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접적 원인에 의한 모성사망

        오기석(KS 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10

        모성사망에 관한 연구는 산과학의 중요한 과제일 뿐 아니라 국가 사회의 경제적 발전 및 국민보건의 중요한 척도이다. 선진외국에서는 오래전 부터 모성사망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모성사망의 원인, 빈도, 예방가능성 및 책임 소재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가능한 모든 예방 및 치료 활동을 함으로써 모성사망율을 감소 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모성사망율에 관한 연구는 대도시의 몇몇 대학병원을 중심으로한 단편적인 보고만 있을 뿐 미미한 실정이다. 역사적으로 볼때 국가적인 차원에서 모성사망에 관한 기관이 1928년 England와 Wales 에서 신설된 것이 최초였고 미국에서는 New York Academy of Medicine에 모성사망의 연구를 위한 위원회가 수성된 것이 1932년 1월 1일이었다. 그후 미국의학협회의 모자보건 위원회를 1956년 6월 15일 Chicago에서 개최하여 Guide for maternal Death Studies 를 채택하고 동년 10월 미국의학협회지에 모성사망의 정의, 사망의 분류, 연구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등에 관한 세부지침사항을 발표하였다. 1958년 3월 Klein et al.은 본래의 모성사망 분류법을 약간 수정하여 발표하였고 이 수정안은 1964년 모자보건 위원회에서 모성사망의 연구지침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는 1967년 모성사망에 관한 새로운 정의와 분류법을 제정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 KCI등재

        산부인과 영역에서 복부절개를 요하는 수술후 Prostaglandin F2α 투여에 의한 장관회복에 관한 연구

        오기석(KS Oh),김세광(SK Kim),황동훈(DH Hwang),정순오(SO Chu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1

        산부인과 영역의 개복수술후 장관회복과 이에 대한 PGF2α의 효과를 360예의 대조군과 60예의 PGF2α 투여군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임상적 요인과 수술시간에 따른 각각의 배기시간을 통계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의 연령이 31세 이상, 수술전 금식이 안됐던 경우 및 수술후 진통제(Demerol) 투여량이 201mg 이상이었던 경우에 각각 그 배기시간은 늦어졌다. 2. 마취의 유형과 부수적 충수절제술에 따른 배기시간에는 현저한 변화를 볼 수 없었다. 3. 수술시간이 길어짐에 비례하여 그 배기시간은 늦어졌다. 4. PGF2α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어느 경우에나 그 배기시간은 빨랐다. 5. 수술시간이 길어질수록, 수술전 금식상태를 유지했을 경우 PGF2α의 효과는 현저하였다. 6. PGF2α 투여후 부작용으로 구역, 구토가 가장 많았고 기타 설사 및 심한 연동통 순이었다. Two studi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present recovery of bowel function and effects of Prostaglandin F2α after obstetric and gynecological celiotomy. In preliminary study of 360 cases, the gas passing hour was analyzed according to several clinical factors and operation time. In the study group of 60 cases Prostaglandin F2α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and which was compared with previous control group statistically using average gas passing hour after ope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ontrol group. 1. The longer operating time, the later gas passing was noted. 2. There was no noticable difference by anesthetic type or incidental appendectomy. 3. Delayed gas passing was noted in post operative sedative administration, Demerol 201mg or more, and unprepared NPO state. PGF2α Administration Group. 1. Gas passing hour was shorten than control group in all occasions. 2. The drug effect was remarkable when the operating time was longer and NPO state was prepared. 3. Side effect was noted such as nausea, vomiting, diarrhea, and severe peristaltic pain.

      • KCI등재

        난소의 Krukenberg 종양 - 17예의 고찰

        김광숙(KS Kim),이동식(DS Lee),황민철(MC Whang),오기석(KS Oh),양영호(YH Y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8 No.8

        난소의 Krukenberg 종양 17예를 고찰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We have observed 17 cases of Krukenberg tumor among 519 cases of ovarian tumor who were admitted operated and diagnosed at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 1961 to December 1973.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e incidence of Krukenberg tumor was 3.3% and the most frequent age incidence was from 40 to 49 years old. 2. Clinical symptoms and signs were abdominal distension, indigestion lower abdominal mass, abdominal pain ascites and menstrual disorder in order of frequency 3. The bilaterality was 76.0% and in the most cases the primary site was unknown. The associated sites of the tumor were stomach (5cases) breast (1 case) and colon (1case)

