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산부 사망에 관한 연구

        박용원(YW Park),오기석(KS Oh),이충호(CH Lee),김재욱(JU Kim),곽현모(HM Kwak),김봉호(BH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5

        1969년 1월1일부터 1978년 12월31일까지 만 10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에서 사망한 임산부를 100예를 대상으로 정확한 자료 수집과 사망률을 비롯한 사망원인의 분류, 사망자의 연도별 분포, 임산부 사망과 연령 및 분만횟수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생아 출산수 20888예중 임산부사망수는 100예로서 47.9의 사망률을 보였다. 2. 임산부의 원인별 사망률 은 직접적 원인에 의한 것이 27.3으로 수위를 차지하였으며 간접 적 원인이 10.0 비관련성 원인이 7.7이었고 불명이 2.9이었다. 3. 직접적 원인에서는 감염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임신중 고혈압성 질환과 출혈은 같 은 율을 나타냈으며 또한 간접적 원인중에서는 심장질환이 비관련성 원인에서는 악성종양이 가장 많았다. 4. 감염으로 사망하엿던 18예중 패혈성 유산으로 사망한 경우가 13예로서 대부분을 차지하 였으며 임신중 고혈압성 질환에서는 자간, 출혈의 경우는 이완성 출혈에 의한 사망이 제일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5. 35세 이상의 고령 임산부에서 임산부 사망률 이 2.04로 제일 높았으며 또한 분만횟수가 증가할수록 사망률 역시 증가하였다. The Study about maternal mortality is the most important measurement not only to improve public health but also represents the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of the community. The maternal mortality rate in Korea, even with the advances in social and medicine such as easy transfusion and development of antibiotics, is still high in comparison to western culture.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maternal death per 20888 total live birth was 100 cases or 47.9 cases per 10000 2. Causes of maternal death were in 4 categories; a. direct cause 27.3 per 10000 live birth. b. indirect cause 10.0 per 10000 live birth c. nonrelated cause 7.7 per 10000 live birth d. undetermined 2.9 per 10000 live birth 3. In direct cause, infection was the most dominant followed by hypertensive disorders during pregnancy and hemorrhage. And indirect causes were topped by heart disease. Unrelated causes, malignancy was the major factor 4. 18 deaths resulted from infection, 13 of which were septic abortion. Postpartum atonic bleeding and eclampsia were major causes of death in hemorrhage and hypertensive disorders during pregnancy. 5. The maternal mortality rate was high in women over 35 years of maternal age and high parity.

      • KCI등재

        산전초음파진단에 의한 골형성부전증 1 예

        박용원(YW Park),정인배(IB Chung),김재욱(JU Kim),양영호(YH Yang),한은경(EK Han),박찬일(CI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0

        최근저자들은 제태기간 36주에 초음파진단에 의해 선천성 골형성부전증을 경험하였기에 문 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며, 이를 경험으로 많은 저자들이 보고한 바와 같이 임신 14주이후부터 숙련된 초음파 술자에 의한 의례적인 시행이 산전관리의 필수적 검사임을 강 조하지 않을 수 없다. osteogenesis imperfecta is a clinical , genetically biochemically radiologically heterogenous group of inherited connective tissue disorder characterized by bone fragility and other evidence of connective tissue involvement. One of these , the perinatal form on OI tyep II is rare disorder characterized by poorly ossified calvaria, beaded rib and short, bowed limbs. we recentrly exeprinced a case of OI type II diagnosed in utero by ultrasonography and confirmed by postnatal radiograph and autopsy. We present the case wit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생물리학적 푸로필을 이용한 태아안녕의 평가

        박종영(JY Park),박용원(YW Park),서경(K Seo),박찬규(CK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7

