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금교혁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Th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employee’s in the process of graduate dual degree acquisition. To this end, 7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 of acquiring dual degree and its meaning. The research methodology selected was the narrative to analyze the content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irst of all, the following are the experience of employee’s who have tried to acquire dual degree at their graduate schools. First, trial was initiated from their desire to get out of the academic complex and become socially recognized as someone in high social status. Second, the symbolism of dual degree was an opportunity to have confidence in learning. Third, it was autonomous study from their indeed desire without any force or interference, Fourth, they were addicted to study since they felt vacant or worried without study. Fifth, Study was developed to wisdom in terms of professionalism related to their works regardless of their ages. Sixth, they continued to study since they had motivation to keep developing their wisdom and experience. The meanings of such research participants' graduate dual degree acquisition are as follows. First, dual degree is to advance further from simple ski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further professionalism to prepare for the future and to study following recent changes and new trends. Second, the dual degree is the practice of learning and teaching. Start of learning is to recognize one's own shortage and have humble attitude for study. Teaching is an act to lead followers to reach the level of their teachers. By showing one's changes, the dual degree can make the meaning of catharsis for the desire of learning. Fourth, dual degree means fusion and communication. If one studies new field without sticking to only one's major, one's knowledge will be extended greatly through fusion and integration process. Fifth, dual degree is preparation for the second life. It is to realize life of old age wiser.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cquiring graduate dual degree seems to provide new opportunities and expansion in career or life in their workplace. 본 연구는 직장인이 대학원 복수학위취득 과정에서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 7명을 대상으로 복수학위취득 경험은 어떠하였으며,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방법은 자료를 토대로 내용을 분석하는 내러티브 연구를 선택하였다. 먼저, 직장인의 대학원 복수학위취득 경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 콤플렉스를 벗어나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이다. 둘째, 복수학위가 가지는 상징성은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학습의 즐거움 알게 되어 누구의 간섭이나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마음에서 우러난 학습이었다. 넷째, 공부를 중단하면 허전하고 불안하므로 공부도 중독성이 있음을 경험하였다. 다섯째, 공부는 나이와 상관이 없으며 일과 함께 전문성에서 지혜로 발전되었다. 여섯째, 경륜과 지혜가 학습동력으로 작용하여 계속학습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참여자의 대학원 복수학위취득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학위는 숙련의 해체이다. 이는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전문성을 신장하고, 새로운 트랜드의 변화에 따른 공부를 해야 한다. 둘째, 복수학위는 상구(배움)와 하화(가르침)의 실천이다. 상구(배움)의 시작은 자신의 부족함을 알고 겸손하게 배우는 자세를 갖추는 것이며, 하화(가르침)는 높은 수준을 가진 선진이 후진에게 선진의 수준에 닿을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말한다. 셋째, 자신의 변화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복수학위는 배움의 욕구에 대한 카타르시스의 의미가 된다. 넷째, 복수학위는 융‧복합과 소통이다. 전공에 얽매이지 말고 새로운 공부를 하면, 학문이 복합과 융합의 현상으로 작용하여 지식의 폭이 넓어진다. 다섯째, 복수학위는 제2의 인생준비이다. 길어지는 노년의 삶을 지혜롭게 살아가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직장인에게 대학원 복수학위취득이 직업이나 삶에 있어서 새로운 기회와 확장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경자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employees’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s for job conversion. For it,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in-depth interview for 7 employees with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 from Jun. to Dec. 2018. As a result, 3 great ranges and 8 sub-factors of the meaning of employees’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 for job conversion. were drawn. First is the change of value changing new view and recognition. Second is confidence improvement,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change recovering interests and aptitudes. Third is changes of actual life that obtain pleasure of leaning, formation of personal network, and family supports. From the above results, employees’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 may let them challenge new works with confidence and be analyzed as appearance of identity finding the work suitable for their aptitude and living a subjective life. 본 연구는 재직자의 대학·대학원 경험이 직업전환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대학원 경험이 있는 재직자 7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12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재직자의 대학·대학원 경험이 직업전환에 주는 의미는 크게 3개의 범주와 8개의 하위요소가 도출되었다. 첫째, 새로운 시각과 인식이 바뀌는 가치관의 변화이다. 둘째, 자신감 향상과 동기부여, 그리고 흥미와 적성을 되찾는 심리적 변화이다. 셋째, 배움의 즐거움과 인적네트워크 형성, 그리고 가족의 지지를 얻는 실생활의 변화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재직자들의 대학·대학원 경험은 자신감을 얻어 새로운 일을 도전하게 하고, 적성에 맞는 일을 되찾아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정체성의 발현이라 해석할 수 있다.