      • KCI등재

        임산부 사망에 관한 연구

        박용원(YW Park),오기석(KS Oh),이충호(CH Lee),김재욱(JU Kim),곽현모(HM Kwak),김봉호(BH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5

        1969년 1월1일부터 1978년 12월31일까지 만 10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에서 사망한 임산부를 100예를 대상으로 정확한 자료 수집과 사망률을 비롯한 사망원인의 분류, 사망자의 연도별 분포, 임산부 사망과 연령 및 분만횟수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생아 출산수 20888예중 임산부사망수는 100예로서 47.9의 사망률을 보였다. 2. 임산부의 원인별 사망률 은 직접적 원인에 의한 것이 27.3으로 수위를 차지하였으며 간접 적 원인이 10.0 비관련성 원인이 7.7이었고 불명이 2.9이었다. 3. 직접적 원인에서는 감염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임신중 고혈압성 질환과 출혈은 같 은 율을 나타냈으며 또한 간접적 원인중에서는 심장질환이 비관련성 원인에서는 악성종양이 가장 많았다. 4. 감염으로 사망하엿던 18예중 패혈성 유산으로 사망한 경우가 13예로서 대부분을 차지하 였으며 임신중 고혈압성 질환에서는 자간, 출혈의 경우는 이완성 출혈에 의한 사망이 제일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5. 35세 이상의 고령 임산부에서 임산부 사망률 이 2.04로 제일 높았으며 또한 분만횟수가 증가할수록 사망률 역시 증가하였다. The Study about maternal mortality is the most important measurement not only to improve public health but also represents the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of the community. The maternal mortality rate in Korea, even with the advances in social and medicine such as easy transfusion and development of antibiotics, is still high in comparison to western culture.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maternal death per 20888 total live birth was 100 cases or 47.9 cases per 10000 2. Causes of maternal death were in 4 categories; a. direct cause 27.3 per 10000 live birth. b. indirect cause 10.0 per 10000 live birth c. nonrelated cause 7.7 per 10000 live birth d. undetermined 2.9 per 10000 live birth 3. In direct cause, infection was the most dominant followed by hypertensive disorders during pregnancy and hemorrhage. And indirect causes were topped by heart disease. Unrelated causes, malignancy was the major factor 4. 18 deaths resulted from infection, 13 of which were septic abortion. Postpartum atonic bleeding and eclampsia were major causes of death in hemorrhage and hypertensive disorders during pregnancy. 5. The maternal mortality rate was high in women over 35 years of maternal age and high parity.

      • KCI등재

        Prostaglandin F2a의 만삭유도분만에 관한 임상적 고찰

        양영호(YH Yang),오기석(KS Oh),박영동(YD Park),곽현모(HM Kwa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8

        1. 유도분만 35레중 그 성공률은 초산 13례, 경산 17례로 각각 77%, 94%이었다. 2. 유도-만출간의 평균소요시간은 초산이 7시간 9분, 경산이 3시간 45분이었다. 3. 평균 최대주입용량은 초산 5.4, 경산 3.8 ugm/min이었다. 4. 진통촉진군 15례 전례에서 분만 성공하였으며, Oxytocin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5. 주입중 산모의 혈압, 맥박 및 체온의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으며, 1례에서 Uterine hypertonus를 볼 수 있었고, Apgar score는 전례에서 1분후 8 이상이었다. 6. 경한 오조와 주입부위 정맥염이 각 1례씩 있었으나, 주입을 중단할 정도로 심하지는 않았 다. 1. Successful induction was 77% in primigravida (13 of 17 case) and 94% in multigravida (17 of 18cases) 2. All patients in hte easy category were successfully induced and delivered. 3. Mean induction delivery time in primigravida was 7 hours 9 minutes and that in multigravida was 3 hours 45 minutes 4. Mean maximal infusion dosage in primigravida was 5.4ug/min and that in multigravida was 3.8 ug/min. 5. all patients requiring augmentation of labor were successfully delivered. 6. Uterine hypertonus was observed in 1 patient 7. Mild nausea (1patient) and phebitis at injection site (1 patient) were observed, but they were spontaneously disappeared without specific management. 8. the condition of the newborn was generally good with one minute Apgar score of 8 or more in all cases

