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주 도시형 중층 생활한옥 시안 연구

        김찬구 청주대학교 융합신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regeneration of hanok can be divided into conservative regeneration reflecting the lifestyle of the existing hanok, conservative regeneration reflecting the shape, road, and yard as it is, adaptive regeneration that improves or changes the purpose suitable for the times, and active development of new buildings by removing existing hanoks. Among them, the active development that this study aims to focus on is to incorporate hanok into urban living houses that have recently been built around the city center. In addition to the spatial concept shown in the arrangement and plan form of hanok,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adopt hybrid structures of furniture-style steel frames and wood 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RC structure, reflecting the environmental control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of hanok.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conditions of an aging hanok facing a historical city center, and presents a model of a multi-layered urban hanok that adapts to the changing living environment by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hanok.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new mid-rise urban living hanok plan divided into one lot unit, two lots unit, and block unit for the creation of a new hanok, especially a mid-rise hybrid hanok. ∙ In the draft of a parcel-based urban living hanok, In terms of layout and function, the hanok located in the upper part (3rd to 4th floors)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the house with 3rd and 4th floors of the main house. There is a parking lot and shops on the first floor, and business facilities (Day Care Center) on the second floor, and an open space for hanging out together in the middle of the third and fourth floors. In addition, through the segmentation of the mass surrounding the courtyard and the heterogeneous material, an open space is placed, and Daecheong, Numaru, Terrace, Balcony, and rooftop yard are placed to facilitate sunlight and ventilation. In the structure and shape field, one or two floors (some three floors) are tailored to RC group, and the upper floor is intended to reflect the modules, size, and shape of the existing hanok as much as possible. It is based on each module of 5.4m in RC, 5.4×6.6m in RC, and 2.7m in wood structure, which is a half module in RC, and extends to a three-story concrete detached house so that RC and wood structure are interpenetrated, and different formative vocabulary is used. Environmental control and facilities form vertical upward airflow from the low-rise quiet space to both spaces in the upper-floor middle, making the air permeability of the building smoother. This is more effective as cold air generated in narrow alleys, parking lots on the first floor, and adjacent spaces rises vertically. Horizontal natural ventilation is also generated through the annex and school windows in addition to the Daecheong, Numaru, rooftop yard, terrace and balcony installed on each floor. ∙ In the city-style hanok between parcels, In terms of layout and function, the overall layout concept is based on the previous parcel unit draft, but according to the directional arrangement method seen in other parcels, it takes individual parcel characteristics as they are and focuses on processing between parcels. In the space between parcels where the parcels meet, there are facilities that can be shared by residents, as well as rooftop yards and semi-open wooden halls on each parcel, centering on the two centers on the third floor where hanok was built. This space can secure a deep and thick field of view in both centers, and smoothly controls the airflow in the building. ∙ In the block-level urban living hanok, In terms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buildings, the overall layout concept maintains the existing alleyway movement system in the east-west direction, while setting directions for joint infrastructure and infrastructure installation, parking lots on the first floor, and external spaces. In the form of market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various types of spaces for sunlight and ventilation in the block, the segmented middle of the upper hanok, and open spaces are created in various places.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entire block is adjusted through airflow circulation between the negative space generated in the parking lot on the first floor and the narrow alley below. 오랫동안 도시의 거주 기능을 담아왔던 한옥은 과거부터 생활환경, 주변여건에 의해 지속적으로 적응하며 변화해 왔다. 근대 시기에 전통한옥 건축양식에 근대적 건축자재를 첨가하여 새로운 건축 양식을 창출했듯이 한옥은 현재 건축양식을 접목시켜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근대기 도시형 한옥은 보존 및 용도변경, 신축을 통하여 주생활환경에 따른 공간의 변화를 보여 왔으며, 증개축과 대수선 등을 통하여 기능 및 공간 구성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왔었다. 오늘 날의 한옥은 필요한 실 구성보다는 기존의 부속 공간을 철거하여 공유 마당을 확보하는 경향으로 변하고 있다. 