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새로운 매체 환경이 적용된 미술교과 과정 연구 : 서울 소재 일부 중학교를 중심으로

        방지선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미술에 이르기까지 미술표현의 영역은 그 한계와 영역의 경계를 넘어선지 오래다. 특히 과학기술의 진보적인 발달은 인류의 문화, 생활, 경제 ,사회 등 전 영역에 지대한 발전과 변화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미술의 경우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보다 많은 예술가들에게 미술표현은 그리거나 채색하는 기존의 재료들을 통해 표현하는 방식이 고전의 것인 것처럼 사라지고 있다. 원근법의 발견이래로 예술가들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표현에 활용하고 있다. 이처럼 그 표현이 더욱 자유로워졌고, 새로운 매체의 적극적 활용이 미술표현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새로운 매체를 통한 미술표현이 현 중학교 미술수업에서 적절히 반영되고 있는가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를 통하여 중학교 미술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여 미술교육의 질 높은 발전의 토대가 되고자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중학생들이 새로운 매체를 활용한 풍부한 미술수업을 직접 접하고 미술 작품 감상에도 올바르게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미적능력을 배양하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일부 지역의 미술교사들로 한정하여 설문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였고, 다양한 새로운 매체를 통한 미술 표현의 반영여부를 연구하고자 중학교 미술수업에서 수업의 방법, 수업의 내용, 반영하고자하는 필요성, 미술표현 수업에 미디어, 기계, 컴퓨터 등의 매체가 적절히 사용되는가에 대한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대 미술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매체를 통한 미술표현의 변화들은 중학교 미술 수업에서 반영도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미술수업에 있어서 주로 다루어지는 내용은 여전히 기존의 재료들(연필, 물감 등)을 활용한 수업이며, 이는 학생측면에서 사용과 표현의 용이함, 구하기 쉬운 점 등이 감안된 것이며, 미술교사들의 측면에서는 학교시설여건, 준비시간과 그에 따른 수업시간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학교미술시설 여건 면에서는 컴퓨터 등의 기존 학교시설은 갖추어져 있으나 예를 들어 미술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영상 매체 등의 시설도 여전히 미비한 실정으로 드러났다. 컴퓨터의 경우에서도 미술시설이라기 보다는 기본 학교 시설로 구분 파악된다. 이렇듯 미술수업의 미술표현에 있어서 새로운 매체 사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술교사들은 미술수업에서 새로운 매체를 수업에 반영할 것으로 다수의 의견을 모았다. 그 이유는 다양한 매체를 통한 미술표현 수업이 학생들의 수업의 관심과 흥미를 보다 높일 것이라는 추측에서 나온 것이다. 그것은 기존 미술수업에서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와 흥미가 높은 수업은 평면표현 보다 입체 표현에 더 많은 관심을 갖는 것에서 설명된다. 그 이유는 기존 재료들로 직접 그리는 미술 수업 보다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만들기 등의 수업의 경우 학생들의 흥미가 높았던 점에서 나온 결과이기 때문이다. 다양한 매체를 통한 수업이 가능할 경우 사용할 매체는 컴퓨터를 사용한다가 가장 많았다. 현재 학생들의 시점에서 가장 편하게 접하는 매체가 컴퓨터이기에 접근의 용이성에서 해석된다. 중학교 미술수업은 7차 교육과정이 제시한 각 영역의 연계성을 고려한 미적체험, 표현, 감상 영역에 바탕을 둔 미술 수업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현 중학교 미술수업은 미적체험, 표현, 감상영역에 연계해 보았을 때, 중학생들에게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미술작품을 직접 제작 경험하고 더 나아가 미술작품을 해석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즉 영역을 구별하기 어려운 현대미술 작품을 접하는 중학생들에게 이를 직접 표현해보고 해석할 수 있는 판단과 감상의 틀을 넓혀 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경계의 구분이 없는 다양한 미술 작품을 해석하고 올바르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에 앞서 학교 수업에서 중학생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매체를 활용한 수업을 직접 경험하고 감상과 연계되었을 때 미술의 이해의 폭과 가치판단 능력을 넓혀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미술수업이 이러한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여 미술교과의 발전을 지향하며 더 나아가 학생들 스스로 미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판단의 능력을 배양하여 미적 안목을 높이고 풍요로운 정서함양에 기여하고자 한다.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expressivity has for a long time transcended national boundaries. Now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is playing a central role in the changes and progress throughout society -- in culture, daily life, the economy, and, of course, art. For many artists, painting with colors and other traditional materials is fast disappearing into a classical past. In my research I look at how teachers teach artistic expression and how students absorb it in certain Seoul middle schools of my choosing, and suggest new ways for schools to develop a more relevant art curriculum. I look at how the new media and technologies are being used in art classes, and if they are giving students richer possibilities to express themselves in their course curriculum. The conclusion of my research is that schools have yet to give much thought to the implementation of new media and materials in art classes. Artwork made with pencils and watercolors is still the norm, because art educators believe it is easy for students to obtain them and be creative with them. In general, schools lack proper facilities to hold art classes, and teachers spend little time preparing projects and teaching art to students. Instead, middle-school art classes follow the recommendation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tructuring teaching around relationships among appreciation, expression, and aesthetic experience. In order for middle-school students to have the all-important experience of appreciating the unlimited richness of artworks, of enriching their aesthetic appreciation, and of understanding art, they need to use different and new media and to appreci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My research seeks to help middle-school art education to fulfill its role of teaching students to cultivate a rich aesthetic sensibility.