      • KCI등재

        제왕절개술에 관한 임상적 고찰

        문영기(YK Moon),이동식(DS Lee),오기석(KS Oh),김광숙(K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5

        1961년 1월 1일부터 1971년 12월 31일까지 만 10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 입원 하여 1000gm 이상의 태아를 분만한 13,738예의 산모 가운데 1,121예의 제절예와 8쌍의 쌍태 아를 포함한 981예의 사산아 및 신생아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절의 빈도는 8.1%였다. 2) 적응증은 반복제왕절개술이 32.8%로써 가장 많았고 아두골반 불균형이31.7%, 태위이상이 10.7% 등의 순위였다. 3) 제왕절개술식으로는 자궁협부 횡절개술이 92.7%였고 자궁체부 종절개술이 6.5%였다. 4) 제왕절개술과 동시에 시행된 수술은 난관결찰술이 20.3%로써 가장 많았다. 5) 마취방법으로는 전신마취가 76.9% 요추마취가 21.9%였다. 6) 모성사망율은 0.5%였고 모성이환율은 30.7%였다. 7) 파막된 시간별 모성이환율은 파막된 시간이 길수록 높았으며 파막 후 12시간 이상군이 이하군보다 현저히 높았다. 8) 주산기 사망의 백분율은 8.15%였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retrospectively based on the clinical charts of 973 patients who had cesarean sections performed, and 981 newborns including 8 pairs of twins delivered at Dept. of Obst. & Gyn.,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from January 1, 1961 to December 31, 1971.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 1) Cesarean section rate was 8.1% for the period. 2) Among the indications for cesarean section, the previous cesarean section was the most prevalent (32.8%), and the others were cephalopelvic disproportion (31.7%), malpresentation (10.7%) in order. 3) In the types of operation, lower cervical transverse type was most common (92.7%) and classical type was only 6.5%. 4) Of 221 combined operations with cesarean section, tubal ligations were perfomed in 197 cases. 5) The general anesthesia was major type and its rate was 76.1%, and spinal anesthesia was 21.9% and so on. 6) It was found that meternal mortality was 0.5% and the morbidity was 30.7%. 7) Maternal morbidity rate was increased as the duration of rupture of membranes was extended. Particulary the group of more than 12 hours after rupture of membrane were higher greatly than the group of less than 12 hours. 8) Perinatal morbidity was 8.15%.

      • KCI등재

        임신중절에 관한 임상적 고찰

        곽현모(HM Kwak),양영호(YH Yang),오기석(KS Oh),황민철(MC W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6

        1962년 1월부터 1973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 입원한 총 483명의 임신중 절을 한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중절 실시율이 30∼39세에서 가장 높았다. 2) 초회임신을 중절시킨 것이 31%였고 평균분만 회수는 3.5였다. 3) 임신중절을 임신 12주전에 시행한 것이 70.2%, 13주 이후는 29.8%로서 대부분 소파수술 이었다. 4) 합병증 발생빈도는 임신 12주 전에는 13%, 13주 이상에서 17%로 임신주수가 상승함에 따 라 증가함을 볼 수 있다. To determine the chracteristics and complications. 483 patients undergoing abortion at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1962 to August 31, 1973 were analyzed. Most of patients had pre-existing medecal condition, incomplete or inevitable abortions. The obtained result are as follows : 1) The majority(67.21%) of the women studied were between 30 and 39 years of age, parity was 4.5 and 31% had parity 0. 2) The majority(70.2%) of patients aborted were in the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3) Most of pregnancies(86.54%) were terminated by a "single method used" D & C. 4) The incidence of comlpications varited with gestational age : 13% in the first trimester and 17% in the 2nd trimester, increasing with advancing pregnancy.