金起震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1. Purpose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stablished subjects of Qigong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he students, the author attempted a grasp of the established Qigong-related subjects at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nationwide and their students' club activities. And in order to prepare the basis for futur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in the lectures, an evaluation was made on the lecture by the 'theory-practice-self study' system initiated in 'Yangseng Qigong(養生氣功) and practice' at Daegu Haani University. 2. Methods To investigate particulars on Qigong subjects at 11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across the country, their home pages were checked on in May, 2008 and a personal phone inquiry was also made regarding the items not to be confirmed from the home pages. The content of inquiry was compiled and sent to each college by e-mail to obtain the confirmation of the professors in charge or department heads. To grasp the present state of the clubs for 11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nationwide, the monitors for the whole clubs within the colleges were contacted by phone to inquire into, and with an agreement in advance, the monitors were inquired of their clubs' general situations in the manner of phone questionnaire. And I surveyed the satisfaction of 'Yangsaeng Qigon and Practice' which is the lecture that composed theory, practice, self study for 120 students at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in Daegu Haani University. 3. Results Nine out of 11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offered course of Qigong and 8 as a major and 1 as a cultural subject. Daeguhaani and Wonkwang colleges had the science plac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their regular course and the rest in the preparatory course. The subject was 1 credit for 4 colleges and 2 credits for 5 ones. Practice was arranged independently for 6 colleges. There were 6 schools with clubs related to Qigong and 12 clubs altogether in 11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The number of clubs were 4, the most, at Daegu college and the number of members were 61, the most, at the same school, too. As for the content of training, 6 colleges, the most, combined Junggong(精功) and Donggong(動功d). It was shown that in case of clubs without intramural space for training, there were fewer times of weekly group training, together with less training time. Of the 8 clubs with a coach, there was only one club that had a coach from Oriental medicine doctor. In the inquiry for the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class of ‘Yangsaeng Qigong and practice', 69% answered positively. As to the satisfaction with class grouping, 76% answered affirmatively, and as to the question "Agreement to the plan workable?", 72% said it was satisfactory, showing lectures by class grouping were made successful as planed. As to satisfaction with theory lectures, 36% were satisfied (38% unsatisfied), as to practice 90% was satisfied (2% unsatisfied) and as to the self-study and special lectures, 36% was satisfied (23% unsatisfied), showing the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er for practice. To the question "Was it helpful in understanding hygiene Danjeon-breathing science?", 31% said yes (16% no) for theory, 87% yes (3% no) for practices, 32% yes (32% no) for special lectures, and 37% yes (28% no) for team assignments. 4. Conclusions As seen in the inquiring result of 'Yangseng Qigong(養生氣功) and practice' satisfaction on the subject of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in Daegu Haani University students, the students were much interested in practical training of Qigong and its operational methods. Also, In their education goal, each college includes a therapy for the people's health improvement as a doctor of Oriental medicine as well as personal cultivation of their mind and body, and in the content of lectures, many colleges were including not only the concepts of breathing, its principles and history, but also its use for clinics. However, all the colleges except DaeguHaani and Wonkwang, have established the Qigong in their preparatory course, revealing their knowing it as a basic course. In addition to educating the theoretical concept of breathing as a basis for Oriental medicin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hat the science should be placed in the regular course and taught to the students as a field of basis and clinics for Oriental medicine in order to enable practical operation in joint with clinics at the scene. The textbooks and majors of the lecturers turned out to be varied, but as seen from the result of lecture satisfaction on 'Yangseng Qigong and practice', i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paredness of the lecturers and satisfaction with the lecture material. Despite the situation that most schools have chosen it as a major subject, the subject name was divergent among schools and the textbook and the content of practice were also not unified. At the point of globally rising interest in Qigong, this will only lead to its weak competitiveness when advancing to the world. We ourselves should be standardized and prepared. To this en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should be a common textbook for Qigong, and that specialized manpower to lecture on the subject should be cultivated. 1. 연구의 목적 기공학 과목개설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정규 교과목이외의 학생활동을 파악하고자 전국 한의과대학의 기공학 과목 개설 및 한의과대학 내의 기공 관련 학생 동아리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대구한의대학교에서 ‘양생기공학 및 실습’에서 새롭게 실시된 ‘이론-실습-자율학습’ 방식의 강의를 평가함으로써 향후 강의개선 및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연구를 계획하였다. 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전국 11개 한의대의 기공학 과목 관련 사항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5월에 전국의 11개 한의대 홈페이지를 조사하였고 한의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없는 사항은 직접 전화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조사한 내용을 정리하여 각 대학에 우편으로 발송하여 담당교수 혹은 학과장의 확인을 받았다. 전국 11개 한의대 기공 동아리 현황 파악을 위해서 2007년 10월에 11개 한의과대학 전체동아리 회장에게 전화 연락하여 기공 관련 동아리를 조사하였고, 조사된 기공 관련 동아리 회장에게 전화 설문방식으로 사전 동의를 구해 소속 동아리에 관한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에서 2008년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된 ‘양생기공학 및 실습’을 수강한 본과 1학년 120여명을 대상으로 모든 강좌가 끝나고 만족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3. 결과 11개 한의대학 중 기공학이 개설 되어 있는 학교는 9곳이었고, 그 중 전공으로 개설된 학교는 8곳, 교양으로 개설된 학교는 1곳이었다. 대구한의대와 원광대학교 한의대학교가 각각 본과 1학년 2학년에 배치가 되어 있었고, 나머지 학교들은 예과에 배치가 되어 있었다. 1학점으로 된 학교가 4곳, 2학점으로 된 학교가 5곳이었다. 실습 시간이 있는 학교는 6 곳이었다. 11개 한의대학 중 기공관련 동아리가 있는 학교가 6곳이었고, 12개의 동아리가 있었다. 동아리 수는 대구한의대에 4곳으로 제일 많았고, 회원수에서도 대구한의대가 61명으로 제일 많았다. 수련내용에 있어서는 정공과 동공을 병행하는 곳이 6곳으로 제일 많았다. 교내에 수련 공간이 없는 동아리의 경우 주당 단체 수련 횟수 및 수련 시간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승이 있는 8개의 동아리 중 1개의 동아리만이 한의사 출신 스승이 있었다. ‘양생기공학 및 실습’ 강의 전반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69%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분반에 대한 만족도’는 76%가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계획서와의 일치가 잘 되었냐’에 대한 답변도 72%가 만족한다고 답해 분반에 의한 강의가 계획대로 잘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론 강의의 만족도는 14%가 만족, 38%가 불만족으로, 실습은 90%가 만족, 2%가 불만족으로, 자율학습 및 특강은 36%가 만족, 23%가 불만족이라 답해 실습이 비교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생기공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냐’는 질문에 이론은 31%가 그렇다, 16%가 그렇지 않다고, 실습은 87%가 그렇다, 3%가 그렇지 않다고, 자율학습은 32%가 그렇다, 32%가 그렇지 않다고, 특강은 32%가 그렇다, 32%가 그렇지 않다고, 조별과제는 37%가 그렇다고 28%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4. 결론 대구한의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공학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학생들은 ‘기’의 실질적인 수련, 운용 방법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각 대학 교육 목표를 살펴보면 개인의 심신 수련뿐만 아니라 한의사로서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치료에도 그 목표가 있었고, 강의 내용에서도 기의 개념, 원리와 역사뿐만 아니라 임상에 활용하는 내용 또한 다수의 대학에서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구한의대학교, 원광대학교를 제외한 나머지 학교에서는 예과에 개설이 되어 기공을 기초적인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공학이 한의학의 기초로 이론적인 기의 개념을 교육하는 것 외에 실제 임상과 접목하여 실질적 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본과에 개설하여 한의학의 기초 및 임상 분야로 학생들에게 교육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교재와 강사의 전공이 다양하였는데 기공학 강의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강사의 준비상태 강의 자료의 만족도에 따라 강의의 만족도가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학교가 전공과목으로 채택하고 있는 상황에 교과목명이 다르고, 교재, 실습내용 또한 통일되지 않고 있다. 이는 세계적으로 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세계로 나아갔을 때 경쟁력이 약할 수밖에 없다. 