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중년여성의 학습경험유형 연구

        박연하 단국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삶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학습과정을 근거이론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학습과정을 탐색하고 학습경험을 유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대학에 부설된 평생교육원과 2년제 전문대학 그리고 사이버대학에서 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중년여성 학습자 15명을 구술면접(narrative interview)하여 수집하였고, 학습과정은 근거이론의 코딩과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년여성학습자의 학습유형은 자아 만족형, 지식 추구형, 자아발견형 그리고 자아 혼돈형의 4가지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학습경험유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 학습유형인 자아 만족형은 자신이 살아온 과거를 회상하는 과정에서 반성의 정도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 이들은 경제적인 어려움은 크게 없지만, 가정생활에 전념하는 것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여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싶은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시절의 꿈은 교사가 되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생학습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으며, 현재 가족들의 지지도는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습에 참여한 이후, 이들은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제 2 학습유형인 지식추구형은 유년 시절에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형편을 경험한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이유로 상급학교 진학이 좌절된 경우이다. 따라서, 고등교육에 대한 열정이 과거부터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현재는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있다. 완벽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하여, 집안 일과 학업의 두 가지 일을 모두 완벽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배우자와 친정부모님까지 적극적인 학습의 지지자가 되어 주기 때문에, 비교적 좋은 환경에서 학습에 참여한다. 현재의 평생교육을 계속 지속하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자신이 획득한 지식이 실제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제3 학습유형인 자아 발견형은 유년 시절에는 형제가 많은 가족에서 딸로 태어났기 때문에, 특별한 보살핌이나 배려가 없이 성장하였다. 따라서 자신의 일을 자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터득하였다. 따라서 대학진학에 진학하였을 경우라도 자신의 학비를 스스로 마련하여 왔다. 자녀의 양육이 수월해지고,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가정생활에 무료함을 느끼게 되면서 이들은 주변의 중요한 타자들로부터 학습과 관련된 많은 체험을 통하여 스스로 자기주도적인 평생학습자가 되었다. 인생이 허무해 지지 않도록, 자신의 꿈을 펼치기 위하여 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4학습유형인 자아 혼돈형은 유년 시절 대체로 보수적이며 권위적인 아버지 밑에서 성장하였다. 아버지에게 순종하는 삶을 살아왔으므로, 자율적으로 자기주도적인 결정을 해본 경험이 거의 없는 학습자이다. 따라서 성인이 되어 결혼생활을 하고 있지만, 아버지와의 상호관계는 계속되며, 아버지로부터 아직도 경제적인 도움을 받고 있다. 현재하고 있는 평생학습도 타인의 강요로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나타나, 아직도 평생학습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하고, 매우 불만족 하고 있으며, 학습을 타인의 행복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이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학습경험이 다양함을 인정하고, 성인을 지도하는 평생교육기관의 교수자가 이들의 다양한 유년시절의 경제적 상황과 양육환경과 가족관계 그리고 현재 양육자의 역할과 노년기의 부모를 부양해야 하는 샌드위치세대로서의 어려움, 중년기 자아정체감 확립의 문제, 배우자와의 관계, 그리고 평생학습의 의미 등의 일상세계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중년여성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며, 학습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여성의 학습경험유형을 탐구하여 평생학습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하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평생학습의 주 참여대상이면서도, 지금까지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참여를 탐구함으로써,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조건들인 학습 참여동기, 학습목적, 학습참여유형을 규명했다는 점이다. 둘째, 평생학습을 통하여 해결하는 중년기 삶의 위기들이 중년여성의 삶에 미치고 있는 작용과 상호작용의 전략들, 그리고 평생학습을 통하여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지에 관한 과정을 명백히 규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learning for the middle-aged women in the life context through the grounded theory. For this, the data was collected in the lifelong-learning center of university, college and cyber university. The sample consists of 15 adult-learner. They were interviewed by the narrative interview and the process of learning was analysed through the coding-process of grounded theory. Thus, they are shown as 4 learning tips. The followings are major findings. The first learning tip can be called self-satisfactory tip. They reflect their past very much and changed their view of life. They almost all don't have any financial problems. But they don't satisfy as housewives and try to participate in the society. So they are very positive to learn and received enough familial support. They become self-confidence through the learning. The second learning tip can be called knowledge orientated tip. They almost all have financial problems and in the childhood because of these problems, they could not go to the university. So they would like to get the university degree. They tend to be perfectly in housework and studying. They want to learn continuously in the future and to utilize their knowledge through working. The third learning tip can be called self-discovery