또한 신한옥이라든가, 한옥관련 공모전을 중심으로 하여 한옥이 지향하고자, 혹은 한옥에 적용하고자 하는 요소가 무엇인가에 초점을 두면서, 현대인의 삶을 수용하기 위해 중층형의 한옥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시형 한옥의 신축사례에서 보이고 있는 새로운 한옥의 창안, 특히 중층 규모의 하이브리드 구조의 한옥에 착안하여, 청주 도심에 현존하는 한옥밀집주거지인 서운동 일대를 대상으로 1개의 필지단위, 2개의 필지 간 단위, 그리고 블록단위로 구분하여 새로운 중층 규모의 도시형 생활한옥 시안을 제시한 것이다. 각 시안별로 배치와 기능, 구조와 형태의장, 환경조절 및 설비 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필지 단위의 시안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길에 대응한 기존 한옥의 배치에 따르면서, 2개 층은 RC조, 상부 층은 기존 한옥의 모듈, 규모 및 형태를 가능한 반영하고자 하였다. 외관은 RC조와 목구조 형태의 상호관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환경조절 및 설비에서 저층부와 골목길의 음(陰)한 공간에서 상층부 중정의 양(陽)한 공간으로 수직 상승하면서 통기성을 원활하게 하였으며, 층마다 설치된 대청과 누마루, 옥상마당 등을 통하여 수평적인 자연환기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2개의 필지 간 시안에 있어서, 배치와 기능은 앞서의 필지단위 시안에 준하되, 다른 필지에서 보이는 향 중시의 배치방식에 따라 전체적인 배치 개념은 개개의 필지 성격을 그대로 가져가면서, 필지 단위가 만나는 필지 간(사이)에서의 처리에 초점을 두었다. 필지가 만나는 필지 간 공간에는 거주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시설과 함께, 한옥이 세워진 3층의 2개 중정을 중심으로 각각의 필지에 개방된 옥상마당과 반개방의 대청을 두어 건축물 내의 기류를 원활하게 조절하였다. 블록단위의 시안에 있어서, 건축물의 구조 및 기능면에서는 앞서의 시안에 준하되, 전체적인 배치 개념에 있어서는 동서방향의 기존 골목길의 동선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동기반시설과 외부공간을 고려하였다. 형태의장 및 환경조절에서는 블록 내 일조와 통풍을 위한 다양한 형태구성, 상층부 한옥의 분절된 중정, 트인 공간을 통하여 여러 곳에서 양(陽)의 공간을 조성하고, 1층 주차장과 좁은 골목길에서 발생하는 음(陰)의 공간과의 기류 순환을 통하여 블록 전체의 열환경을 조절하였다.

      • 음악교육에서의 말리듬 활용방안 연구

        고정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문요약 음악교육에서의 말리듬 활용방안 연구 고 정 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오르프 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연 경) 본 연구는 말리듬을 활용하여 음악수업을 전개하고자 할 때 해당 언어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한국어의 언어학적 특징을 고찰하고 이를 적용한 말리듬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음악교육에 있어 말리듬의 활용을 강조한 오르프의 철학과 말리듬의 교육적 가치를 비롯하여 한국어의 언어학적 특징과 한국시의 운율 및 한국음악의 박자와 리듬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말리듬 활용의 예를 리듬학습 단계별로 다양한 언어적 소재를 사용하여 제시하고 이러한 말리듬이 음악영역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그동안 말리듬의 연구는 교과서의 제재곡에서 리듬을 분석하여 말리듬을 적용하거나 가창곡의 가사분석에 국한하여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어로 된 텍스트로부터 자연스럽게 말리듬을 경험함으로써 음악교육의 시작으로서 말리듬이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각 활용예시는 단계마다 개별단어, 동시, 속담, 수수께끼, 놀이노래, 이야기 등 언어적 소재를 선정하여 말리듬을 결정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음악활동의 제시 및 각각의 언어적 소재를 말리듬에 활용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할 언어학적 특징을 서술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각 활용예시에 적용한 한국어의 언어적 특징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적으로 개별 음절마다 자유로운 리듬 부여가 가능하나 긴 박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는 해당음절 종성의 성격을 고려한다. 둘째, 말토막의 유형 중 머리형, 복합형은 못갖춘마디나 당김음 리듬패턴에 사용될 수 있고 쉼표에 의한 당김음은 꼬리형의 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당김음은 모음의 장단보다 2음절 이하 초성의 마찰과 폐쇄 정도를 먼저 고려하고 못갖춘마디의 경우는 말토막의 강세 유형과 함께 통사구조의 변화 가능성도 함께 고려한다. 넷째, 강박에 조사, 어미 등을 탄력적으로 수용한다. 다섯째, 시를 말리듬에 활용할 경우에는 음보율과 음수율을 고려하되 서양음악의 구조와 형식과 일치될 수 있는지 고려하여 박자를 선택하도록 한다. 다만, 음수율과 음보율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박자를 먼저 결정하고 낭송에 의해 분절되는 단위를 고려하여 마디를 나누고 박자에 맞게 리듬을 부여한다. 여섯째, 어문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하기보다 현실발화를 먼저 고려한다. 언어를 음악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요소는 리듬뿐 아니라 선율적인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한국어가 가진 특징과 음악과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한국어의 리듬으로부터 리듬을 경험하고, 한국어의 억양으로부터 선율을 배움으로써 오르프 슐베르크를 아이디어 삼아 한국에 가장 적합한 슐베르크를 만들고 이와 관련된 이론과 지도체계가 완성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어지길 기대한다. 주제어 : 언어리듬, 오르프 슐베르크, 음악교육, 말리듬, 리듬지도 ※ 본 논문은 2015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Abstract A Study on the Teaching Approach Using Speech Rhythm in Music Instruction Jeongmi Ko Major in Orf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ounkyung Le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to the Korean language and to propose a method to apply speaking rhythm for music instruction while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language. To achieve this, Orff’s philosophy that emphasizes application of speech rhythm and the philosophy of the educational values of speech rhythm, an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cadence of Korean prosody, and the meter and the rhythm of Korean music were examined.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examples of speech rhythm applications were proposed for each rhythm education step using various linguistic topics, and a speech rhythm teaching methodology idea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entire musical area was proposed. Speech rhythm research up to now analyzed the rhythm of musical text music pieces to apply music rhythm or was limited to the lyrical analysis of singing songs.