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일련의 가야금독주곡 "가야금과 장구, 징을 위한 <무:巫>" 분석연구

        박이슬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정일련 작곡가는 해외거주 한인임에도 불구하고 모국의 소리에 큰 관심을 갖고 자신의 음악에 관한 정체성을 표현한 작곡가이다. 그는 서양음악을 전공한 자신의 음악적 성향을 바탕으로 모국인 한국전통음악에서 나타난 소리의 특성을 현대적으로 이해하고 재구성 하는 과정을 거쳐 작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일련의 가야금독주곡 <가야금과 장구, 징을 위한 “무:巫”> 곡에 대해서 선율, 리듬, 연주기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정일련 작곡가가 성금연류 가야금산조를 듣고 영감을 받아 처음 작곡하게 된 이 곡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율의 진행이 순차적 진행보다 도약적 진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가야금 현에서 저음부에 해당하는 제 1현, 2현, 3현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선율, 리듬, 셈여림에 있어서 음렬주의적인 기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12현의 모든 음을 특정한 반복이 없이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리듬구조도 같은 박 안에서 다양한 변형을 주고 있으며 셈여림 또한 다양하게 표기하고 있다. 셋째, 특수한 리듬구조의 패턴이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반복된다. 이것이 바로 ‘12(6)박 ? 12(6)박 ? 12(6)박 ? 14(7)박 ? 14(7)박 ? 17(8.5)박 ? 19(9.5)박 ? 20(10)박’의 패턴이다. 다스름에 해당하는 무장단(1마디부터 21마디)을 제외한 22부터 216마디까지 모두 이 패턴 안에서 선율 및 리듬유형이 변화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다. 넷째, 리듬효과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음색선율기법 (Klangfarbenmelodie)을 사용하였다. 가야금은 전통음악에서 선율악기로써의 역할을 갖는 악기임에도 불구하고 이 곡에서는 부분적으로 장구와 함께 대칭되는 타악기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다섯째, 연주기법이 전통음악에서 사용되는 주법을 토대로 변형, 발전된 형태들이 많이 보인다. 도약진행과 빠른 템포에서 이루어지는 연속된 연주기법들은 상대적으로 전통음악의 연주기법보다 다소 어려움과 난해함을 보일 수 있지만 이러한 연주기법들이 국악기의 새로운 도전과 다양한 연주기법의 구현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당히 의미 있고 신선한 시도이다. 작곡가 정일련은 독일에서 서양음악을 전공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게 주는 심미적인 원천은 그의 모국인 한국의 전통음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이 곡은 비록 타국이라는 한계성으로 인해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지만 세계 보편적 소리로 재구성되어 창작되어진 곡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 배우의 신체 훈련을 통한 장면 창조 연구 : 그로토프스키, 미카엘 체홉, 박탄고프, 우타하겐을 중심으로

        박이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the scenes through training processes in Grotowski, Michael Chekhov, Vakthangov, and Uta Hagen with the specific methods of role creation utilizing an actor’s body and to check the actual effect of role creation and the effectiveness on various training methodologies. The contemporary plays continue attempts to knock down the boundaries of play in combination with various fields to expand to get out of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on of texts. For the birth of a creative actor for the flow of play, it is necessary to rediscover the actor’s body and explore it as a new style to call ‘the being’ on stage. The methodologies by Jerzy Grotowski, Michael Chekhov, Vakthangov, and Uta Hagen discussed in this study propose specific methodologies for actor training and focus on drawing psycho-physical behaviors. For a smooth understanding of them, this study would explore the formation process, main concepts, and practical training methods of each methodology and create roles through each of the training. Based on this, this study would create each scene to bind them as Experiment Gaze Ver. 4, check its effectiveness through a survey with an audience and promote the value of research based on the experimenters’ training methods and interviews. In the experiment, the actors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became experimenters while training themselves according to each actor’s role. The scope set up by the author includes the concepts for training the actor's body as follows: Grotowski’s sacred actor through Via Negativa and Actuant (actor) in art as a means of delivery, Michael Chekhov’s creation and discovery of psychological gestures through imagination and image, Vakthangov’s grotesque acting in fantastic realism and narrative attitude, the representative element of his thought, and lastly, Uta Hagen’s memory of emotions, outdoor training, and conditional facto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t was conducted through all processes from theory research through the selection and conception of works and training process to practice and performance, and the practice logs, training materials, and observation contents of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as actors, and experimental results through an audience survey were used as research materials. In addition, in scene creation through training, this study would contain contemporariness by concretizing the scene from the eye of the present beyond simply following the theories. From a lot of preceding studies, the present studies of actor training are predominantly in an experimentation form through one methodology. However, this study would check the effectiveness of grafting more than one training and reveal the specific methods for complementary parts between methodologies. In other words, in the researcher’s opinion on actor training, a contemporary methodology is needed for the birth of a new actor. The contemporary methodology here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actors and acting training find their methodologies and create training methods and routines in an active and creative collaborative relationship, instead of something epoch-making and special coming from another dimension.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of multifaceted acting and physical training methods based on the self-awareness about the body with which the actor himself appears on the stage while there have been sufficient discussions on the methodologies for the actor. The form of training of acting should, most of all, be diverse and focus on the ‘process.’ If it is possible to graft various methods with a more comprehensive form of training, like an actor finds and wears his clothes himself, it would be possible to lead to a new paradigm by transforming and combining each methodology. In this sense, this study would ask for the actor’s active and spontaneous attitudes, proposing various methods for physical training of actors and help as an effective solution for the need for a flexible body and the extension of its scope. 본 연구는 배우의 신체 훈련을 통한 장면 창조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그로토프스키, 미카엘 체홉, 박탄고프, 우타하겐의 훈련 과정을 통해 장면을 구축해보고 역할 창조의 실제적 효과와 다양한 훈련 방법론에 대한 효용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둔다. 동시대 연극은 텍스트의 재현이라는 한계에서 벗어나고자 다양한 분야와의 결합으로 연극의 경계를 허물고 확장하고자 하는 시도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연극의 흐름에 걸맞는 창조적 배우의 탄생을 위해 배우의 신체를 재발견하고 무대 위의 ‘현존’ 을 불러오기 위한 새로운 양식으로서 탐구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 논의하는 그로토프스키, 미카엘 체홉, 박탄고프, 우타하겐의 방법론은 배우 훈련에 대한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며 각각의 시선을 통해 심리-신체적 행동 도출에 초점을 맞춘다. 이의 원활한 이해를 위해 각 방법론의 형성 과정과 주요 개념, 실제적 훈련 방법을 탐구하며 각 훈련을 통해 역할을 창조한다. 이를 기반으로 장면을 만들어 실험 < 시선ver.4 >으로 엮었으며 관객의 설문을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고 실험자들의 훈련 방법과 인터뷰를 기반으로 연구의 가치를 재고했다. 실험은 공연에 참여하는 배우들이 실험자가 되어 각자의 역할을 기반으로 훈련하며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범위는 배우의 신체 훈련을 위한 개념들이며 다음과 같다. 그로토프스키의 부정의 길을 통한 성스러운 배우와 운반수단으로서의 예술에서의 악튀앙(행동하는 사람), 미카엘 체홉의 상상과 이미지를 통한 역할 창조와 심리제스처의 발견, 박탄고프의 환상적 사실주의에서의 그로테스크 연기와 그의 사조의 대표적 요소인 서사적 에튜드. 