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조(時調) 교육(敎育)에서 시어(詩語)의 의미(意味) 파악(把握)에 대한 연구(硏究) - 「동창(東窓)이 □갓□냐」와 「백설(白雪)이 □자진 골에」를 중심으로 -

        박인희 ( Park In-hee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1

        本稿에서는 敎科書에 실렸던 두 작품을 통해 時調 敎育에서 詩語의 意味를 정확히 把握하는 작업이 必要하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論議를 통해 「東窓이 □갓□냐」의 ‘쇼 칠’은 ‘쇠죽을 쑬/쒀야 할’로 이해해야 하며, 「白雪이 □자진 골에」의 ‘白雪’은 ‘奸臣’으로, ‘□자진’은 ‘거세어진’으로 이해해야 함을 확인했다. 時調 敎育에서 詩語의 意味 把握을 정확히 해야 하는 理由는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정확하지 않은 詩語의 意味가 敎育을 통해 社會的으로 公認되어 再生産된다는 점이다. 둘째는 學習者들에게 合理的 說明이 없이 詩語에 대한 理解를 强要한다는 점이다. 時調를 포함한 古典文學 敎育을 위해서는 作品의 正確한 理解가 先行되어야 한다. 그래야 作品을 통해 전달하려는 作家의 意圖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作品을 正確히 把握하려는 作業과 努力은 强調되어야 한다. Sijo is a Korean classical poetry genre and the works were written in old Hangeul. In that respect, it is important to exactly grasp the meaning of a poetic word for understanding Sijo. This paper examin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exact meaning of a poetic word in two Sijo works(「Dongchangi Balgatnanya[東窓이 □갓□냐]」, 「Baekseoli Jajajin gole[白雪이 □□진 골에]」). A poetic word, 'So Chil[소 칠]', in 「Dongchangi Balgatnanya」 has been understood as 'cattle-raising'. However, a review of an example in another work reveals that the exact meaning is 'having to make a gruel of beans and straw for cattle'. A poetic word, 'Baekseol[백설, white snow]', in 「Baekseoli Jajajin gole」 has been understood as 'a surviving retainer of Goryeo' or 'a loyal retainer'. However, the meaning conflicts with a poetic word, 'Maehwa[매화, apricot]' in the work, in the seasonal aspect. Therefore, the exact meaning is not 'a loyal retainer' but 'a treacherous subject'. Furthermore, 'Jajajin' in the work has been understood as 'melting away'. However, a review of an example in another work reveals that the exact meaning is 'blowing up'. Those two works have been in textbooks. However, instructors have let learners know the erroneous meanings of the poetic words until now. The learners had to memorize the meanings of the poetic words without any rational explanation. That situation occurred because there was not an in-depth discussion about poetic words and the meaning of a poetic word confirmed without any discussion was accepted by our society. Furthermore, reference manuals for Sijo have been explaining poetic words erroneously. On this accou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poetic word. When a poetic word without understanding the exact meaning becomes an object of education, learners have no choice but to understand the Sijo work with mis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poetic word. Furthermore, it is because, when erroneous contents become an object of education, consequently they will get official recognition. Sijo education is conducted in order to enable the learners to understand and enjoy Sijo. If so, for proper Sijo education, the education has to be conducted with understanding the exact meaning of a poetic word written in old Hangeul. That is up to professionals to do. In order to conduct Sijo education properly,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poetic word in Sijo.

      • KCI등재

        경덕왕대 향가 4수의 의미와 역할

        박인희 ( Park In-hee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8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2