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a method that applies speech rhythm to music from text that is in Korean for a natural approach to speech rhythm. In each step of the application examples, linguistics materials such as individual words, children’s poems, proverbs, riddles, play songs and tales etc. are chosen to decide the speech rhythm, and also present the linguistical characteristics that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applying these linguistics materials to present musical activity and for applying speech rhythm to each of the linguistic materials. Through literary research, the summary of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hat are applied to each ap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assign any rhythm to each syllable, but in the case where the rhythm needs to be held for a long time, the characteristic of the final consonant of the syllabl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Second, out of the speech block types, the head type and the combination type can be used for incomplete bars and syncopation, and syncopation due to rest can use the tail type. Third, syncopation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friction and closure of the first vowel more than the length of the vowel, and first takes into consideration and friction and closure amount of the less than two syllable first syllables, and in the case of incomplete bar, the stress and the possibility of chance in the syntax structure of the speech block a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Fourth, postposition and end of words etc. are flexibly accepted for stress. Fifth, in the case that poetry is applied to speech rhythm, foot meter and syllabic meter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whether it can be matched with the structure and form of Western music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o choose the meter. But in the case where the foot meter and syllabic meter are not consistent, the meter is chosen first and the units are divided by how they are separated during recital and the rhythm is assigned. Sixth, rather than apply strict grammatical rules, the realistic implementation is considered first. Language can be used in the application of music instruction not only as a rhythmic element but also as a melodical element. Through continuous in depth research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music, by experiencing rhythm from the rhythm of Korean language and by learning the melody from the intonations of the Korean language, with inspiration from Orff Schulwerk, this research looks forward to the most appropriate Schulwerk for the Korean language and the foundation for the related theories and instruction system to be established. Keywords: speech rhythm, Orff Schulwerk, music instruction, language rhythm, rhythm instruction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15.

      •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김현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 문 요 약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 김 현 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체육교육 전공 ( 지도교수 서 예 원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창작표현활동에 대한 인식과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고, 그 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반성적 태도를 유발하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 수업의 내실화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창작표현활동 수업을 정상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김길원(2003)의 ‘초등학교 표현활동수업에서 개발한 설문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고 전문가의 협의를 거쳐 연구도구를 완성하였다. 충청북도 내에 위치한 12개 초등학교의 교사 200명의 설문 자료를 수집하고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취지에 동의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한 교사 4명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더욱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창작표현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교사관과 교육적 가치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창작표현활동이 무용인에 의해 행해지는 전문적인 예술활동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으나, 창작표현활동을 수업하기에는 다소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작표현활동의 교육적 가치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교사가 창작표현활동은 미래생활에 도움을 주는 활동으로 공간형성능력, 유연성 및 리듬감, 정서․창의성, 사회성, 감상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교육과정, 수업 외적요인, 수업 내적요인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창작표현활동영역의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이 학년수준에 맞게 비교적 잘 제시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창작표현활동 영역의 수업시수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교사가 많았다. 또한, 시설․용구, 인원수와 같은 수업 외적요인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은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지도능력에 소극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다양한 지도 방법을 정확히 알지 못하며, 지도에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실기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여 교육과정내의 표현활동 영역을 모두 충실히 지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 수업의 내실화를 위한 방안을 교육과정, 수업 외적요인, 수업 내적요인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은 표현활동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창의적 표현능력 교육’ 중심의 교육과정을 선호했으며, ‘교사의 지도능력’이 창작표현활동 수업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90%이상의 교사들은 수업 외적요인의 방안으로 ‘체육관 및 무용실’의 설치와 ‘15명~20명’의 학급 인원수가 가장 시급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사들은 ‘창작활동’을 가장 선호하는 수업방법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교사의 관찰평가’에 집중된 수행평가와 수업 기준시수 보다 모자란 ‘6~10시간(보통수준)’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들의 지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세미나 및 연수기회 확대’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 수업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설계 단계에서부터 현장의 교사들이 함께 참여하여 목표와 내용 그리고 수업시수와 같은 교육과정의 중요한 부분을 함께 설계해야 하겠다. 