마지막으로 우타 하겐의 감정기억법과 야외 훈련, 조건요소들이 그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이론연구에서부터 작품 선정과 구상, 훈련 과정, 연습과 공연까지 모든 과정을 통하여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자와 배우로 참여한 실험자들의 연습일지와 훈련 자료, 관찰 내용, 관객의 설문을 통한 실험 결과들이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또한, 훈련을 통한 장면 창조에 있어서는 단지 이론을 답습하는 것을 넘어 현재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장면을 구체화함으로써 동시대성을 담고자 했다. 선행되어진 많은 연구들로 미루어볼 때 현재의 배우 훈련에 대한 연구는 한 가지의 방법론을 통한 실험의 형태가 지배적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하나 이상의 훈련을 접목하는 것의 효용성 확인과 각 방법론 간의 상호 보완적인 부분의 구체적 방법을 밝히고자 한다. 다시 말해 새로운 배우의 탄생을 위한 동시대의 방법론이 필요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동시대의 방법론은 다른 차원에서 오는 특별한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창조적 협업 관계로서 자신만의 방법론을 찾아 훈련 방법과 루틴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는 배우를 위한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배우 스스로 어떤 신체로서 무대에 설 것인가에 대한 자각을 기반으로 다각적인 연기, 신체 훈련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연기를 훈련하는 형태는 무엇보다 다양해야 하며 그 ‘과정’에 초점을 이루어야 한다. 더 포괄적인 형태의 훈련으로 배우가 스스로 본인의 옷을 찾아 입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을 접목할 수 있다면 각각의 방법론을 변형하고 결합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체 훈련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여 배우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태도를 요구하고 유연한 신체에 대한 필요성과 그 범위의 확장에 효과적인 대안으로서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체르니 30 Etudes de Mecanisme op.849와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 연주기법에 대한 연관성 연구

        박이슬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체르니는 베토벤과의 사제관계였기 때문에 스승인 베토벤의 작품을 자연스럽게 익히고 공부할 수 있었다. 그래서 체르니는 베토벤의 피아노 작품을 연주하기 위해 꼭 필요한 어려운 테크닉들을 마스터할 수 있게 하려고 ‘피아노 연습곡’을 작곡하였다. 이 연습곡들의 핵심은 악곡 안에 아름다운 음악적인 표현을 가지고 있으면서, 단순히 테크닉을 발전시키기 위한 주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체르니 연습곡은 베토벤의 피아노 음악을 자유롭게 쳐낼 수 있는 능력을 익힐 수 있게 도와주는 연주기교의 기초 훈련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체르니와 베토벤의 사제지간의 인연은 체르니 연습곡 까지도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체르니의 많은 연습곡들 중 중급정도의 수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체르니 30번의 연습곡으로 교재를 선택하여 연주기법 별로 분석, 분류하였다. 그리고 분류한 연주기법들과 연관성 있는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에 나타난 악구들을 찾아보았다. 체르니 30번 연습곡에 나타나는 연주기법으로는 레가토, 음계, 아르페지오, 슬러와 스타카토, 점음표 리듬, 꾸밈음, 양손을 나누어지는 주법, 연타음, 반복되는 음 사이에 변화되는 음이 끼어 있는 음형, 다섯손가락의 강한 터치와 민첩성, 프랄트릴러, 트릴, 보조음이 사용된 음형, 반음계, 싱코페이션, 양손의 교차, 왼손의 선율, 양손의 유니즌 등이 포함되었다. 이와 같이 체르니 30번 연습곡은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작품에서 나타나 있는 중요한 연주기법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연주기법에 연관되어 있다고 보여지는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 작품들을 찾아 악보를 첨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분류표로 제시한 체르니 30번 연습곡의 연주기법들이 모두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 작품 속에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체르니 30번 연습곡과 유사한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의 악구들도 많이 발견 되었다. 당시 베토벤이 많이 사용하였던 스케일이나 양손을 분할해서 연주하는 주법, 양손이 서로 엇갈려 연주하는 주법 등이 체르니 30번 연습곡의 연습목적이 되어 각 악곡에 나타나 있었다. 또 체르니 30번 연습곡에서는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에 많이 등장하는 음형들 또한 도돌이표를 써서 여러 번 반복하여 그 운지와 움직임에 익숙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체르니 30번 연습곡은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의 기교 훈련에 실제로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주자들이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작품을 연주하기 전, 작품에 사용되어진 연주기법을 포함한 체르니 연습곡을 선택하여 자신에게 부족한 연주기교를 훈련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로 인해 체르니 30번 연습곡의 연습목적을 확실하게 알게 되고 학생들에게 테크닉 훈련의 필요성을 느끼게 해준다면 체르니 연습곡이 고전 피아노 작품을 배우는 뿐 아니라, 아주 중요한 테크닉 훈련 연습곡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체르니 연습곡의 가치를 재인식하게 될것이다.

