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稼亭集』 을 통해 본 李穀의 욕망 추구와 인간적 고뇌

        裴圭範(Bae, Kuy-Beom),閔寬東(Min, Kwan-Dong)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5 No.-

        본고는 14세기 전반기 고려문인 稼亭 李穀의 삶을 욕망추구라는 관점에서 접근했다. 元 제국과 고려를 오가며 21년 1개월 동안 관직생활을 하면서 그가 추구했던 욕망을 과거급제를 통한 사회적 욕망, 仁義의 실천을 통한 經世的 욕망, 효의 실천을 통한 人倫的 욕망으로 나누었다. 이곡은 자신의 욕망을 이루기 위해 元의 制科에 도전했고, 이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宦路에 들어설 수 있었다. 그는 天命과 民心에 근본한 德治主義를 현실에서 실천하고자 했으며, 그 바탕에는 愛民精神이 자리하고 있었다. 또한 충과 효의 관계에서는 충의 대상인 국가와 군주가 정당성을 얻었을 때라야 효를 앞설 수 있으며, 입신양명을 통해 효는 마무리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곡은 시대적 한계와 오랜 해외 생활에서 오는 고독, 병마, 가난 등으로 인해 인간적 고뇌를 겪었다. 이를 시와 술로 유머러스하게 극복하고자 노력한 흔적을「가정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studies Goryo writer Gajeong Lee-gok’s life from the pursuit of desire in the half the 14th century. During his 21 year and 1months of official life from Yuan empire to Koryo, his desire are divided to social desire by passing imperial examination, desire of practical statecraft by practicing righteousness and moral desire by fulfilling filial piety. In order to realize his aims, Lee -Gok participated in Examinations of Yuan empire and with this opportunity, he formally began his official road. He wanted to practice rule of morality which based on destiny and People’s will. This thinking is well expressed in the spirit of loving peopl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oyalty and filial piety, he insisted that only when the state and the monarchy were justified, loyalty can filial piety be the first thing to be considered, and filial piety can be completed by making himself famous. However, he suffered great solitude, illness, poverty brought from limitations of the era and long-time overseas life. From Gajeong s Works, we can confirm his efforts to humorously overcome these problems with the poet and liquo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의 전개 방향

        배규범(Kuy-Beom Bae) 한국중원언어학회 2010 언어학연구 Vol.0 No.17

        The history of Literature has artistic and scientific aspect simultaneously when apply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of a racial or ethnic group to learners as well as simply introducing the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Therefore teaching f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to inform about Korean Culture and the Korean way of thinking in Korean Literature. However, it is rather difficult for foreign students to fully comprehen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due to lack of knowledge in the Instruction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textbook. This i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foreign languages are difficult to master. This essay analyzed the problem and proposed solutions to it.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essay will provide the teachers a better guideline to understand proper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Coming up with the proper educational plans and development of appropriate educational materials in line with the proposed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are some of the tasks remaining in improving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for foreign learners.

      • KCI등재

        중국 漢籍의 高麗 전래 과정 고찰

        裴圭範,Bae. Kuy-beom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3 No.-

        본고는 중국의 漢籍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 고려에 전파되었는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중국의 선진문화가 집결된 다양한 漢籍은 고려를 문화국가로 만들어주었다. 논의의 편의를 위해 북송의 문호 蘇軾을 예로 들어 전래 과정을 살펴보았다. 漢籍의 고려 전래 경로로는 크게 北宋 商 人들과 使行團을 들 수 있다. 이른바 宋商은 단절과 회복을 반복한 麗宋관계에 있어 지속적으로 비공식 루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使行團은 양국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반영하는 수단이었다. 한편 소식의 문집은 북송 내 부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간행되었고, 이것이 송상과 사행단을 통해 고려 에 전래되었음은 秦觀과 蘇頌의 시문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고려 에서는 李奎報 등 수많은 문인들이 소식의 작품에서 문학적 영감을 얻는 등 學蘇 흐름이 지속되었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transmission process of Su Shi(蘇軾)’s literature in Koryo(高麗). Chinese classical texts were introduced into Koryo by Northern Song’ merchants(宋商) and Koryo’ diplomatic missions. Northern Song’ merchants mainly worked through unofficial channels between two countries. But Koryo’ diplomatic missions had spoken for Koryo officially. Meanwhile, Through Qin guan(秦觀) and Su Song(蘇頌)’ literature, we can find that Su Shi’ literature was published in various ways in Northern Song, Northern Song’ merchants and Koryo’ diplomatic missions introduced it into Koryo. As a result, Su Shi’ literature was an inspiration to a lot of writer, including Lee Kuy Bo(李奎報)and had a steady influence on Koryo literary world.

