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자제도를 통해 본 조선후기 가족구조와 가계계승: 의성김씨 호구단자 분석을 중심으로

        박수미,Park, Soo-Mi 한국인구학회 2007 한국인구학 Vol.30 No.2

        이 글은 조선후기 호적자료외 양자계승기록을 단서로 조선후기 양반가족의 가계계승 원리와 가족유형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의 분석자료는 1669년에서 1913년까지 의성김씨 호구단자이다. 분석 결과 조선후기의 가족형태와 조선전기나 조선중기의 가족형태 사이에 많은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그 변화의 방향은 부계계승원리의 강화이며 그 한가운데 양자제도가 자리하고 있었다. 분석자료의 전체 호구 평균가구원수는 5.66명으로 17세기 초에 비해 가족규모가 매우 커졌으며 가족구성원의 친족 범위도 매우 넓어져, 17세기 초 양반가의 가족원이 되는 근친자 종류가 6종의 자였던 데 비해 의성김씨 호구단자에 나타난 그것은 무려 70종이었다. 조선전기 양반가 분석결과와 달리 의성김씨 집안의 가족형태는 직계가족, 방계가족의 비율이 45%를 넘을 뿐 아니라 18세기, 19세기 모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족형태는 확대가족이고 부부가족의 비중은 1/3 수준으로 약화되는 등, 가구구성의 친족범위가 더욱 확장되었다. 의성김씨 호구단자에서 입양을 통해 가계를 계승한 사례는 전체 호구 가운데 무려 33.8%에 이른다. 적장자가 호주자리를 승계할 때까지 살아 있을 확률이 낮았던 당시의 인구학적 환경 속에서 적장자가계계승 원리를 확고하게 지키는 방법으로 활용된 것이 양자제도였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종족집단은 자신의 직계혈통에게 가계를 계승하는 것보다도 입양을 통해서라도 '적장자 자리'라는 명분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중요했던 사회이고 이런 양반가의 소임을 다하기 위해 적임자를 찾을 때까지 호주대리인을 내세우는 등 양자제도를 보편화시켰던 것이다. 또한 제작된 믹서는 외부의 IF 발룬을 필요하지 않아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설계 및 제작된 94 GHz MIMIC single balanced cascode믹서는 기존의 balanced 믹서와 비교하여 높은 격리 특성을 나타내었다.L 및 FPGA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구현 검증되었다. 0.25um CMOS 표준 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합성하였을 때, 총 게이트 수는 37K개였으며 7.5개의 라인 메모리가 사용되었다. 추적관찰이 필요하겠다.다.참굴 D상 유생을 대상으로 먹이효과를 조사한 결과 실험구와 대조구간 유생의 성장 및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C$에서 73.3%, $10^{\circ}C$에서 63.3% 및 $5^{\circ}C$에서 56.7%로 수온이 $30^{\circ}C$ 이내에서는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염분에 따른 잠입 실험 결과는 실험 개시 300분 경과 후 염분 30 psu에서 93.3%로 가장 높았고, 35 psu에서 90.0%, 25 psu에서 83.3%, 20 psu에서 60.0%, 15 psu 이하에서는 거의 잠입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적정 살포를 위한 잠입률은 치패의 크기와 상관없이 저질종류는 모래 (75%) + 뻘 (25%), 입자크기는 1 mm 모래에서 높게 나타났다. 공기 중 노출시간은 짧을수록, 수온은 $30^{\circ}C$ 이내에서 높을수록, 염분은 20-35 psu 이내에서 높을수록 잠입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교수학습모형에 관련된 지식을 묻는 내용으로 주로 출제되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principle of family succession and family patterns of yangban in the late Chosun period through an analysis of male adaptation cases found in family registration records. The primary source of analysis is the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of Uiseong Kim's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ubstantial change in the patterns of family from the early and mid Chosun period to the late Chosun period. The change is the strengthening of the principle of patriarchy succession through male adoption. Looking at the data as a whole, the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s increased and the membership of kinship also expanded. In contrast to the family patterns of the early Chosun period, not only the patterns of Uiseong Kim's family are predominately immediate family or collateral family but also the majority is extended famil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male adoption cases recorded in Uiseong Kim's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take up 33.8% of the male adoption cases in the entire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This goes to show that the strengthening of the principle of primogeniture succession at a time when child mortality rate is very high resulted in the increase of male adoption. In conclusion, the late Chosun society was a society where the seat of primogeniture was much more important than immediate hereditary members in the family success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청소년의 성평등의식 실태와 일반적 가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수미(Soomi Park) 한국인구학회 2008 한국인구학 Vol.31 No.3