      • 조선 후기 청화백자 연구

        박이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에서는 시전행랑 및 주변 유적 출토 청화백자를 중심으로 그 특징과 변화 양상, 생산지와 유통 및 소비 양상을 분석하여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상을 고찰하였다. 청화백자는 일찍이 고급 기명으로 인식되었으며, 특정한 시대와 국가가 지닌 도자문화의 질적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유물이기 때문에 사회 지배 계층의 인식과 변화상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특히 조선시대 한양도성 중심지인 종로에 위치해 있던 시전행랑은 주변으로 궁궐, 관청 등 주요 시설들이 밀집해 있어 조선 시대 최대 소비유적이라 할 수 있다. 시전행랑 및 주변 유적에서 출토된 청화백자는 조선 전기보다 후기∼근대 문화층인 Ⅱ∼Ⅳ층에서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관요에서 제작된 청화백자뿐만 아니라 외산자기인 일본, 중국자기도 함께 확인된다. 일본자기는 주로 개항 이후 제작된 것들이 많으며, 중국자기는 17세기 초∼19세기 명·청대 경덕진 민요에서 제작된 것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출토 청화백자를 분석해 본 결과, Ⅱ층은 출토 수량이 가장 많으며, 기형은 분원리 관요 고유의 양식인 기벽이 두껍고 안쪽을 외면보다 깊게 깎은 수직굽인 것들이 주를 이룬다. 또한 외산자기인 일본 및 중국자기도 다량 수습되었는데 특히 일본자기는 이 층에서만 확인된다. Ⅲ층은 기벽이 두껍고 구연이 외반하는 것, 굽 안쪽을 깊게 깎은 수직굽 형식의 분원리 제작품과 얇은 기벽에 외반 구연을 갖춘 금사리 생산품이 함께 확인된다. Ⅳ층에서는 기벽이 얇고 구연이 외반한 것들로 금사리 관요 생산품이 주를 이루며, 수량은 많지 않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보면, 시전행랑 및 주변 유적에서 출토된 청화백자는 90% 이상 분원리 요지에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분원리 고유 양식이 정착되는 19세기 초 청화백자의 생산이 최고치에 이르고 있는데, 비슷한 시기의 Ⅱ문화층에서도 가장 많은 수량을 보이고 있다. 18세기 중반 이후부터 청화백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요에서는 장인들의 사번을 통해 생산량을 늘리고 있다. 광주 일대에서 제작된 청화백자는 수운을 통해 한양으로 운송되어 왕실로 납입하였으며, 진상용 자기를 제외한 나머지는 사기전에서 판매되었다. 한편 북학파 학자들에 의해 외산자기가 긍정적으로 인식되면서 중국과 일본에서 생산된 외산자기의 수요 역시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외산 자기들은 주로 연행과 공·사·밀무역 등을 통해 조선에 유입되었다. 청화백자의 수요 증가는 당시 조선의 사회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17세기 말 이후 농업 생산력의 증가로 상품화폐경제가 발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신흥 부자 계층이 등장하게 되고, 이들은 양반 문화를 지향하면서 특히 고급 기명인 청화백자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다. 따라서 왕실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신분들은 청화백자 구입을 위해 많은 지출을 감행하였으며, 소비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자 생산량과 수입량도 늘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공급이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자 왕실은 이에 대응하고자 갑기 및 청화백자의 사용 금지를 명하였으나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았으며 청화백자에 대한 수요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늘어났다. 그 결과 당시 변화된 사회·문화 모습 그리고 확대된 수요층의 다양한 취향이 청화백자에 반영되어 문양과 기형 등에서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 선호 음악감상 활동과 연계한 휴식이 전공의의 휴식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박이슬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rest associated with preferred music listening on rest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medical interns and residents. The experiment has conducted a total of six times from September 14 to October 31, 2020 and 24 physicians working at secondary and tertiary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nationwide participated and it was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12 participants each). Before starting the study, a list of favorite music was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and a list of music requested by each participant was also received, and a music file that took about 20 minutes was produced.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group enjoyed it at a specific time during the break on their duty day. The subjects of the control group took a simple break, excluding music listening, during breaks at specific times on their duty day. Therefore, pre- and post data were obtained through the Leisure Satisfaction Scale (LSS) and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OHQ), and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7. To test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confirm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Mann-Whitney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interven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Wilcoxon test was performed to see the influence of listening to preferred music pre- and post the experiment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 th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leisure satisfaction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took a rest associated with preferred music listening and the control group who took a rest without music listening (p>. 