        본고는 경덕왕 때 지어진 향가 <도솔가>, <제망매가>, <안민가>, <찬기파랑가>를 대상으로 하였다. <도솔가>는 『삼국유사』 감통편에 실렸고, <안민가>는 기이편에 실렸다. 두 노래는 편목의 성격에 부합하는 노래들이다. 그런데 <도솔가>는 <제망매가>와 같이 실려 있고, <안민가>는 <찬기파랑가>가 같이 실려 있다. 이전의 논의에서는 이 노래들이 작가인 월명사와 충담사를 중심으로 다루어졌었다. 본고에서는 작자보다는 <도솔가>와 <안민가>를 짓게 한 경덕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제망매가>와 <찬기파랑가>가 같이 다루어진 이유도 따져보았다. 경덕왕을 중심으로 볼 때 <도솔가>의 창작 동기인 ‘이일병현’은 내물왕계의 등장과 관련된 표현이라고 볼 수 있었다. 이를 고려할 때 <도솔가>는 내물왕계의 등장을 정치적 타협으로 무마시킨 결과로서 경덕왕이 신하들에게 보내는 정치적 메시지로 이해할 수 있었다. <안민가>는 혜공왕 출생담과 관련된 노래로서 경덕왕이 왕자, 신하들에게 전하는 메시지인데 나라가 태평하려면 신하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 노래였다. 그럼으로써 신하들을 권계하기 위함이었다. 일연이 <제망매가>와 <제망매가>가 지어진 이야기를 소개한 것은 <도솔가>가 지어진 이야기만으로는 감통편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이었다. 일연은 감통편 이야기로서 한계가 있는 <도솔가>가 지어진 이야기에 <제망매가>와 <제망매가>가 지어진 이야기를 소개하여 월명사의 신앙심을 보여주었다. 그럼으로써 ‘월명사도솔가’조를 감통편에 어울리는 이야기가 될 수 있었다. 경덕왕이 <찬기파랑가>를 언급한 것은 충담사에게 신하의 역할을 강조하는 <안민가>를 요구하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경덕왕은 <안민가>를 요구하기 전에 <찬기파랑가>를 언급함으로써 충담사에게 자신이 원하는 노래가 무엇인지를 간접적으로 표현한 것이었다. This paper reviews Hyangga works written in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 Dosolga >, < Jemangmaega >, < Anminga >, and < Changiparangga >. < Dosolga > and < Anminga > are songs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Pyeonmok that they are contained in. By the way, < Jemangmaega > and < Changiparangga > are contained together. In existing discussions, the works were understood with a focus on their relation with the authors, Wolmyeongsa and Chungdamsa, and the songs, introduced together, also were treated with a focus on the authors. This paper examines < Dosolga > and < Anminga > with a focus on King Gyeongdeok who made the two songs written, rather than on the authors, and, based on it, considers the reason why < Jemangmaega > and < Changiparangga > were introduced, as well. Based on King Gyeongdeok, ‘Iilbyeonghyeon(二日竝現, two suns appearing in the sky)’, the motivation for creating < Dosolga >, could be seen as an expression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the royal lineage of King Naemul. Considering that, < Dosolga > could be understood as a political message that King Gyeongdeok sent to his subjects, as a result of derailing the appearance of the royal lineage of King Naemul with a political compromise. < Anminga > that is a song related to the birth story of King Hyegong is a message that King Gyeongdeok sent to his princes and subjects and shows that subjects should play a large role in the country's peace. In doing so, he intented to admonish his subjects. Ilyeon introduced < Jemangmaega > because Wolmyeongsa made ‘Iilbyeonghyeon’ disappeared but the process of creating < Dosolga >, by itself, didn’t correspond to Gamtong-pyeon. He dealt with < Jemangmaega > because he could supplement the story, insufficient for Gamtong-pyeon, by showing Wolmyeongsa’s faith through introducing the story that < Jemangmaega > was written. King Gyeongdeok mentioned < Changiparangga > in order to expect < Anminga > stressing subjects’ role from Chungdamsa. Therefore, by mentioning < Changiparangga >, King Gyeongdeok indirectly expressed what he wanted a song to Chungdamsa.