우리 스스로 표준화하고 준비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강의할 수 있는 기공학 공통 교과서가 있어야 할 것이고, 기공을 전문적으로 강의할 전문 인력양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춘희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es of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students of two universities in Kyungbuk province. The results show that although many students experience high level of stress, they could not have the chance to get the proper counselling and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it. Among the causes of the stress which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stress relating to study was ranked as the first place, followed by job stress and view of value stress. The higher the level of stress, the higher the rate of overdrinking.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ping strategies and drinking frequency/ overdrinking frequency. However, there was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roblem-solving approach and drinking frequency /overdrinking frequency. In this context, in order to help university students to manage various stress effectively, prop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the university students are needed.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수준 및 음주행태 관련요인을 조사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정신보건 및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건강증진정책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북지역에 위치한 K대, D대에 다니고 있는 남녀대학생 40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2007년 4월 1일-15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조사대상자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면 약간 받음이 36.7%로 제일 많았고, 매우 많이 받음이 39.7%, 받지 않음이 5.4%이었다. 성별로는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받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여학생이 40.6%, 남학생이 38.7%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학년별로는 4학년이 52.0%, 3학년 39.4%, 2학년 37.8%, 1학년 25.5%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받는 비율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영향정도를 살펴보면 약간 받음이 56.5%로 제일 많았고, 받지 않음이 22.5%, 매우 받음이 21.0%이었다.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영향정도에서 매우 많이 받는다고 응답한 비율을 성별로 살펴보면 여학생이 23.5%, 남학생이 18.6%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전공별로는 예능계열이 37.0%로 자연공학계열 17.1%, 인문사회계열 16.1%보다 윌등히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스트레스 관리상담 및 교육경험여부를 살펴보면 전체 조사대상자들의 97.7%가 없다고 응답하였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2.3%에 불과하였다. 4. 스트레스 관리상담 및 교육 필요성을 살펴보면 전체 조사대상자들의 64.0%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는 35.0%이었다. 성별로는 여학생의 72.2%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남학생의 56.3%보다 매우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음주빈도를 살펴보면 주1회가 60.6%로 제일 많았고, 주 2-3회 이상이 21.0%, 전혀 마시지 않음이 18.4%로 조사되었다. 성별로는 남학생의 경우 주 1회가 55.3%, 주 2-3회가 29.6%, 여학생은 주 1회가 66.35%, 주 2-3회가 11.8%로 남녀 공히 음주빈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년별로는 주 2-3회 이상의 경우 4학년이 26.0%로 가장 높았고, 대체적으로 고학년일수록 음주빈도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6. 1회 평균음주량을 살펴보면 2홉 소주1병(맥주 3-4병)이 34.3%로 제일 많았고, 2홉 소주반병(맥주 1-2병)이 25.1%, 소주1-2잔(맥주 1병이하) 20.6%, 2홉 소주2병(맥주 4병이상) 20.0%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학생의 경우에는 2홉 소주1병(맥주 3-4병)이 39.1%로 가장 많았고, 여학생은 2홉 소주반병(맥주 1-2병)이 34.9%로 가장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과음빈도를 살펴보면 1년에 3회가 22.5%로 제일 많았고, 3개월에 1-2회가 21.6%, 없음이 21.3%, 1개월에 1-2회 21.0%이었으며 주 1회 이상의 경우도 13.7%에 달하였다. 성별로는 남학생의 경우 1개월에 1-2회가 24.9%로 가장 많았고, 여학생은 1년에 3회가 32.2%로 가장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 지난 1년간 만취경험(Blackout)여부에 대한 질문에서는 전체조사대상자들의 70.2%가 없었다고 응답한 반면에 29.8%에 이르는 학생들은 만취경험이 있었다고 응답하여 상당수의 학생들이 만취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로는 여학생 30.5%, 남학생 29.1%로 오히려 여학생의 만취 경험율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9. 전체 조사대상자들의 요인별 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면 학업관계의 스트레스 수준이 16.04점으로 제일 높아 1순위를 차지하였고, 취업진로가 15.77점으로 2순위를, 가치관이 13.57점으로 3순위를 각각 차지하였다. 그 아래로는 경제적인 문제 13.35점, 가족관계 11.68점, 이성관계 9.87점 순이었고, 교우관계는 9.82점으로 가장 낮았다. 10. 요인별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과음빈도를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요인별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과음빈도의 경향이 높았다. 11.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음주빈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서완화적 대처방식을 취할수록 음주빈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소망적 대처방식을 취할수록 음주빈도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그러나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을 취하거나, 혹은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을 취할수록 음주빈도가 낮았다. 12.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과음빈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음주빈도의 차이 결과와 동일하게 정서완화적 대처방식을 취할수록 음주빈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소망적 대처방식에서는 뚜렷한 과음빈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음주빈도의 차이와 마찬가지로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으로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을 취하거나,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을 취할수록 과음빈도가 낮았다. 13. 일반적 특성별로 요인별 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면 남학생, 여학생 공통적으로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각각 16.02점, 16.06점으로 모든 요인중에서 가장 높았고, 이어서 취업스트레스가 15.47점, 16.10점으로 두 번째로 높았고, 가치관에 대한 스트레스가 13.22점, 13.93점으로 세 번째로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 학년별로는 저학년인 1학년, 2학년의 경우에는 학업스트레스가 16.24점, 16.81점으로 다른 요인에 비하여 가장 높았으나, 고학년인 3학년과 4학년의 경우에는 취업스트레스가 15.87점, 16.52점으로 가장 높았다. 전공별로는 모든 계열에서 학업스트레스가 제일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있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많은 대학생들이 대학 생활중에 학업 스트레스, 취업스트레스, 가치관, 대인관계, 경제적 문제 등과 같은 다양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실제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가 자신의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이에 반해 대학 내에서의 스트레스의 관리상담 및 교육경험은 거의 없었고 대체적으로 요인별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과음빈도의 경향이 높았다. 특히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음주빈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서완화적 대처방식이나 소망적 대처방식을 취할수록 음주빈도도 높았고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을 취하거나, 혹은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을 취할수록 음주빈도가 낮았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중에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상담할 수 있는 정책 수립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뿐 아니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하여 과음이나 폭음과 같은 정서완화적 대처방식에 의존하지 않고 문제중심적 혹은 사회지지적 접근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신경식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ture-oriented and efficient elementary school facility model which makes use of the most school area by understanding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members and accommodating new demands.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teachers and that of students on school yard, gym, classroom, and multi-use facility, Second, find out if there's any additional facility or space required. Third, provide an ideal school facility model which uses the school area eff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 first, overall satisfaction levels were 3.86 for the gymnasium, 3.77 for the multi-use facility, 3.71 for classrooms, and 3.51 for the schoolyard in descending order, implying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 school facilities. Demand for additional facilities were 21% for artificial turf, 16.6% for a pool, 12.7% for a larger playground, 11.8% for the gymnasium, 10.3% for the school forest, and 9.6% for other facilities in sequence.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ir demands are concentrated on the school forest and facilities for physical education. Second, as for the result of facility satisfaction level on the condition of different years of foundation, schools founded between 1906 and 1950 had the highest overall satisfaction level but for schoolyard, classroom, and multi-use facilities, schools founded between 1971 and 1990 were the highest. Third, satisfaction level with the varying numbers of studen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s for the school yard in the schools of 401~700 students was the highest, and the satisfaction levels for the gymnasium, classroom, and multi-use facilities in the schools with less than 400 students were the highest. Fourth, results from satisfaction levels of different subjects and genders indicated that satisfaction levels for the schoolyard were equal for male and female teachers but female teachers had higher satisfaction levels for the gymnasium, classrooms, and multi-use facilities. The Satisfaction levels of students were similar to that of teachers and female students had higher satisfaction levels than that of male students. Fifth, there were wide deviations in satisfaction levels of different schools. Satisfaction levels of remodeled and newly-built schools were high, and the satisfaction levels of the schools with low school site area per capita and old schools were low. Especially, excessively big schools with many of students and overcrowded classes tended to have more demand for a larger schoolyard while school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ity had a higher demand for on school forest.