tip. They grew in the family, who have a lots of daughters. So they did not get enough attention by the parents. So they should solve their problem alone in the childhood and now have learned autonomous behaving. They would like to learn for self-realization in the middle-aged lifespan. The forth learning tip can be called self-confusion tip. They grew with a strict father and learned obedience. So they haven't learned to solve her work by herself. Until now this relationship between both is continuing. They started to learn because of their father's advice and consequently aren't pleased in learning, even now very confusing. This Study came to an end, that the adult-learner were very diverse. This learning process in life text, showed to understand the middle-aged women. They are a sandwich generation and suffered an identity problem and relationship problems with their husband. Therefore they must be understand totally. For the activ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of the womne, the instructor in the lifelong institution must consider their whole life context. The remarkable meaning of this study showed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and goal of learning and learning tip of the middle-aged women. And also their interaction und strategies and contents of learning in the life contexts.

      • 자아 성찰을 위한 읽기 교육 개선 방안 연구 : 2009 교육과정 중학교 ‘읽기’영역을 중심으로

        박연하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explore the current middle school reading education method by analyzing the reading textbooks in use so that students can write about their life and interpret and self-reflect on them. Students in adolescent period undergo the period of identity crisis, during which they focus on their inner world to establish self-concept, self-identity and self-respec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elp them form positive self-concept and self-identity by providing reading education that can help their self-reflection process by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istics. Although there should be more active researches on comprehensive educational curriculum that could help students establish their self-identity and self-reflection, such researches are scarce. This research proposes a method to enhance self-reflective reading education by analyzing reading textbooks. Chapter I discuss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and the research method and the test subjects. Previous literatures on reading and self-reflection were also reviewed. The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s revealed that, although there are many researches that have been done on self-reflective writing education, the researches on similar reading education are scarce, therefore confirming the need for such research. Chapter I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self-reflection and reading. The chapter discussed why adolescent students need self-reflection and what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self-reflection exist. In terms of classifying the textbooks, this study referred to ‘information text and literature text’ suggested by Theory on Reading Education (2015). The type classification was used to classify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textbooks in terms of essay, novel and autobiography. Also, the self-reflective reading method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self-reflective reading (reflective reading), reading to understand others (relationship reading), and reading to obtain positive lesson (practical reading) according to the type of textbook, Also, it was assumed that essay could help self-reflective reading; novels, reading to understand others; and autobiography, positive lessons. Chapter III analyze the contents of texts in currently used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 of Chapter II. Also,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how each text could affect self-reflection via self-reflection (reflection), understanding others (relationship) and positive lesson (practice). The result of the survey revealed that adolescent students had a chance to reflect on their life via ‘self-reflection,’ ‘understanding of others’ and ‘positive lesson’. This paper suggested a self-reflective reading i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texts in the textbook based on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essay’, which helps ‘self-reflective reading,’ this research suggested two models of reading: ‘writing while reading’, which combines reading and writing; and ‘writing after reading’. ‘Novel’, which helps ‘relationship reading’, suggested an instruction based ‘play education.’ In ‘play education,’ novel materials are edited to write a short script or a scene in the novel is performed as play. ‘Autobiography,’ which helps ‘practical reading,’ the research suggested instruction methods such as ‘writing an autobiography of one’s past’ and ‘writing biographies of parents.’ This research discussed reading instruction methods to facilitate student’s self-reflection by analyzing the materials contained in reading textbooks. Unlike most researches on textbooks related to self-reflection tends to focus on ‘writing,’ this research was done based on the possibility of using ‘reading’ to enable adolescent students to achieve self-reflection as well as suggesting concrete instruction methods for self-reflective reading, which differentiate this research from others. Keyword: self-reflective reading, self identity, reflection, relationship, practice, Korean textbook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삶과 연관 지어 글을 읽고 해석하는 능력을 기르고 나아가 자아 성찰을 할 수 있도록 중학교 읽기 영역 교과서를 분석하고 읽기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소년기의 학습자들은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면서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여 자아개념, 자아 정체성, 자아존중감 등을 확립해 나간다. 때문에 청소년기 학습자들의 특징을 파악하고 자아 성찰을 위한 읽기 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범교과적인 차원에서의 자아 정체성 확립과 자아 성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지만 연구가 미비하여 교과서 분석을 통해 자아 성찰적 읽기 교육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의 대상 및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읽기와 자아 성찰에 연관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자아 성찰을 위한 쓰기 영역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자아 성찰을 위한 읽기 영역에 대한 연구는 미비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읽기 영역에서의 자아 성찰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Ⅱ장에서는 자아 성찰의 개념과 읽기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청소년기 학습자들에게 있어 자아 성찰이 왜 필요한 것인지, 읽기와 자아 성찰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논의 하였다. 분석 대상인 교과서 텍스트 유형분류는 『독서교육론』(2015)에서 제시하고 있는‘정보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를 참고하였다. 이러한 유형 분류에 따라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읽기 제재 유형을 수필, 소설, 전기로 한정하여 분류하였다. 또한 교과서 텍스트 유형의 특성 따라 자아 성찰적 읽기의 방법을 자기반성의 읽기(성찰적 읽기), 타인 이해의 읽기(관계적 읽기), 긍정적 깨달음의 읽기(실천적 읽기)로 나누었으며 수필 텍스트는 자기반성의 읽기, 소설 텍스트는 타인 이해의 읽기, 전기 텍스트는 긍정적 깨달음의 읽기로 자아 성찰에 도움을 줄 것임을 가정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을 토대로 하여 현행 교과서에 실린 텍스트의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각 텍스트 유형이 실제로 청소년기 학습자들의 자기반성(성찰), 타인 이해(관계), 긍정적 깨달음(실천)을 통한 자아 성찰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청소년기 학습자들이‘자기반성’, ‘타인 이해’, ‘긍정적 깨달음’을 얻어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텍스트 유형에 따른 자아 성찰적 읽기 지도 방법을 제안하였다. ‘성찰적 읽기’에 도움을 주는 ‘수필’은 ‘읽기와 쓰기의 통합’을 활용한 ‘읽으면서 쓰기’와, ‘읽기 후 쓰기’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관계적 읽기’에 도움을 주는 ‘소설’은 ‘연극 교육’을 활용한 지도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소설 제재를 각색하여 짧은 대본을 만들어보거나, 소설의 장면을 극으로 표현해보는 활동이다. ‘실천적 읽기’에 도움을 주는 ‘전기’는 ‘과거 자신의 전기 써보기’활동과 ‘부모님의 전기 써보기’활동을 통한 지도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자아 성찰적 읽기와 관련된 읽기 영역의 교과서 제재 분석울 통해 자아 성찰을 위한 읽기 지도방안에 대해 논의 하였다. 자아 성찰과 관련된 교과서 분석이 주로 ‘쓰기’영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청소 년기 학습자들이 ‘읽기’영역을 통해 자아 성찰이 가능함을 전제로 연구하였으며 텍스트 유형에 따른 구체적인 ‘자아 성찰적 읽기 지도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논의와 구분된다. 〚주요어〛 자아 성찰적 읽기, 자아 정체성, 성찰, 관계, 실천, 국어 교과서

      •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 패션스토어의 VMD구성요소 분석 : 브랜드 이미지와 상품구매의도관계를 중심으로

        박연하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mported Contemporary Fashion Store' VMD Components affect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VMD is a means to express the fashion store' brand identity, It enables communication of product and customer. The brand image Through VMD affects customer attitude and evaluation on product. To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nalysis Imported Contemporary Fashion Store' VMS Components,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VMD to promote product purchase. This study conduct a survey consumer aware of the br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lace to buy a Imported Contemporary Fashion product was department store(70.39%), Flagship Store(20.76%), Multi brand store(9.21%), Discount outlet 2.63%. The motivation to visit the Imported Contemporary Designer brand’s store were ‘Because the going to mind VMD’ 61.84%, ‘Because favorite brand’ 34.21, ‘Because the sale period’ 23.03%, ‘For market research’ 28.95%, ‘The impact of advertising or PPL’ 5.26%. Second, "VMD component of the Imported of the contemporary designer brand stor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image," it was adopted hypotheses 1-1, 1-2, and 1-3 are all called. In other words, store design, shop window displays, indoor