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양성영화의 관람동기 : 상업영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백지혜,남상현,장병희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9 No.2

        Us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the present study explores usage motivationsof diversity films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usage motivations on the continuousviewing intention toward diversity films. We assume that motivation types and theireffects would be different between diversity and commercial films because of theirdifferent contents and the pursued values. In the results, a total of five usage motivations(knowledge-seeking, film-learning, leisure, appreciation-oriented, pursuing socialnorm) are extracted for both diversity and commercial films with the similar level ofvariance and measurement items. However,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order ofthe significance of the usage motivations between diversity and commercial films. Whilethe effects of knowledge seeking, appreciation-oriented and leisure on the continuousviewing intention of diversity film a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order, the effects ofleisure, appreciation-oriented and pursuing social norm on the continuous viewingintention of commercial film a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order. 본연구는 수용자들이 다양성영화를 이용하는 동기가 무엇인지를 이용과 충족 이론을 적용하여 탐색하고 다양성영화의 지속관람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내용과 추구가치의 차이로 인해 다양성영화와 상업영화에 대한 수용자들의 관람동기 유형과 영향력도 다를 것이라는 논리 하에 두 영화의 관람동기의 유형과 지속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양성영화와 상업영화 모두에 대해 유사한 문항과 설명력 수준으로구성된 총 5개의 관람동기들을(지식추구, 영화학습, 기분전환, 감상지향, 사회규범추구) 추출하였다. 그러나 각 영화 유형에 따라 지속관람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관람동기의 유형 및 영향력 측면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다양성영화의 경우에는 지식추구, 감상지향,기분전환 요인의 순서로 유의미한 반면, 상업영화의 경우에는 기분전환, 감상지향, 사회규범추구 요인의 순서로 유의미하였다.

      • KCI등재후보

        체험과 기억 사이의 조용만 소설 - 해방이후 발표된 식민지 회고소설을 중심으로 -

        백지혜 ( Paik Ji-hye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6 漢城語文學 Vol.35 No.-

        이글은 조용만 소설은 과연 우리 소설사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는가, 조용만이 기록한 수많은 식민지 시대의 일화와 이를 반영한 소설의 가치를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이 점은 조용만 소설의 연구가 지나치게 식민지 시기에 한정되어 있고, 특히 조용만이 발표한 『구인회만들 무렵』, 『젊은 예술가의 초상』과 같은 식민지 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 그간 1930년대 구인회의 성립 배경을 추정할 ‘자료사’로서 다루어졌을 뿐, 식민지를 경험한 지식인의 심성을 전혀 독해하지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해방후 조용만은 고려대 영문과 교수로 재직하면 유럽의 암흑기를 뚫고 나온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한다. 그는 서양의 ‘고전부흥’을 주목하면서 한국 ‘문학’의 기원을 찾고 있었다. 그는 우리의 고전부흥 운동을 영정조 시대와 조선광문회의 국고간행 운동에서 찾았다. 특히 조용만은 최남선을 부각하며 “없어져 가는 우리나라의 고전을 다시 간행”한 점을 높이 샀다. 최남선의 부각은 신문학의 초창기를 그려내면서, 잡지나 신문에 투신하는 언론인이 기여한 점을 높이 산 조용만의 심성이 투사된 것이다. 조용만은 문인작가로 보고 듣고 관찰했던 문단기록을 소설에 직접 삽입하면서 1930년대 문단의 과거를 인지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해낸다. 이는 그동안의 연구사에서 간과된 지점으로, 소설과 사실 사이의 모호한 경계에 서 있는 조용만의 작품이 문단 인상기, 회고담의 형식으로 강화되는 조용만의 해방후의 행보를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기도 하다. 『젊은 예술가들의 초상』, 『구인회 만들 무렵』에서 서술된 체험은 주로 식민지의 문재가 글을 싣게 되는 과정을 묘사하는데 주력한다. 이점은 조용만 소설전반에서 바라보았을 때, 식민지를 정리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세워가는 도정에 있음을 뜻한다. 즉 역사를 증언하는 회고자의 자리가 아니라, 문인작가 특유의 관찰자적 서술 기법으로 쓰여진 소설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representation of Colonial period, Cho, Yong-Man``s literary works. Cho, Yong-man is highly cited only focused to colonial journalistic writer. It seemed that literary writing is second job for him in the colonial period. He had been concentrated on his research with revivalism in literature after Korea University``s professor. He wrote many novels which is collected materials on the young man with a literary bend, Guinheu(구인회). He published Portrait of the young artists, from the creating Guinheu. He didn``t stay with journalistic writer. He kept up his writing to 1930``s literary young man. The endeavor to find a full-time writer``s identity is an ongoing proces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음악개념중심의 표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과 수학개념형성에 미치는 영향