      • KCI등재

        월경조절법에 관한 연구

        곽현모(HM Kwak),송찬호(CH Song),오기석(KS Oh),황민철(MC W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8 No.8

        1. 월경조절법을 시술받은 부인의 중앙연령은 32세였고, 중앙분만회수는 2.6회였으며 교육수 준은 높았다. 2. 피임동태를 보면 월경조절법시술전에 비하여 시술후에는 좀더 효과적인 피임법을 원하거 나 불임수술을 원하는 경향이 현저하였다. 3. 무월경 기간에 따른 임신율을 보면 무월경 40-42일에 68%, 43-45일에 83.7%, 46-50일에 90.0%였다. 4. 진통진정제투여로 시술이 가능하였고 수술에 소요되는 평균시간은 6.1분이었다. 5. 총 합병증의 빈도는 4.3%였다. 그중 시술초기합병증은 1.5% 후기합병증은 2.8%였다. 6. 실패율은 0.5%였다. 이상으로 보아 월경조절법은 안전하고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is undertaken to analys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ertility profile of the menstrual regulation acceptor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menstrual regulation. A total of 695 cases were menstrually regulated at the Yonsei medical center fertility control room from February, 1974 to may 1975. Menstrual regulartion (M.R) refers to treatment of missed menstrual period before confirming evidence of pregnancy is available. The procedure consist of a simple aspiration of the endometrium with or without product of conception according to the underlying cause. For this a 4-8 mm plastic cannula is introduced without dilatation of the cervix and vacuum provided by evacuating air from a 50cc syringe or electric pump.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menstrual regulation acceptor were selected group of the population in Seoul. the median age was 32 years old and median parity was 2.6. Their education level was much higher than the general population in Seoul. There was no major complication. Failure rate of menstrual regulation was 0.5%. So menstrual regulation is a safe, effective, simple and acceptable low-cost procedure for preventing unwanted pregnancy.

      • KCI등재

        난관불임술에 관한 임상적고찰

        이국(K Lee),이영호(HY Lee),박찬규(CK Park),오기석(KS 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3

        1) 난관불임수술을 실시한 총 931 예중 복식난관불임수술 823예, 질식난관불임수술 108예였 으며 복식난관불임수술예 중 산욕기 난관결찰수술은 356예에서 시행하였다. 2) 난관불임수술환자 중 다산부는 473예(50.8%), 다산부이면서 산과 및 부인과적 수술시 난 관불임수술을 겸행한 환자는 각각 152예(16.3%) 및 292예(31.4%), 내과적 적응증 환자는 14 예(1.5%)였다. 3) 연도별 난관불인수술 환자의 수와 분만례에 대한 난관불임수술빈도는 매년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고 년령은 낮아지고 생존아수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연도별 생존아의 평균 남녀 성비는 12:100으로 남아가 우세하였다. 4) 난관불임수술환자의 평균년령은 33.1세, 평균임신회수 5.3, 평균분만회수 3.5, 평균 생존아 수 3.2, 평균 인공유산회수 1.6회였다. 5) 산욕기 난관결찰수술은 가장 편리한 수술이며 대부분의 예에서 산욕기 1일 이내에 시행 하였다. 6) 난관불임수술 중 산욕기 난관결찰수술은 타수술군에 비해 최단 평균입원일(3.3일)과 최소 이환률(3.7%)을 보여주었다. 7) 마취는 대부분의 예에서 전신마취를 하였다. 8) 난관불임수술환자 931예 중 1예에서 실패하여 0.1%의 실패률이었다. A clinical analysis has been made on 931 cases of tubal sterilization which were seen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e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 1, 1965 to Dec. 31, 1972. The results are as follws ; 1) 931 cases of tubal sterilization were performed. Among them, 88.4% were abdominal procedures and the remaining 11.6% were vaginal procedures. 2) The main indications(motivations) for tubal sterilization were as follows ; Multiparity only …………………………………………………… 50.8% Gynecological indication accompanying multiparity ………… 31.4% Obstetrical indication accompanying multiparity …………… 16.3% Medical indication ………………………………………………… 1.5% 3) For recent 8 years, annual number of tubal sterilized patients has been increasing as well as the incidende of puerperal sterilization, but average age of tubal sterilized patients tended to be lowered with the decreased number of their living children. According to the sex ratio of their living children (male : female=129:100), the number of male had a slightly higher preponderance for having tubal sterilization. 4) Average age of tubal sterilized patients was 33.1 years. Average number of gravidity, living children and induced abortion were respectively 5.3, 3.5, 3.2, and 1.6. 5) Considering the shortest average postoperative hospital day(3.3 days) and the lowest morbidity rate (3.7%)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abdominal and vaginal sterilizations, the postpartum tubal sterilization was the most convenient method, and it was performed usually on postpartum 1st day. 6) General anesthesia was performed in the majority of cases. 7) Among 931 tubal sterilizations, there was 1 failure in vaginal tubal sterilization. Failure rate was 0.1%.