        이 연구는 자라나는 미래세대인 청소년들의 성평등의식 실태를 살펴보고 청소년들의 성평등 의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연구내용은 첫째, 전국 대표성 있는 표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 청소년들의 성평등의식 실태를 파악한다. 둘째, 청소년들의 일반적 가치 실태를 조사하여 청소년들의 성평등 의식 제고를 위한 단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분석 자료는 2006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청소년가치관조사” 자료이며, 조사대상자는 전국 132개 학교에서 추출된 학생 11,240명이다. 분석 결과, 2006년 청소년들은 과거 청소년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성평등의식 수준이 높아졌으며, 특히 ‘가정내 공평한 가사분담’에 대한 청소년들의 지지 정도는 과거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그러나 청소년 가치관 조사 결과 우려되는 부분은 성평등 의식 등 일반적인 태도 항목에서 남녀간 성별지체 현상이 매우 뚜렷하다는 점이다. 여학생의 성평등 의식이 남학생보다 훨씬 높을 뿐만 아니라, 차별감수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보편주의 가치관’, ‘자기 성취 가치관’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다. 이에 비해 남학생은 차별적 태도와 연결되는 ‘권력 가치’적 성향이 뚜렷하다. 따라서 학교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의 교육내용에 의식의 다양한 수준에서의 성별격차를 완화하는 내용이 중점적으로 다뤄져야 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Korean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an attempt to search for a way to increase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irst, this study carries out a survey of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ased on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ample. Second,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key points needed to evaluate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erms of youths' general values. The data used for this survey is from the survey on youths' values conducted by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06 with a sample of 11,240 students from 132 schools nationwide. As a result, youths in 2006 had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n that of previous years(2002). Especially, the support for the fair share of domestic work in the house by youth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past. However, the survey of youths' values showed clear gender gaps in general attitudes of youths includ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emale students not only had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n male students but also had higher levels of 'universal value' which would allow one to become sensitive to discrimination and 'self development and achievement value'. In contrast, male students scored high on 'power-oriented value' related to discriminatory attitudes. Therefore, the study recommends focusing on alleviating the gender gaps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other various media education.

      • KCI등재

        유치원 음률영역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와 유아의 변화 탐색

        박수미(Park, Su-M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8

        본 연구는 유치원 음률영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면서, 그 과정을 통해 교사와 유아가 어떻게 변화해나가는지를 살펴본 실행연구로서 2012년 9월부터 12월까지 만 5세반 유아들과 경력 5년차 교사 1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교사가 인식한 문제는 협소하고 단조로운 공간구성, 음악교수 방법에 대한 변화 필요, 음률영역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음률영역에서 상호작용의 부재 등이었다. 음률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를 통해 유아교사는 실행의 주체가 되어 반성적으로 사고하고 연구하기, 음률영역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 속에서 음악교수 지식 넓혀가기, 유아들과 함께 음악을 즐기는 교사 되기라고 하는 변화를 경험하였다. 음률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를 통해 유아들은 음률영역에 대한 참여도 증가, 자유롭고 창의적인 음악표현하기, 음악놀이를 통해 음악적 개념 탐색하기라고 하는 변화를 경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action research on music center activities conducted by a participating researcher in collaboration with a classroom teacher. This researcher conducted action research for about three months, in cooperation with the teacher in charge of a five-year-old children"s class at a kindergarten. Date was collected from open questionnaires, reflective journals, and participant"s observation and analyzed according to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ome problems in music center include: a) small and monotonous place b) necessity of changes in music teaching method b) a lack of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music center c) a lack of perception about the importance of music center d) a lack of interaction in music center The results of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in music center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me to enjoy the music with children, to reflect the music teaching, to understand children"s creative music expression and try various music teaching. second, children came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in music center, to express music in a free and creative way, to investigate music concept through music play.