        1988년 3월1일부터 1988년 10월31일까지 만 8개월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서 진료받은 고위험임신군 114명을 대상으로 BPS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 은 얻었다. 1. 대상으로한 고위험임신 114예중 40예에서 비수축성 자궁검사 결과가 무반응였으며 반응 성을 보인예는 74예이었다. NST에서 무반응성을 보인 40예에서 5분 Apgar치 <7, 태아곤란 증, 호흡곤란증후군발생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2. NST와 BPS의 상관관계를 보면, 초음파를 이용한 4가지 변수의 결과가 정상인 69예중 20 예에서 NST가 무반응성이었으며 3가지 변수만 정상이었던 36예중에서는 14예서 2가지 변수 만 정상이었던 6예엇는 3예에서 1가지 변수만 정상이었던 경우는 무반응성 NST를 보여 BPS의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고 있다. 3. BPS결과를 보면 6예에서 비정상 17예에서 equivocal (BPS=6), 91예에서 정상이었다. 비정 상 BPS결과를 보인 6예에서 정상 BPS를 보인 91예에서보다 신생아 이환율을 나타내는 지 표중, 태아곤란증, 5분 Apgar 치 <7, 호흡곤란증후군 발생빈도가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는데 이중 5예(83%)에서 5분 Apgar치가 7미만으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내었다. 4. 주산기이환율을 나타내는 지표중 태아곤란증, 5분 Apgar치, 호흡곤란증후군을 기준으로한 진단정확도를 조사하면, 1) NST의 특이도는 81%로 BPS의 특이도 98%보다 낮았으며, 민감도는 76%로서 BPS의 민 감도55%보다 높앗다. 2) BPS의 위양성율은 16%로서 NST위양성율 46%보다 통계학적으로 의의잇는 낮은 결과를 얻었다. 3) BPS의 양성에측율은 83%로서 NST의 53%보다 높았으며 음성예측율은 95%로서 NST의 음성예측율 92%보다 높은 결과를 얻었다. 1. In 40 cases of NST non-reactive high risk pregnancy,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 in the incindence of fetal distress 5 minute Apgar score <7 and th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ompared to the NST reactive group was observed. 2. Of 69 instances with four normal variables of BPS, 20(29%) instances had non-reactive NST. and there were 14(39%) instances of non-reactive NST among 36 instances associated with normal variables of three. Of 6 cases of two normal variables 3(50%) cases had non-reactive NST and in 3cases with one normal variable all showed non-reactive NST 3. All six cases with abnormal BPS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 in the incindence of fetal distress, low 5-minute Apgar score, respiatory distress syndrome 4. Diagnostic accuracy of BPS in the prediction of perinatal morbidity based on fetal distress , 5minute Apgar score <7,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ere as following. Specificity = 98%, Sensitivity=55% False positive rate = 16%, False negateive rate =4.3%. positive predictive value = 83% negateive predictive value = 95% From this study , BPS test is currently useful in the prediction of perinatal morbidity in high risk pregnancy

      • KCI등재

        주산기 사망에 관한 고찰

        박찬규(CK Park),이충호(CH Lee),박용원(YW Park),김태효(TH Kim),이경림(KR Lee),이숙환(S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9

        1968년 1월부터 1978년 12월까지 만 11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서 출생한 22,866예의 출산아 중 815예의 주산기사망예의 임상기록부의 자료를 대상으로 임상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 11년간 평균 주산기사망률은 1,000출산아당 35.64였다. 2. 연령별 주산기사망률은 고위험률 임신군인 19세이하와 35세 이상에서 현저히 높았다. 3. 분만회수별 주산기사망률은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4. 산전관리를 받지 않은 군이 받은 군보다 주산기사망률이 4.2배 높았다. 5. 임신주수에 따른 주산기사망율은 37~40주에 9.63으로 가장 낮았다. 6. 임신중 발생한 합병증중 대부분이 태아기형을 동반한 양수과다증이 507.4로 가장 높았다. 7. 지연분만과 추락분만에서 주산기사망률이 증가하였다. 8. 파막후 분만까지의 소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주산기사망률이 증가하였다. 9. 거대아와 저체중아에서 높은 주산기사망률을 보였다. 10. 중위감자분만이나 둔위분만에서 주산기사망률이 높았었다. 11. 주산기사망의 원인은 원인미상 및 조산아가 대부분이었다. 12. 선천성 기형으로는 복합기형이 가장 많으나 단순기형에서는 무뇌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13. 신생아의 대부분이 24시간 내에 사망하였다. An epidemiological review of all 815 perinatal deaths occurring in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1968 to 1978 was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ver-all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35.64 per 1,000 births. 2.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lowest in the age group 25-29. 3.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highest in 4 or more parity group. 4. There was a much higher perinatal mortality rate among women who recieved no prenatal care than among women who recieved some prenatal care. 5.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lowest for gestations between 37 and 40 weeks. 6. In terms of relation between complication in pregnancy and perinatal mortality, the hydramnios was considered to be the cause of the highest perinatal mortality rate. 7. The prolonged and precipitate labor led to increased perinatal mortality rate. 8. The prolongation of the interval between the rupture of membrane and delivery led to increased perinatal mortality rate. 9. A striking correlation existed between high perinatal mortality rates, and low birth weight and giant baby. 10.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increased in mid-forceps and breech series. 11. The major causes of perinatal death were prematurity and etiology unknown. 12.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single anomaly was anencephaly. 13. The majority of neonatal deaths occurred within 24 hours of life.