      • KCI등재

        한국불임여성에 있어서 자궁난관조영술의 임상적 고찰

        곽현모(HM Kwak),김성도(SD Kim),이영호(HY Lee),오기석(KS 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6

        1967년 1월부터 1969년 12월까지 만 3년간 불임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 외 래에 내원하여 자궁난관조영술을 시행한 예 중 임상 및 X선 기록이 충실한 200예를 대상으 로 분석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난관조영술을 시행한 200예 중 원발성불임은 121예, 속발성불임은 79예였다. 2) 연령분포를 보면 원발성불임군에는 25∼29세군이 58예(47.9%), 속발성불임군에서는 30∼ 34세군이 31예(39.3%)로 가장 많았다. 3) 불임기간은 월발성 및 속발성 불임 전체에서 불임 기간 7∼9년이 60예(30.0%)로 가장 많 았고, 속발성불임군에서 원발성불임군에 비해 불임기간이 다소 긴 경향을 볼 수 있었다. 4) 기왕력에 있어서 골반염증성 질환이 22예(11.0%)로 가장 많았으며 원발성불임군에서는 진단목적으로 소파수술을 받은 예가 11에, 충수절제술이 7예였고 속발성불임군에서는 최종 임신을 임신중절술로 마친 예가 25예(12.5%)로 가장 많았다. 5) 자궁상은 정상이 125예(62.5%)이고 비정상 70예 중 내강벽 불규칙상이 30예(15.0%)로 가 장 많았다. 6) 난관상에서는 팽대부 및 체부의 난관수종상이 76예(38.0%)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 다. 7) 양측난관폐쇄는 52.0%(104예)이였으며 편측폐쇄가 16.0%(32예)로 좌우측난관에서 의의있 는 차이는 없었다. 8) 난관의 폐쇄부위는 각부 30예, 협부 32예 그리고 팽대부가 71예(35.5%)로 가장 많았으며 좌우측 난관에서 차이는 없었다. 9) 복강상은 96예(48.0%)에서 출현하였다. 10) 골반내맥관상의 출현빈도는 13.5%로 타 보고자보다 높은치를 보였으며 원발성 및 속발 성에서 의의있는 차이는 없다. 11) 자궁, 난관, 복강상에 있어서 이들 전부가 정상인 것은 42예(21.0%), 하나 이상에서 비정 상인 것은 116예(58.0%)이였다. Hysterosalpingography has been universally accepted and approved method as a valuable aid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fertility and tubal pathology, especially for tubal patency. A clinical analysis has been made on 200 cases of known infertile patients by the view of hysterosalpingogr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200 cases of infertility, 121 cases were primary and remaining 79 cases were secondary infertility. 2) Age distribution showed the peak at 25-29 year old group in primary infertility and at 30-34 year old group in secondary infertility, cases of which were 58(47.9%) and 31(39.3%) respectively. 3) 60 cases of this study shows 7-9 years of duration infertility and it was longer in secondary than primary infertility. 4) In past history, pelvic inflammatory diseases were found in 22 cases (11.0%), diagnostic D & C in 25 cases (12.5%) of secondary infertility. 5) Uterine shadow revealed 125 cases of normal finding and 30 cases of irregular uterine cavity shadow, which was 15.0% and predominant abnormal finding. 6) Tubal pathology was predominent lesion in hysterosalpingogrm and bilateral occlusion was noted in 104 cases(52.0%) and unilateraltubal occlusion was 32 cases(16.0%).T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side. 7) In shape of tubes, hysterosalpinx of ampuaalr and fimbrial portion was predominant to the exclusion of patent tubes and cornual obstruction. 8) Sites of tubal occlusion were cornual in 30 cases, isthmic in 32 cases and ampullar and fimbrial portion in 71 cases. 9) Intravasation, one of complications of HSG was noted in pelvic cavity of 27 cases among 200 cases, which was 13.5%. 10) Abdominal despersion of radiopaque material appeared in 96 cases(48.0%) of this study and most common appearance was homogeneous hazzy cloudy shape. 11) Normal hysterosalpingogrm was noted in 42 cases(21.0%) and 116 cases(58.0%) was abnormal in one or more among uterine, tubal, and intraabdominal shad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