또한, 음향장비가 구비된 체육관 및 무용실을 모든 학교에 설치하고 학급 인원수를 20명 내외로 조정하는 수업 외적 요인의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창작표현활동 수업을 직접 진행하는 교사의 지도능력이다. 창작표현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긍정적이기 때문에 세미나 및 연수 기회를 더욱 확대하고, 다양한 수업 자료 및 방법을 현장에 제공하여 교사들의 지도능력을 신장시킴으로써 창작표현활동 수업의 정상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본 논문은 2011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특수학급 교사들의 학급운영 이야기를 통해서 본 특수교사의 자질에 관한 탐색

        이수정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 문 요 약 특수학급 교사들의 학급운영 이야기를 통해서 본 특수교사의 자질에 관한 탐색 이 수 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은 주)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급을 운영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이 갖춰야 할 자질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학급 담임 경력이 5년 이상인 특수학급 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의 주된 내용은 전반적인 특수학급 운영 실태와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특수학급 교사가 특수학급을 운영할 때 갖춰야 할 자질에 대해 다음 7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장애 아동들을 따뜻하게 감싸주는 마음을 지녀야 한다. 둘째, 통합을 위한 지원자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 셋째, 경계를 허물고 협력가가 되어야 한다. 넷째, 통합교육에 있어 리더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다섯째, 수업기술 연마를 위한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여섯째, 성인생활로의 전환을 위한 조력자가 되어야 한다. 일곱째, 지속적으로 자기 성찰을 해야 한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특수학급 교사들에게 특수학급을 운영하는데 있어 통합교육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통합교육은 특수학급의 교과수업, 교육 활동, 생활지도, 예절교육 등 학급 운영 전반에 걸쳐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었다. 또한 특수학급 교사의 자질 중 하나로 질 높은 수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수업 교재 선택의 어려움, 아동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편성의 어려움 등 수업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 주요어 : 특수학급 교사, 특수학급 운영, 통합교육, 자질 ※ 본 논문은 201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초등학생용 공감 6단계 동화 프로그램 개발

        권슬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23

        Abstract Development of 6-Step Fairy tale Empathy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 Kwon, Seul-a Major in Elementary Counsel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Im Yong-woo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vise and implement a fairy tale program based on the six steps of empath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st its effects on their empathic abilities, personality level,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can a fairy tale program based on the six steps of empathy be devised? Second, what kind of effect does a fairy tale program based on the six steps of empathy have on the empathic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what kind of effect does a fairy tale program based on the six steps of empathy have on the personality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what kind of effect does a fairy tale program based on the six steps of empathy have on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present study based on the six steps of empathy, the investigator first conducted research on programs developed based on fairy tales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them according to the goals of the study to develop a new o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was tested with empathic abilities, personality level,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inventories in the pre- and post-tes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of 70 students including fifth graders at S and O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 graders at B Elementary School in Chungcheongbuk Province and the control group of 69 including fifth graders at S and O Elementary School and second graders at B Elementary School. Before implementing the program, the investigator performed an independent-sample t-test with three classes i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each based on the pre-test results and confirmed that there was a high degree of homogeneity between them. After this preliminary preparation process,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a fairy tale program based on the six steps of empathy in total 18 sessions over eight weeks, whereas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After the completion of all the program treatments for the experiment group, both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ook the post-test with the same measuring instruments as the pre-test. The post-test results were treated with an independent-sample