displays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brand image. Third, "VMD component of the import contemporary designers brand store will affect the degree of the product purchase." Hypothesis was adopted 2-1, 2-2 and 2-3 are all called. In other words, store design, shop window displays, indoor displays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product purchases. Fourth, Hypothesis 3-1, 3-2, 3-3 on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image were all supported. Specifically, the brand image was in part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of VMD and product purchase. This means that the more positively evaluating the VMD component, tend to think in a positive brand imag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brand image also increases the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f the brand image was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VMD component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demonstrated VMD component's importance, influence on brand image, product purch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materials for brand identity's formation and expression. 본 연구는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 패션스토어의 비주얼 머천다이징(VMD)구성요소가 브랜드 이미지 및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비주얼 머천다이징(VMD)은 패션 스토어에서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수단이며 상품과 고객과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요소의 기능을 한다. VMD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평가에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의 상품구매의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 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 패션 스토어를 중심으로 VMD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브랜드 이미지 형성과 상품의 판매를 촉진시키는 선행요인으로 VMD의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 스토어의 VMD 구성요소(스토어 디자인, 쇼윈도 디스플레이, 인도어 디스플레이)와 브랜드이미지, 상품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를 인지하고 스토어 방문 경험이 있는 20~40대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VMD 구성요소에 대한 사례 분석, 브랜드 이미지와 상품 구매의도와 관계를 중심으로 통계분석을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소비자들이 수입 컨템포러리 브랜드 패션 제품을 주로 구매하는 곳은 백화점 응답자가 70.39%로 가장 많았고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가 20.76%로 그 뒤를 이었다. 이외 편집스토어 9.21%, 상설 할인 스토어가 2.63%의 순이었다. 자 152명 중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의 스토어를 직접 방문하게 된 동기 질문에’ VMD가 마음에 들어서’가 61.84%로 가장 많았고, ‘평소 좋아하는 브랜드로 주로 그 브랜드 상품을 구매하므로’ 34.21%, ‘세일 기간이라 가격이 인하되어서’ 23.03%, ‘시장 조사(디자인, 가격 등 파악)를 하기 위해서’ 28.95%, ‘광고나 PPL을 보고 직접 착용해 보기 위해서’ 5.26% 응답하였다. 둘째,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의 스토어의 VMD 구성요소는 브랜드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즉, 스토어 디자인,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 인도어 디스플레이는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브랜드 이미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의 VMD 구성요소 중 스토어디자인,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 인도어 디스플레이 즉 매장 내 진열과 연출 순으로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셋째,“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 스토어의 VMD 구성요소는 상품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즉, 스토어 디자인,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 인도어 디스플레이는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상품구매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VMD의 구성요소와 상품구매의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브랜드 이미지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라는 연구가설 역시 모두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VMD 구성요소가 상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브랜드 이미지의 부분적 매개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는 VMD 구성요소를 우수하다고 인식할수록 브랜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상품구매의도를 증가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인식이 VMD 구성요소에 대한 평가 -> 상품구매의도의 관계를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패션 산업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VMD 구성요소 중 브랜드 이미지의 형성과 상품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VMD 구성요소를 학술적으로 규명한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패션 스토어의 VMD 구성요소와 브랜드 이미지의 매개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날수록 상품 구매의도가 높아졌다는 사실을 밝혀냄으로써, VMD 스토어 기획 시, VMD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과 브랜드 개성 및 철학의 가시적 표현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 문학교과서 수록 여성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상과 그 교육방안