      • KCI등재후보

        中韓 동시통역 교육의 필요성과 발전 전망

        裵圭範(Bae Kuy-Beom),周玉波(Zhou Yu-Bo) 중앙어문학회 2009 語文論集 Vol.42 No.-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is a conversion activity of the language that is restricted in time and has the difficulty level. As a simultaneous interpreter applies a lot more information than what we had before to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nd does aplan, a structure, an expression, an interception, a correction processing and translation from source language to destination language, that demand that a simultaneous interpreter must hear native speakers attentively at the same time to mak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by objective language. This paper focuses on inquiry at the prospects for Chino-Koreans’s simultaneous interpretation education. So this paper is explained as follows. 1. A review of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s history. 2. An overview of the Chino-Koreans’s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3. The present state of Chino-Koreans’s simultaneous interpretation education. 4. An incorporating for Chino-Koreans’s simultaneous interpretation education. 5. Theprospects and necessity for Chino-Koreans’s simultaneous interpretation education.

      • KCI등재

        중국 내 한국한문학사 집필의 역사와 기술 양상

        배규범 ( Bae Kuy-beom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6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에서 발행된 한국한문학사의 분석을 통해 한국문학사 기술에 대한 다층적이며 국제적인 재인식의 계기를 마련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간 한문학의 각 분야에서 제기된 논쟁적 요소들을 추출하고, 이를 한국과 중국에서 간행된 대표적 한문학사에서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 그 다양한 양상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추출한 쟁점 요소로는 文風의 변화, 海東江西詩派, 穆陵盛世, <太平頌>, 『新羅殊異傳』, 『三國史記』와 『三國遺事』, 李齊賢의 詞, 小樂府와 朝鮮樂府, 『金鰲新話』, 使行文學 등이 있었다. 이 주제에 대한 각 한문학사의 구체적인 기술을 검토한 결과 한국과 중국 간, 또는 중국 내부에서의 차이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에서 간행된 한국한문학사의 긍정적 부분은 첫째, 중국의 입장이나 중한 관계를 우선적으로 염두에 두고 있다. 둘째, 표기법의 차이나 정치적인 면보다는 그것이 담고 있는 내용과 문학성 자체에 초점을 두었다. 셋째, 중국의 원전자료나 장르에 강점을 보이며 이를 한문학사 기술에 구체적으로 적용했다 등이 있었다. 또한 부정적 부분은 한문산문 장르에 대한 불분명한 태도, 교과서적 진술태도, 단순한 참조를 넘은 표절의 위험 등을 들 수 있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a new multi-level and international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ry histor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ino- Korean literary history in China. In order to analyze it, this article extracts controversial elements raised in different fields of Sino-Korean literary and focuses on how to describe it and studies its various aspects and meanings of Sino-Korean literary in china and Korea. Extracted controversial elements are the change of literary style, Hae Dong Gang Seo Poetry Group's, Literary Word of Mongneung穆陵盛世, Taepyeongsong <太平頌>, Silla-suijeon新羅殊 異傳, Samguksagi三國史記, Samgukyusa三國遺事, Lee Je-hyun李齊賢’Ci詞, Soakbu小樂府, Joseonakbu朝鮮樂府, Kumoshinwha金鰲新話, Envoy Travel Literature使行文學 and so on, It can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Korean, and even the differences in china by analyzing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nd Sino-Korean literary. The first positive part of Sino-Korean literary analyzed in China is priority focusing on from China’s posit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of two countries. Second, It focuses on the content and literary character itself rather than the differences of notation or its political aspect. Third, it shows strengths of Chinese classical materials and genres, and applied them specifically to analysis of Sino-Korean literary. In addition, the negative parts are the ambiguous attitudes toward the Sino-Korean literary and prose style, the attitude of the textbook, and the risk of plagiarism beyond simple reference.

      • KCI등재

        정치적 관점에서 본 관우(關羽) 신격화(神格化)의 역사적(歷史的) 변모양상 고찰

        배규범 ( Kuy Beom Bae ),민관동 ( Kwan Dong Mi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2 No.-