t-test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increasing empathic abilities, personality level,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The analysis results of its effec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athic abilities, personality level,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that took part in the fairy tale program based on the six steps of empathy and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fairy tale program based on the six steps of empathy developed in the stud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empathic abilities, personality level,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study holds significance by devising a fairy tale program based on the six steps of empath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sting its effectiveness. Secondly, the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made use of fairy tales to motivate students and organize various activities and play and devised a program to present the concept of "empathy,"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ght find difficult, according to their level. Thes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proposals for follow-up study: first, the study tested only the short-term effects of a fairy tale program based on the six steps of empathy on the personality level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us raising a need for follow-up study to demonstrate the continuance of its effects. Secondly, the study implemented and tested a program only with second and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raising a need to implement a program to all the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est its effects on them. Finally, a program should b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ross various regions in addition to Chungcheongbuk Province with its effects compared among them in order to generalize its effect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19. 논 문 요 약 초등학생용 공감 6단계 동화 프로그램 개발 권 슬 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전공 (지도교수 : 임 용 우)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용 공감 6단계 동화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행하여 학생들의 공감 능력, 인성 수준,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 6단계 동화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될 수 있을까? 둘째, 공감 6단계 동화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공감 6단계 동화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공감 6단계 동화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 연구는 공감 6단계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동화를 활용하여 개발된 프로그램들을 선행 연구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 개발하였다.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공감 능력 척도, 인성 수준 척도, 사회정서역량 척도를 사전·사후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O초등학교 5학년, B초등학교 2학년 학생 70명을 실험집단으로, S초등학교 5학년, O초등학교 5학년, B초등학교 2학년 학생 69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처치에 앞서 실험집단 3학급과 통제집단 3학급의 사전 검사를 토대로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여 각각 세 학급이 동질성이 높은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전 준비과정을 마친 후 실험 집단에는 8주 동안 18회기의 공감 6단계 동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처치가 모두 종료된 후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공감 능력, 인성 수준, 사회정서역량 증진에 있어서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사후검사 결과의 자료처리는 독립표본 t 검증을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 6단계 동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감 능력, 인성 수준, 사회정서역량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공감 6단계 동화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 능력, 인성 수준, 사회정서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공감 6단계 동화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동화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고, 다양한 활동 및 놀이 등으로 활동을 구성하여 학생들이 어려워 할 수 있는 ‘공감’의 개념을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공감 6단계 동화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 수준,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단기간의 효과만을 검증한 것이므로, 그 효과의 지속성을 입증할 수 있는 추후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5학년만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 검증하였으므로 초등학교 전 학년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충청북도 소재의 초등학교뿐만 아니라 여러 지역의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2019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 사회과에서 답사를 활용한 지역사 수업 방안: 청주 지역을 중심으로