        박연하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ims at forming desirable value of genders equality for learners by exploring progressive and proactive consciousness of woman figure through works written by women writers, which are 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of the 7th school curriculum for high school. This work would add a meaning in disclosing feminine consciousness with progressive and proactive real self by putting woman who was neglected character in the story of works due to literature giving importance to man. Furthermore, as to the research effect in the aspect of education, this research helps learners develop independent feminine consciousness. For this research, three novels written by women writers were selected: <the Earth>, <Mother's stakes1>, and <the isolated room>. These novels described the change of feminine image that feminine image of Confucian traditional society developed to modern one by recovering destructed self by herself in the midst of identity confusion. So the changing feminine image from traditional woman to modern woman can be clearly known. These novels would encourage learners to have progressive and independent feminine consciousness, which influence much on establishment of genders equality. This is the reason why the three novel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The stories about these women make learners share their experiences and thoughts, which encourage them to have a desirable value toward genders equality in the process of seeking right feminine value. Accordingly, this research explored necessary methods for establishment of a desirable value for learners through education of novels written by women writers in the education spot. In <the Earth>, this research explored the meaning of independent feminine image appeared in Seohee, the heroine of the novel under paternal family system of Choi's Family. Also corresponding value to the meaning of independent feminine image was examined. And methods for learning practice were suggested so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and judge value for right feminine image fit to this contemporary era based on above meaning and value appeared in the novel. In <Mother's stakes1>, through active feminine image of mother, learners can recognize what value existed in woman's active life in transitional period from Confucian traditional society to modern society. And it is explored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such an attitude of mother considering reality of that period. Finally, in <the isolated room>, it is known that learners can have willingness to cure their hurt by 'internalizing' the meaning of the feminine image - in the novel, the woman character cured her hurt by herself overcoming her despair with willingness. Through independent and progressive feminine consciousness shown in these three novels, learners can develop consciousness that woman is directed to developed appearance in the wide world and pioneers her own life. As it were, learners get to establish feminine image of going toward independent self solving actual problems actively and boldly. 본 연구는 고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 문학교과서에 실린 여성작가의 소설을 통해 여성 인물의 진취적이고 진보적인 의식을 고찰하며, 그를 중심으로 학습자에게 바람직한 양성평등적인 가치관의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작업은 남성중심의 문학에서 벗어나 주변인이었던 여성을 문학의 중심으로 끌어 올려 진보적이고 진취적인 진정한 자아의 여성의식을 밝히는데 의의를 더해주는 것이며, 연구 효과와 관련시켜 학습자들의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주체적인 여성의식을 심어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여성작가의 소설은 <토지>, <엄마의 말뚝1>, <외딴방>으로, 이 세 작품에서는 유교적 전통사회에서의 여성상부터 근대화로 나아가기 위한 정체성의 혼란, 그리고 마침내 스스로 파괴 된 자아를 회복하고 성장해가는 여성상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여성에서 근대적인 여성으로 변모해가는 여성상의 모습을 뚜렷이 알 수 있다. 그로 인해 학습자들이 변화해가는 여성상의 모습을 받아들이고 진취적이고 주체적인 여성의식을 심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는 올바른 양성평등적인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이 세 작품은 본 연구의 좋은 대상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여성들의 이야기는 학습자들에게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공유하게 하고 올바른 여성적 가치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바람직한 가치관을 갖도록 할 것이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여성작가의 소설 교육을 통한 학습자들의 바람직한 가치관 확립을 위해 필요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토지>에서 최씨 가문의 가부장적인 제도 아래 서희에게 나타나는 주체적인 여성상의 의미와 그에 상응하는 가치관을 살펴보고, 이로 인해 학습자들이 시대에 맞는 올바른 여성상에 대한 가치관을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연습 방안을 세웠다. <엄마의 말뚝1>에서는 적극적인 여성상을 보여주고 있는 엄마의 여성상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유교적 전통사회에서 근대로 넘어가고자하는 과도기적 시대에 여성의 적극적인 삶은 어떠한 가치가 있는지 인지하게 하고 그러한 엄마의 태도를 당대 현실에 맞게 이해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외딴방>에서는 절망을 안은 채 살아가는 나를 통해 스스로 치유하고 극복 의지를 가진 여성상을 학습자들이 그 여성상의 의미를 ‘자기 내면화’시킴으로써 자신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극복 의지도 함께 기를 수 있음을 밝혔다. 이 세 작품을 통하여 학습자는 주체적이고 진취적인 여성의식을 통하여 넓은 세계 속에서 여성의 발전 된 모습을 지향하고 자아실현과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여성의식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즉 학습자가 현실적인 문제에 있어 능동적이고 대담성 있게 해결하여 주체적인 자아로 나아가는 여성상을 정립하게 되는 것이다.