      • 예술사조 변화에 따른 현대무용 안무가들의 주요 작품과 미학적 특성 연구

        방지선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사조의 변화에 따라 나타난 현대무용의 양상을 고찰하고 각 장르별 안무가의 주요 작품들의 미학적 특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무용미학의 개념과 미에 대한 철학자들의 논의, 그리고 무용미학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 현대무용의 시작과 발전과정을 연구하고, 각 장르별 안무가 4명(이사도라 던컨, 머스 커닝햄, 마리 뷔그만, 피나 바우쉬의)의 주요 작품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던컨은 니체의 사상을 바탕으로 인간과 무용을 다룬다. 자연 그대로의 인간육체와 자연현상과의 미의 조화를 추구하면서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무용 움직임을 찾았다. 둘째, 커닝햄은 인간의 삶을 표현하며 신체의 움직임 자체의 미를 중요시 했다. 그는 무용과 타 예술의 혼합을 이용하여 작품에 우연성 기법의 사용과 공간의 동시성, 즉흥성의 사용, 다른 매체와의 혼합 등을 보여 주었다. 그에게 있어 움직임 자체와 무용수의 신체는 무용이 표현하는 미적 가치이다. 셋째, 뷔그만은 실존주의적 무용이론과 사상을 바탕으로 정치, 사회, 경제, 문화적 상황 등을 개성 있는 독일 표현주의 무용으로 나타냈다. 또한 그녀는 춤의 핵심을 표현중심의 무용, 긴장과 완화, 무음악의 무용, 공간으로 보았다. 따라서 그녀의 무용은 내적 경험과 그것을 미로 표현하는 것이다. 넷째, 피나 바우쉬는 탄츠테아터(TanzTheater)라는 새로운 독일식 현대무용을 창안 하여 사회적 메시지나 문명 비판적인 성격을 강하게 나타냈다. 그녀의 작품은 인간의 사랑과 불안, 고독과 그리움, 인간에 의한 인간의 착취 등 인간의 다양한 모습들과 감정들을 표현하여 내적인 미(美)를 보여준다. 즉, 그녀는 다양한 무대장치와 소품들을 사용하여 인간의 본질과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인생’ 그 자체를 보여준다. 현대무용에 대한 미학적 접근을 시도한 본 연구는 무용의 예술적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spects of modern dance influenced by the changing trends in art and identif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works of choreographers of each genre. The study begins with the definition of aesthetics, discussions of philosophers on beau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aesthetics. Then it moves on to the formul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modern dance and highlights major works of four choreographers of each genre, including Isadora Duncan, Merce Cunningham, Mary Wigman and Pina Bausch.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sadora Duncan focuses on human and dance, based on the philosophy of Friedrich Nietzsche. She sought aesthetic harmony between natural human body and natural phenomenon and found dance movements through communing with nature. Second, Merce Cunningham expressed human life and emphasized the beauty of bodily movements in and of themselves. He combined dance with different types of art, and his works employed chance operations, concurrency of space, improvisation and mixture with other media. He thought movement itself and dancer’s body were aesthetic values expressed through dance. Third, Mary Wigman projected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ircumstances into unique expressionist dance, bringing the existential dance theory and philosophy. She also considered expression-centered dance, contraction and expansion, non-musical dance and space as the essence of dance. Her dance was about expressing inner experiences and their beauty. Fourth, Pina Bausch created a new style of German modern dance, namely, Tanztheater, which exhibited social messages and criticism of civilization. Her works accentuated inner beauty by displaying various images and emotions of human, such as love and anxiety, solitude and longing and human exploitation by human. She used a variety of stage sets and properties and expressed life itself, reflecting human nature and the times and circumstances. With an aesthetic approach to modern dance, the study will greatly contribute to raising the artistic value and significance of dance.

