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5세기 고구려 지방제도와 守事

        백미선 진단학회 2013 진단학보 Vol.- No.119

        고구려사에 있어서 5세기는 가장 주목받는 시기였다. 광개토왕에서 장수왕, 문자왕으로 이어지는 이 시기에 고구려는 중앙집권체제의 강화와 활발한 영토 확장을 통해 비약적인 성장을 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5세기 고구려의 지방제도에 대한 관심도 요구되었다. 활발한 영토 확장 활동에 따른 결과 확보한 지역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지배하였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였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5세기 금석문에서 확인되는 ‘守事’라는 지방관이 주목되기 시작하였다. ‘수사’는《모두루묘지》와《중원고구려비》에서 각각 ‘영북부여수사’와 ‘고모루성수사’로 확인되는데, 같은 지방관명임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수사’라는 지방관명의 정착과정과 관련된 것으로, ‘영북부여수사’의 단계에서는 守事라는 일반 명사 앞에 ‘令’자를 붙인 형태로, 이 시기에는 아직 수사가 지방관명이 아니었다고 보았다. 반면 ‘고모루성수사’의 단계에는 금석문 상의 규칙적인 인명표기 방법으로 보았을 때, ‘수사’가 지방관명으로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광개토왕때 모두루가 ‘영북부여수사’로 파견된 것은, 당시의 정치적인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광개토왕때에는 ‘敎’를 통해 이전의 체제와 제도에 일정한 변화를 주는 모습이 자주 확인되고 있는데,‘수사’라는 새로운 지방관의 역할에 주목하게 되는 것 역시 이와 상통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 고구려에서는 지방을 일원적으로 편제하고 파악할 단위가 요구되었고, 그 단위에 파견된 지방관이 수사이다. 광개토왕 재위 후반기 정복활동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시점에서 이와 같은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고모루성수사’의 등장은 광개토왕이 시도한 지방제도의 변화가 보다 안정적으로 정착되어갔음을 나타내준다고 하겠다. 장수왕은 즉위 이후 427년 평양으로 천도하는 시기까지, 광개토왕의 뜻을 계승하면서 일련의 정비 작업을 하였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런 과정에서 지방제도와 지방관에 대한 정비도 이뤄졌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수사는 보다 많은 지역에 파견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5세기의 ‘수사’는 그 이전에 확인되는 ‘태수’와는 다른 성격의 지방관으로 보아야 한다. 수사는 그 등장과정에서 새로운 행정단위와 이에 따른 새로운 역할의 필요에 의해 등장했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이때의 행정단위와 관련해서 기존에는 ‘郡’을 언급하였지만, 그 직접적인 근거는 찾아보기 힘들다. 오히려 이때의 ‘군’은 ‘태수’와의 관계 속에서 살펴야 하며, 수사와는 관련이 없다고 보인다. 한편,《周書》등 6세기 후반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사료에서는 수사가 보이지 않는다. 수사가 파견될 단계에 이미 고구려는 3단계의 지방관 체제를 형성했는데, 이는 6세기 후반의 지방제도에도 큰 변화 없이 이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수사의 경우 그 파견 지역이 점차로 늘어남에 따라 관할 범위의 중첩과 축소가 이뤄져 6세기 이후의 처려근지에 해당하는 지방관에 대응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fifth century receives the most attention in the history of Koguryo. During this time, the kingdom was ruled by Kwanggaeto the Great, followed by King Jangsu, King Munja, who strengthened its centralized the system of government while actively expanding Koguryo’s territory, bringing on a period of rapid growth. At the same time, scholars looked into the local administration of Koguryo during the fifth century, because one needed to understand how the kingdom efficiently ruled the areas won through such active territorial conquests. In this process, susa, a class of local administrative officer, which can be identified in fifth century epigraph, has been put under the spotlight. Susa can be identified in epitaphs such as “Modurumyo-ji” and “Chungwon- Kyoguryobi.” These stone tablets mention administrative officers such as “Youngbukbuyeo- susa” and “Komoruseong-susa,”respectively, and show certain differences in names although the two are the same administrative position. This is because of different processes through which susa was introduced in different regions: when Youngbukbuyeo- susa was first introduced, the suffix “令” (pronounced “young,” meaning “commanding”) was attached in front of the general noun susa, which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at this time susa was not a local administrative officer’s title. In contrast, when the title Komoruseong-susa was used, we can know that susa was used as a local administrative officer’s title, considering the regular method of denoting personal names on the epitaph. The fact that Moduru was dispatched to be a Young-bukbuyeo-susa is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During the reign of Kwanggaeto the Great, we can see that the king issued “敎” (pronounced “kyo,” meaning “edict”) in order to make certain changes to the existing systems and laws, a fact which is believed to be connected to the role of the new administrative title of susa. The appearance of Komoruseong-susa afterwards represents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changes brought on by Kwanggaeto the Great has been stabilized after his time. His son, King Jangsu, seems to have taken on his father’s will and conducted maintenance activities to the political system since his enthronement until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ongyang in the year 427. When such maintenance was being made,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and the administrative officers would have been modified. During this process, it seems that susa officers were able to be dispatched to more administrative units in the kingdom. Susa of the fifth century must be seen as a different type of local administrative officer than taesu (another type of administrative officer), which can be identified in earlier records. This is because susa seems to have been created to respond to the necessities brought on by the invention of new administrative units and subsequent needs for new types of administrative officers. Regarding administrative units, “郡” (pronounced “kun,” meaning “administrative unit”) was previously mentioned in academic literature, but it is difficult to find direct evidence. Rather, kun during this period must be examined in terms of its relationship with taesu, and it seems that kun is not related to susa. Meanwhile, in other 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late sixth century such as “周書” (pronounced “chuseo”) do not mention susa. When susa were dispatched, Koguryo established a three-tier local administrative officer system, which would not have continued into the late sixth century without much modification. But for susa, as the number of areas the officers were dispatched to gradually increased, their authorities are thought to have overlapped and reduced, becoming an administrative officer corresponding to cheoryeogunji of the post-sixth century period.

