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 다중지능 측정 문항의 변별도 및 신뢰도 검증

        백종남 ( Jong Nam Baek ),김삼섭 ( Sam Sup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0 지적장애연구 Vol.12 No.4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세 번째 예비연구로서, 발달장애 학생 다중지능 측정 문항의 변별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계획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과정과 장애유형별 목적유층표집에 의해 100명의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항변별도 검증을 위해 측정 운항의 평균, 표준편차, 문항-총점 간 상관계수를, 문항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문항 제거 시 문항내적 일치도 등의 통계적 방법과, 측정자로부터의 피드백을 토대로 문항을 조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0문항 중 68문항은 유지, 30문항은 수정, 23문항을 삭제하여 97문항으로 조정하였다. 통계적 검증에 따른 문항의 변별도 및 신뢰도 제고를 위해 17문항, 피드백 결과에 따른 구성개념과의 관련성을 제고하기 위해 2문항, 다른 문항과 의미상 중복을 피하기 위해 4문항 등 23문항을 삭제하였다. 피드백 결과에 따른 의미의 명료성을 위해 30문항을 수정하였다. 기타 측정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조사지 전반에 걸친 측정자의 제안을 수렴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조정된 97문항은 `발달장애학생 다중지능 측정 예비문항`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the third preliminary study on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scal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discrimination and reliability of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items. To perform this study, 100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re participated by stratified sampling according to disability type and school course.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and item-total reliability, verified discrimination of items. Using Cronbach` Alpha if deleted, verified reliability of items. And got feedback from testers about items. As the results, modified or deleted items which are not appropri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30 items of 120 items are modified, and 23 items of 120 items are deleted. 17 items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2 items for relevance with construct concept, and 4 items for avoiding overlapping with others are deleted. 30 items for clarity are modified. Finally 97 items are presented.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test, suggestions of test participants are provided. It is expected that 97 items are useful as a preliminary items for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 scal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특수학교 학부모의 요구 분석