      • KCI등재

        비행시험통제용 실시간 PCM 자료처리시스템 개발

        박인희,Park, In Hee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6

        비행시험에서 비행체의 경우 실시간으로 빠르게 이동하므로 비행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계측/측정장비들의 데이터는 비행시험통제시스템들에 필요한 형태로 처리되고 송신되는 것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통제컴퓨터 자료처리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원격측정자료 처리시간의 감소 및 처리 주기의 향상을 통하여 계측레이더/원격측정장비 연동자료 처리, 비행안전 판단시스템, 비상종료 송신시스템 등에 연동자료 및 안전판단 정보를 현재보다 빠르고 유연하게 제공하기 위해 현 운용중인 원격측정자료처리시스템의 PCM 데이터와 레이더 정보를 동시에 수신/처리할 수 있는 자료처리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독립 운용이 가능한 PCM 자료처리시스템 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시스템을 보완하여 개발된 PCM 자료처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부터 소프트웨어 기능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PCM 자료처리시스템은 시스템 안정화 및 시험운영을 통하여 점차 보완해 나갈 것이다. In flight tests, aircraft moves in real time, so it is important that data from instrumentation/measurement equipment used to determine aircraft status are processed in necessary form and transmitted to flight control systems in real time. Therefore, through telemetry data processing time reduction and processing cycle improvement in flight test control computer data processing system, in order to provide faster slave-data and safety judgment information to radar/telemetry slave-data processing, flight safety analysis system, emergency destruction transmission system, etc., we developed a PCM processing system that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by installing data processing software that can receive and process PCM data in current telemetry data processing system and radar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we explain classified software functions in detail, starting with overall structure of PCM data processing systems developed by supplementing existing systems. Additionally, PCM data processing system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system stabilization and test operation.

      • KCI등재

        간호교육에서 동료학습의 효과와 전략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박인희,홍정민,신수진,Park, In-Hee,Hong, Jeong Min,Shin, Sujin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16 의학교육논단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effective peer-assisted learning (PAL) for nursing students. This review examined studies on PAL in nursing education. The literature was searched using terms including 'nursing & peer assisted learning,' 'nursing & peer learning,' and 'nursing & peer teaching.' Potentially relevant research on PAL was identified, and 12 studies were determined to meet the inclusion criteria. This review includes five qualitative, three mixed-methods, and three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on the topic. In the studies reviewed, practicum classes were found to use PAL the most. Students of the same age were most commonly the subjects of PAL, as indicated in six papers. PAL has been suggested to affect participants' knowledge, self-efficacy, confidence, and anxiety.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teractions between peers promote learning and lead to mutually positive responses, which provide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Finally, students' learning outcomes improve and their confidence in their knowledge and skills increases as they experience the role of student nurs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AL can be utilized as an efficient learning method in nursing education programs. However, effective strategies for using PAL to achieve learning objectives and maximize learning outcomes are needed.

      • KCI등재

        『민옹전』에 등장하는 벽서(壁書)의 의미

        박인희 ( Park In-he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6 石堂論叢 Vol.0 No.66

        박지원의 「민옹전」에 등장하는 벽서는 작품의 앞부분에 등장하는 몇 줄 안 되는 짧은 내용이다. 그래서인지 「민옹전」을 다룬 기존의 연구에서 벽서를 중요하게 다룬 적은 없었다. 본고는 「민옹전」에서 벽서의 가치와 역할이 무엇인지 다루려고 한다. 박지원은 민유신을 죽는 날까지 포부를 잃지 않은 선비라고 했다. 박지원이 「민옹전」을 지은 이유는 이점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민옹전」의 내용에서 민유신의 이와 같은 면모는 민유신이 7살부터 70살이 될 때까지 매년 써 놓은 벽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민유신은 어려서부터 포부를 세워 실천했으며 나이가 들어서도 포부를 잃지 않았다. 민유신은 출사하지 못했지만 나이가 들어서도 자신의 포부를 저버리지 않았으며 실력을 닦는데 게으르지 않았다. 박지원이 민유신을 `죽는 날까지 포부를 가진 뜻 있는 선비`로서 평가하고 전을 지어 기린 것은 벽서를 통해 민유신이라는 인물을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벽서를 통해 양반으로서 공부하는 사람의 삶을 이해할 수 있다. 벽서를 통해 공부하는 자로서의 삶은 구체적 목표의 설정, 공부한것의 실천, 일정한 수준에 도달, 새로운 공부의 시작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완성되어 감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공부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태도가 무엇인지도 확인할 수 있다. 「민옹전」에 등장하는 박지원과 민유신의 교유 내용으로 민유신이라는 인물을 이해할 수도 있다. 하지만 벽서를 통해서 이해할 때 민유신이라는 인물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으며, 박지원이 그의 죽음을 애통해 하며 전을 지었던 것도 납득할 수 있게 된다. Minongjeon is a biography(Jeon, 傳) that Park Ji-won wrote in order to celebrate Min Yu-sin. A writing on the wall in Minongjeon appears in the first part of the work and has a short passage in a few lines. Therefore, the writing has not been dealt with, even though Minongjeon has been studied. This paper attempts to deal with the value and role of the writing on the wall in Minongjeon. Park Ji-won said that Min Yu-sin was a classical scholar having an ambition to his dying day. Therefore, Park Ji-won wrote Minongjeon. And such an aspect of Min Yu-sin is confirmed through the very writing on the wall. The writing introduced by Park Ji-won shows the trace of Min Yu-sin`s life. He practised as well as had an ambition from his early age and did not lost it in his old age. He was a poor aristocrat but had an ambition to enter government service by improving his ability for his country and the people. Unfortunately, he couldn`t enter government service but he never lost his ambition and was not lazy to improve his ability for the day that he didn`t know when. Such a life of Min Yu-sin is reflected in the writing on the wall. And therefore Park Ji-won appraised Min Yu-sin as `a meaningful classical scholar having an ambition to his dying day` and celebrated him by writing the biography after his death. Min Yu-sin`s life shows persons, forgetting their duties as an aristocrat, how to live and the writing on the wall convinces them of laziness. Furthermore, through the writing on the wall,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life of a studying person as an aristocrat in the Joseon period. The writing shows that the life of a studying person is fulfilled by going through a process consisting of beginning a study, setting a specific goal, practising the study, attaining a certain standard, and beginning another study. Through the writing,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in that process, the studying person must set a specific goal and be active and easy in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 writing on the wall in Minongjeon speaks for the life of Min Yu-sin who faithfully followed the typical life of a studying person in the Joseon period. It is also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 Min Yu-sin, through the social intercourse between him and Park Ji-won in Minongjeon. However, in the case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 Min Yu-sin, through the writing on the wall, it is possible to better understand that Park Ji-won wrote the biography in grief.