      • 1920-30년대 조선인 중등학교의 일본.만주 수학여행

        방지선 동아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글은 일제가 추진한 1920-30년대 조선인 중등학교의 일본·만주 수학여행의 실제(實際)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제는 중앙집권적 교육통제의 일환으로 수학여행의 기획, 여정, 방문지, 경비조달 등 수학여행의 ‘실시’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였다. 일제 동화정책이 강화되기 시작한 1920년대 이후 공통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일본·만주 수학여행은 그 관여 상을 보여준다. 일본(내지)는 ‘근대화’를, 만주는 근대일본의 ‘제국화’를 과시하는 장이었다. 주요 방문지는 ‘근대적 공간’과 ‘만들어진 전통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일제는 관청가, 백화점, 공원, 박람회, 학교 등을 통해 일본의 근대화·문명화를, 신사와 사찰, 천황·역사유적, 위령탑 등을 통해 ‘일본의 전통’을 확인시켰다. 일제는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제국일본에 대한 ‘忠’을 생산하려 하였다. 수학여행 후 학생들의 소감은 일본근대와 전통에의 ‘동화’를 보여주는 듯하다. 그러나 그것은 ‘표면적인 동화’일 뿐이다. 식민지 조선인학생들 ‘욕구’하는 실체는 ‘근대일본’이 아니라 ‘근대성’ 자체였기 때문이다. 이는 학생들이 수학여행 후 동화에 내재한 차별의 자각하고 행동으로 표출한 동맹휴학, 그리고 조선사회 일각이 가졌던 수학여행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증명된다.

