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혼커플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만족도 사이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박효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이성교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인초기 미혼남녀에게 효과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개인 내적요인인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만족도 사이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상담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커플 128쌍, 총 256명의 현재 이성교제 중인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와 이성관계만족도 척도,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성교제 상호역동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APIM(Actor - Partner Interdependent Model) 분석방법으로 Mplus 7.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기타 통계 검증은 SPS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평균을 확인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정서표현 양가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성관계만족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내현적 자기애가 자신의 이성관계만족도에 부적영향을 미쳐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남자의 내현적 자기애는 여자의 이성관계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상대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여자의 내현적 자기애는 남자의 이성관계만족도에 부적상관을 미쳐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표현 양가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내현적 자기애가 자신의 정서표현 양가성에 정적영향을 미쳐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남녀 모두 내현적 자기애가 이성의 정서표현 양가성에 상관을 미치지 않아 상대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표현 양가성을 통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확인한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과 이성관계만족도 사이에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아 간접효과를 확인 할 수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만족도 사이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개인 내적요인인 내현적 자기애가 자신의 이성관계만족도 뿐만 아니라 이성의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성교제 중인 미혼남녀의 상담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한국인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혈관 합병증과 알도스 환원 효소 유전자의 다형성

        박효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당뇨병성 망막증과 신증은 당뇨병 환자의 흔한 만성 합병증의 하나로 당뇨병의 주된 이환율과 사망률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의 발생에 중요한 위험인자로는 당뇨병의 유병 기간과 혈당 조절의 정도가 보고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이것 이외에도 유전적 요인들이 관여한다는 여러 가지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소르비톨 경로(sorbitol pathway)가 당뇨병성 미세혈관 합병증 발생에 관여할 것이라는 개념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이경로에 중요한 반응 제한 효소가 알도스 환원 효소(aldose reductase)로이 효소의 유전자는 18 kilobase (kb) deoxyribonucleic acid (DNA)로 7번 염색체 장완 35(7q35)에 위치하며 10개의 ex on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유전자 전사 시작 부위에서 5 쪽으로 2.1 kb 떨어진 부위에 AC dinucleotide가 반복되는 부위가 존재하고 이런 다형성과 당뇨병성 신증 및 망막증과의 상관 관계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제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성 신증과 망막증의 발생과 aldose reductase 유전자의 다형성과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신촌 세브란스 병원 당뇨 센터에 입원 또는 외래 추적중인 환자로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정한 제 2형 당뇨병 기준에 합당하고, 발병이 30세 이후이며 케톤산증의 병력이 없으며 환자들간에는 혈연 관계가 없는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상인에서 알도스 환원효소 유전자의 다형성 분포를 보기 위해 선정된 정상 대조군은 당뇨병의 가족력이 없는 정상인 5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2.당뇨병성 신증과 망막증의 잠재적인 위험(risk) 대립유전자(allele)로 알려진 Z-2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합병증이 없는 군과 당뇨병성 신증군, 그리고 당뇨병성 망막증군에서 각각 25%, 32.2%, 34.1%로 나왔으나 세 군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3.당뇨병성 미세혈관 합병증의 잠재적인 방어(protective) 대립유전자로 알려진 Z+2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23.6%,16.6%,23.1%이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성 미세혈관 합병증과 알도스 환원 효소 유전자의 다형성과의 상관 관계를 밝힐 수 없었으나 아마도 인종적인 차이와 알도스 환원 효소 유전자의 다형성이외의 다른 유전적인 요인들이 관련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미세혈관 합병증에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Recent studies suggest that the gene encoding aldose reductase, the enzyme that converts glucose to sorbitol, may confer susceptibility to microvascular diseas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dose reductase gene and Korean type II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s such as diabetic nephropathy and diabetic retinopathy, DNA from 127 Korea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and 51 normal healthy control people were types for an (AC)n dinucleotide repeat polymorphic marker in the 5'-region of the Aldose reductase gene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e putative risk allele Z-2 was found in patients with nephropathy group and retinopathy group compared with uncomplicated group.(32.2%, 34.1% vs 25.1%, respectively, X^(2)=, p>0.05) ; similarly no difference among the study groups was found for the frequency of the putative protective allele Z+2.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study in Korean type II diabetes do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5'-Aldose reductase polymorphism in the Aldose reductase gene contributes to susceptibility to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s

      •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이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박효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e line data for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elief of early childhood teacher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 on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To do that, the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belief of early childhood teacher, the difference in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belief and the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and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al belief on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1~2 year infant class and 3~5 year children class in the daycare center and the kindergarten in G City and P City in Gyeonggi-do. For the tool of teacher's educational belief, the scale for teacher's educational belief type analysis developed by Mun Mi-Ok (1993) was used. To measure the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 developed by Kim Yeon-Ha (2007) was used.