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ndards(revised in 2004) for all levels of school facilities should be amended as soon as possible. To keep up with the changes in education trends caused by economic growth, there should be new standards for newly demanded facilities such as school forest, care rooms, counselling offices, and safety rooms etc. Moreover, standards for gymnasiums, classrooms, multi-use facilities, bathrooms etc should be amend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to provide school facilities that fit all conditions of different regions and schools, there should be separate standards for each region, for extended & remodeled schools, and newly-built schools. Third,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create school forest on the roof of the schools located in the downtown of Daegu city. Also, there should be institutional strategy that makes sure to create school forest when demolishing old school buildings due to urban center phenomenon. Fourth, it is required to make ideal school areas and build school facilities with the participation of not only experts in architecture and administration but also educational consumers and regional residents etc. Also, students and regional resi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actively in order to maintain the school facilities well. Fifth, we have to make a greater effort on reducing excessively big schools and overcrowded class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have an ideal school area model and facility criteria on the discussion of the ideal number of classes and students. Sixth, school facilities are public facilities. Thus, properly a structured system is needed so that local residents can use school facilities more conveniently while minimizing harms to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교시설 활용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새로운 요구를 수용하여 학교용지를 다면적으로 활용한 미래지향적이고, 효율적인 초등학교 학교시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및 학생의 운동장, 체육관, 교실, 특별실의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학교에 추가로 필요한 시설이나 공간을 조사하여, 셋째, 학교용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한 초등학교의 이상적인 학교시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소속 초등학교 73개교의 학교시설 및 용지 활용에 대한 6학년 담임교사 및 6학년 1개 학반 학생의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SPSS 18.0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T-test, F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시설 만족도는 체육관 3.86 특별실 3.77, 교실 3.71, 운동장 3.51의 순으로 교사와 학생 모두 학교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요구 시설로는 인조 잔디 21.0%, 수영장 16.6%, 넓은 운동장 12.7%, 체육관 11.8%, 학교 숲 10.3%, 기타 9.6% 등의 순으로 나타나 학교 숲과 체육 시설에 대한 요구도가 전부라고도 할 수 있다. 둘째, 설립연도별 시설 만족도는 1906년~1950년에 개교한 학교가 전체적인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체육관 만족도는 1906년~1950년에 개교한 학교가, 운동장과 교실, 특별실 만족도는 1971년~1990년에 개교한 학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 수별 시설 만족도는 401~700명의 학교가 운동장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400명 이하의 학교가 체육관과 교실, 특별실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별ㆍ성별 시설 만족도에서는 교사들은 남교사와 여교사의 운동장 만족도가 같게 나타났으며, 체육관과 교실 및 특별실에 대한 만족도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 또한 교사와 같은 경향으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모든 시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별 시설 만족도의 편차는 크게 나타났다. 신설학교이거나 리모델링한 학교의 경우는 만족도가 높았으며, 1인당 교지 면적이 좁거나 건물이 오래된 학교의 경우는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학급 및 학생 수가 많은 과대 학교의 경우는 넓은 운동장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가 많았으며, 도심에 위치한 학교 일수록 학교 숲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4년에 개정된 각급학교 시설 기준을 조속히 개정하여야 한다. 경제 성장에 따른 시대적인 변화에 맞추어 학교 숲, 돌봄 교실, 상담실, 지킴이실 등 새롭게 필요한 시설의 기준을 마련하고,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른 체육장, 교실, 특별실, 화장실 등에 대한 기준도 변경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 및 학교의 여건을 감안한 학교 시설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시․도 교육청별로 하나의 시설 기준만을 적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구지역과 군지역 그리고 증․개축과 신설 학교 기준을 별도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대구광역시 도심에 위치한 학교의 건물 옥상을 이용하여 학교 숲을 조성하도록 적극 권장하고, 도심 공동화로 인한 학교 노후 건물 철거 시에는 반드시 학교 숲을 조성하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 공간을 구성하고 시설을 할 때에는 건축 및 행정 전문가는 물론이고 교육수요자와 지역 주민 등이 참여하여 수요자 중심의 이상적인 맞춤형 학교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 시설을 유지․관리하는 일에도 학생 및 지역 주민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과대 학교 및 과밀 학급 해소에 적극 노력하고, 이상적인 학급 및 학생 수에 대한 논의에 따른 이상적인 학교 공간 모형과 시설기준이 필요하다. 여섯째, 학교 시설은 공공시설이다. 따라서 학교 숲과 체육 시설, 도서관 등을 비롯한 학교 시설을 학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지역 주민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구조적․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그릿(GRIT)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오명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그릿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있어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그릿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대인관계는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연구대상은 영남권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이다. 설문대상자는 비확률표집방법인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을 통해 추출하였으며, 표본의 크기는 대학생 650명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는 대학생활적응(Baker & Siryk, 1989), 학업스트레스(오미향과 천성문, 1994), 그릿(Duckworth et al., 2007), 대인관계(Schlein & Guerney, 1977))이며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측정 문항들 간의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 변인들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 Baron & Kenny(1986)가 제시하는 방법에 따라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생의 학업스트레가 대학생활적응에 있어 그릿은 의미있게 매개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있어 대인관계는 의미있게 매개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있어 중요한 변인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있어 그릿과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있어 대인관계 역시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해 대인관계 증진을 위해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고 유지 시켜 나갈수 있도록 하며, 그릿(Grit)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건강한 사회인이 되도록 힘써야 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stress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has an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college students. Second, gri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ir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the Yeongnam region. The survey subjects were extra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and the sample size was 650 college students. The survey tools were college life adaptation (Baker & Siryk, 1989), academic stress (Oh Mi-hyang and Cheon Seong-moon, 1994), grit (Duckworth et el, 2007),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chlein & Guerney, 1977),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2.0 program. First, a frequency analysis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Cronbach's α coefficient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internal consistency Third, correlation analysi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Fou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 Kenny (1986)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Sobel-Test.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Second, grit significantly mediated college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rd, academic stress of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media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study proved that the academic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is an important variable in adapting to college life. In addition, academic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also important variables in college life adaptation.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and maintain social support in order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rder to improve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o apply grit's program to become a healthy member of society.