      • 남사당패 비나리쇠 이수영의 예술론

        박연하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랑예인 남사당은 1894년 갑오경장이후 전통사회가 무너짐으로써 광대 집단의 사람들이 ‘광대’신분에서 해방되어 자유로운 공연이 가능해 지면서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난 민중예술집단이다. 이들은 오로지 자신들의 기·예능만을 가지고 생계를 유지하였다. 남사당의 이러한 특징들은 그들이 자신들의 기·예능을 최고로 만들어야 하는 이유였으며 또한 그들의 예술이 연구되어지고 후학에게 전해져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남사당과 같은 유랑예인집단은 1900년 전후로 형성되었다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많이 사라지게 되었다. 그들의 생명력은 길게 잡아야 50년 정도일 것이다. 이수영은 1940년 생으로 8살에 남사당에 들어가게 된다. 남사당의 전성기에는 15개 정도의 유랑예인집단이 있었으나 이수영에 의하면 이수영이 남사당에 들어간 시기는 남사당의 쇠퇴기로 다른 유랑예인집단을 만나기가 쉽지 않았다고 한다. 이수영은 남사당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예인들에게 기·예능을 전수 받았으며 학습능력 또한 뛰어났다. 이런 점에서 이수영의 기·예능은 과거 남사당 예술세계의 많은 부분을 담고 있으며, 이것이 이수영을 연구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점이라 할 수 있다.

      • 무용수의 심리적 요인이 공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박연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용수의 심리적 요인과 공연 성취도에 대해 분석하고, 심리적 요인이 공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무용수의 무대 공연에 보다 효율적인 심리적 적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심리적 요인과 공연 성취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자료수집도구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기본 검증으로 개인특성변인인 학년, 전공, 연습시간, 무용경력, 공연경험에 따라 심리적 요인의 하위요인인 동기, 불안, 자아효능감 요인과 공연성취도의 하위요인인 심리적·신체적·기술적 성취도 요인의 차이를 기술통계분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Schffe' method의 사후검증(Post-Hoc-Test)과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단계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무용전공자들의 학년에 따라 동기·불안·자아효능감 요인 중 동기·자아효능감 요인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무용전공자들의 전공에 따라 동기·불안 요인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대학전공자들의 학년에 따라 공연 성취도 요인인 심리적·신체적·기술적 성취도 요인에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대학전공자들의 전공에 따라 공연 성취도 요인 중 심리적·신체적 성취도 요인에서 현대무용전공자가 타 전공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심리적 요인과 공연 성취도 요인의 상관분석결과 공연 성취도 요인의 심리적·신체적·기술적 성취도는 심리적 요인인 동기·자아효능감 요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심리적 요인의 특성불안 요인과 공연성취도 요인의 기술적 성취도 요인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which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stage performancesof dancers, by analyzing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achievement in performance of dancers and articulating the effects that such factors have on the achievement. The study targeted dance majors in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and used a questionnaire, as a data collecting tool,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and achievement in performance.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in this study,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such as grade, major, the amount of time spent on practice, dance career, performance experience,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One-Way ANOVA, Post-Hoc-Test of Schffe method,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were conducted in rela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ordinate to psychology factors, such as motivation, insecurity, and the feeling of self-efficacy, and the subordinate to achievement in performance, such as psychological, physical, and technical factor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motivation and feelings of self-efficacy among subordinate psychological factors, dependingupon the grade of dance major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motivation and security, depending upon which specific major the dance students were in.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psychological, physical, and technical factors of performance achievement, depending upon the grade of dance majors. Fourth, modern dance majors displayed higher psychological and physical achievement than those in other majors. Fifth,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performance achievement factors, psychological, physical, and technical performance achievement had relation with motivation and the feeling of self-efficacy. Sixth,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security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technical performance achievement.