      • 국악교육기관의 교과목 분석 연구

        방지선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tends to organize the evolu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and to analyze courses of cur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uch as high school,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and the evolution of music education institutions were examined, and 6 arts high schools with Korean music department were compared based on the 2007 reformed curriculum of arts high school. Also, the installation status and courses of Korean music related schools of 14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except for 6 universities with Korean music department and college of education with music education cour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2007 reformed music curriculum. Korea's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with the history of Koreans. Our ancestors, who already enjoyed and developed music and dance from ancient times, have enjoyed higher level of arts in Three Kingdoms Period, and handed down music through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In Silla Dynasty, music was educated and handed down through national music organization, called ‘Eum-seong-seo,‘ and royal court music was educated through national music organization, called 'A-ak-seo’ in Koryo Dynasty and Jangakwon in Joseon Dynasty. Educational institu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constituted with Joseon Classical Music School('Joseon Jongak Jonsupso') of Japanese Colonial Period, training school of Lee Wangjik court music staff, national traditional music school, which is a successor of The National Centre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ffiliated National music academy for training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and traditional music high school of arts founded in 1960, as its principle axi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currently conduc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22 arts high school where Korean music education is established, 30 universitie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department, and 46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re music education is established.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cours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related subjects in arts high school,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when Korean music related subjects of 6 arts high school were analyzed by school and subject, hours of performance of major courses and curriculum appeared to be similar in larger scale, but they were teaching required subjec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Secondly, when Korean music related subjects of 6 colleges were analyzed by activities and understanding, performance of major and Korean music orchestra were treated as essential major courses in instrumental area and variety of concert hours were in operation. Also, courses were established for vocal, creativity, and other area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but number of subjects between each university has shown much difference by school. In understanding area, called music theory area, the course name was different, but Korean traditional music theory related subjects were established. Thirdly, when Korean traditional music related subjects of music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analyzed by area, the understanding related theory subjects were established in 14 schools, but subjects of activity area,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in 2007 reformed education curriculum, can be seen as insufficient. Although a lo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related subjects were established compared to the past, it is still lacking. Greater number of subjects does not mean the best, but instead, the ratio will need to be proper according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if systematic and fine-grained subjects are organized, the formation of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balance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ill be established. 이 연구는 국악교육기관의 변천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현재 국악교육기관인 고등학교, 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교과목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악교육의 중요성과 국악교육기관의 변천사에 대해 알아보고, 2007년 개정 예술계열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국악과가 설치된 6개의 예술계열 고등학교를 비교 · 분석하였으며,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국악과가 설치된 6개의 대학교, 그리고 음악교육전공 과정이 설치되어있는 사범대, 교대를 제외한 서울 소재 14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국악 관련 학교들의 설치현황과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전통적 음악교육은 한민족의 역사와 함께 한다. 고대 이전부터 이미 춤과 음악을 즐기고 발전시켜 왔던 우리의 선조들은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는 더욱 수준 높은 예술을 향유하였으며, 형식적․비형식적 교육을 통해 음악을 전승하였다. 신라시대에는 ‘음성서’라는 국립음악기관을 통해 음악을 교육하고 전승하였으며, 고려시대에는 ‘아악서’, 조선시대에는 ‘장악원’ 등의 국립음악기관을 통해 궁중 음악을 교육하였다. 국악교육기관은 일제강점기의 조선정악전습소와 이왕직 아악부원 양성소 그리고 해방 이후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 양성소의 후신인 국립국악고등학교와 1960년 설립된 국악예술고등학교를 주축으로 이루어졌으며, 국악교육기관은 현재 국악교육이 개설된 22개의 예술계열 고등학교와 국악과가 설치되어있는 30개의 대학교, 음악교육이 설치되어있는 46개의 교육대학원에서 국악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예술계열 고등학교, 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국악 관련 교과목을 분석한 결과와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6개의 예술계열 고등학교의 국악 관련 교과목을 학교별․과목별로 분석한 결과, 전공실기 교과의 시간 수, 교육내용 등이 큰 틀에서는 대체로 비슷한 듯 보이나 각 학교들의 특성에 맞게 필요에 의한 교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둘째, 6개의 대학별 국악 관련 교과목을 활동영역과 이해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활동영역인 기악영역에서는 전공실기와 국악 관현악을 전공필수로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합주시간이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가창영역, 창작영역, 기타영역에서는 각 학교들의 특성에 맞게 교과목을 개설 하였지만, 각 대학 간의 교과목 수가 학교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해영역인 음악이론영역에서는 교과목명은 다르지만, 국악이론에 관련된 교과목들을 개설하였다. 셋째, 14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국악 관련 교과목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이해영역과 관련된 이론영역 교과목은 14개 학교에서 개설되어 있지만,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요시하는 활동영역의 교과목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악 관련 교과목들이 예전에 비해 많이 개설되었다고 하지만 부족한 실정이다. 교과목 수가 많을수록 좋은 것이 아니라 국악교육에 맞게 그 비율이 적절해야할 것이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교과목을 구성한다면 교과목의 정립과 균형 잡힌 국악교육의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조부모양육의 참여현황과 어려움 및 지원요구 연구

