investment in biotechnology industry and precision medicine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biorepository is being emphasized and heightened the needs for standardized oper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CAP) has been developing and distributing guidelines for hospital laboratory management and launched Biorepository Accreditation Program (BAP) in 2012. To improve the quality and consistency of human derived materials and genetic resources, CAP BAP is designed to standardize collection, analysis, storage, preservation and computerizing information processes. CAP provides a checklist for an institute that applied for certification to prepare on-site inspections. After the initial certification, self-assessment and on-site assessment by the CAP are repeated every three years. Here, we provide a review of biorepository certification cases in the United States, ISO Standards for medical laboratories and the recent developments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general requirements of biobanking. And we discuss about the points to consider on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 KCI등재

        서비스 표준 활성화를 위한 전략에 관한 연구

        한성현,김진민 표준인증안전학회 2023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국제적인 흐름에 따라 서비스의 표준화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실정에 맞춰 국내․외 비교를 통해 서비스 표준 활성화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서비스 표준 활성화를 목적으로 국내 서비스 표준 분류에 따라 KS 서비스 표준을 해외 표준기관의 서비스 표준과 비교하며 서비스 표준의 분류방식, 국제 표준 부합화, 서비스 인증제도 활성화 등 3가지관점에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4가지 방안을 제언하였다. 첫 번째로, 다양한 산업에 걸쳐있는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수요가 많은 서비스를 선정하고 관련된 모든 서비스 표준을제공하여 서비스 표준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켜야한다. 두 번째로, 서비스 교역 장벽이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표준을 조사하고 우선적인 국제 표준 부합화가 필요하다. 세 번째로, 국제적으로 서비스 교역이 발생할 수 있는 표준에 대한 인증제도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인증제도의 홍보와 인증 받은 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혜택 부여를 통해 인증을 받는 기업의 수를 늘려야 한다. 본 연구는 비교 기준을 우리나라 표준 분류에 따른 서비스 표준으로 한정하여 서비스 산업 전반에 걸친 서비스표준을 다루지 못했으며 우리나라의 서비스 산업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향후 넓은 범위의 서비스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우리나라 서비스 산업의 특징을 고려한 개선방안 도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