        백종남 ( Jong Nam Bae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고안하였다. 이 연구는 조사연구로서, C와 D 지역의 발달장애 특수학교 6개교 260명의 학부모를 참여자로 목적표집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녀의 장애유형이 자폐성장애이거나 뇌성마비인경우, 장애등급이 높거나 중도인 경우 그 부모의 평생교육 요구 수준이 높다. (2) 발달장애학생 부모들은 자녀의 장애정도와 상관없이 사회 참여를 평생교육의 필요 이유로 들고 있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필요 이유에 대해, 경도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는 취업을, 중도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는 여가 및 취미를 고려하고 있다. (3) 지적장애학생 부모는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으나, 자폐성장애와 뇌성마비 학생 부모들은 주로 일상생활훈련을 요구하고 있다. 경도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는 취업과 직업훈련을 요구하고 있으나, 중도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는 일상생활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다. (4) 초등학교 과정의 발달장애학생 부모는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과 특수학교를, 중ㆍ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학생 부모는 직업교육기관을 평생교육기관으로 선호한다. (5) 뇌성마비학생의 부모는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 학생의 부모보다 평생교육 비용을 정부가 전액 부담하거나 주도적으로 부담하는 것을원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연구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for finding out demands of parents on lifelong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60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lected in 6 special schools in C and D districts by a purposeful sampling.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Parent’s demand level on lifelong education of students with autism and cerebral palsy is more higher in compari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y is more higher in comparison with mild. (2) All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sider reason of need on lifelong education as social participation, however,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y consider it as leisure and habit. (3) Paren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emand various types of program, whereas parents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nd autism mostly need daily life practices. Parents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y demand employment and vocational education, whereas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y demand daily life skills. (4)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 to special school and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es as a places of a lifelong education, whereas parents of students in over middle school prefer to vocation educational institutes. (5) Parents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more emphasis on public responsibility than personal responsibility in comparison with paren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r autism. This study may be useful to administrators and providers of lifelong education services for understanding demands of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astly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suggestion for following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 직업교육 직무 탐색 및 직무의 교육 적합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백종남 ( Baek Jong-nam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 직업교육 직무의 탐색과 그 적합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계획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10개 지역 21개 발달장애 특수학교를 표집하여 직업교육 직무가 무엇인지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10개 직무군 33개 직무를 선정하여 개념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이 직무의 발달장애학생 직업교육 적합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205명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미래유용성, 대상적용가능성, 현장적 용가능성 차원에서 우선순위를 알아보았으며, 이 결과에 따라 발달장애학생 직업교육 직무의 미래유용성과 준비도 간 양상을 매트릭스로 구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학생 직업교육 직무는 청소, 식음료·조리 서비스, 공예 및 도예, 조립 및 제조, 사무보조, 식물관리, 동물관리, 포장 및 운반, 서비스 등 10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청소일반, 청소용역, 세탁일반, 세탁서비스, 주방보조, 사무실보조, 포장일반, 포장실무, 도서관리보조 등 직무가 높은 미래유용성과 대상적용가능성, 현장적용가능성을 나타냈으며, 생활공예, 생활도 예, 산업도자, 원예관리, 애완동물관리, 주유, 이·미용 등은 낮은 미래유용성, 대상적용가능성, 현장적용성을 나타냈다. 셋째, 발달장애학생 직업교육 직무를 미래유용성과 준비도 간 매트리스 분석을 수행한 결과, 제 1사분면에서 제 3사분면 방향으로 기울어 졌고 세 그룹으로 분포되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 연구의 의의, 후속연구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vocational educational job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and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educational adaptability of these identified job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vocational educational jobs were extracted from voc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selected by 21 special schools in 10 restricts. A total of 10 job categories and 33 specific jobs were initially identified.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on these identified jobs, 205 teachers participated in surveys to examine their priorities of the jobs with respect to job usability in the future, feasibility to apply for students with DD, and the degree to apply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s: (1) as previously mentioned, the vocational educational jobs for students with DD were grouped into 10 categories and a total of 33 jobs was identified; (2) general cleaning, janitorial service, general laundry, laundry service, kitchen porter, office assistant, general packing, packing practice, library management assistant had high adaptability as vocational educational jobs for students with DD; and (3) the results from matrix analyses between the future-usability and the preparation indicated that there were three main clusters located from the first quadrant to the third quadrant. Lastly, discus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뇌성마비 등 발달장애아 부모 양육부담감의 구성 요인 탐색 및 확인: 부모의 정서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간접 및 총 효과 분석

        백종남 ( Jong Nam Bae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4

        이 연구는 발달장애아 부모의 양육부담감 구성 요인을 탐색, 확인하고 그 내적 경로를 분석하여 부모의 정서불안에 미치는 직접, 간접 및 총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뇌성마비를 발달장애로 조작 정의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C지역 특수학교 3개교 242명의 발달장애 학부모를 목적 유층표집 하였다. 이 연구의 도구는 오가실(1997)과 남연희(2001)가 개발·타당화한 양육 부담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요인분석과 확인요인분석을 통해 발달장애아 부모의 양육부담감 요인으로 사회적 부담, 경제적 부담, 신체적 부담, 장애수용거부, 정서불안 등5개 요인을 산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산출된 5개 요인은 선행연구의 4개 요인보다 적합성이 높은 모형으로 밝혀졌다. 둘째, 발달장애아 부모 양육부담감 요인의 내적 경로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부담에 신체적 부담, 경제적 부담, 장애수용거부가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고, 경제적 부담, 장애수용거부, 신체적 부담은 사회적 부담을 매개로 하여 정서불안에 영향을 미친다. 신체적 부담과 장애수용거부는 정서불안에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가 동시에 있지만, 경제적 부담은 직접 효과 없이 사회적 부담을 매개로 한 간접 효과만 있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아 부모 양육부담감의 내적 경로를 분석하여 발달장애아 부모의 양육부담감과 관련한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연구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for parenting burden factor exploration and confirmation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for analysis of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affecting emotional anxiety of par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2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lected in 3 special schools in C districts by a purposeful sampling. For testing parental burden of parents, the parental burden test developed by Oh(1997) and Nam(2001) was us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As a result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5 factors were extracted as a parental burden of parents: social burden; financial burden; physical burden; disability acceptance burden; emotional anxiety. (2)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financial, physical, and disability acceptance burden have direct effect on social burden, and social burden has direct effect on emotional anxiety. Physical burden and disability acceptance burden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 mediated by social burden on emotional anxiety. However financial burden has indirect effect mediated by social burden on emotional anxiety without direct effect. This study may be useful to understand parental burden trait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astly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suggestion for following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들의 문제의식과 그 의미: 개별화된 중재를 위한 시사점