      • KCI등재

        임신과 동반된 원발성 혈소판 감소 자반증의 질식분만 1 예

        권혁찬(HC Kwon),권기상(KS Kwon),박용원(YW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7

        임신과 동반된 원발성 혈소판 감소 자반증의 질식분만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is a rare form of disease formed mostly in women in the reproductive age and has been considered to be a disorder which can result in high peri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in both the mother and the fetus A case of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in pregnancy, which was experienced in our department recently, is presented along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한국에 있어서 융모막 융모 샘플링의 산전 유전진단 이용에 관한 첫 임상적 결과

        양영호(YH Yang),이명선(MS Lee),박용원(YW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2

        1. 샘플링의 적응증은 모성연령증가가 전체의 40%로 가장 많았으며 염색체 이상의 아이를 분만한 기왕력이 20%, 그밖의 선천성 기형아를 분만한 기왕력이 18.2% 등의 순서였다. 2. 융모 샘플링의 성공률은 총 55예 중 41예로서 93%로 나타냈다. 3. 임신주수는 7-12주에 시행하였으며, 이중 9-10주가 54.5%로 가장많았고, 7-8주가 25.5%, 11-12주가 20%였다. 4. 카테터 삽입횟수는 1회가 10예, 2회 23예, 3회가 19예, 4회 3예이었다. 5. 채취된 융모은 양은 0-4mg이 4예, 5-10mg이 32예, 10-15mg이 16예, 15mg이상이 3예이었 으며 한 개의 slide glass당 metaphase수는 5-10mg이 8.5개, 10-15mg이 15.4개, 15mg이상이 17.0개로서 채취된 융모의 양이 많을수록 metaphase수도 다소증가하였으나 융모의 양은 많 아도 형태가 불완전했던 2예에서 metaphase수가 적었고, 5mg의 적은 양으로도 양질의 충분 한 metaphase를 얻는 등의 예외가 발견되었다. 6. 염색체이상은 3예로서 47, XX, +21.0이 1예, 45,XO 가 1예 46,XX inv(9) (p11q13)이 1예있었 다. 7. 샘플링후의 자연유산율은 총 55예중 2예로서 3.6%였으며 이중 1예의 핵형이 46,XX inv(9) (p11q13). 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임신초기 융모막 융모샘플링에 의한 산전 유전검사방법은 비 교적 안전하고 진단에 신뢰성이 있으므로 양수천저에 대치될 것으로 사료된다. CVS has the potential of becoming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midtrimester genetic amniocentesis; it require much shorter waiting time for results than amniocentesis, thereby lessening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dens on the patients should therapeutic termination b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success rate of CVS subsequent fetal karyotypes, results of choromosomal analysis, and pregnancy outcome after CVS were evaluated. Chorionic villi were obtained by transcervical aspiration through a flexible plastic catheter under realtime ultrasound duidance. Direct chromosome preparation using modified method of Simoni. et al (1983, 1984) was employed.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55 women who opted for fetal genetic screening in 7 to 12 weeks gestation with various indications for CVS. Success rate was 93 percent. Majority of cases (52, 94.5%) required two or three aspirations. It seemed that the higher the amout of chorionic villi thus obtained , the larger the number of emtaphase cells scored per slide. Fetal karyotypes obtained in 51 cases revealed normal in 48 cases (94.0%) and abnormal in 3 cases (6.0%) . The abnormal cases were one case each of 47, XX, +21.0, 45,XO and 46,XX inv(9) (p11q13). Fetal loss occured in 2 cases (3.6%) one of which being the case of 46,XX inv(9). The study confirms the safety and accuracy of CVS, and indicated that CVS may be adopted, perhaps in place of amniocentesis, for prenatal genetic diagnosis. The study was the first endeavor of its kind in Korea.