      • KCI등재후보

        고전소설의 영화화

        박인희(Park, In-h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3 No.2

        고전소설은 한국영화 초창기부터 고전소설은 영화화의 대상이었지만 지금까지 영화로 제작된 고전소설은 11편을 대상으로 한 52작품에 불과하다. 본고는 2000년 이후 제작된 사극영화와 영화화된 고전소설을 중심으로 고전소설의 영화화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2000년 이후 제작된 사극영화는 역사적 실재로부터 자유로워졌으며, 한 영화에서 다양한 장르적 속성이 발견되었다. 또한 관객들이 사극영화를 사극영화가 아닌 한 편의 영화로서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았다. 사극영화에 대한 이와 같은 인식의 변화는 고전소설을 영화화하는데 단서로 받아들여야만 한다. 2000년 이후 고전소설을 영화로 만든 작품들의 특징은 원작과 내용상의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다. 이는 관객들이 원작과 차이가 있는 영화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이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원작을 알고 있는 관객들에게 원작을 그대로 영화화해서 보여주기보다는 변용하여 원작과 구별되는 가치를 창조하는 것이 흥행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고전소설을 영화화하려면 원작의 가치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원작과 구별되는 모습을 영화가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람들이 아는 고전소설과 모르는 고전소설로 구분해서 영화화할 필요가 있다. 사람들이 아는 소설의 경우, 사람들은 소설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를 중심으로 영화를 이해하게 된다. 그러므로 감독은 원작과 구별되는 가치를 영화를 통해 생산해 낼 수 있어야 한다. 사람들이 모르는 고전소설의 경우, 영화로 인해 소설을 잘못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래서 고전소설이 원작임을 내세울 때는 영화화의 대상으로 갖는 한계를 영화적 상상력으로 극복함으로써 원작의 가치를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원작의 가치를 드러내는데 한계가 있다면 고전소설이 원작임을 내세우지 않고 영화의 소재로 활용함으로써 한 편의 영화로서 가치를 생산하는 방향으로 영화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원작의 가치와 영화의 가치를 살리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In the early days of Korean films, Korean classical novels were primary subjects to be made into films. Over time, however, it was growing less and less to make the classical novels into films. Up to date, only the 11 works of numerous Korean classical novels were made into film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eek ways to make Korean classical novels into films. For this, the author is to organ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novels made into films so far and try to find any characteristics of similarity in the historical films produced after 2000. The historical films produced after 2000 have some characteristics in common. They are not tied up with historical realities and we are able to find a various of properties of genre in each film. They have these likeness because audiences are able to accept a historical film as a film not as a historical film. Up to date, the classical novels made into films deal mainly with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and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Their spatial background is our country. Moreover, they are widely-read works by people. After 2000, there is a huge difference in the contents between the film versions of the classical novels and the original works. It is because audiences are able to accept a film differing from the original work. And it is also because a film shows its value differing from the original work’s. The problem is that people know only a few Korean classical novels. For that reason, there is a limit to what a film shows its value differing from the original work’s. In order to transfer a Korean classical novel to a film, it is required that the classical novels are classified into a novel known to people and a novel unknown to people. In the case of a novel known to people, they understand the film around their own information about the novel. Therefore, a directors should be able to produce the value through their film distinguished from the original work’s. In the case of a novel unknown to people, a directors should consider that people may misunderstand the novel’s contents due to the film. And their should be able to show the original’s value through them film because people have no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work. Or else, their should be able to produce the value through them film without colliding with the original’s. In order to vivify the values of both Korean classical novels and the films, the ways to make the classical novels into films should be sought in these viewpoints. In addition, the film version of a Korean classical novel may be positively used as the subject of a historical film in the boom of historical films.