      • 한국어·영어·중국어 계사구문의 유형론적 대조 연구

        박연하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copular constructions in Korean, English and Chinese(Mandarin) from a typological and contrastive perspective. A copula, defined in this paper, is a linguistic element which helps predicate nucleus to explicitly perform as a predicator when they cannot function as one in a sentence. As Korean copula ‘i-’ has its own unique linguistic features, there have been ongoing debates on deciding which part of speech it should belong to, even though it contains the universality found in many other natural languages. Based on the distinct features of ‘i-’,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its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by contrasting ‘i-’ with English copula be and Chinese copula ‘shi(是)’. The contrast specifically focuses on the syntactic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copular constructions in these three languages. To do so, this paper first analyzed the part of speech which can function as a subject as well as a complement in copular constructions in each language, and compared all of these to see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in the syntactic structure that Korean copular constructions have. As a result, Korean always has noun equivalents as a subject, which implies it is more universal than English and Chinese when it comes to the category of subject. However, interestingly, the category of complement in Korean has more various linguistic items than the other two languages. Furthermore, Korean and Chinese, except English, can also have a monoargumental copular construction, which only contains either a subject or a complement. Following the contrast of syntactic structures, the meanings of copular constructions in each language were examined based on the list of 13 meanings, set up in the second chapter; ①identificational, ②class-membership, ③ascriptive, ④illogical, ⑤thetic, ⑥focused, ⑦temporal, ⑧locational, ⑨existential, ⑩quantificational, ⑪topic-possessive, ⑫psychological and ⑬relationship. As a result, all of three languages have identificational, class-membership and ascriptive predicates, which are the most universal copular constructions found in many languages. Additionally, they also share the similarities in focused, temporal and relationship predicates both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opular constructions that Korean can only have because of its own particularity, which draws three noteworthy findings about ‘i-’ constructions. Firstly, only Korean and Chinese can have illogical and thetic predicates since they are subject·topic-prominent language and topic-prominent language respectively. Secondly, ‘i-’ constructions can be used to express locational, existential and topic-possessive predicates, despite the existence of ‘iss-(to exist)’. Accordingly, ‘i-’ is more independent and implies more various meanings than be or ‘shi(是)’. Lastly, ‘i-’ can function as a lexeme that can help not only nominal predication but adjectival predication in ascriptive and psychological predicates, when it has ‘-jeok(적)’ derivative(noun), certain adverbs or predicative nouns as a complement.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i-’ as a derivational affix which can derive adjectives from nouns or adverbs.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contrastive analysis in this paper could be valuable to understand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Korean copula ‘i-’.

      • 생활패턴에 따른 피부관리실 이용행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연하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urvey is to assess the usage pattern of skin care shops according to general life style and understand the satisfaction of the car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0th 2016 to September 24th 2016.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male/female adults in their 20s~50s who had at least one or more times of experience using skin care shops located in Daegu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210 participants are as follows. As for the gender distribution, 87.6% are female. The participants of 34.3% are in their 30s, which is the highest proportion and 29.0% were professionals, which is the highest proportion. As for the education, college graduates are 52.9%, which is the highest proportion and the married are 55.2%. As for the average monthly income, 2 million wons are 28.1%, which is the highest proportion. 2. The general life style of the 210 participants are as follows. 37.6% have a sleep of 7 hours a day, and 37.1% consumed 4~5 cups of water a day. 51.0% ate 2 meals a day and 32.4% did no daily exercise. 62.4% said ‘yes’ when asked if they drank alcohol and 90.5% did not smoke. 47.6% had a high level of stress and 34.3% spent less than 1 hour of outdoor activity. 27.6% consumed 1 cup of caffeine and 62.9% say ‘yes’ when asked if they consumed nutrition supplements. 3. The usage pattern of skin care shops according to general life style is as follows.