        백종남 ( Jong Nam Baek ),조광순 ( Kwang Sun Cho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2

        이 연구는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정서장애특수학교인 C학교에서 고위험 행동을 보이는 자폐성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3단계인 개별화 지원을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교사들을 대상으로 관찰, 인터뷰, 기록물 등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첫째, 문제행동을 대하는 전통적 관점, 둘째, 새로운 행동지원 방법으로의 변화 필요성 인정과 동시에 변화에 대한 망설임, 셋째, 예측하기 어려운 학교환경에서 예방 대책 수립의 어려움, 넷째, 행동지원 컨설팅 전문가 부재, 다섯째, 특정 학생에 대한 개별화된 행동중재가 야기하는 다른 학생의 교육권 침해에 대한 우려, 여섯째,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이해, 소통과 협력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 제한점, 후속연구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eacher perceptions of problem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school 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WPBS) that focused on supporting individual students at tier 3. A qualitative case study design was employed to examine teachers`` perspectives on working as a SWPBS team member to suppor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hallenging behavior in a special school. Record reviews, classroom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used to collect data on teacher perceived problem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within SWPBS. The results indicated teachers were familiar with the traditional reactive approach to managing problem behavior and had difficulty accepting the PBS approach. However, teachers were found to be eager to implement proactive individualized PBS and at the level of the entire school to implement the multi-tiered system of supports although they fear change. The teacher perceived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WPBS that focused on supporting individual students were as follows: developing prevention strategies during unpredicted events within the student and various school environments, limited knowledge and skills to develop function-based intervention, absence of consultation support from professionals with behavioral expertise, supporting the entire classroom students while working with individual students with challenging behavior, and a lack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team members. In addition to discussion of the study limitation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practices were suggested with regard to supporting students at tier 3 with in the frame work of SWPBS.