      • KCI등재

        『삼국유사』 신주편 연구

        박인희 ( In Hee Park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2 石堂論叢 Vol.0 No.52

        『삼국유사』는 사학, 문학, 불교학에서 다각도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신주편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고의 목적은 신주편이 무엇을 다루고 있으며, 전하려는 바가 무엇인지 밝히려는 것이다. 『삼국유사』 신주편에는 세 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세 편의 이야기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었다. 세 이야기는 1) 승려가 주인공이며, 2) 타인의 요청으로, 3) 타인의 어려움을, 4) 불법으로 해결한 이야기라는 점이다. 신주편 세 이야기를 『삼국유사』 다른 편목의 이야기들과 비교했을 때 어려움을 불법으로 극복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신주편 세 이야기에는 불법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는 내용이 있었다. 즉 불법은 함부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 불법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수단이 아니라 불법을 따르는 삶을 살도록 만들기 위함이며, 불법은 대가를 지불하고 그 효험을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영험한 것이라는 사실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삼국유사』 신주편에서 다루려는 것은 불법이며, 불법이 지닌 영험함을 보여주려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세 편밖에 실리지 않은 것은 불법에 대한 그릇된 인식이 형성되는 것을 경계했기 때문이다. Studies on Samgukyusa have been progressed largely in the three fields of study, history, literature and Buddhism. Up to date, there have been hundreds of the research papers. However, there are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studies on Sinju-pyeon in Samgukyusa.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eal what Sinju-pyeon in Samgukyusa treats and tries to convey. There are three stories in Sinju-pyeon in Samgukyusa. A review of the three stories reveals the following things in common. They are stories that their main characters who are (1)monks solve (2)other people`s difficulties (3)from other people`s request (4)by the law of Buddha. The other people`s difficulties were knotty. Because they remained unresolved for long time or suddenly happened to someone. Nevertheless, they were solved by the law of Buddha. In the three stories in Sinju-pyeon, the law of Buddha conquers difficulties, which makes them especially distinguished from other stories. Although Samgukyusa might be regarded as a history book, it might be seen as a book collecting stories about Buddhism, too. By the way, the law of Buddha is Buddha`s teaching and one of the Three Treasures in Buddhism. In Samgukyusa, there are various of stories related to Buddhism. It seems that the law of Buddha should have been treated more importantly in Samgukyusa. Nevertheless, there are only the three stories. It can be seen that the reason is a special character of Buddhism. The key point of Buddhism is that people find enlightenment through cultivating their mind for themselves and renounce their earthly desires. In this process, the law of Buddha should help them to renounce their earthly desires. It must not be used as a means for solving individual difficulties. This is the reason that there are only the three stories in Sinju-pyeon in Samgukyusa although the law of Buddha is treated in it. Sinju-pyeon in Samgukyusa treats the law of Buddha and shows that there is no difficulties that cannot be solved by the law of Buddha. Nevertheless, there are only the three stories in i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reason is in order to show that the law of Buddha should not be used thoughtlessly for solving individuals` problems.