        본고는 蜀漢의 武將에서 출발하여 神으로 추앙받고 있는 관우의 생명력을 역대 왕조의 정치적 측면에서 찾았다. 관우는 魏晉南北朝 시대에는 일개 장군으로 묘사되었지만, 隋唐 시대를 거치며 武成王廟 從祀를 통해 국가 祀典에 편입되었고, 다시 宋元시대에는 ‘侯’에서 ‘公’으로, 다시 ‘公’에서 ‘王’으로 신분의 급상승을 이루었다. 관우신격화가 절정에 이른 明淸 시대에 이르면, ‘王’을 넘어 ‘帝’로 등극하면서 三界를 통섭하는 최고의 권능을 부여받게 된다. 그는 백성에서부터 사대부에 이르기까지 생활신앙과 도덕 정신에 영향을 미쳤고, 결국은 정신적 守護神으로 존재할 수 있었다. 역사상 통치자가 關羽에게 내린 封號는 다양했지만, 그 속에는 국가의 재난 해소와 봉건통치의 유지와 보호라는 정치적 필요성이 깔려 있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look up the life of Guanyu who was a sainted warrior of Shu Han(蜀漢) and later, was revered as God, especially focusing on the Political perspective of Chinese Dynasty. People represented Guanyu as the general during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魏晉南北朝), however, throughout the Su-Dang Dynasty(隋唐), Guanyu was Honored in the Wuchengwangmiao(武成王廟) then, was promoted from Hou(侯) to Gong(公), Gong(公) to King(王) in the Song-Yuan Dynasty(宋元). In the Ming-Qing Dynasty(明 淸) when the deification of Guanyu was proceeded most positively, he became a Di(帝) over a King and was endowed with the power over the Three Worlds(三界). He had an influence on nobility as well as the people in Folkbelief over Moral Spirits, and consequently rose through the ranks to become the spiritual guardian. The rulers gave him various names(封號) celebrating the life and work of Guanyu, In fact, they showed interests in the Belief of Guanyu as they attempted to establish an ideological base for the solution of the national disaster and maintenance of feudal system which came to the fore along with the reinforcement for emperor’s power.

      • 서긍(徐兢)(1091~1153)의 『고려도경(高麗圖經)』 간행(刊行)과 내용상 특징

        배규범 ( Bae Kuy Beom ) 동방비교연구회 (구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6 동방문학비교연구 Vol.6 No.-

        『高麗圖經』은 송나라 徽宗의 명으로 고려에 사신으로 왔던 徐兢이 귀국 후 황제에게 지어 올린 책이다. 본고의 목적은 한중교류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고려도경』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집필되었으며, 그 내용상의 특징은 무엇이고, 또 현대 중국의 연구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어떤 곳인가를 정리해보는 것이다. 그 결과를 다음 몇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高麗圖經』의 집필은 당시 고려가 어려움에 처한 송을 도울 의지와 능력이 되는지를 염탐하기 위한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둘째, 현재 전해지는 『高麗圖經』 40권은 남송 건도3년(1167)에 서긍의 조카 徐?이 간행한 건도본이 저본이다. 이후 여러 과정을 거쳐 乾隆58年[1793] 翕縣의 鮑廷博이 家藏抄本과 明나라 鄭弘本을 근거로 교감하여 만든 『知不足齋叢書』와 1932년, 중국의 故宮博物院에서 편찬한 『天祿琳琅叢書』제1집에 영인된 『高麗圖經』이 善本으로 인정받고 있다. 셋째, 중국에서는 역사적으로 『고려도경』의 사료적 가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인정하는 한편, 현대 연구자들에 디테일한 오류를 잡아내는 작업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GoryeoDogyeong(『高麗圖經』) is Seo Keung(徐兢;1091~1153)`s report on nation envoy, which Goryeo envoy group was Goryeo`s visit by the order of the Emperor Huizong(徽宗) of Song(宋). This study is attempt to look into 『Koryeodokyeong』 including its publication process, the Character and Chinese`s understanding of this book. And the result can be devided into three parts. First of all, The reason of writing 『Koryeodokyeong』 was to find out if Koryeo was available to help the Song dynasty, which was facing difficulty at that time. Secondly, The existing 『Koryeodokyeong』 40 volumes was the original script published by Seo Keung`s nephew Seo Chen(徐?) in 1167. And after many years, BaoTingBo(鮑廷博) published 『知不足齋叢書』 in 1793, which based on the manuscripts in his Family(家藏抄本) and Zheng Hongben(鄭弘本) in Ming(明). That was recongnized as the best version of 『Koryeodokyeong』. Finally, many Chinese scholars made valuable mention of historical materials of 『Koryeodokyeong』. And besides, they`ve been noticing tiny errors in it and trying to correct them all.

      • KCI등재

        관우(關羽) 신격화(神格化)와 종교적(宗敎的) 활용 양상 고찰

        배규범 ( Bae Kuy-beom ),민관동 ( Min Kwan-d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7 No.-