대구광역시 미용학원 수강생 중 20〜30대의 학원선택요인 및 재수강분야에 관한 연구
여주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According to Korean Skills Development Center, beauticians are one of the jobs that have potential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and demands of needs in the next ten years. To keep their reputations, many beauty academies have tried various things. However, specific curriculum that is subdivided into age groups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till need more work. People in 20∼30s who work as beauticians need to make their own decisions about their paths and plan to improve in academic efficiency as members of society. They should play leading roles in their field. This study grasps the need of retaking intensive courses and operates objective research about what specific topics do students want to retake. It also analyzes general information about students and relationship of attention between the selecting factors of beauty academy institution. It i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and survey. As a result, among the people in 20∼30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women are 84.5 percent. 31.4 percent of the people go to technical colleges and 43.4 percent of them are students. There are 32.2 percent of people who have less than 300 dollars as their monthly income. 85.5 percent are single. The survey also included the routes of choosing beauty academy institution. “Curiosity” ranks as the highest (23.2%). 31.3 percent of people are taking a class for hair dresser certificate. 47.1 percent of people are taking just one class. More than half of them (56.1%) take classes for three to six months and 35.3 percent of the classes are five times a week. 49.7 percent of people take evening classes and the size of classes are usually four to six classroom size (40.7%). The important selection factors are awareness, cost, course curriculum, employment rate after taking courses, career and academic ability of instructors. 86.7 percent of people are willing to retake classes and 29.2 percent of them mention that they want to take advanced course of nail art class. They also want to take advanced make-up and hair classes.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of attention between the selecting factors of institutions, in terms of gender, course curriculum, reputation of the director, location and transportation, and cost are the significance differences. In terms of monthly income, there are significance differences in most of contents. Above all, there is a high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the size of academy institution and its location and transportation.(p<0.001) To sum up, this study, the research of choosing beauty academy institutions and re-registration of advanced courses among 20∼30s in Deagu City, is willing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eauty institutions. This study has its limit since it was carried out in certain location and there were some lack of advanced analysis about the significance differences. To supplement the limit, further study is required.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발표에 따르면 직업의 발전가능성이 높고 10년 후 일자리 수요가 늘어 날것이라 전망하는 전문 직종 중에 미용사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미용사는 현재 고부가가치의 유망직종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전문직의 미용인을 양성하는 미용학원들은 학원의 유지와 인지도 구축을 위해 수강생과 교육과목 등에 대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수강생들의 연령별 세분화된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한 연령별 맞춤식 교육과정이나 교육품질의 향상에 대한 노력은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사회인으로서 자유로운 의사결정의 주체이며 본인의 진로와 학업의 능률향상을 위한 방안을 스스로 결정하고, 미용실무 및 현장에서 주도적 역할자로서의 20∼30대가 진로의 결정, 학업의 능률향상, 미용실무 및 현장에서 승급 및 승진을 위해 현재 수강중인 정규과목 외에 심화과정의 재수강이 필요한가에 대한 여부를 파악하고, 심화과정 중 어떠한 분야의 재수강을 희망하는 가에 대하여 실증적 조사 및 수강생의 일반적인 사항과 학원선택요인간의 유의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론적 배경의 연구와 설문을 통한 실증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수강생의 일반적인 사항에서는 미용학원에 수강중인 20∼30대는 여성이 84.5%로 남성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고, 학력은 전문대학 재학생이 31.4%, 직업은 학생이 43.4%, 월평균소득은 30만 원 이하가 32.2%, 결혼여부는 미혼이 85.5%로 높게 나타났다. 미용학원 선택 시 정보획득 경로에 대한 사항은 본인의 호기심이 2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현재수강중인 과목은 헤어자격증반이 31.3%, 현재 수강하고 있는 과목 수는 1과목 수강이 47.1%, 수강기간은 3∼6개월이 56.1%, 주당 교육 횟수는 주5회가 35.3%, 교육시간대는 저녁반이 49.7%, 시설규모는 강의실 4∼6개가 4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용학원선택요인으로는 대부분이 중요 요인으로 선택되었으며, 그중에서 인지도, 수강료,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 수료 후 취업률, 강사의 경력과 학력은 매우 중요함으로 높게 나타났다. 재수강을 희망하는 20∼30대 수강생은 86.7%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재수강 희망분야는 네일아트 심화과정이 29.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이크업심화과정과 헤어심화과정에서도 재수강을 희망하는 수강생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강생의 일반적인 사항의 변수에 따른 학원선택 요인 간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가설의 유의 관계 검증에서는 가설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중에서 월평균소득에서는 위치 및 교통편, 학원의 규모의 요인에서는 아주 높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이와 같이 대구광역시 미용학원 수강생 중 20∼30대를 대상으로 학원선택 및 재수강 분야에 대한 조사·분석·검증한 본 연구는 향후 미용학원과 미용교육의 발전 및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구지역으로만 조사되었다는 것과 학원선택의 요인과 요인별 유의관계를 다양하게 심층 분석 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의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지역별 특성, 질병과 의료비에 관한 연구(대구광역시, 안동시, 봉화군 기준으로...)