      • Q의 언어와 그 사회사적 지평: 종의 비유를 중심으로

        박인희(In Hee Park) 한국Q학회 2013 예수말씀연구 Vol.- No.1

        Q의 언어는 1세기 갈릴리 촌락민들의 삶의 흔적을 담아 그들이 당면한 현실의 문제들을 반영하고 있다. Q는 갈릴리 촌락민의 삶의 한가운데서 시작되었고 거기에는 예수로부터 촉발된 하나님 나라 운동에 동참한 Q의 담지자들의 세계와 자기에 대한 고유한 이해가 담겨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 글은 Q의 언어에 반영된 사회사적 차원, 특별히 Q의 종의 비유들(Q 12:42-46; 19:12-26)이 그려주는 갈릴리 촌락민들의 사회적 저항의 측면을 밝혀보고자 한다. 이것은 그간 Q 연구가 문서 재구성을 위한 문학양식 연구에 매몰되면서 그 담론의 담지자들을 주로 서기관들, 즉 유대전승이나 헬라적 지혜 전승과 결부된 서기관/촌락의 하급서기관 집단에 있다고 주장하고 그 근거로 Q의 종의 은유를 주장하는 연구들과는 대척점에서는 방식이라 하겠다. 불의한 종의 비유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약자들을 돌보고 먹이지 않는 지도층을 고 발하는 비판이라면, 달란트 비유는 도시엘리트들의 착취와 그들의 관행을 비판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Q의 메시지가 이 비유와는 상반된 가르침을 담고 있다는데 근거한다. Q의 메시지는 하나님과 맘몬을 동시에 섬길 수 없다고 분명히 가르친다.(Q 16,13) Q는 하나님의 자녀라는 자의식을 갖고 있는 공동체가 자비와 용서를 베풀 것을 주장하기에 이 비유에 사용된 종들은 Q의 자기이해를 표현하는 은유로서 사용된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오히려 Q에 나오는 종의 표상은 Q의 적대자들을 표현하는 데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당시 사회적 불의를 고발하기 위해 사용된 은유라 하겠다. Paying attention to the figurative languages of Q permits new possibilities for a more fruitful interpretation of diverse aspects of Q that go beyond reconstructing its literal content. The following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Q as a meaningful entity with essential metaphors which clarify its decisive traits beyond their literal meaning in regard to eschatological ethics and self understanding. In this respect, the terms "slaves" are significant. It has been regarded as common metaphors for the self-understanding of believers in NT domains. They, however, have different functions in Q. The metaphor of slave performs a role depicting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Q people. Perceiving Q as narrative allows the interpretation of the role of slaves in Q to offer insight into and an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Q. The slave metaphor in the parable of the "Unfaithful Slave" (Q 12:42-46) and "Entrusted Money" (Q 19:12-26) is employed in a distinct manner in Q. The parable of "Unfaithful Slave" (Q 12:42-46), as well as the term slave, is a metaphor criticizing the ruling groups, ultimately seeking to correct Jerusalem authorities and their representatives by appealing for them to be faithful as "slaves of God.", While the parable of "Entrusted Money" (Q 19:12-26) is used metaphorically to disclose the immoral nature of the opponents of Q, the city elites who exploit Galilean villagers. these parables and the metaphor of slave of Q can reveal the aloof and sarcastic attitude of resistance by the people of Q toward those who were inhumanely oppressing them.

      • KCI등재

        시조(時調)에 등장하는 우리나라 실존(實存) 인물(人物) 연구(硏究)