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physical satisfaction (p <.05), which is a sub-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psychological and relaxation satisfaction. (respectively p> .05). Secon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s of pre- & post leisure satisfaction (p< .05). And as a subfactor, psychological satisfaction, rest satisfaction, and physical satisfaction (respectively p <.05), al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 post happi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 .05). Fourth, through the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prove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 post euphoria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본 연구는 선호 음악감상 활동과 연계된 휴식이 전공의들의 휴식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 인천, 울산, 전북, 충남 지역 소재 12개의 2차, 3차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전공의 24명이다. 실험은 2020년 9월 14일부터 2020년 10월 31일까지 당직 근무 일정에 따라 주 1회~2회, 1회당 약 20분 감상으로 총 6회기에 걸쳐 진행하였고, 실험집단 (12명)과 비교집단 (12명)으로 무선 배치하여 실시되었다. 실험집단 대상자는 연구 시작 전 수집한 선호 음악 리스트와 개별 신청곡 리스트를 토대로 만들어진 약 20분 길이의 개별 음악 파일을 당직 근무 당일 특정 시간대의 휴식 시간에 감상하였고, 비교집단 대상자는 음악감상을 제외한 단순 휴식을 취하였다. 이에 휴식 만족 척도(Leisure Satisfaction Scale: LSS)와 행복감 척도(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OHQ)를 통한 사전, 사후 데이터를 얻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 version 27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 검사를 위해 독립표본 Mann-Whitney의 U 검정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중재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 내 사전, 사후 선호 음악감상의 영향을 보기 위하여 Wilcoxon 검정을 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선호 음악감상 활동과 연계된 휴식을 취한 실험집단과 별도의 음악감상을 하지 않고 휴식을 취한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휴식만족도 점수 간 차이를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휴식만족도 하위요인인 신체적 만족 영역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심리적 만족과 휴식적 만족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실험집단 내 사전-사후 휴식만족도와 하위요인인 심리적 만족, 휴식적 만족, 신체적 만족 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사전-사후 행복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실험집단 내 사전-사후 행복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검정을 통해 입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선호 음악감상 활동과 연계한 휴식이 전공의들의 휴식만족도와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 치료적 기능을 강화한 영화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중등 영화교육의 치료적 접근

        박이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영화예술교육의 치료적 기능을 강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현장에 적용해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치료로서의 영화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생산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특수성을 알아보고, 청소년이 가지는 결핍을 해소하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으로서 예술치료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또한 영화교육을 치료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영화교육과 영화치료가 가지는 장점과 효과에 대해 논의하고 그것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치료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술치료의 기법을 연구하여 영화교육현장에 맞게 적용하였으며, 학습자가 감상과 표현을 통해 자아를 탐색하고 긍정적 정서와 자아를 확립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7차시로 1학기에 걸쳐 중등 영화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은 서울 소재의 H고등학교 1학년 1개 학급의 1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학교 환경에 맞추어 8명씩 2그룹으로 나누어 한 달 간 총 4회차의 수업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은 영화 감상영역과 영화 창작 영역으로 구분되어, 영화 감상 – 시나리오 개발 – 영화 제작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각 단계마다 활동 결과물 분석, 수업 태도 및 반응 분석, 학습자 인터뷰를 통한 질적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상력과 몰입하는 능력이 형성되어 감수성이 향상되었으며, 감상과 활동 시에 느끼는 긍정적·부정적 정서가 자기성찰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프로그램에서의 토론은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셋째, 영화 언어와 비언어적 소통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시네리터러시 능력이 향상되었다. 넷째, 자아탐색을 통해 자기의식이 고양되었으며 긍정적 자아개념 확립의 발판이 되었다. 다섯째, 영화제작 활동을 통해 대인관계능력이 향상되며 자아효능감과 자긍심이 향상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영화치료교육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자아개념 확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덕·체의 균형 있는 발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긍정적 정서 형성과 자아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다. 따라서 치료적 기능을 강화한 영화교육프로그램은 중등 영화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영화치료교육프로그램의 한 사례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미카엘 체홉의 테크닉 연기 훈련 방법 연구 : <Noraism> 공연에서 노라의 역할 창조를 중심으로