      • KCI등재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박수미(Park Soomi)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1

        이 연구는 잦은 경력단절로 특정지워지는 여성취업 가운데,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기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진입과 퇴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며 두 번째 취업 이행 유형에 세대효과가 발견되는지의 여부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여성들의 취업력 자료(job history data)를 대상으로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여성들의 ’학력’, ‘첫 취업경력’과 같은 인적자본요소는 여성들의 재취업 이행과 재퇴장 이행 둘 다에 대해서 정(+)적 효과를 지니지 않았다. 반면, 여성들의 생애과정상의 변화들, 예를 들어 ‘결혼’, ‘첫 출산’, ‘6세 미만의 자녀양육기’ 등과 같은 생애사건은 여성들의 재취업률을 유의미하게 낮췄다. 동시에 ‘둘째, 셋째 출산’을 경험한 여성들,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들은 그 동안 미뤄왔던 재취업을 적극적으로 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퇴장에 대한 분석결과에선 여성들의 노동시장 재퇴장 행위가 ‘연령’의 증가와 생애과정단계의 변화에 따른 시간의존적인 퇴장 행위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가 보여주는 저조한 여성들의 취업 상태를 통해서, 여성들이 생애과정의 일정한 단계 혹은 일정한 연령에 이르렀을 때, 자연스럽게 일생의 경제활동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었다. 이 결과가 함의하는 것은, 한국사회 여성들의 취업유형이 잦은 ‘경력변동’으로 특정지워지기보다는 취업경력상의 ‘저열함’으로 특징지울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야기하는 노동력 수요의 측면과 정책적ㆍ규범적 측면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pattern of the Korean women's second labor force participa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factors which determine women's reentry into and re-withdrawal from the labor market. This research investigates labor market dynamics, using longitudinal data and event history analysis, to conceptualize labor market behaviors. we find that human capital variables - education, job career, duration of previous work, type of previous work and so on -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reentry and reexit. Instead, life course variables - marriage, childbearing, existence of young children under age 6 and so on -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reentry. Only the 'age'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women's second career interruption. we also find that the pattern of Korean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does not change across the birth cohort. Most of all we find an interesting fact that women's total duration of employment and total numbers of employment are too low. Korean women's pattern of labor force supply is very poor picture to debate which is more proper in two competing hypotheses - 'revolving doors theory' and 'accumulated disadvantage effect theory'. In conclusion, the pattern of women's second labor force participation varies remarkably by women's life course stages. So this study calls for more sophisticated, rather than simpler, models of women's labor force behavior and policy about women's work. Because women's employment decisions are products of the complex interplay of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and economic changes.

      • KCI등재후보

        스크린에 재현된 문자예술 -얻는 것과 잃는 것, <롤리타>를 중심으로-

        박수미 ( Su Mi Park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4 현대영화연구 Vol.10 No.1

        It looks clear that the film is the most popular and strongest device of narration of these days. This new method of Art grows really fast by absorbing contents from Literature. Though there are enormous amount of films that based on Novels. the Art and skills of that adaptation in not studied enough. In this paper I studied Vladimir Nabokov`s novel Lolita and Stanley Kubrick`s film of same title as texts. What I try to find out are difference and similarities of two pieces of works, and I also discuss on reasons of the difference. Today, Nabokov`s Lolita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novels of this century, but when it was published the book was banned publication because of its lewdness. Even though Actual theme of the novel is endless love and longing for the English literature, they don`t try to look inside of the narration. As most of Kubrick`s works did so, the film Lolita gain more positive response than the time of its release. Kubrick wanted to inform the absurdity of modern-Western by the story of four normal Americans who have strong appetite for possession.

      • KCI등재

        기혼 여성노동자의 건강에 미치는 직업특성과 가족특성

        박수미(Soomi Park),한성현(Sunghyun Han) 한국인구학회 2004 한국인구학 Vol.27 No.2

        이 연구는 여성의 삶의 질에 ‘일’과 ‘가족’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여성의 ‘신체적ㆍ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일’과 ‘가족’의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생산직 및 사무직에 종사하는 기혼 여성 902명에 대한 설문지 면접조사결과를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혼여성노동자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직업특성ㆍ가족특성의 영향력에 변별성이 발견되었다. 가족특성이 기혼여성노동자의 정신건강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직업특성은 이들의 신체적 건강ㆍ정신건강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여성들에게 직업이 갖는 의미가 재해석되어야 함을 암시하였다. 분석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스트레스’의 효과처럼 동일한 변수가 성별로 상이한 효과를 미친다는 사실에서 ‘일’에 대한 성별화된 사회규범이 해체되어야 한다. 둘째, 여성의 연령 증가, 자녀수 증가에 따라 정신 건강이 좋아진다는 결과에서 여성에게 ‘가족’과 ‘일’의 갈등적 측면 못지않게 지원적 측면이 강화되고 있다. 셋째, 기혼여성노동자의 건강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가정형편’변수로서, 건강의 계층화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저소득층에 대한 각별한 건강복지정책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s of work and family characteristics on the married female workers' health in order to explore the meaning of work and family for the quality of women's life. The subjects are 902 married women who are employed in manufactural and clerical occupations. This study analyze the data collected by interview survey wit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 is obtained. This study finds that while family characteristics has influence on the only subjects' mental health, work characteristics has influence on the both subjects'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is means the importance of work in women's life has increased more and more. Also this study finds the supportive relation of work and family for women as well as work/family conflict has increas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greater need for attention to the phenomenon of health stratification.