        박인희 ( Park In-hee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3

        본고의 目的은 우리나라 人物들이 등장하는 시조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살펴보려는 데 있다. 現傳하는 시조는 5,000여 편 중 우리나라 인물들이 등장하는 작품은 119수이다. 119수에 등장하는 인물은 104인데 이 중 79명은 누구인지 확인이 가능하며 나머지 25명은 확인하기가 어 렵다. 119수 중 作家를 알 수 있는 작품이 99수이고 無名氏 작품이 20 수이다. 작가를 알 수 있는 작품을 중심으로 볼 때 우리나라 인물이 등 장하는 시조는 16世紀 中盤부터 등장했으며, 時調 創作의 한 경향이라 고도 이해할 수 있다. 작가보다 前世代 인물들이 등장하는 시조는 그 人 物을 中心으로 작품을 理解해야 한다. 인물의 行蹟과 이미지의 影響 아 래 작품이 있기 때문이다. 작가와 同世代 인물들이 등장하는 작품은 작 가의 인물의 關係를 중심으로 이해해야 한다. 작품이 작가의 삶이나 心 境을 드러내는데 인물의 등장이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無名氏 작품에서 는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이해해야 하는 작품과 삶의 모습이 중심이어서 등장인물에 영향을 덜 받는 작품이 모두 존재하고 있다. This paper is aimed to examine how Korean characters of Sijo works are treated. In 5000 extant Sijo works, Korean characters appear in 103 works. 103 persons appear in the 103 works. In the case of 27 persons of them, we can grasp their achievements but can't identify who they are. In the case of 23 persons of them, we can identify only their statuses. In the 103 works, 83 authors have been known and the other 20 authors have not been known. In the case of works that we can recognize their authors, the works in which Korean characters appear emerged in the late 16th century. It can be understood as one trend of Sijo in the late Joseon period. In the case of characters' appearances who are previous generations compared with their authors, we should understand the Sijo works around the characters. The works unfold around the characters' achievements or images and thus they are some hints for understanding them. In the case of characters' appearances who are the same generations with their authors, we should understand the Sijo works around the authors' lives and hearts. In the works, the characters' achievements or images are not important. The characters just play an ancillary role in order to show the authors' lives and hearts. In the case of anonymous authors' works, there are both works that should be understood around their characters and works that their characters play an ancillary role.

      • KCI등재

        국내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 분석

        박인희 ( Park In-hee ),문다슬 ( Moon Daseul ),이재경 ( Lee Jae Kyung ),오인성 ( Oh Inseong ),정혜주 ( Chung Haejoo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0 사회보장연구 Vol.36 No.4

        초기아동발달기의 산모와 아동의 경험은 출생 이후 발달과 건강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정한 개입이 필요하며, 이런 의미에서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는 모든 아동의 건강한 출발과 성장을 보호·증진하기 위해 개입하는 필수적인 제도이다. 이를 개별적으로 다룬 연구는 있었으나 이용자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 전반을 분석하여 그 현황과 한계를 파악하고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단위에서 시행되는 국내 24개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생애주기와 대상의 필요 정도(intensity)에 따라 분류하고, 각 사업의 지원대상, 급여방식, 지원시기, 담당기관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는 첫째, 이용자의 신청에 기반하고, 둘째, 비용 지원이 대부분으로 서비스 지원이 부족하며, 셋째, 전문적인 필요에 대응하는 지원이 부족하며, 넷째, 지원기간이 출산 전후에 집중되어 있으며, 다섯째, 사업들이 분절적으로 시행되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산모·영유아 건강관리 지원제도는 생애주기에 따른 시간 차원의 연계성, 커뮤니티케어를 통한 장소 차원의 연계성, 필요 정도에 따른 사업 간 서비스 차원의 연계성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이러한 통합과 연계가 원활히 작동하기 위하여 ‘건강 우선 정책(HiAP)’ 관점의 다부문 협력 체계가 기반이 되어야 할 것이다. Proper interventions in the phase of early child development is necessary since the experience of mothers and children in the period can affect the development and health of children over time.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services provided during early child development are essential to protect and promote a healthy start and growth of all children.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that comprehensively analyzed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services in South Korea despite a few studies that examined individual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ll of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services in South Korea synthetically to identify their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This study classified the 24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life course and the intensity of needs. We analyzed the programs based on the intended subjects, benefit types, timing of support, and agencies in charge of each program, etc. Identified limitations of current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services are as follow: First, it i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users (opt-in). Second, the ‘in-cash’ benefit type constitutes most of the programs and the ‘in-services’ type is relatively scarce. Third, the ‘indicated support’ programs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additional needs are insufficient. Fourth, the life-course coverage range is restricted to only before and after the childbirth. Finally, there is a lack of connectivities and integrations. For the better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for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ime- (life-course), place- (care in community), and services- (by intensity of needs) level integration should be considered. Furthermore, to ensure that these links work smoothly, the services should be based on the intersectoral cooperation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Health in all policy (Hi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