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program and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general tren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nd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 the maturational educational belief was shown the highest followed by the interactional educational belief and behavioral educational belief in order. For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the use of the positive reaction strategy was shown the highest. Second, in the difference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maturational educational belief did not show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al level, career, marital status of the teacher and the age of children in charge. The behavioral educational belief did not show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in charge but show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al level, career and marital status. The behavioral educational belief was shown high in the teachers of 20s, under the college graduates of 2~ 3 year system, less than 5 years of career and unmarried. The interactional educational belief did not show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of the teacher and the age of children in charge. Third, for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it did not show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of the teacher and the age of children in charge but showed high difference in the teachers having career more than 10 years. Out of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I show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areer, and was high in the teachers having career more than 10 years. Out of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II(clear daily work plan and positive behavior inducement) show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in charge, and it was high in the teachers of children class and career more than 10 years. Out of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positive reaction strategy did not show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ll the age, educational level, career, marital status of the teacher and the age of children in charge. Out of the misbehavior guidance strategi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positive reaction strategy did not show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ll the age, educational level, career and the marital status, and the negative reaction strategy was shown high in the teachers of 40s, educational level of college graduates of 2~3 year system or under and the married teachers having more than 10 years of career. Fourth, the high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the educational belief and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e teachers having high maturational educational belief and interactional educational belief, the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I was shown high. The teachers having high maturational educational belief and interactional educational belief used the positive reaction strategy high and the higher the behavioral educational belief, higher they used the negative reaction strategy. Fifth, the educational belief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represented to have high level of influence on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For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ies, all the maturational educational belief, the behavioral educational belief and the interactional educational belief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ies and the maturational educational belief have the highest influence on the positive prevention strategyⅠ. It was shown that the educational belief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has high influence on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y. It was shown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three misbehavior guidance strategies, and the maturational belief has highest influence on the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I out of the children's misbehavior guidance strategies.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이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에 따른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육신념의 차이,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의 차이,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상관관계,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이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G시, P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만 1세∼2세 영아반 교사와 만 3세∼5세 유아반을 담당하는 영유아 교사 220명이다. 교사의 교육신념 도구는 문미옥(1993)이 개발한 교사의 교육신념 유형분석을 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문제행동지도전략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연하(2007)가 개발한 유아용 문제행동지도전략 척도-교사용(TSQ)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 산출, 일원변량분석(ANOVA), Scheffe 사후검증, Pearson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 본 결과,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은 성숙주의 신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상호작용주의 신념, 행동주의 신념 순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은 긍정적 반응전략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육신념의 차이에서 성숙주의 신념은 교사의 연령, 최종학력, 경력, 결혼여부, 담당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행동주의 신념은 담당연령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은 20대, 학력은 2∼3년제 대학졸업 이하, 경력은 5년 미만, 미혼이 높게 나타났다. 상호작용주의 신념은 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결혼여부, 담당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은 교사의 연령, 최종학력, 결혼여부, 담당연령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경력에서는 10년 이상이 높게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 중 긍정적 예방전략Ⅰ(환경재배치 및 긍정적 행동유도)은 경력에 따라 차이가 났는데, 10년 이상의 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 중 긍정적 예방전략Ⅱ(명확한 일과계획 및 기대수준)는 담당연령에 따라 차이가 났는데, 유아반 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 중 긍정적 반응전략은 교사의 연령, 최종학력, 경력, 결혼여부, 담당연령에 따른 차이가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 중 부정적 반응전략은 교사의 연령, 최종학력, 경력, 결혼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연령은 40대, 최종학력은 2∼3년제 대학졸업 이하, 경력은 10년 이상의 기혼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성숙주의 신념과 상호작용주의 신념이 높은 교사가 긍정적 예방전략Ⅰ(환경재배치 및 긍정적 행도유도)이 높게 나타났다. 성숙주의신념과 상호작용주의 신념이 높은 교사가 긍정적 반응전략이 높고, 행동주의 신념이 높을수록 부정적 반응전략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은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이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성숙주의 신념, 행동주의 신념, 상호작용주의 신념 모두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유의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성숙주의 신념이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 중 긍정적 예방전략Ⅰ(환경재배치 및 긍정적 행동유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육신념이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향후 영유아교사의 효과적인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지원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엽채류와 엽경채류 중 경엽 살포 농약의 잔류에 미치는 요인 구명