        본고는 關羽 神格化가 일종의 문화현상으로 발전하게 된 것은 역사상 관우의 忠義武勇과 함께 민중들이 갈망하는 영웅출현의 심리작용, 그리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종교계의 활동과 긴밀하게 연관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儒ㆍ佛ㆍ道 삼교가 관우 신격화 과정에서 어떻게 종교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지 그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關羽神은 유ㆍ불ㆍ도교에 있어서 독특한 경로를 밟으며 뿌리를 내렸다. 즉, 佛敎에서는 寺刹을 지키는 `伽藍神`으로 격상시키면서 토착화에 성공하였고, 道敎에서는 악마를 쫓고 재난과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三界伏魔大帝`의 萬能守護神으로 활용되었으며, 儒敎에서는 `儒將` 관우 이미지를 공자의 春秋大義와 연결하여 `尊王攘夷`라는 시대정신으로 재창조하였다. 즉 나라를 수호하는 忠義의 武神으로 삼아 이를 국가 통치 질서 확립의 수단으로 삼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upposes that the reason for the development of Guanyu`s anthropolatry as a cultural phenomenon is derived from, along with Guanyu`s loyalism and valor, the people`s physiological effects longing for the emergence of a hero, and is closely linked with religious activities to provide the justification of their belief system.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major religions that i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ake the courses of Guanyu`s anthropolatry to their religious advantage and how Guanyu-god is applied to roots i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Buddhism, it succeeded in the settlement by upgrading it to jialan-shen that guarded the Buddhist temple, while in Taoism, it was used as a guardian of the san-jie-fu-mo-da-di that chased the almighty devil and deviated from the disaster and suffering. In Confucianism, it was connected to Guanyu`s Confucian-commander image to that of chun-qiu-da-yi of kongzi. That is, by symbolizing Guanyu as God of Martial Power and War depending on the country, it was used as a means of governance to establish rules and order.

      • 艸衣意恂(초의의순)의 茶詩(다시)에 나타난 禪(선)수행의 양상

        배규범 ( Kuy Beom Bae )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5 동방문학비교연구 Vol.4 No.-

        본 연구는 ‘韓國의 茶聖’이라고 일컫는 艸衣意恂의 茶詩를 대상으로, 그 속에 담긴 禪수행의 다양한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초의선사는 한국의 茶論을 정립함으로써 불가의 飮茶 전통을 선수행의 방편으로 다시 자리매김한 인물이다. 초의선사의 茶論은 眞茶와 眞水를 얻어 ‘中正의 道’에 의해 그 둘을 中和시키는 데에 있다. 眞茶를 얻는 과정에는 採茶와 造茶가, 眞水를 얻는 과정에는 品泉과 火候가 있다. 이를 일러 <四門>이라 하는데 이는 모두 四行의 작용을 필요로 한다. 이 과정에서 眞茶와 眞水는 不二妙用의 원리에 의해 運用되며, 神體靈健 역시 不二의 원리에 적용을 받는다. 그리하여 얻어진 妙境은 선의 궁극의 경지와 일치하게 되어 茶禪一如의 경지를 만들어낸다. 즉, 禪의 三昧境에 들어 大悟覺醒하는 길이나, 茶의 三昧境에 들어 妙境을 깨닫는 것이 한 가지라는 것이다. 이러한 경지는 그의 茶詩를 통해 증명되었다. 초의선사의 茶詩는 茶와 차를 통한 교우, 차와 함께 하는 일상사, 그리고 본격적으로 茶禪一如 사상을 표현한 것 등으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의 茶詩는 당대 문화계의 핵심인물들과 막역한 관계 속에서도 승려로서의 본분을 지켜가는 모습에 대한 증거이기도 했다. 그런 점에서 초의선사는 茶詩를 통해자신의 선수행과 문학적 완성, 그리고 茶道의 茶禪詩一如의 세계를 실천해간 탁월한 인물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sis about the meaning and Aspect of Zen practice in Dasi[茶詩] of Choiyeusunsa[草衣禪師]. Choiyeusunsa[草衣禪師] had set up theoretically a tea ceremony[茶道] as writing many Dasi[茶詩]. For his self-training and writing a poem, Tea was very important. In addition to that, he had made efforts to develop Zen practice through drinking Tea. After that time, Drinking Tea is a way for Buddhist monks to learn to access Zen practice. So he had been called a Zen master of tea in Korea. In this paper, I had been diagnosed Dasi[茶詩] of Choiyeusunsa[草衣禪師]. Choiyeusunsa[草衣禪師] had done a Zen practice through tea. He had become enlightened that a serial process of drinking tea was quietly similar to meditation in Buddhism and tea is the same as Zen[茶禪一如], that is, drinking tea is developed as Zen practice. He had written many poetry which were developed into Daron[茶論], that was, making a good tea[眞茶], boiling a suitable fire[眞水] and fixing tea in law[泡法]. It is a poem which Choiyeusunsa[草衣禪師] had described his friends, his life with tea, especially Zen[茶禪一如] etc. in a figurative Expression through many Dasi[茶詩] just like Dongdasong[東茶頌], Dasinjun[茶神傳]. There are several special features in his Dasi[茶詩]. Those can be accomplished a self-training by getting out of attachment in chade of the root of tea. As a result, he had achieved great prominence as both a writer and a Zen ma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