      • KCI등재

        임신중기에 자궁파열을 동반한 Placenta Percreta 1 예

        최동희(DH Choi),홍승천(SC Hong),이병석(BS Lee),박용원(YW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4

        Placenta percreta는 빈도가 적고 합병증이 생기기전에는 진단이 어려우나 태아사망율, 산모의 이환율 및 사망률이 높은 응급을 요하는 산과적 질환이다 저자들은 과거 임신중절술을 시행받은 경산부에서 제 5회 임신 18주에 자궁파열에 의한 복강내 출혈로 응급 개복수술을 하여 전자궁적출술로 치료한 placenta percreta 1예를 체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pontaneous rupture of the uterus due to placenta percreta is one of the most urgent catastrophies resulting in rapid exsanguination and high mortality We present a case of spontaneous rupture of the uterus in midtrimester of pregnancy due to placenta percreta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모성기록부에 의한 한국인 산모의 분석보고

        곽현모(HM Kwak),조동제(DJ Cho),정우식(WS Chung),박용원(YW Park),장상식(SS C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11

        본원에서 모성기록부를 개발하여 입원당시 산모의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1. 빈혈은 지역적, 경제적 요인과 출산횟수에 따라 증가하여, 인공유산횟수와는 관계가 없었다. 2. 조산아, 사산 및 낮은 아프가치 발생은 지역적, 경제적 차이와 인공유산횟수, 신생아 사망 및 사산 경력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3. 임신중 합병증도 산전간호를 받지 않은 산모군에 많았고, 이와 같은 산전합병증이 있을 때 조산아 사산 및 낮은 아프가치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으며, 4. 분만방법에 따른 사산 및 낮은 아프가치의 발생은 자연질식분만시 제왕절개 혹은 감자분만보다 높았고 특히 유도진통분만시 자연진통분만시보다 높았다. 5. 둔위시 미숙아의 발생이 높았고 또한 제왕절개술의 적용이 많았다. 6. 산후합병증은 자연진통후 자연질식분만시 제일 낮았으며, 유도진통후 자연질식분만시에 제왕절개술이나 감자분만보다 높았다. 7. 산모의 50%가 더 이상 자녀를 원치 않는 자녀수는 2.16명이며 3명 이상의 자녀를 원하는 이유는 남아의 선호에 따른 것보다는 그 자녀수에 기인한다. 8. 효과적인 피임방법의 선택이 필요하며 더 원치 않는 임신의 결과는 인공유산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자녀를 더 원하는 산모와 원치 않는 산모를 구별하여 효과적인 피임방법을 제시하여야 하며 이 교육에는 입원기간의 활용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여기에서의 문제점은 지역적 차이 및 의료기관별 차이에 따른 분석이 필요하며 연도별 비교로 각 문제점의 개선 및 그 가능성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모성기록부의 확대 적용이 요구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general Objective of Maternity Care Monitoring i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quality of martenal care in national health services, including the relevant factors that affect the outcome of pregnancies. International Fertility Research Program had developed various maternity records from 1974 to 1977 which were superceded at the end of 1977 by the 903 system. 2312 parturiants who were admitted between Jan. 1979 to Dec. 1979 in the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were statistically analysed in terms of Yonsei University Maternity Record which was modified IFRP 903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developing country, socioeconomic, geographic factors take particular meanings. Anemia, prematurity, stillbirth, low Apgar score and perinatal mortality were related to above factors. 2. A major difficulty in obstetric care, especially developing countries, is the significant proportion of women who do not seek medical care until they are in labor. Many complications during labor and delivery, ie, prematurity, stillbirth and low Apgar score were occured in population who do not receive antenatal care. 3. It takes a major role to educate and emphasize the effective contraceptive practice, to improve maternity-child health. Conclusively, the most important dimension of institutional Maternity Care Monitoring is that it can provide the information needed to maximally improve the safety of the human reproductive process.