      • KCI우수등재

        부산 장산 지역의 구과상(球球球) 유문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박수미(Sumi Park),윤성효(Sung-Hyo Yun) 한국암석학회 2013 암석학회지 Vol.22 No.3

        부산광역시 동부의 장산화산암체는 화산함몰체로 알려져 있고, 화산함몰체 외각부를 따라 구과상 유문암이 60°~90°의 각도로 수직유상구조를 보여주며 환상암맥으로 나타난다. 구과의 직경은 수 mm에서 2.8 cm 이상이며, 평균적으로 5~10 mm로 측정되었다. 이들 구과는 하나의 핵을 중심으로 방사상을 나타내는 단식 구과형과 육안상 흰색을 띠는 각을 가지면서 핵 부분을 중심으로 방사상을 나타내는 방사상 단식 구과형으로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보여주며, 이들 구과들이 서로 인접하여 합체된 포도송이와 같은 집합체를 보여주기도 한다. 구과의 동심원상 핵 부분에 대한 전자현미분석 결과, 은미정질 기질부 물질의 성분은 주로 SiO₂가 거의 82% 이상, Al₂O₃는 7~10%, Na₂O+K₂O는 8% 이하의 실리카 물질과 장석(새니딘)의 미세한 섬유상 교생으로 나타났다. 구과에 대한 X-선 회절분석 결과, 석영, 새니딘, 앨바이트 그리고 소규모의 운모, 카오린, 녹니석으로 구성되며, X-선 면분석 결과, 핵 부분은 SiO₂가 풍부하며, 각 부분은 Na₂O 또는 K₂O, Al₂O₃가 풍부하였다. 장산콜드론의 유문암 암맥에서 나타나는 구과의 깃털형과 비등형 결정 형태는 마그마 관입에 의한 이동속도보다 유리질 물질로부터 탈유리화작용이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고, 비교적 정체된 상태에서 급속한 냉각으로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구과들은 고규산(75.4~75.7 wt.%) 유문암질 마그마로부터 유래되었다. Spherulitic rhyolite occur as part of ring dyke which showing a vertical flowage of 60°~90°, of the Jangsan cauldron was studied. The spherulites range in diameter from a few millimeters to 2.8 centimeters or more, and average 5~10 millimeters. It belongs to radiated simple spherulite type. They consist of a core of moderate brown dense material encased by a thin crust, a few millimeters thick at most of white grey material. The spherulites frequently have a radiating fibrous structure, which are thought to have formed as a consequence of rapid mineral growth caused by very fast cooling of the dykes in shallow depth near the surface. EPMA examination of the concentric-zoned core of spherulites show that they are mainly composed of cryptocrystalline-fibrous intergrowth of silica minerals and alkali feldspars which have SiO₂ 82% or more, Al₂O₃ 7~10%, Na₂O+K₂O less than 8%. The feldspar compositions of the spherulites lie essentially within the sanidine field. XRD examination show that spherulites are mainly composed of quartz, sanidine, albite with minor mica, kaolinite and chlorite. According to X-ray mapping, the spherulites are enriched in SiO₂ in the core and partly enriched Na₂O or K₂O, Al₂O₃ in the shell that reflect in compositional zoning with increasing spherulitic devitrification. The feathery and non-equant crystal shapes of spherulites from rhyolite dyke of Jangsan cauldron suggest that they may have formed during the rapid cooling of dyke under the static state, or faster velocity of devitrification from glassy materials than movement velocity of the magma intrusion. The spherulitic rhyolite originated from high-silica(75.4~75.7 wt.%) rhyolite magma.