      • KCI등재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등 발달장애아동의 기능적 행동평가를 위한 동기사정척도(MAS)의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백종남(Baek Jongnam) 한국행동분석학회 2020 행동분석․지원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심리측정학적 검증을 통해 동기사정척도(Motivation Assessment Scale: MAS)의 타당성을 재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자폐성장애 104명, 지적장애 41명 등 발달장애학생 145명과, 이들을 대상으로 기능적 행동평가를 시행한 145명의 부모이다. 이 연구에서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과 오프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된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요인분석으로 MAS를 4개 요인 1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확인요인분석과 수정지수(MI)를 활용하여 MAS를 수정하였으며, 모형적합성과 집중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MAS의 잠재변인 간 판별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결과, 복합기능 6개 문항, 선호활동 3개 문항, 감각추구 4개 문항, 관심유도 3개 문항 등 4개 요인 16개 문항으로 MAS를 재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복합기능을 제외한 3개 요인은 비교적 설명력을 갖추었으므로, 행동분석을 위한 연구 및 중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재구성된 4개 요인 16개 문항은 기존 이론적 가설과 완전하게 부합하지 않으며, 선행연구(김태형, 2018)의 모델과도 다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MAS의 요인 구조는 여전히 신뢰성 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발달장애아동의 기능적 행동평가를 위한 새로운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시사점,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revalidate the validity of the Motivation Assessment Scale (MAS) through psychometric verification. Participants were 145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104 autism and 41 intellectual disabilities. 145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as a examine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S was composed of four factors and 15 question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the MAS was revised by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Modification Index(MI), and goodness-of-fit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verified. Third, the discriminant validity between potential variables of the MAS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AS was reconstructed into 4 factors 16 items including ‘complex’ factor 6 items, ‘tangible’ factor 3 items, ‘sensory’ 4 items, and ‘attention’ 3 items. However, the revised MAS did not fully fit the theoretical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시·도지역 특수교육 발전을 위한 특수교육 당사자의 요구 분석 :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백종남(Baek, Jong nam),유장순(Yoo, Jang Soon),박소영(Park, S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시·도지역 특수교육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특수교육 당사자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 특수교육 당사자인 교육자와 학부모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8년 7월 15일부터 2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육자 705명, 학부모 183명 총 88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충북 특수교육 당사자의 요구는 첫째,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운영의 활성화, 개별화교육계획의 활성화, 장애학생의 공정한 평가를 위한 방안, 진로·직업교육의 활성화, 특수교육 교원의 교권 향상 방안, 둘째, 특수교육관련 서비스 등 교육지원과 관련하여 치료지원 서비스의 활성화, 방과 후 운영 시 시급한 해결 사항, 특수교육 보조 인력 배치, 통학비 지원 관련 개선 사항. 셋째, 충북특수교육원의 역할 정립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충북 특수교육 발전 모색을 위한 정책적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충북 특수교육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이 연구는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한 특수교육 당사자의 요구를 반영한 특수교육 발전 정책의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needs of educators and parents who are involved in special education in Chungcheongbuk-do,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of the total 888 data, 705 teachers and 183 parents’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by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the needs of the Chungcheongbuk-do Special Education Parties’. First,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ctivation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fair evaluation adapt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tivation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teaching righ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In terms of special education-related service programs, activation of the therapy support services in relation to education support, urgent solutions for after-school program operation, improvement of paraprofessional placement, and improvements of the cost of Transportation. Third, regarding the role of Chungcheongbuk-do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ced priority on providing family support and parent counseling, counseling to positive behavior support. Parents placed priority on providing tailored instructional consult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inclusion, and the provision of ideas for startups and job cre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was proposed that special education parties should use it as a basic resource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future special education through the needs of the special education parties reflecting regional specificity.

      • KCI등재

        『행동분석·지원연구(창간호-2019)』의 특성 및 학술적 가치 분석

        백종남(Baek, Jongnam),박계신(Park, Gye-Shin) 한국행동분석학회 2020 행동분석․지원연구 Vol.7 No.2

        본 연구는『행동분석·지원연구』2014년 창간호부터 2019년 12월호까지 학술지 발행 현황, 학술지 활용성 및 체계성, 학술지 질적 향상 노력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지 발행 편수와 게재 논문 수는 창간 이후 지속하여 증가하였고, 수록 논문의 내용과 연구 방법이 학술지 주제와 완전히 부합한다. 그러나 연구 참여 저자의 지역 분포적인 측면에서는 투고원(投稿源)을 넓히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학술지의 활용성과 체계성 측면에서 게재 논문 접근성이 높고, 학술지 인용 지수와 논문집 구성 및 체계성 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학술논문 온라인출판 표준규격(JATS) 도입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 관리 시스템 활용, 심사 절차의 엄정성, 연구윤리 강화 등 학술지의 질적 향상 노력이 활발히 수행되었으나, 향후 인간 대상 연구 활동에 대한 윤리 교육 강화와 IRB 요구 절차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행동분석·지원연구』의 전문 학술지로서 지향해야 할 활용성, 체계성, 윤리성 및 학술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향후 학술지의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publication of『Journal of Behavior Analysis and Support』from the first issue of 2014 to the December issue of 2019, the utilization and systematic nature of the journals, and th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journal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ation performance of the journal has steadily improved since its inception,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aper are completely in line with the subject matter of the journal. However, the efforts are required to expand the contribution source in the futur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ccessibility of published papers was high in terms of the usability and systemicity of the journal, and the citation index of the journal and the composition and organization of the journal were good.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introducing a standard (JATS) for online publishing of academic papers. Third,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journals have been actively made in view of the performance of online management systems, strictness of screening procedures, activities to strengthen research ethics, and holding workshops and conference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calls for strengthening ethical education and IRB approval for human research activities are needed.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effective information on the utilization, system, ethics, and academic values to be pursued as a professional journal, and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journal s development.