김진익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Medical expenses in Korea in 2012 were 6.77% of the household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HFCE), an all-time high.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iving environments, practice behaviors regarding health care, the causes of disease and death and characteristics of medical expenditures in the large cities,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This study intended for Andong city (a small and medium-sized city) and Bonghwa-gun (a rural area) among longevity villages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Dusan-ri, Bukhu-myeon, Andong-si; Seonggok-ri, Jangsu-myeon, Yeongju-si; Baeksong-ri, Homyeong-myeon, Yecheon-gun; Gaegan 2-ri, Murya-myeon, Bonghwa-gun) as well as Daegu city ( a large city) based on data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and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auses of disease and death depending on the local natural environment and individual health care from a local perspective and compared and analyzed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First, Andong city with the highest health expenditure per capita and less aging population than Bonghwa-gun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hospital beds (27.42%) in medical institutions per thousand population was the highest among three cities; its climate could have adverse effects on plants, animals and people because fog time (292.08hr/year) was long and the amount of sunshine was 69.83hr less than Daegu city; according to a community health survey related to the rate of health care practices, the rate of physical activity was at more than moderate levels. However, there were low rates of practices in other factors. Andong city showed 10.7% higher than Daegu city in arthritis. It also showed high rate of experiencing medical diagnosis related to hypertension and diabetes for people over thirty: while it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was high in special infectious and parasitic diseases (15.7%), respiratory diseases.(36.8%) and digestive diseases(24.5%) among top eight of fifty causes of death; and medical expenditures for chronic diseases were very high in diabetes, mental disorders, infectious diseases and liver disease. The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for people over sixty in the case area in 2011 was 5,363,200 won. According to the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by age group between the 0-9 year old group and a group of people over eighty, it was high for people in all age groups except people in their twenties and forties. Second, Daegu city with the middle level of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doctors (2.69 people) per thousand population was the highest; the temperature (19.62℃/average annual) was high and rainfall had decreased by 616.83mm for ten years, 140mm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e rate of walking practice and stress awareness were high in a community health survey related to the rate of health care practices. The rate of experiencing medical diagnosis in hypertension and diabetes people over thirty was high next to Andong city: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periodontal diseases, infectious diseases and liver disease. It was high in internal secretion, nutrition and metabolic diseases (17.1%), circulatory system diseases (13.1%) and nervous system diseases (13.1%)among top eight of fifty causes of death; and medical expenditures for chronic diseases are very high in hypertension and periodontal diseases. The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for people over sixty in the case area in 2011 was 4,941,300 won. According to the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by age group between the 0-9 year old group and a group of people over eighty, it was higher than one of Bonghwa-gun. Last, Bonghwa-gun with lower medical expenditure than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re were many people over sixty (36.5%).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hospital beds in medical institutions per thousand population (4.77%) and doctors (1.3 people) were low; rainfall (1,258.74mm) and humidity (68.95%) were high; according to a community health survey related to the rate of health care practices, the rate of using medical centers was high. However, the rate of experiencing medical diagnosis related to hypertension and diabetes for people over thirty was low;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was higher in arthritis, hypertension, diabetes and mental disease than the control group. It was high in neoplasm (149.2%) and digestive system diseases (36.8%) among top eight of fifty causes of death in 2011; and medical expenditures for chronic diseases were very high in arthritis. The main reason why the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was low (4,552,100 won) in 2011 even though there were many people over sixty (36.5%) was that the factors of chronic diseases were less and people used medical centers a lot. In addition, it was characterized that the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l by age group kept dropping from people over sixty more than one of Daegu city.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bove contents by area, there were differences by area and generation in relation to living environments, health care, the causes of disease and death and medical expenditu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individual healthcare programs to meet local needs. If several methods such as a point accumulation system or medical discounts, which can identify individuals' exercise practices, as the political support to induce differentiation between people who practice health care and those who do not, it is assumed that the importance of personal health care can be the basis of medical savings as social spread 2012년 현재 우리나라 의료비는 가게 전체 소비액의 6.77%를 지출하여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본 연구는 대도시,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의 생활환경, 건강관리 실천행태, 질병과 사망원인 그리고 의료비 지출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통계청과 기상청 자료를 기초하여,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장수마을 (안동시 북후면 두산리, 영주시 장수면 성곡리, 예천군 호명면 백송리, 봉화군 물야면 개간2리) 중 중소도시인 안동시와 농촌지역인 봉화군 그리고 인근한 대도시인 대구광역시의 지역별 자연환경과 개인의 건강관리에 따라 발생되는 질병과 사망원인을 지역적 관점에서 탐색하고, 1인당 의료비를 비교 분석하였다. 첫 번째, 1인당 의료비가 가장 높고 고령 인구가 봉화군 보다 적은 안동시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면 1)인구 천명당 의료기관 병상 수 (27.42%)가 많다. 2)기후에서 안개시간 (292.08hr/년)이 길고, 일조량은 대구광역시 보다 69.83hr 적어서 동,식물과 사람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3)건강관리 실천율 부분의 지역사회 건강조사에서 중 등도 이상 신체 활동율이 높은 반면 다른 요소에서 낮은 실천율과 관절염은 대구광역시 보다 10.7% 높고, 30대 이상 고혈압, 당뇨병에서 의사진단 경험율이 높게 나타났다. 4)만성질환 유병률은 대조군 보다 낮은 반면, 사망원인 50항목 상위 8종류에서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15.7%), 호흡기 계통 질환(36.8%)과 소화기질환(24.5%)이 높다. 5)만성질환 의료비 부분은 당뇨병, 정신질환, 전염병, 간질환에서 높게 나타났다. 2011년 기준 사례지역의 60세 이상 1인당 의료비는 5,363.2천원이고, 연령 구간별 1인당 의료비는 0~9세에서 80세 이상 구간 중 20대와 40대를 제외한 전 구간이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 1인당 의료비가 중간인 대구광역시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면 1)인구 천명당 의사 수(2.69명)가 많다. 2)기후에서 기온(19.62℃/년 평균)이 높고, 강수량은 10년간 616.83mm 줄고, 대조군보다 140mm정도 감소했다. 3)건강관리 실천율 부분의 지역사회 건강조사에서 걷기 실천율과 스트레스 인지율이 높고 다른 요소에서도, 30대 이상 고혈압과 당뇨병에서 의사진단 경험율과 같이 안동시 다음으로 높다. 4)만성질환 유병률은 대조군 보다 치주질환, 전염병, 간질환에서 높게 나타났고, 사망원인 50항목 상위 8종류에서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17.1%), 순환기계통 질환(103.1%)과 신경계통 질환(13.1%)이 높다. 5)만성질환 의료비 부분에서 고혈압과 치주질환에서 높게 나타났다. 2011년 기준 사례지역의 60세 이상 1인당 의료비(4,941.3천원)가 높고, 연령 구간별 의료비에서 60대 이상부터 봉화군보다 높게 나타난 특징이 있다. 세 번째, 1인당 의료비가 대조군 보다 낮은 봉화군의 경우, 1)60세 이상 인구(36.5%)가 많고, 인구 천명당 의료기관 병상 수(4.77%)와 의사 수(1.3명)가 적다. 2)기후에서 강수량(1,258.74mm)과 습도(68.95%)는 높다. 3)건강관리 실천률 부분의 지역사회 건강조사에서 보건기관 이용율이 높고, 30대 이상 고혈압과 당뇨병에서 의사진단 경험율이 낮게 나타났다. 4)만성질환 유병률은 대조군 보다 관절염, 고혈압, 당뇨병, 정신질환에서 높게 나타났고, 사망원인 50항목 상위 8종류에서 2011년 기준 신생물(149.2%)과 소화기 계통 질환(36.8%)이 높게 나타났다. 5)만성질환 의료비 부분에서는 관절염이 높게 나타났다. 봉화군은 60세 이상 인구(36.5%)가 많은데도 불구하고 2011년 기준 1인당 의료비(4,552.1천원)가 낮은 이유는 30대 이상 고혈압과 당뇨병 등의 요인이 적고 보건기관을 많이 이용하였다. 또한 연령 구간별 1인당 의료비는 60대부터 대구광역시 보다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위의 내용을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면 생활환경, 건강관리, 질병과 사망원인 그리고 의료비에서 각 지역별, 세대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지역에 맞는 건강증진 프로그램과 개인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한다. 또한 건강관리 실천에 충실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과의 차별성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적 뒷받침으로, 개인의 운동 실천을 확인 할 수 있는 포인트 적립과 의료비 할인제도 등의 방법을 도입한다면 개인의 건강관리 중요성이 사회적 확산으로 의료비 절약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본다.