        박이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현대 연기 방법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 미카엘 체홉의 연기 테크닉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실제적 연구에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테크닉 연기의 이론적 원리와 실제 훈련 방법들을 고찰해보며 배우의 역할 창조에 종합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특히 헨릭 입센의 <인형의 집>을 각색한 <Noraism>의 노라 역할을 통하여 테크닉 연기를 접목시킨 인물 구축에 대하여 연구해보고 과정에 대해 탐구 하고자 한다. 미카엘 체홉은 스타니슬랍스키와 박탄코프 등 유명한 연출가 아래 연기를 배워왔지만 경험과 기억을 토대로 한 인물 구축에서는 더 이상 새로운 연기를 기대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에 개인의 상상과 이미지를 통한 인물 구축을 위하여 직접 스튜디오를 열어 여러 작업자들과 함께 훈련하며 독자적인 연기 방법론을 구축해 나갔다. 테크닉 연기의 핵심은 배우의 상상력과 이미지를 통해 상상의 신체를 만들어내는 심리-신체의 유기적인 연관성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한다. 체홉은 인물 창조의 답은 신체에 있다고 말했으며 신체를 이용한 상상력의 표현이 새로운 연기 창조의 원천이 될 것이라 주장했다. 이는 심리와 신체의 밀접한 관련을 상상력을 통해 표현하고 감정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몸을 통해 즉각적인 자극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 사례 연구를 위해 <Noraism>의 노라 역할 구축에 적용하여 상상력과 이미지, 연출자의 인도 질문, 심리제스처, 즉흥과 앙상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궁극적으로 상상의 신체를 통한 인물의 섬세한 표현과 배역의 목적을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공연의 여러 요소들과 결합하여 어떤 효과를 불러오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심리-신체의 조화를 강조한 체홉의 테크닉은 배우의 실제 적용을 통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가졌다. 배우들로 하여금 정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인간의 무의식과 자아, 상상력과 이미지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며 역할 구축에 있어 배우의 온전한 선택과 권한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다양성을 요구하는 오늘날의 연기 창조 발전에 실제적인 방안으로써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practical stud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acting technique of Michael Chekhov, wh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acting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ould help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reation of the role of an actor, discussing the theoretical principles and practical training methods of the technique of acting. Especially,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construction of a character by combining the technique of acting through the role of Nora in Noraism that adapted Henrik Ibsen’s A Doll’s House. Michael Chekhov has learned acting under famous directors like Constantin Stanislavski and Eugene Vakhtangov but thought that he could expect new acting any more from the construction of a character based on experience and memory. Thus, he opened a studio himself to create characters through individual imagination and images and constructed an original acting methodology, training together with several workers. The core of the technique of acting is based on the perception about the organic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y that creates an imaginary body and the body through the actor’s imagination and image. Michael Chekhov said that the answer to the creation of a character is in the body and argued that the expression of imagination using the body would be a source of the creation of new acting. This means the expression of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y and the body through imagination and the ability to experience immediate stimulation through the body, not depending on emotional memory.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the technique of acting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an image utilizing the actor’s imagination emphasized by Michael Chekhov and applied the core principles to the construction a real character. This study proceeded with the courses, including imagination and image, the director’s guiding question, psychological gestures, and impromptu and ensemble, applying the principles to the construction of the role of Nora in Noraism. Ultimately, this study would reveal the delicate expression of a character and the purpose of the role through the imaginary body and investigate the effect it brings about in combination with various elements of performance. Michael Chekhov’s technique that emphasized the psychology-body harmony is characterized by the possibility of diverse variations through the actor’s actual application. It enables actor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human unconsciousness, self, imagination, and image, rather than presenting the right answer to them and to have their whole choice and authority in building the role. In this sense, this study would be helpful as a practical plan for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acting today, which requires diversity.