        박효경 충북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pesticides in time-dependent manner in leaf and stalk/stem vegetable with various surface properties and elucid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idue of foliar applied pesticides in the test vegetables on the harvest day. Eleven test pesticides including cyazofamid were foliar applied according to their pre-harvest intervals onto young Chinese cabbage, perilla leaf, shallot, spinach and water dropwort under greenhouse conditions at major production provinces of each test crop. Application frequencies of the test pesticides were two times for insecticides and three times for fungicides. Samples were collected on the 0, 3, 7, 14 day after spraying the pesticides and then the pesticide residues in the collecte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established methods. The limits of quantitation of the test pesticides ranged from 0.002 to 0.05 mg/kg and correlation coefficient (r2) of calibration curves showed excellent linearity with 0.9946-1.000. Recoveries of the pesticides in the crops were 70.9-116.1% and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were less than 10.1% when the same pesticide were sprayed onto each crop, the residual amou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crops (p<0.05). Based on median value, the residue in perilla leaf was highest among the test crops and that in shallot was lowest among them.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residual amounts were affected depending on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crops which were easy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crop. The biological half-lives of residual pesticides in perilla leaf were longest among the test crops and those in spinach were shortest among the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hemical property and initial residue of pesticides, it was found that both Log P and vapor pressure had a significantly lower correlation with initial residue (p<0.05). The chemical properties of pesticides did not affect to the residual amount of crops because of the effect of photolysis, hydrolysis, crop growth and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crops during the field trials. The initial deposit amount of pesticides in the test crops showed different trends for each crop. The initial attachment rates in this study were in the order of perilla leaf, spinach, water dropwort, young Chinese cabbage, and shallot, based on median value in box plot. The initial concentrations found to be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achment rate (p<0.05). Therefore, attachment rates were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for determining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pesticides in crops. Because the end point for evaluating the pesticide residue in crop was to be the residual concentration on the harvest da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survey correlation between the residual amounts and each variable. Also,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influence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on residue on the harvest day. As a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initial residue, persistence, attachment rate, and half-life were all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due on harvest day (p<0.05) and among above factors, the initial residue found to be the strongest correlation. As a resul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correlation coefficient showed a high explanation ability of 0.913, and initial residue was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residue on harvest day.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β value) of persistence was 0.313, which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sidue on harvest day and half-lif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initial residue has the strongest effect on residue on the harvest day and half-life has a negative effect. However, the major factor that determines initial residue is attachment rate and attachment rate affects persistence and half-life. Therefore, all of these variables, such as initail residue, attachment rate, persistence, and half-life, were the major factors that determine residue on the harvest day. Each variable has a close correlation, and all of it is thought to be due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rops. 이 연구는 다양한 표면 특성을 갖는 엽채류와 엽경채류 중 농약의 경시적 잔류 특성과 시험 작물에 경엽 살포한 농약의 수확일의 잔류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Cyazofamid 등 11종 시험 농약을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주산시 시설재배지에서 생육 중인 엇갈이 배추, 들깻잎, 쪽파, 시금치 및 미나리에 경엽 살포하였다. 시험 농약은 살충제는 2회, 살균제는 3회 살포하였다. 또한 시료는 약제 살포 후 0, 3, 7, 14일차에 채취하였으며, 시료 중 농약 잔류량은 확립한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시험 농약의 정량한계는 0.002-0.05 mg/kg이었으며, 검량선의 r2는 0.9946-1.000으로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다. 잔류농약 분석법의 회수율은 70.9-116.1%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모두 10.1% 이하이었다. 같은 농약을 각 시험 작물에 살포하였을 때 시험 작물 중 농약의 잔류량은 작물에 따라 모두 다르게 나타났으며(p<0.05), 중앙값을 기준으로 들깻잎의 잔류량이 가장 높았고 쪽파의 잔류량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는 농약 부착이 수월한 작물의 표면 특성이 잔류량에 기여 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작물 중 시험 농약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들깻잎이 가장 길었으며, 시금치가 가장 짧은 경향을 보였다.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과 농약의 초기 잔류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Log P와 증기압은 모두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는 포장 시험 과정에서 광분해와 가수분해 등의 영향이 존재하고 작물마다 생육과 표면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농약의 화학적 특성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시험 작물 중 농약의 초기 부착량은 작물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의 초기 부착율은 box plot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들깻잎, 시금치, 미나리, 엇갈이 배추, 쪽파 순이었다. 농약의 초기 잔류량은 부착율과 큰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p<0.05) 작물 중 농약의 잔류 특성을 구명하는데 초기 부착율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되었다. 작물 중 농약의 잔류량을 평가하는 end point는 수확일의 잔류량이기 때문에 잔류량과 각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독립변수가 수확일의 잔류량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기 잔류량, 잔존율, 부착율 및 반감기 모두 수확일의 잔류량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5), 초기 잔류량이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수정된 결정계수는 0.913으로 높은 유의성이 확보되었으며, 초기 잔류량이 수확일의 잔류량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존율의 표준화 계수 β값은 0.313으로 정적인 영향력을 미쳤으며, 반감기의 경우 부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잔류량이 수확일의 잔류량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며, 반감기는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통계 결과가 도출되었다. 하지만 초기 잔류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부착율이며, 부착율은 잔존율과 반감기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초기잔류량, 부착율, 잔존율 및 반감기는 수확일의 잔류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라고 판단되었다. 각 변수들은 유기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작물의 형태적 특성에 기인한다고 판단되었다.