패밀리 레스토랑의 시장지향성의 차별화전략과 그 성과에 관한연구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김현기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0 국내석사
본 연구는 패밀리레스토랑의 시장지향성의 차별화전략과 그 성과에 관한연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장지향성과 차별화전략, 고객만족, 경영성과, 전환 장벽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고 결과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고,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시장지향성과 차별화전략, 고객만족, 경영성과, 전환 장벽에 관련된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바탕으로 설문문항을 작성하고,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실증조사는 대구지역 패밀리레스토랑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패밀리레스토랑의 시장지향성과 차별화전략, 고객만족, 경영성과, 전환 장벽과의 관계를 측정해야 하는 연구의 특성과 상대적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문 면접요원을 선발하여 충분한 설명과 토론을 거치고, 이들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거하였다. 설문조사는 패밀리레스토랑 근무하고 있는 종사원에게 접근하여 비확률 표본추출방법의 하나인 편의추출법을 실시하였다. 편의추출법은 수집과정에서 자료의 편중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나이별, 성별로 배분하고, 설문지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설문조사 실시하기 전 전문가에게 설문문항을 수정받고, 설문문항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패밀리레스토랑을 대상으로 1차에 걸쳐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난해한 문장을 수정․보완하였다. 설문대상으로는 서비스나 경영성과 및 인지도가 높고 명성이나 이미지가 우수한 국내업체인 알리앙스, 뉴욕-뉴욕, 르네상스, 라벨라쿠치나, 씨하우스, 아덴힐즈, 비잔티움 그리고 외국체인업체인 TGI-F,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등의 패밀리레스토랑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각 30부씩 총300부를 배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300부였으나 불성실한 응답 15부를 제외하고 분석에 이용한 설문지는 285부였다. 불성실한 응답 15부를 제외하고 분석에 이용한 설문지는 285부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타당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모든 분석은 SPSS WIN 12.0 통계패키지와 LISREL8.72를 이용하였다. 패밀리레스토랑의 시장지향성은 차별화전략, 고객만족, 경영성과 전환 장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지향성과 차별화전략, 고객만족, 경영성과, 전환 장벽의 관계를 측정하여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시장지향성의 영향요인을 시장정보의 창출, 시장정보의 전파, 그리고 시장정보의 반응 등 3개의 요소로 정의하여, 외식기업패밀리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시장 지향성이 경쟁전략에 미치는 차별화전략, 고객만족 간에 어떤 관련성이 있으며, 경영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시장지향성의 경영성과와 전환 장벽의 조절 효과에 대해서 규명할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지향성은 차별화전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Morgan & Strong(1998)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시장지향성이 전략지향의 일부 차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시장지향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Jaworski & Kohlh(1990, 1993, 1996)와 연구와 일치한다. 셋째, 시장지향성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later & Neker(1995)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넷째, 차별화전략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ss & Davis, l994)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다섯째, 차별화전략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경미(2002)․이용기(1996)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고객만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형일(2006)의 연구와 상반되는 견해로 나타났다. 일곱째, 시장지향성과 경영성과는 전환 장벽에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첫째, 패밀리 레스토랑의 시장지향성이 높을수록 차별화전략과 경영성과만 향상시킨 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시장지향성요인은 차별화전략, 고객만족,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차별화전략은 고객만족을 이룰 수 있으나, 차별화전략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고객만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차별화적인 레스토랑의 능력을 제고시켜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고객만족이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차별화전략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차별화전략이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까지 국내 브랜드와 해외 브랜드 모두, 선진국의 레스토랑이나 타 산업에 비해 짧은 연륜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팽창의 결과로, 시장지향성이 차별화전략, 고객만족과 경영성과에는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는 고객만족보다 경영성과에 중점을 두고, 시장지향적인 경쟁전략으로 경영되고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패밀리 레스토랑 The goal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tiation strategies on market orientation of family restaurants and their outcomes by researching based on various real cases, relationship among differentiation strategy,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switching barrier. Three hundred employees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working at the reputable family restaurants having a good brand image in Dae-Gu area. The following is the abstract of the study result. The market orientation seem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seem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performance. The market orient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appears to have a balancing effect on switching barrier, but customer satisfac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e preceding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higher market orientation is, the more effect it has on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though differentiation strategy has something to do with management performance, customer satisfaction has nothing to do with management performance. That switching barrier has some balancing effect means that employees do not transfer to other competitive restaurants only because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is view, the restaurants in Dae-Gu area are strongly recommended to build market-oriented systems and distinctive differentiation strategies
대구·경북지역 지역아동센터 급식시설 운영 실태조사 및 위생수준 평가
박숙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지역아동센터의 급식시설 운영실태와 위생관리 항목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평가, 급식시설 현장평가를 통해 위생수준을 점검하여 나타난 위생관리 문제점의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지역아동센터 시설운영주체는 개인이 가장 높았으며, 이용아동 수는 전체지역에서 20명 이상 29명 이하인 곳이 6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양사가 있는 센터는 전체 7.0%, 조리사가 있는 센터는 전체 56.5%로 예산부족으로 인해 채용이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종사자들의 겸직으로 급식운영이 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 급식일지 중요도-수행도 비교 결과, 식단표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보다 수행도의 점수가 높았으며, 급식운영일지, 검수일지, 조리사 면허증, 검식일지, 조리원 위생교육일지, 재고조사표, 건강진단결과표, 소독실시필증, 비품대장표 항목에서 중요도와 수행도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대구지역은 식단표의 중요도가 4.54점, 경북지역은 건강진단결과표의 중요도가 4.5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구지역은 식단표, 위생점검일지의 수행도가 4.51점, 경북지역은 식단표가 4.61점으로 수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생관리 운영 실태조사 결과, 종사원의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는 시설은 87.9%로 대구·경북지역 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대부분 위생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위생교육 받은 내용을 현장에 적용하는 시설은 70.8%로 조사되었다. 