      • KCI등재

        문제행동 체크리스트(Aberrant Behavior Checklist: ABC)의 구성 타당성 검증

        백종남 ( Jong Nam Bae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Aman과 Singh(1994)이 개발한 문제행동 체크리스트(ABC)를 한글로 번안한 후 측정도구로서의 구성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도구인 ABC는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을 측정하고자 개발되었으며, 5개 요인 58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지적장애 116명, 자폐성장애 108명 등 발달장애학생 224명과, 이들의 문제행동을 측정한 특수교사이다. 이 연구를 위해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문항분석과 탐색요인분석, 확인요인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요인 간 상관관계와 문항 간 다중공선성 분석을 통해 문항변별도가 낮은 4개 문항을 삭제하였다; 둘째, 탐색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원도구와 이름이 같은 5개 요인(과잉행동ㆍ불순응; 무기력ㆍ사회적 회피; 상동행동; 민감ㆍ동요ㆍ울음; 부적절한 언행)을 산출하였다; 셋째, 확인요인분석과 모형 수정 과정을 거쳐 모형의 적합성과 도구의 신뢰도,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 ABC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므로 향후 발달장애아동문제행동의 신뢰로운 측정을 위해 ABC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일부문항의 신뢰성이 의심되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간명하고 적합한 모형을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Aberrant Behavior Checklist(ABC)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The instrument, ABC are grouped into five subscales(Aman & singh, 1994): (1) Irritability, agitation, crying (15 items), (2) Lethargy, social withdrawal (16 items), (3) Stereotypic behavior (seven items), (4) Hyperactivity, non-compliance (16 items), and (5) Inappropriate speech (four item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24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116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108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The data were tested by 224 special teachers using online survey system.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4 items were deleted by item-discrimination and multi-collinearity. (2) 54 items in 5 factors were elicited as a problem behavior model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model was modified using error covariance and adding path tracing.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BC was validated and may be useful for test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DD.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기반 유아특수교사 놀이지원 실행역량 모형의 구성 타당성 검증

        백종남(Baek Jong-nam),박소영(Park So-you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실행역량 모형의 구성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특수교사 189명이고 연구 도구는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실행역량 측정 도구』로서 교육과정 운영, 배움 지원, 기록과 평가, 전문성 함양, 관계 형성 등 5개 영역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 놀이지원 실행역량 모형의 수렴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 놀이지원 실행역량 모형의 판별 타당성은 양호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실행역량 측정 모형의 수렴 타당성과 판별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실행역량 모형의 개념적 구성 타당성을 입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실행역량 모형은 유아특수교육 현직교사, 예비교사를 비롯한 유아특수교육 관련 종사자를 위한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이해를 위한 기초 요목(要目)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of construct validity of the model for measuring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189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research tool consists of 25 questions in five competency, includ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learning support, records and evalu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vergence validity of the model for measuring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verified. Seco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model for measuring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found to be good.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proved the conceptual construct validity of the model for measuring play support competency by verifying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model for measuring the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uture, it was proposed to use it as a basic material for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play support competency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