      • 꼴라주 집단미술치료가 교대근무 직장여성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박이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 중인 직장 여성들에게 꼴라주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미술치료 참여경험이 이들의 스트레스 감소 효과와 자기표현의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참여자들은 교대근무 직장여성으로 불규칙한 근무 형태와 생체리듬을 유지하기 힘든 상황으로 스트레스를 호소하였다. 교대근무는 수면 부족과 스트레스를 초래하며, 이는 심리적 안정감과 건강한 생활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스트레스에 취약성을 가지고 있는 교대근무 직장여성에게 꼴라주 미술치료경험은 감정을 인식하고 감정해소에 도움을 주어 스트레스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꼴라주 미술치료는 교대근무 직장여성의 스트레스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꼴라주 미술치료는 교대근무 직장여성의 자기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하여 참여자들에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1회, 회기별 70분씩 사전ㆍ사후 검사 포함 총12회기로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구성은 초기단계(1회기~3회기)에는 라포형성과 자기탐색을 위한 작품 활동으로 진행하였고, 중기단계(4회기~7회기)에는 자기인식 및 스트레스 인식을 통해 참여자의 욕구를 확인하였고, 후기단계(8회기~10회기)에는 자기성장단계로 긍 정적인 미래에 대한 희망과 소망을 기대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꼴라주미술치료프로그램 경험의 사전ㆍ사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스트레스 반응 검사를 실시하여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였고, 자기표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K-HTP 검사를 실시하여 참여자의 심리ㆍ정서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하여 작품에 나타나는 그림의 상징, 표현과 작품설명, 소감문, 행동관찰일지, 녹음을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의 변화에 대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꼴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경험은 교대근무 직장여성의 스트레스를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꼴라주 집단미술치료는 교대근무 직장여성의 자기표현의 변화의 영향을 미쳤다. 꼴라주 미술치료 활동을 통하여 작품의 의미와 상징을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은 참여자의 심리ㆍ정서적 변화를 나타내어 자기표현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꼴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교대근무 여성의 스트레스 감소와 자기표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꼴라주 집단미술치료가 스트레스에 취약한 교대근무 직장여성에게 건강한 삶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볼 수 있다.

      • K-WAIS-IV로 측정한 조현병 환자의 인지적 특성

        박이슬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K-WAIS-IV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인지적 결함이 발견된 임상군 중 조현병 환자 집단을 선택하여 정상 대조 집단과 K-WAIS-IV 수행을 비교하여 조현병 환자의 인지적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북 및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정신건강증진센터 4곳과 사회복귀시설 1곳에 조현병으로 진단받은 20∼60세의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 집단은 조현병 환자 집단의 성별, 연령, 학력에 맞게 한 20명의 정상집단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K-WAIS-IV)를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현병 환자 집단은 정상 대조 집단에 비해 전반적인 지능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두 집단의 4개의 조합점수를 비교해보았을 때, 특히 언어이해 지수와 작업기억 지수보다 지각추론 지수와 처리속도 지수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셋째, 두 집단의 핵심 소검사별 환산점수와 과정점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소검사별 환산점수에서는 특히 토막짜기, 퍼즐, 동형찾기, 기호쓰기 소검사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과정점수에서는 숫자 순서대로 따라하기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조현병 환자는 K-WAIS-IV 검사 수행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저조하였으며, 특히 지각추론 지수와 처리속도 지수에 해당하는 인지기능에 있어서 결손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K-WAIS-IV’ 검사로 조현병 환자의 인지적 특성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서 이 검사가 인지적 결함에서의 임상적 측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clinical utility of K-WAIS-IV. In order to determine schizophrenic patients group's cognitive characteristics, this study performed K-WAIS-IV and compared each other. The study involved, 30 schizophrenia patients of ages between 20 and 60, The research also involved one group of 20 normal people. All groups participated for the research. normal group matched by similar age, sex, education background compared to schizophrenic patients group.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Test (K-WAIS-IV) was used as the research tool.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st, the schizophrenic patients group was inferior to the comparison group in general intelligence. Second, compared index scale of two groups, the group difference in PRI(Perceptual Reasoning Index), PSI(Processing Speed index) were larger than the group difference in VCI(Verbal Comprehension Index), WMI(Working Memory Index). Third, There are difference in scaled scores of testlets, process scores. In scaled sores of testlets, the group differences were larger in block design, visual puzzles, coding than others. In processing scores, the group effects was largest in digit span sequencing.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schizophrenic patients performed K-WAIS-IV poorly, Especially imply deficit of cognitive function appertaining to PRI, PSI. This study determines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chizophrenic patient and shows that K-WAIS-IV is a useful clinical tool for investigating cognitive deficits.