        김경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제도사 보다 생활사와 문화사를 강조시 하고 있지만, 교과서가 국가 제도사 중심으로 되어 있다 보니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예전과 크게 다르지 않게 역사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학생들은 교과서에 자주 언급 되는 지역과 국가의 수도를 중심으로 역사를 배우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역사와 국가사를 별개로 여기게 된다. 여러 교육청에서도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어, 경기교육청에서는 지역 향토사 교육 활성화 조례(2019), 전라남도교육청에서는 지역 역사 교육 활성화 조례(2019), 강원도교육청에서는 향토사 교육 활성화 조례(2020), 충청남도교육청에서는 향토사 교육 활성화 조례(2020)를 만들어 지역사 교육을 활성화하려고 하고 있다. 본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충청북도교육청에서도 향토사 교육 활성화 조례(2020)를 만들어 충청북도 내 학생들의 지역 고유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지역에 대한 애향심과 자긍심을 고취하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3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초등용 사회과 도움 자료 『우리 고장 청주』를 제공하고 있는 정도로 끝이 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지역사 교육에 도움이 되기 위해 답사 수업이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지역사 수업을 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만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지역사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와 답사 활동에 대한 연구, 청주 지역사 교육 연구 순으로 알아보았다. 둘째,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이 될 지역사 연구에 대한 개념과 역사적 사고력을 정리하고,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답사 수업 방법에 대해 탐구하였다. 또한 청주시지를 활용하여 청주 지역사를 정리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사 영역 부분과 3학년 사회과 도움 자료 『우리 고장 청주』와 국정 사회 교과서 역사 부분을 이해 및 정리하였다. 넷째, 수업 구상을 통해 사회교과서 속 한국사와 청주 지역사를 연계하여, 인물, 축제 등과 관련있는 역사적 장소에 대한 답사 수업 방안 17차시를 마련하였다. ‘문의 문화재 단지, 청주국립박물관, 신봉동 고분군, 백제 유물 전시관, 용두사지 철당간, 고인쇄박물관, 흥덕사지, 금속 활자 주조 전수관, 초정행궁, 청주 향교, 청주 읍성 터, 최명길 묘소, 청주 척화비, 덕촌리 독립운동가 마을, 한봉수 의병장 사적지, 손병희 유허지, 신채호 사당, 고은리 전투지, 상당공원 내 4·19 기념탑’을 선정하여 답사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구상하였다. 이 답사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역사적 사고력이 신장되기를 바라며, 각 수업 의도에 역사적 사고력 신장 방법도 밝히었다. 역사적 사고력 영역은 최상훈(2000)을 참고하여 연대기 파악력, 역사적 탐구력, 역사적, 상상력, 역사적 판단력으로 구분하여 각 수업에서 신장할 중점 사고력을 정하였다. 이런 지역사 답사 수업이 교육과정에서 말하는 ‘생활·문화사’ 중심으로 진행되는 역사 수업의 방향과 맞을 것이다. 또한 미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하여 전세계적으로 쓰이고 있는 공공역사(비전문가 대중을 위해 역사를 대중적 방식으로 다듬는 일)의 개념과도 일맥상통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지역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실제 수업 실행 연구가 아니라 수업 방안을 제안하는 연구다 보니 실제 수업의 상황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17개의 답사 수업을 모두 다 답사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몇 곳을 선정하여 진행하길 바란다. 그리고 청주 지역에 더 좋은 답사 장소가 있을 것이다. 그런 장소가 발굴하여 서로 공유하여 지역사 교육 환경이 좋아지길 바란다. ‘민’을 중심으로 한 지역 생활사 답사 수업을 만들고 싶었지만 국가사와 연계한 지역사 답사 장소를 찾았다는 한계가 있다. 더욱 지역사 중심의 답사 수업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 관계 부서에서는 지역사 답사 장소를 발굴하고 정비해나가고, 교육청에서는 지역사 답사 수업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인 학생 안전 문제에 대하여 해결해 주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오르프 교수법 기반 지도 방안 연구

        김경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 문 요 약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오르프 교수법 기반 지도 방안 연구 김 경 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오르프 교육 전공 ( 지도교수 이 연 경) 유아기에 있어 음악은 곧 생활이다. 유아기에는 지능 외에도 신체, 감각, 사회성, 정서, 인지 발달등 다양한 곳에서 무궁무진한 발달이 일어난다. 유아기의 음악 체험은 어린이의 음악적인 삶의 기반을 견실하게 구축할 바탕을 마련하는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처럼 중요한 유아시기에 음악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고 음악적인 즐거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하고 타당한 교수법을 제공하는 일은 아주 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기 중 만 4세의 유아들에게 칼 오르프(Carl Orff)의 음악 교수법과 오르프의 철학을 기반하여 총 7차시 지도안을 제시 하였다. 유아기에 지도 되어야 할 음악적 요소와 개념을 중심으로 누리과정 생활 주제를 적용하여 만 4세 유아들이 음악에 흥미를 가지고 음악적 잠재력을 키울 수 있도록 음악교육의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 유아기의 정의, 특징, 유아기 음악교육의 의의, 중요성과 단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지도안을 구안하기 위하여 오르프의 생애, 철학, 교수법등을 선행 연구 와 문헌 고찰을 통해서 살펴 보았고 지도안에 적용하였다. 유아기 음악적 요소중 음색, 셈여림, 화성, 문화적 요소, 리듬, 빠르기, 형식 7개를 중심하여 작성하였고 누리과정 생활 주제를 사용하여 활동명을 정하였다. 오르프 교수법에 기반하여 학습 매체인 말하기, 노래 부르기, 신체표현, 악기연주가 매 차시 사용되었고, 오르프 접근법인 모방, 탐색, 악보 읽고쓰기, 즉흥연주는 지도안 진행 내용에 따라 순차적인 단계로 적용되진 않았지만 매 차시 적용하여 여러번 반복 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오르프 슐베르크는 어린이를 위한 교육 방법으로서 노래 부르기, 신체악기, 리듬 치기등 어린이가 즐겨하는 활동에 기초하고 있다. 오르프 접근법은 놀이와 대화, 신체표현, 악기연주등이 통합되어 이루어지는 총체적인 체험이며 이와 같은 오르프 교수법 기반 지도 방안은 어린이들이 스스로 활동에 참여하면서 가장 궁극적인 목표인 유아들의 음악성을 계발시킴으로써 그들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데 매우 적합하다는 것이다. 오르프는 음악은 뛰어난 재능을 가진 유아들이나 특별한 계층의 소수를 위한 유아들만을 위한 것이 아닌 모든 유아들을 위한 교육이며 유아들의 각각의 능력에 따라 모두 참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목적을 볼때 교사들은 유아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21세기가 요구하는 창의적이고 올바른 인성과 음악적 심미감을 가진 유아들의 양성을 위하여 유아들의 발달단계에 적합하고 다양한 음악적 즐거움을 제공 할 수 있는 교수법들을 검토 연구하여 보다 나은 지도 방안을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아울러 유아기부터 노년층까지 전 연령별로 확대된 새로운 지도 방안의 후속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어져야 할 것이다. ※ 주제어 : 생활 주제 누리교육 과정, 오르프 교수법, 음악적 요소, 수업 지도 방안 ※ 본 논문은 2017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강윤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 문 요 약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강 윤 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 육 행 정 전 공 (지도교수 김 용)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요인에 대하여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논문들을 재분석하여 이에 대한 연구들의 동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구성요소는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배경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를 갖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 차이는 어떠한가?