      • KCI등재후보

        ICT 활용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고등사고력 신장 연구

        백미선,성경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1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6 No.3

        In chaos society, moral education is getting important. Even though it is true, moral education is getting to be ignored because it is not visible. In elementary Ethics class, using ICT is more effective for students to make them interested in and participated in it than the teacher-directed class and they can make a right decision on their own. The project based learning of using ICT has meaningful for students, teachers, achievement for goal, the skills of ICT. Moreover, it can be also useful to develop students' higher-order thinking through the process of figuring out the given problem.

      • Saudi Rabigh Port Jetty #2 건설 선박운항 안전성평가

        백미선,서태호,공인영,신수연,정미현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춘계

        Saudi Rabigh Port 남측에 Rabigh Jetty #2를 건설하려는 계획에 따라 20,000 DWT급 Tanker 부터 120,000 DWT Tanker의 계류가 가능한 부두 1선석이 건설될 예정이다. 이러한 해외 항만 건설에 대한 선박운항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국내 해상교통안전진단 시행지침을 적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가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웅진시대 백제의 郡令

        백미선(Baek, Mi-sun)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7

        郡制은 국가의 지방에 대한 직접 통치를 상징하는 지방통치체제이다. 따라서 백제의 지방통치사에서 郡의 등장은 큰 의미를 갖는다. 군의 지방관 군령은 무령왕대 백제의 대외정책 속에서 처음 파견되었다. 무령왕은 적극적인 대고구려전과 대가야전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병력과 재원 동원을 위해 광역의 지방단위가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백제의 변경 지역에 군령이 파견된 것이다. 또한 백제는 양나라와의 교류를 통해서, 군을 중심으로 한 지방통치정책과 이념을 받아들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담로를 중심으로 한 통치체제가 아닌 새로운 지방단위인 군의 등장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뤄졌던 것이다. 백제의 군령은 파견 배경과 지역을 고려할 때 군사적 성격이 강한 지방관이었다. 군령은 성주와 함께 파견되어 그 지역의 군사 활동을 주도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군사적인 활동만 한 것은 아니다. 군의 민정 업무도 맡았다. 군령은 관할 영역 내 성의 안정적인 성장을 돕고, 인력 동원이나 수취에 있어서도 균형을 맞춰주는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군의 역할은 이후에도 이어진다. 방-군-성제에서 기준이 되는 지방단위가 군인 것은 이와 관련이 있겠다. Gun is a unit of local administration that symbolizes the direct rule of provincial areas by the central government. As such, its advent in the history of local rule in Baekje has a significant importance. Gullyeong, the commander of a gun, was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of Baekje Kingdom under the reign of King Muryeong, who considered foreign relations as he imposed the central rule over regions. The king aggressively campaigned against military forces of Goguryeo and Gaya Kingdoms, which required broader local administration units to procure military manpower and financial resources. Gullyeong, the local administrators, were dispatched to the border regions of Baekje to achieve these military ends. In addition, Baekje seems to have learned systems and policies regarding local administration centered around gun from Yang China. Such international circumstances drove the replacement of a local ruling system based damno with the new administrative unit of gun. Gullyeong in Baekje were primarily military administrators, considering the reasons for their appointment and the places they were assigned. It is thought that gullyeong were dispatched to their jurisdictions with a seongju (administrator), and led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area. Gullyeong, however, did not solely look after military operation, but also administration activities for achieving stable growth of the jurisdiction and balance for manpower drafting and collection. Such roles played by gun continue later into the history of Baekje Kingdom. Gun is the basic municipal administrative unit in the system of bang-gun-seong, and it can be understood in the above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