        방지선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modernized lifestyle, people in today’s world have a prolonged period of living as grandparents, and due to various factors in contemporary society, the stable childcare framework of the family is shaken and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grandparents involved in childcare. This demographical shift is greatly affecting not only the family institution but also the role of grandparents. This can be a new opportunity for grandparents to contribute to contemporary society in which the familial function of caregiving is deteriorating.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grandparents who are providing childcare to young children of 0 to 5 years of age, their childcare difficulties, and demand for social support so as to grope for approaches to promote involvement of grandparents in childcare, and further, to serve in the future as preliminary data for policy making to support such grandparental involvement in childcar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grandparents’ childcare?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grandparents’ involvement in childcare according to the social-demographic background of grandparents?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 in the difficulties with grandparental childcare according to the social-demographic background of grandparents? Fourth, what is the demand of grandparents for childcare support?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research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on 200 grandparents who were providing childcare for young children of 0 to 5 years of age who were attending 12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rea. As for survey method, visits to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made to explain the purpose of research and get cooperation from the managers; then questionnaires were sent to the institutions and col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181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SPSS 23.0 program. First,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grandparents’ childcare, many grandparents in their 60s with high school or higher education were involved in grandparental childcare. Many were economically independent from adult children, not living together with grandchildren, and receiving compensation from their children for the grandparental childcare. Most of the grandpar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grandparental childcare. Second, among the items of grandparents’ involvement in childcare, involvement in life guidance mark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in the order by household guidance, leisure guidance, involvement in learning guidance. As for sub-factors, involvement in grandparental childcare was higher when grandparents were comparatively young,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living together with grandchildren, and receiving an allowance from adult children. Third, the most outstanding difficulty in grandparental childcare was physical difficulty, followed in the order by environmental, educational, and economic difficulty. As for sub-factors, grandparental difficulties were higher when the grandparents were comparatively old, with lower level of education, living together with grandchildren, and receiving an allowance from adult children. Fourth, among the items of demand for grandparental childcare support, demand for education suppor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demand for environment support, demand for economic support, and demand for physical support. Given the family culture of Korea, grandparents’ childcare for grandchildren is expected to be continued, and predicted, unlike the past, to become a new task to be carried out in old age. Therefore, in order to boost grandparents’ involvement in childcare for grandchildren, more systematic and diverse forms of support of grandparents are needed.

      • 부정적 감정 어휘 교육 방안 연구 :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방지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부정적 감정 어휘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정은 인간관계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것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반드시 학습해야 할 어휘 중 하나이다. 또한, 결혼이민자의 경우 모국을 떠나 낯선 곳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 때문에 그 삶에 완전히 적응하기 위해서 내면의 울림인 감정 어휘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빈번하게 일어나는 결혼이민자들의 한국 사회 부적응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고에서는 감정 어휘 중 부정적 감정 어휘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감정 어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그간의 감정 어휘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야별로 정리하였으며 각각의 논의방향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대상인 감정의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감정 어휘의 기준을세워 그 범위를 한정하였다. 3장에서는 감정 어휘 교육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전체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의 현황을 정리했다. 다음으로 감정 어휘 교육의 현황으로 학습용 어휘 목록과 여러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감정 어휘 교육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감정 어휘를 추출하여 목록으로 정리했다. 그 결과 긍정적 감정 어휘에 비해 부정적 감정 어휘가 더 다양하지만 제시된 수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불균형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OPIK 기출 문제를 분석하여 감정 어휘의 평가 방식을 알아본 결과 고급 단계만의 새로운 문제 유형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어휘 조사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기본 감정 어휘를 선정하여 분석했다. 4장에서는 ‘21세기 세종 기획 말뭉치’를 분석하여 부정적 감정 어휘의 사용 현황을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부정적 감정 어휘는 한국인의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 내용 중 구어를 대상으로 부정적 감정 어휘의 결합 구성을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결과 정도부사와의 결합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언어적 행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가정과 공공장소에서의 부정적 감정 어휘의 사용 유무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해당 부정적 감정을 나타내는 부정적 감정 어휘뿐 아니라 다른 부정적 감정을 나타내는 부정적 감정 어휘 역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정적 감정 어휘 교육 내용 및 수 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감정을 표현하는 언어적 행위에만 집중하여 비언어적 행위 혹은 부정적 감정 어휘의 화용적 특성을 다루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 동안 긍정적 감정 어휘에만 치중된 감정 어휘 교육에서 부정적 감정 어휘 교육에 주목하였으며 결혼이민자라는 특수한 학습자 집단에 집중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국악적요소를 차용한 국내 퓨전 앨범의 발전과정 연구조사