        백지혜 ( Jee Hea Bae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음악개념 중심의 표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과 수학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 송파구에 소재한 A유치원의 만5세반 2개 반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임의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음악개념중심 표상활동을 23회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서 제시하는 감상곡을 감상한 후 느낌표상활동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Gordon(1986)의 음악적성검사와 황해익과 최혜진(2007)의 유아수학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음악개념중심의 표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과 수학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났다. 이로써, 음악활동의 인지적 기능을 입증하여 통합의 매개체로서의 음악활동의 교수학습방법의 다양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usical concept-oriented representation activities on children`s musical abilities and mathematical concepts. Forty-two 5-year-old children were inv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representational activities focused on musical concepts for more than 23 times. Representation activities focused on feeling were implemented in the control group after its exposure to appreciation works in the Nuri Curriculum. Assessment tools were adapted from a musical aptitude test (Gordon, 1979) and a children`s picture math skill testing tool (Hwang & Choi, 2007). An analysis of ANCOVA of over 23 pre-test scores show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ngaging in representation activities focused on musical concepts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in both musical abilities and mathematic conceptualization abil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usical ability inherently entails mathematical concepts, that is to say, math representation activities and musical concept-oriented representation activities may be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musical teaching method in classroom setting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아의 음악적 사고 이해를 위한 발명악보에 관한 고찰

        백지혜(Baek Jee-Hea),조형숙(Cho Hyung-Soo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5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발명악보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그 의의를 밝히고, 발명악보에 나타나는 유아의 음악적 사고과정을 고찰하였다. 발명악보를 통해 나타나는 유아의 음악적 사고과정의 특징은, 유아는 음악을 기록할 수 있는 기보자(notator)이며, 음악을 기록하는데 있어 가사와 연주행동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직접 고안한 상징기호를 이용하여 창의적으로 정교하게 음악적 정보를 기록한다. 이러한 기보적 전략은 음악적 경험과 훈련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아는 자신의 발명악보를 보고 다시 연주하는 해독의 능력 또한 갖고 있다. 발명악보의 의의로서 발명악보는 자발적으로 음악개념을 발견하도록 하고 다양한 음악적 역할을 수행하여 음악적 문해양식의 발달을 준비하도록 돕는 동시에 음악적 사고를 격려한다. 또한 유아에게 음악적 사고를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연구자에게는 유아의 음악적 사고를 관찰하는 도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때, 유아교육 현장에서 발명악보의 다각적 활용을 기대하는 바이다. The present review on invented notation was to examine the types of invented notation and to explore the invented notation's pedagogical implications. In addition, children's the process of musical thinking invented notation reflects on was also reviewed. In doing so,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 of musical thinking children posses was found as follows: (1) a child can be considered to be as a notator who is able to recode music; (2) during the musical thinking, a child is more likely to focus on lyric and performance gesture; (3) a child can creatively make use of self-invented symbol to delicately record musical information; (4) the exposure to musical experience can develop the notational strategy; and (5) a child can decode his or her invented notation and then play it. As for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invented notation can help children naturally discover their musical concept and develop their musical literacy. Performing musical roles, futhermore, children can facilitate their musical thinking. That is, the invented notation can provide children with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musical thinking and it can be an window for researcher and teacher to observe the process of musical thinking the children perform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강점에 기초한 행복증진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백지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music program to enhance happiness based on character strength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evelop this program, a variety of studie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were analyzed and professional group meetings were held. The goal of this program is to recogniz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 strengths, to underst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applying to character strengths, to experience teaching methods in music applying to character strengths, to experience musical aesthetic musical qualities applying to character strengths.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are composed of musical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and pre-service teachers. The teaching model is creativity development method. The assessment of this program is composed of journals of pre-service teachers, the scale of the character strengths, happi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anxiety. This program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various contexts for facilitating music classe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이 지닌 강점에 기초하여 행복증진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유아음악 교사교육 관련 문헌 분석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강점에 기초한 행복증진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목표는 강점 파악하기,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내용지식 이해 및 강점활용하기, 음악교수방법 경험 및 강점활용하기, 강점활용하여 음악표현활동을 통해 음악의 심미성 경험하기이다. 프로그램 내용은 유아를 위한 음악활동과 예비교사를 위한 음악활동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교수-학습과정은 창의성 개발 접근법에 기초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는 예비교사의 저널, 연구자의 일지, 강점, 행복감, 음악교수효능감 및 교수불안 검사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개발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직전교육의 유아음악교과목과 현직교사의 직무연수 등의 맥락에 적합하게 변용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