      • KCI등재

        산전 초음파에 의해 진단된 외엽성폐격리증 1 예

        박용원,조재성,최형민,신동환,이연혜,유용균,최은경,이현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9

        Pulmonary sequestration is a congenital anomaly of lung in which a portion of lung par-enchyma has no communication with the tracheobronchial tree and receives its blood supply via systemic artery. Sequestration represents a developmental anomaly of tracheobronchial branching with persistence and localized development of a separated branch fragment and retention of its embr- yonic systemic vascular supply. I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this disease is so rare that only 540 cases were reported worldwide. The anomaly is divided into 2 types;intralobar and extr- alobar. The ratio of intralobar type and extralobar type is about 3.5 : 1 and intralobar type is more common than the latter in all age groups. The intralobar type is contiguous with normal lung parenchyma and within the same visceral pleural envelope ; in contrast, the extralobar type is enclosed within its own pleural membrane, usually close to a normal lung but separated and discovered most commonly in the left hemithorax with rare cases in the abdominal cavity. Traditionally, this disease has been presented as an incidental lung mass in routine chest X-ray in the postnatal period and with confirmation by aortic angiography, but recently, pul- monary sequestration is diagnosed in the antenatal perio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nt- enatal ultrasonography. Ultrasonography shows the pulmonary sequestration as a hyperecho- genic mass near the diaphragm with posterior echo-free shadow. We have experienced one case of pulmonary sequestration which was found by antenatal ultrasonography and confirmed by operation and histopathologic report in the neonatal period, and we present the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산전 초음파검사로 진단된 태아 선천성기형에 대한 연구

        박용원,조재성,김태윤,김석영,최형민,김경수,임영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6

        The incidence of congenital anomalies is reported to be 2~3% of live born births. In the past, infection was one of the major cause of peri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but owing to the development of antibiotics and intensive care, congenital anomalies are becoming a major cause of peri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Prenatal diagnosis of congenital anomali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because appropriate perinatal care may minimize the effect of congenital anomalies. We studied the incidence of congenital anomalies diagnosed by antenatal ultrasound examinations retrospectively. The study group was 13,652 pregnant women who were taken antenatal obstetric ultrasound examinations between Jan. 1, 1991 and Dec. 31, 1995. There were 694 cases of congenital anomalies diagnosed by antenatal ultrasonography examinations. The incidence of congenital anomalies was 5.1%. The most common congenital anomalies by organ system was central nervous system(32.7%), and the next were urogenital (14.7%), heart(11.7%), face and neck(8.4%), multiple anomalies(8.4%), G-I(6.8%), abdominal wall defect(4.5%), skeletal(3.5%), thorax(3.2%) in order. The most common congenital anomalies was choroid plexus cyst(8.8%), and the next were hydrocephalus(7.9%), hydronephrosis (6.5%), cystic hygroma(4.2%), anencephaly(3.9%), cleft lip and/or palate(2.9%), hydrops fetalis(2.4%), small intestinal obstruction(2.3%), multicystic kidney(2.2%), diaphragmatic hernia(2.2%), omphalocele(2.0%), gastroschisis(2.0%), holoprosencephaly(1.9%), ovarian cyst(1.6%), esophageal atresia(1.4%), microcephaly(1.4%), amniotic band syndrome (1.3%), meningocele or meningomyelocele(1.3%) in decreasing order. Ultrasonography may be a useful prenatal diagnostic method of detecting congenial anoma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