      •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가족스트레스, 인지적 대처와 우울 및 가족기능

        박이슬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Family Stress, Cognitive Coping,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in the Era of COVID-19 Pandemic Park, Yi Seul Major in Child-Welfare Study Department of Child Welfare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Yeong Hee,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on Cognitive Coping,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79 married people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19, with a psychological crisis level of 6 or higher out of 10 after the onset of COVID-19. Data were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t-test, F-test, Scheffe’s post-hoc test, and correlation using SPSS 25.0 program. The path model was tested using the AMO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stress, cognitive coping,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according to gender in the COVID-19 pandemic er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family str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re religion, temporary or self-employed non-regular workers, home workers rather than office workers, certain underlying conditions of oneself or family members, and a family member or a close person infected with COVID-19.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cognitive coping in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were high educational background, high subjective household economy level, and regular exercise. Third, in the age of the COVID-19 pandemic,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depression was a family member or a close person infected with COVID-19. Fourth,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family function in the age of the COVID-19 pandemic were high subjective household economy level, regular exercise, and a family member or a close person infected with COVID-19. Fifth, family str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ad a direct effect on cognitive coping and depression. Specifically, in the era of the COVID-19, higher family stress led to lower cognitive coping and higher depression. Sixth, cognitive coping in the age of the COVID-19 pandemic had a direct impact on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ognitive coping abil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lower the depression and the higher family function. Seventh, depression had a direct impact on family fun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igher depression, especially during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led to a lower family function. Eighth, family stress in the age of the COVID-19 had an indirect effect on family function through cognitive coping and depression, and cognitive coping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tress and depression as well as between family function and depres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intervention in cognitive coping to improve family function. That is,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need to focus on cognitive coping to effectively intervene in family stress and depression in the COVID-19 era.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가족스트레스가 인지적 대처와 우울 및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대처가 가족스트레스와 우울을 낮추는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가족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인지적 대처가 낮아지고 우울이 높아지는 반면, 인지적 대처가 높을수록 우울은 낮아지고 가족기능은 높아졌고, 우울이 높을수록 가족기능이 낮아짐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가족스트레스가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지만, 가족기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우울보다 인지적 대처의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나 인지적 대처가 우울의 부정적 영향력을 상쇄했다는 점이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가족스트레스가 부모의 정신건강에 위험요인이 되지만 부정적 인지 도식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관점을 갖게 하는 인지적 대처전략이 우울 감소 및 정신건강 증진에 핵심적인 요인이 됨을 입증해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기능이 낮은 가족을 대상으로 상담할 때 가족스트레스에 대한 의미를 재해석하고 긍정적인 관점으로 볼 수 있는 인지적 대처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와 같은 위기상황에서 부모의 인지적 대처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 상담 방향을 설정해야 하며, 코로나19 상황에서 우울을 높게 경험하는 부모는 자녀들의 정신건강과 가족기능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우선적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해 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가족스트레스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적 대처와 우울의 매개효과로 살펴 본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가족기능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초점을 변경하고, 재평가하며, 조망의 확대를 통한 인지적 대처전략을 사용하도록 돕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밝혔다는 점과 상담 및 교육 현장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