      • 유아교사의 교권인식과 유아권리인식이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박효경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tendencies and rela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s right,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and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 We also exmined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right and children’s right on their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tend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s’s right,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and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s right,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and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s right and children’s right on their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 The subjects were 33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for young children aged 3 to 5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To measu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s right, this study applied the tool developed by Cho (2005)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Yang (2011) to suit early childhood teachers. To measu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s right, based on the questions developed by Hart and Zeidner (1993), the tool developed by Lee Jae-yeon and Kang (1997)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Lee (2018). To measu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 this study applied the tool developed by Kim (2009)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2014) to suit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For the reliability examination of the measurement tools, Cronbach's coefficient were calculated.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study issues,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s right,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and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 were somewhat in a level somewhat higher than a middle one.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ption of teacher’s right and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That 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higher levels of perception of teacher’s right and mor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showed higher level in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 Third, both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s right and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 Given the result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s right and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have close relations with and gave direct influence on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 In order to achieve the high-quality level of respect for early childhood righ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ect for rights should be practiced to promote the best interests of infants based on perception of teacher’s right and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To this end, it is expected that various human and environmental support will be provided to develop perception of teacher’s right and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that affect the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권인식과 유아권리인식 및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경향과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교권인식과 유아권리인식이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교권인식과 유아권리인식 및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교권인식과 유아권리인식 및 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교권인식과 유아권리인식이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3-5세 유아 담임교사 335명이었다. 유아교사의 교권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조수현(2005)이 개발하고 양다경(2011)이 유아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했다. 유아권리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Hart와 Zeidner(1993)가 개발한 문항을 기초로 이재연과 강성희(1997)가 개발하고 이서연(2018)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했다. 유아권리존중 실행을 측정하기 위해 김진숙(2009)이 개발하고 김정화(2014)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해 분석했다.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계수를 산출했다. 또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기초통계분석과 Pearson의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권인식은 중간 수준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권인식과 유아권리인식이 높을수록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권인식과 유아권리인식의 전체와 일부 하위요인이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한 영향을 미친 하위요인은 교권인식 중 교권에 대한 이해와 유아권리인식 중 생존권, 보호권, 참여권이었다. 이는 유아교사의 높은 교권인식과 유아권리인식이 유아권리존중 실행 수준을 높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교권인식과 유아권리인식은 유아권리존중 실행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권인식과 유아권리인식에 기반하여, 유아 최선의 이익이 도모되도록 권리존중을 실천해야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교권인식과 유아권리인식을 발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인적·환경적 지원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바이오 벤처기업의 환경 불확실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경쟁전략 및 비즈니스모델의 연속다중매개효과

        박효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on business performance of bio venture companies and to examine the successiv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competitive strategies and business models.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is. First, in Hypothesis 1, market uncertainty, management uncertainty, and technological uncertainty, which are environmental uncertainties, have an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in Hypothesis 2, only management uncertainty among environmental uncertainties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competitive strategies. It was found that market uncertainty and technology uncertain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Third, in Hypothesis 3, environmental uncertainty does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business models. Although technological uncertainty had a direc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e business mode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indirect effect through the business model. Fourth, in Hypothesis 4,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environmental uncertainty of bio venture companies affects business performance by sequentially mediating competitive strategy and business mode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continuous multiple mediation effect.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specific indirect effects using phantom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management uncertainty indirectly affects management performance by mediating competitive strategies and business models sequentiall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echnological uncertainty indirectly affects business performance by mediated only by the business model. 본 연구는 바이오 벤처기업의 환경 불확실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사이에서 경쟁전략과 비즈니스모델의 연속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가설 1에서 환경 불확실성에 속하는 시장 불확실성, 경영 불확실성, 기술 불확실성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경영 불확실성과 기술 불확실성만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2에서 환경 불확실성 중 경영 불확실성만이 경쟁전략을 통해 경영성과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불확실성과 기술 불확실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뿐더러,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3에서 환경 불확실성은 비즈니스모델을 통해 경영성과에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불확실성은 비즈니스모델을 통해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했으나, 비즈니스모델을 통한 간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 4에서 바이오 벤처기업의 환경 불확실성이 경쟁전략과 비즈니스모델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연속다중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팬텀변수를 활용하여 특정간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경영 불확실성이 경쟁전략과 비즈니스모델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경영성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술 불확실성은 비즈니스모델만을 매개하여 경영성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