        방지선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background and trend that have brought about the fu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Gugak" and various Western music in an inevitable and intentional way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s. Since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nd its fast penetration into the Korean culture which had been closed until then, many things have changed in the Western way in every aspect. Especially in case of music, a part of art, it would be not too much to say that almost all, including musical education, instruments, and even theories, have been transformed on the basis of Western music and classical music, accepting Western cultures at the very front. Meanwhile, the Korean national culture Gugak has been taken as a special kind of art that should be inherited by authorized specialist only and also as unfamiliar, foreign culture which is difficult and irrelevant to the public, although it is the Korea's indigenous culture and art in fact. This way, it has been distorted as strange culture even though it has existed along the Korean history and tradition for a long time, and consequently, it has become much more conservative than any other areas of music rapidly keeping up with global, contemporary art and public beyond the borders. Gugak also tried to fuse with different areas of music in order to achieve modernization and popularization, but it is still just uninfluential in the commercial album market, which is mostly comprised of the mainstream in particular among the pop music. With a new era of digital music, the number of music listeners who enjoy pop music with online streaming services as well as mp3 downloading services has steadily increased because music became available in the form of intangible media "mp3", instead of old-fashioned tangible albums. And thanks to this easier and more convenient access, it became more frequent for the public to be exposed to non-mainstream music which used to be outside of the public's interest as the underground culture. Besides, as the production of such music became accelerated, it has brought many positive effects on the diversification of pop music. There has been also a change in the area of Gugak that used to be possible to enjoy only at the performing places. The revolutionary changes in the market with the highly simplified process of album production and digitalization have enabled a variety of unanticipated fusions and also motivated emerging Gugak musicians who play a leading role in the popularization of Gugak. Now, albums with new attempts for fusions of Gugak and other music genres are expected to be capable enough of bringing positive changes to traditional tendency of art consumption which used to be passive, contribut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Korean pop music and also encouraging the public to realize the beauty of traditional art and have the interest in national culture. Surely, fusion of Gugak and other music has the significant, musical value as an attempt itself. But in addition to this, it is also vitally important to achieve competitiveness in the commercial album market as the good of the music market. But unfortunately, not all the attempts for fusion of Gugak have been always successful in the commercial album marke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what attempts Gugak has made for its modernization and popularization based on the albums which attempted to achieve the artistic encounter with music, by sorting them out and arranging by time period. Ultimately, it aims to find the solution for Gugak to get closer to the public in this rapidly evolving commercial album market and contribute to the greater diversification of pop music, by figuring out the current problems of the market in spite of its superior values as the art and also as the goods. 본 논문은 시대의 흐름에 부응하여 국악과 서양의 다양한 음악의 융합이 필연적이고 의도적으로 이루어 질 수밖에 없던 배경과 흐름에 대한 연구이다.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성향을 띄던 한국은 서구문물의 유입이 시작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지금까지 많은 것이 서양식으로 변화되어 왔다. 특히 음악이라는 예술 분야는 그 전면에서 서양 문물을 받아들여 음악교육, 악기, 음악이론 모두 서양음악과 클래식 음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인지 민족문화인 국악은 우리 자신의 고유한 문화예술임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자격을 가진 전문가들을 통해서만 계승되는 예술로 인식하여, 대중들에게는 어렵고 전혀 연관이 없는 다른 민족의 문화처럼 생소하게 받아들여져 왔다. 한국의 역사와 함께해 온 민족문화이지만 여전히 이질적인 문화로 왜곡되어 국경을 넘어 전 세계의 예술, 대중과 활발하게 호흡하는 여타의 음악에 비해 퇴영적인 양상을 보일 수밖에 없었다. 국악도 이미 현대화ㆍ대중화를 이루어내기 위해 상호이질적인 다양한 음악들과의 융합을 시도하였지만, 대중음악 중에서도 주류음악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산업음반 시장에서 국악의 존재는 여전히 미미하다. 근래 디지털 음원시장의 시대 도래 이후로 음악은 유형의 음반보다 mp3라는 무형의 매체로, 최근에는 mp3 다운로드 뿐 만 아니라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로 대중음악을 간편히 즐기는 대중들이 많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그간 언더그라운드 문화로 대중들에게 외면 받던 비주류 음악들도 대중들에게 비교적 많이 노출되기 시작했고, 생산 역시 활발해져 대중음악 다양성의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오기도 했다. 대중들이 능동적으로 공연장을 찾아가야만 비로소 향유할 수 있었던 국악의 영역에서도 변화가 일었다. 음반 발매의 과정이 간소화되고 디지털화 되는 시장의 변화는 생각지도 못했던 다양한 융합을 시도하게 했고, 국악의 대중화에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는 신진 국악인들의 움직임도 활발해지게 했다. 국악과 다양한 음악이 융합된 시도들이 담겨있는 음반들은 한국 대중음악 다양화에 기여함과 동시에 민족 문화에 대한 관심과 전통 예술에 대한 아름다움을 깨닫게 하여 과거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여 온 전통 예술 소비 양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하게 하기에 충분하다. 국악과 다양한 음악의 융합은 그 자체만으로도 음악적 가치가 크지만, 전통 예술이 산업음반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것으로 음악 시장의 상품으로써 가치도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악의 융합 시도가 산업 음반 시장에서 성공적인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 음악과의 예술적 조우를 시도한 발매 음반을 중심으로 해당 음반들을 시대적으로 분류, 정리하여 국악이 현대화ㆍ대중화를 위해 어떠한 시도를 하였는지 그 전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악과 대중음악 융합이 예술적, 상품적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 음반 시장에서 봉착한 문제점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급변하는 산업음반 시장에서 국악이 좀 더 대중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고 나아가 대중음악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미력하나마 타개할 방안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 Characterization of putative virulence genes isolated from the genome of vibrio vulnificus MO6-24/O by IVET(in vivo expression technology)