      • KCI등재

        신입생 대상 교수와의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수미(Park, Su mee),박지회(Park, Ji Ho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K대학이 시행한 신입생 대상 교수와의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대학의 교수·학습성과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대학생 교수-학습과정 조사도구(NASEL)를 활용하여 학습 경험 변인과 교수·학습 성과 변인을 측정하고, K대학의 학사데이터를 연동하여 총 833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교수와의 상호작용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참여 여부가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과 및 대학 소속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관련 상호작용과 그 외 상호작용, 대학 소속감에 대하여 1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진로관련 상호작용, 학과 및 대학 소속감이 다소 높았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자체는 직접적으로 학과 및 대학 소속감 변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상호작용변인군이 투입되었을 때 유의미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 내에서 만족스러운 진로상담과 같은 교수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신입생들의 학과 및 대학 소속감과 같은 정의적 성과가 간접적으로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호작용이 증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론적인 논의가 부족한 연구 환경에서 개별 대학에서 진행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action promotion program with faculty for freshmen conducted by K University in terms of the university s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 total of 833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linking the academic information of K University after measuring the variables of learning experie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outcomes using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NASEL). Specifically,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interaction with faculty based on program particip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program participation affects the sense of belonging to departments and universities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facult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reshmen perceived career-related interactions, other interactions, and sense of belonging at university at a little higher level compared to other grades. In addition, program participants had a little higher perception of career-related interaction, sense of belonging at department and university than non-participants. Second,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tself did not directly affected the sense of belonging at departmental and university variables, but it showe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when the interaction variable group was deploy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n be indirectly enhanced to the affective achievement and sense of belonging at departmental and university when interactions with faculty, such as satisfactory career counseling, are made within the program.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conducted at individual university in research environments where there is insufficient methodological discussion of whether programs can promote interaction.

      • 소설『철도원』을 통해 본 지방의 공동화(空洞化)문제

        박수미(Park Su-M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7

        아직 우리사회에 잔존하는 제국주의적인 시각에서 국가발전은 곧 규모의 성장을 의미하며, 그 과정 속에서 주변은 중앙에 비해 차별을 받는다. 국가에 의한 차별은 이분법으로 지역들을 나누고, 각기 다른 로컬 룰을 적용시킴으로써 양극화시킨다. 중앙과 주변의 관계는 일방적인 증여의 형태를 보이며 자원의 중앙 집중화가 심화되면 결국 아주 느린 속도의 지방 공동화로 결말지어진다. 이렇게 불공평한 거래가 계속 유지 가능한 이유는 국민이라는 단어가 가진 단속적 능력에서 비롯된다. 글로벌과 대비되는 개념에서 국가는 언제나 로컬의 위치를 선점한다. 그리고 그 지위를 바탕으로 하여 의무는 국민의 단위로, 권리는 로컬 구성원의 단위로 환산시킨다. 교육을 통해 축적된 고정관념은 매우 강력하여 많은 사람들은 현실 속의 부조리를 절감하면서도 그것을 일으킨 실체가 어떤 것인지 인식조차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아사다 지로의 소설 『철도원』을 중심으로 중앙과 지방의 불균형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그 부자연스러운 논리가 어떻게 대중들을 납득시키고 있는가에 대하여 논하겠다. 비록 가상의 장소라고는 하지만 소설 속의 호로마이(幌舞)는 일본의, 아니 여느 성장지향국가의 지방이 어떤 역사를 거쳐 공동화에 이르는가를 매우 선명하게 보여준다. In the view of Imperialism, which still rest in our society, the development of a Nation means the growth of economic scale and there is discrimination between peripheries and center in the process of that. The discrimination by a Nation dichotomy localities and cause the regional polarization with double local-standard. The peripheries - center relationship assume the form of unilateral donation, and the relation ends as a form of the very slow local hollow as the centralization of natural - human resources has deepen. This inequality maintained unceasingly with power of discipline, which included in the word Nation. The Nation(or Country) always preoccupy the position of local, when the idea contrasts with Global. In that position, the Nation imposes responsibilities to all and grants rights with a locality as a unit. The fixed idea, which is granted by education, has enormous firmness, therefore most people usually don’t even recognize the cause of social irregularity tough they are living in the middle of it. In this paper, I try to study on the process of regional imbalance problem with Asada Jiro’s Railroad Man and also discuss on the reason of people’s acceptance of this constrained logic. Though it is an imaginary province, Horomai(幌舞) shows us the process of local hollow out in A growth-oriented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