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직무만족도와 관련있는 논문을 1980년대 논문 14편, 1990년대 논문 15편,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된 논문 15편 등 총 44편을 선정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학위논문 44편을 재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구성요소는 시대별로 조금씩 변하였다. 1980년대에는 인간관계, 인정지위, 행정, 근무환경, 보상, 전문성 신장, 담당직무 등과 같은 변수가 주를 이루었고, 1990년대에는 인간관계, 근무환경, 행정, 담당직무, 보상, 전문성신장 등과 같은 요소가 있었으며 2000년대에는 인간관계, 담당직무, 보상, 근무환경, 행정, 전문성신장, 인정지위 등과 같은 요인이 있었다. 그리고, 인간관계, 행정, 근무환경, 전문성신장, 보상, 담당직무와 같은 요인은 시대와 상관없이 큰 비율을 보였다. 또한, 전문성신장과 인정지위와 같은 요인은 현재로 오면서 비율이 감소하였다. 하지만, 인사관계, 사회관계 요인은 1990년대부터 비율이 늘어났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도 요인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더욱 세분화되고 다양화되었다. 둘째, 직무만족도의 배경변인은 1980년대에는 성, 직위, 연령, 경력, 학력, 학교소재지, 출신, 결혼여부, 수학연한이었다. 1990년대에는 성, 직위, 경력, 학교규모, 학교소재지, 학력, 연령이었고 2000년대에는 성, 경력, 학교규모, 최종학력, 결혼유무, 직위, 전담경력, 근무지역, 체육관유무, 연령, 전공, 월가정수입, 근무연속, 담당학년, 학급인원, 출신대학, 학교소재지이었다. 교사의 배경변인으로서 성별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지만 유의미한 차이와는 상관없이 남교사가 여교사 보다 직무만족도가 통계적으로 높았다. 교사의 배경변인으로서 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고경력의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교사의 배경변인으로서 학교규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6학급 이하의 소규모 학교들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교사의 배경변인으로서 직위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으나 그 차이가 증가하고 있었다. 특히, 부장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일반교사들에 비해서 높게 나왔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를 갖는 요인은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살펴보면 그 요인이 다양하였다. 다양한 변인들을 종속, 매개, 독립 변인으로 사용하였는데 직무만족도, 지도성 유형, 직무내용 및 조건, 학교장의 권력기반, 학교규모, 스포츠참여, 교사들의 배경변인, 교사특성, 만족요인, 학교장의 지도성, 의사결정 참여 수준 및 참여 균형도 등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학교장, 교사 관련 요인들의 비중이 높았다. ※ 본 논문은 2012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청주시 자원봉사센터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진섭 청주대학교 사회복지ㆍ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행정자치부 산하에 설치된 청주시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일반적 현황, 자원봉사자의 관리, 지역사회와의 관계, 프로그램 개발 등 전반적인 센터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청주시자원봉사센터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제, 청주시자원봉사센터의 활성화 방안을 다시 한 번 정리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고자 한다. 첫째 자원봉사센터의 민간위탁이다. 민간운동인 자원봉사센터의 운영주체가 지방자치단체에 있다는 것은 분명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자원봉사활동의 성격 상 민·관 파트너쉽의 중요성은 인정하더라도 자원봉사센터의 운영을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관장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둘째 운영위원회의 활성화이다. 지역사회문제 중 지역주민의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분야가 많으므로 여러 기관·단체 지도자와 사회복지 기관장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를 활용, 센터 예산안 수립 및 의결·감사활동, 자원봉사 정책 수립 및 연구, 자원봉사자의 개발과 교육 훈련 및 프로그램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청주시자원봉사센터 발전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코디네이터제도 강화이다. 현재 각 봉사분야 간 및 기관·단체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의 소지를 해소 내지 완화하고 자원봉사활동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일정한 교육과 훈련을 받은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배치를 통해 자원봉사자들의 낮은 참여율과 중도탈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활성화 하여야 한다. 넷째 자원봉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다. 자원봉사자의 개발은 결국 건전한 자원봉사프로그램과 의미 있는 업무가 있으므로 가능한 것이다. 즉 자원봉사자들은 그들의 귀한 시간을 투자하여 실질적인 보람과 만족감을 얻으려한다. 즉 자원봉사자를 곧바로 현장에 투입하지 말고 어느 정도의 기간을 두고 교육, 훈련, 시설견학, 홍보를 통해 자원봉사자의 할 일이 무엇인지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다섯째 홍보활동의 강화이다.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 대중매체를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매스컴을 통한 홍보는 비단 자원봉사자 모집이라는 일차적인 목적 이외에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홍보, 국민들의 인식의 변화라는 부수적 목적도 잘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한다. 여섯째 적절한 사회적 보상(인센티브)체계 강화 이다. 자원봉사 활동은 대가를 바라지 않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어떤 보상을 바란다는 것은 자원봉사의 본래 이념에 어긋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원봉사자체가 일정한 영역에서는 공익증진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생각하면 사회적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적 보상은 자원봉사자 개인에게도 자신이 국가와 사회에서 인정받고 있다는 책임감과 자신감을 갖게 할 것이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청주시자원봉사센터가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을 증진하는데 일익을 담당해왔다. 앞으로 청주시자원봉사센터는 좀 더 전문화되고 효율적이며 체계적으로 사업을 담당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센터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관리자만이 아니라, 지역사회, 행정기관, 수요자, 자원봉사자, 단체 등이 상호 협력하고 우호적으로 지원하는 공동의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이야 말로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만들기 위한 절대적인 조건일 것이다. Modern society has been confronted with problems of inhumanity, normlessness, and crisis of dissolution in communities and families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this situation, it is volunteer work appearing as a new alternative to be able to transform our society into a desirable one. In 2005, the fundamental law for volunteer activities, which was a long-cherished desire of volunteers, was legislated. This