위생교육 받은 내용을 현장에 적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시설 및 기기 부족이 30.1%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위생시설 실태조사 결과, 오염·비오염구역 구획구분이 되어있는 시설은 전체 48.2%로 나타났으며,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전처리용·조리용 개수대가 구분되어 있는 시설은 전체 53.0%로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내부벽·바닥 타일이 설치되어 있는 시설은 전체 44.2%로 나타났으며,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온장고는 대구지역 31.9%, 경북지역 12.0%가 설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위생관리 중요도-수행도 비교 결과,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식재료 선입선출, 구매한 식재료의 주기적인 유통기한 확인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와 수행도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01). 구매한 식재료의 주기적인 유통기한 확인, 식재료 검수일지를 작성․보관 항목에서 대구·경북지역간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p<0.05). 수행도는 작업 전 작업자들의 건강상태 확인, 식재료 검수일지를 작성․보관, 식재료와 조리된 음식은 바닥에서 60cm이상 떨어진 곳에 보관, 보존식 보관 및 관리기준 준수 항목에서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급식시설 현장심사 결과, 대구지역의 경우 시설관리 32.0/45점(71.1%), 개인위생관리 17.7/24점(73.6%), 작업위생관리 28.0/48점(58.3%)으로 전체 평균 77.7/117점(66.4%)로 나타났다. 시설관리, 개인위생관리영역에서 경북지역이 대구지역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대구지역과 경북지역 모두 작업위생관리영역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여 중점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분야로 조사되었다. 급식시설 청결도 확인 결과, 기구·용기영역에서 칼은 전체 37.5%, 도마는 전체 42.9%, 식판은 전체 100%, 행주는 전체 42.9%의 센터에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설·설비 영역에서 싱크대는 전체 50.0%, 작업대는 전체 12.5%의 센터에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냉장고 손잡이는 모든 센터에서 부적합으로 확인되었다. 개인위생영역에서 작업자 손은 전체 57.1%, 고무장갑은 전체 100.0%의 센터에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급식 운영에 있어 위생관리 수행도를 높일 수 있도록 영양사의 배치가 필요하며, 효율적으로 위생관리가 되기 위해 급식시설 관리자들에게 다양한 매체, 매뉴얼을 개발하여 위생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아동센터 급식시설에 시설 및 기기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시설이 많아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offers preliminary data to strategize improvements of sanitation management problems revealed by inspecting sanitation level, through the field evaluations on foodservice facilities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items and management of foodservice faciliti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Most of Community Child Centers are privately owned, and the numbers of children 20 to 29 was 63.0%, the highest. Only 7.0% and 56.5% of the centers had nutritionists or cooks, respectively, due to budget deficit, and foodservice are run by employees holding other works. As a result of comparing importance-performance in foodservice journal in community child centers, the score of importance is higher than that of performance in all items except for menu.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items such as foodservice journal, inspection journal, cook license, meal sampling, sanitation education journal, inventory tag, health examination result list, certificate of disinfection and equipment register(p<0.05). The highest importance scores were menu in Daegu with 4.54 and health examinations result tables in Gyeongbuk area with 4.56. The highest performance scores were menu and sanitation check journal in Daegu with 4.51 and menu tables in Gyeongbuk area with 4.61. The result of investigations of sanitation management found that 87.9% of employees had regular health inspection,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aegu and Gyeongbuk(p<0.05). Most of sanitation educations are necessary, and it is found that contents of sanitation educations are applied to fields in 70.8% of facilities. Among the reasons why the contents of them are not used in the fields, the rate of shortage of facilities and devices is 30.1%, the highest one. The result of investigations of sanitation facilities found that separated of contaminated and non-contaminated areas are 48.2% of all, and they are significantly more founded in Daegu than in Gyeongbuk(p<0.01). separated of sinks for pre-processing and cooks are 53.0%, and they show significant higher rate in Daegu than in Gyeongbuk(p<0.05). Interior wall, floor tile installation are 44.2%, and they are significantly more founded in Daegu than in Gyeongbuk(p<0.05). 31.9% of centers in Daegu and 12.0% of centers in Gyeongbuk area were equipped with hot holding table(p<0.05). As a result of comparing importance-performance in sanitation management show that importance is higher than performance in all item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all items except for FIFO of stored food and checking of periodic expiration date(p<0.001).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items such as checking of periodic expiration date and ingredients to create and store logs inspection, is found between Daegu and Gyeongbuk(p<0.05). For the performance, some items are shown as higher in Daegu than in Gyeongbuk: examination health check before working, ingredients to create and store logs inspection, handing food on working table with at least 60cm hight from floor and preserved food and managing compliance standards(p<0.05). The results of field examinations of food-service facilities, the score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 sanitation management is 32.0/45(71.1%); personal hygiene management, 17.7/24 (73.6%); and foodservice processing sanitation management, 28.0/48 (58.3%), and average scores of which is 77.7/117 (66.4%) in Daegu. The levels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 sanitation and personal hygiene management are higher in Gyeongbuk than in Daegu, and both of which show the least level in foodservice processing sanitation management which should be thus intensively managed. As result of cleanliness check in foodservice facilities, it is found that knife is suitable for 37.5% of all centers, chopping board 42.9%, food tray 100%, and dishtowel 42.9% in cooking utensils and that sink 50.0%, working table 12.5% in facilities/equipments. And grip of refrigerator is unsuitable for all centers. In personal hygiene, hands of workers and rubber gloves are suitable for 57.1% and 100% of all centers. In the foodservice management, employments of nutritionists are needed to improve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and the sanitation education is thought to be provided to managers based on developments of various medium and manual, for the efficient sanitation managements. The facilities and equipments should be continuously supplied to foodservice faciliti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due to relative lack of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