        방지선 Graduate School, Sogang University 2003 국내석사

        RANK : 247615

        Vibrio vulnificus는 높은 치사율의 패혈증을 유발하는 병원성 세균이다. 그러나 이 세균의 병원성 인자에 대한 이해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V. vulnificus가 숙주 내에서 병을 일으키는 기작과 관련된 유전자를 규명하기 위하여 in vivo expression technolgy (IVET) system을 도입하였다. IVET은 숙주내에서 특이하게 발현이 증가하는 유전자를 선별하고, 그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돌연변이를 일으켰을 때, 병원성이 감소되는 유전자를 탐색함으로써 병원성 유전자를 규명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IVET vector인 pSG3를 이용하여 V. vulnificus에 적용될 수 있는 IVET system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숙주내에서 발현이 유도되는 유전자에 reporter 유전자가 삽입된 184개의 균체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개체들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병원성 인자로 추정되는 11개의 유전자를 선별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병원성 기작 연구를 위하여, 선별된 11개의 유전자 중에서 VV20781과 VV21007로 명명된 두 개의 유전자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돌연변이를 일으켰다. 이 돌연변이체는 정상 개체보다 cytotoxicity와 biofilm 형성 능력이 저하되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V. vulnificus의 병원성 기작에 있어서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중이다. Vibrio vulnificus is an opportunistic pathogen causing a septicemia in human. To identify genes associated with its pathogenicity, I employed the in vivo expression technology (IVET) to identify bacterial genes which express specifically in host but not significantly in vitro. I constructed the library of V. vulnificus MO6-24/O cells carrying random lacZ-fusions in the genome using an IVET vector, pSG3, which is a suicide vector containing promoterless-aph and -lacZ as reporter genes. A total of ∼18,000 resulting library clones was subjected into BALB/c mice intraperitoneally at CFU of 1.6×10^(6). Two hours after infection, kanamycin was treated at 200㎍ per gram of mice weight. Then I recovered survived clones from liver and spleen of the treated mice after visible signs of illness. The recovered cells were re-infected into the second sets of mice and the selection was repeated. Among 1,647 clones recovered, 184 clones were primarily selected, which showed no significant level of β-galactosidase activities in vitro. DNA nucleotide sequences of the selected clones were determined and we identified 11 different candidates which expressed only in host and, among them, I selected VV20781 and VV21007 genes to investigate roles in virulence of the pathogen. The mutants with lesions in these genes did not show a difference in growth rates but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cytotoxicity and biofilm formation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