study has examined general condition of volunteer work centering its attention on the Cheong Ju Volunteer Center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Affairs and Home Affairs, managementof volunteers, relations with local communities, and development of program and others, and tried to find out methods to revitalize the volunteer center as grasping the situation. To revitalize the center,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curriculumwhich can train the managers of volunteer work to be professionals. For the Cheong Ju Volunteer Center, we should inquire to know whether the center is managed focusing on showing its quantitative results. And we should value qualitative aspects of its results more than quantitative aspects, and develop programs suitable for the local communities promoting volunteer activities. For this, the managers should secure the foundation for it. For the Cheong Ju Volunteer Center, although the groups of volunteers have increased recently, it must be said that the real condition of it is at an immature stage. Competent employees and excellent management skills are essential, but it needs a lot of money for them. It is inconvenient for the center not to be independent regarding its budget in this sense. Despite of these difficult circumstances, the center has been working hard to promote volunteer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ies. Hereafter the center should be professionalized and become efficient to be capable of managing the work systematically. For it, not only employees but also the communities, administrative organs, users, volunteers, and their groups sh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help each other at the center. This endeavor is an imperative condition for making a community in which people live together peacefully. Lastly, quoting William Beveridge who rendered great services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he said that a good community is made not only by excellent systems of the government but also by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s and thus emphasized citizens' volunteer activities as an indispensable element for a good community. Therefore, only when the managers of volunteer work make every endeavor to promote volunteer activities and make volunteer work take root within our society, the society could develop into an advanced democratic country. And the benefits of it would return to all of us.

      • 청주시 공립초등학교 학교회계 불용액 현황 및 원인 분석

        서민성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 문 요 약 청주시 공립초등학교 학교회계 불용액 현황 및 원인 분석 서 민 성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정책 및 리더십 전공 (지도교수 김 민 조) 교육과학기술부는 2020년 지방 교육 재정분석 개선안의 주요 내용으로 연례적으로 지적되고 있는 이·불용액 규모 최소화를 위해 이·불용액 비율 및 증감률, 시설사업 예측도를 주요 지표로 중점 관리하며 2018년 학교회계 이·불용액이 2.24조원으로 2017년 1.76조원 대비 0.48조원(27.3%) 증가하여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학생 수는 감소하더라도 꾸준히 증가하는 단위학교의 교육수요를 위해서는 재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교육 성과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학교회계 불용액은 학교 교육활동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이다. 교육청은 단위학교의 불용액 현황을 자체 분석하여 재정지원 방식의 개선을 통해 학교회계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단위학교는 불용액 최소화를 통해 학교재정운영의 효율성과 건전성을 확보하고 계획적인 재정운영을 도모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주시 공립초등학교 학교회계 불용액 현황과 불용액 규모는 적정한가? 둘째, 청주시 공립초등학교 학교회계 불용액 발생 원인을 학교재정담당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 2016~2018회계연도 학교회계 예산·결산자료를 바탕으로 불용액 현황들을 분석하고 불용액이 가장 많이 발생한 세부사업을 선정하여 불용액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청주시 공립초등학교의 불용액 현황 및 원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6∼2018학년도까지 청주시에 소재한 86개 공립초등학교에서 최근 3년간 11,748,258천원의 적지 않은 불용액이 발생하였으며 2018학년도에는 불용액이 4,984,700천원으로 가장 많은 불용액이 발생하였다. 둘째, 2018학년도에 불용액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설장비 유지사업, 부서기본운영 사업의 원인 분석 결과 행정실이 사업집행의 주무부서로서 예산이 부족한 사업과 신규 사업 지원을 위해 예산을 여유 있게 편성함에 따라 불용액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학교회계의 효율적 집행과 불용액 발생 최소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회계 예산 담당자는 교직원들과 서로 소통하면서 예산 집행내역을 파악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수시로 교직원 회의 시 집행 독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의 학교회계시스템은 여러 세부사업으로 나누어져 있고 한 개의 세부사업 안에도 다양한 세부항목으로 구성되어 예산이 남으면 집행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유연한 예산집행이 가능하도록 학교회계 운영 시스템 및 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 현장에서 건전한 재정운영과 효과적인 교육활동 지원을 위해 적정한 인력 배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효율적인 예산집행에 기여하는 교직원들을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넷째, 교육청에서는 예산의 과도한 이월을 지양하고 불용액 과다로 교육과정 운영에 부실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학교회계 운영에 철저를 기하고자 예산 감액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으나 학교에 따라 여러 사유로 불용액이 많이 발생한다. 단위학교에서 회계연도 말에 불용액을 줄이기 위해 소모적으로 예산을 집행하기보다는 교육청에서 일정부분 반납 받아서 필요한 곳에 사용하거나 예산이 더 필요한 학교에 지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도 검토할 만하다. 주제어: 학교회계 불용액, 학교회계의 효율적 집행, 건전한 재무관리 ※ 본 논문은 2020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