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for the skin troubles is the nutrition supplement consumption. The participants who consumed nutrition supplements shows higher ratings of pigmentation, wrinkles, low elasticity, facial redness, and sensitivity.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for the purpose of using skin care shops is water consumption habits. Participants who consumed 4~5 cups of water used skin care shops for skin trouble issues and those who consumed more than 8 cups used skin care shops for health care purposes. For the main selection factor of skin care shops, participants’ stress lev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kin care effects are the main selection factor for those who say they have a high level of stres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the skin care methods are sleeping time and alcohol consumption. Participants who sleep 7 hours favor aromatherapy and those who drink alcohol favor aromatherapy, meridian massage, and machine massage. 4. The satisfaction of skin care according to general life style is as foll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the satisfaction of skin care are the alcohol drinking and level of stress. For the alcohol drinking, those who don’t drink alcohol said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ho drink alcohol. For the level of stress, participants who said ‘very high stress level’ expressed ‘average’ satisfaction and participants who said ‘no stress level’ expressed ‘high’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s that people with lower stress express higher satisfaction of skin care services. For the wishing services after skin care, participants’ stress levels and outdoor activity tim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cipants who said ‘very high stress level’ want make-up space and rest area after skin care services and participants who showed ‘high stress level’ want ‘consultation after services’.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for the prefer programs is participants’ stress level. Participants who said ‘very high stress level’ want total beauty care and participants who said ‘high stress level’ want free services. 이 연구의 조사 목적은 생활패턴에 따른 피부관리실 이용행태 및 관리 후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연구조사는 2016년 8월 10일부터 2016년 9월 24일까지 대구에 위치한 피부관리실을 이용 중이거나 이용한 경험이 있는 20~50대 성인 남, 여성 고객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210명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성별로는 여성이 87.6%로 남성보다 비율이 높았고, 연령은 30대가 34.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은 전문직이 29.0%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학력은 (전문)대학교 졸업이 52.9%로 나타났고, 결혼여부는 기혼이 55.2%로 미혼자보다 많았고, 월평균소득은 200만원대가 28.1%로 나타났다. 2. 조사대상자의 생활패턴 특성을 살펴본 결과, 수면시간은 7시간대가 37.6%로, 수분섭취량은 4~5컵이 3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사습관은 하루 2끼가 5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운동횟수는 ‘없음’이 32.4%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음주여부는 ‘예’가 62.4%로 나타났고, 흡연여부는 ‘아니오’가 90.5%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정도는 ‘많음’이 47.6%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교적 스트레스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야외활동시간은 1시간 이하가 34.3%로 나타났고, 카페인섭취량은 1잔이 27.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제복용여부는 ‘예’가 62.9%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건강에 신경 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생활패턴에 따른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이용 행태를 살펴본 결과, 먼저 자신의 피부문제점 인식 면에서는 영양제복용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제를 복용하는 응답자가 복용하지 않는 응답자보다 색소침착, 주름, 탄력저하, 안면홍조, 예민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피부관리실 이용목적에서는 수분섭취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분섭취량은 4~5컵이 피부문제개선의 비율이 높았고, 8컵이상은 건강관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피부관리실 선택시 우선고려사항에서는 스트레스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트레스 많음’의 응답자가 ‘관리효과’에서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관리효과에 비중을 두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호관리방법에서는 수면시간, 음주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시간에서 7시간대는 아로마요법의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음주여부에서는 음주를 하는 응답자가 음주를 하지 않는 응답자보다 아로마요법, 경락마사지, 기기마사지의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4. 생활패턴에 따른 관리 후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음주여부, 스트레스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주여부에서는 음주를 하는 응답자가 하지 않는 응답자보다 만족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고, 스트레스정도에서는 ‘매우 많음’의 응답자가 만족도 ‘보통’, 스트레스정도 ‘없음’의 응답자는 만족도 ‘높음’의 비율이 높았다. 이는 스트레스정도가 낮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리 후 원하는 서비스의 차이에서는 스트레스정도, 야외활동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정도는 ’매우 많음‘이 메이크업공간과 휴식공간을 주로 원했고, 스트레스정도 ‘많음’은 관리후 상담을 원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가장 원하는 프로그램에 관해서는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트레스정도 ‘매우 많음’ 응답자는 토탈뷰티관리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스트레스정도 ‘많음’ 응답자는 무료서비스를 주로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