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 연구

        박서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879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for all members of society to live healthy and safe in a clean environment. Consumers' awareness of sustainable consumption has been greatly amplified as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has increased and social discussions have been made on the treatment of delivery workers. If there is any positive impact from COVID-19, it is an opportunity to accelerate sustainable consumption(Sustainable Consumption Institute, 2020).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must be done in everyday life and implies a long-term change in consumption habits. However, since the concept of sustainable consumption is abstract, it is difficult to judge what actions consumers should take in their daily consumption life. In addition, the fact that individuals must pay time and money for the sake of others and the environment poses a barrier to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and makes it difficult to continue practicing.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sustainable consumption can be easily practiced by ut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consumers. Today's ICT is hyper-connected, and today's consumers are connected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hyper-connected technology to connect the consciousness of practice with the action of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ly specify the assumptions of the preceding research that hyper-connected technologie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and to understand how hyper-connected technology contribute to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This study derived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onnects the major components of hyper-connected technology and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is framework, this study conducted consumer interviews to see what role hyper-connected technology plays i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in real consumers' daily lives,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ntinuation or cessation of sustainable consumption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hyper-connected technology is being used to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in the daily life of consumers. In the housing area, wall pads attached to smart homes, smart grids, smart lighting, and various smart home appliances were mainly used. In transportation, connected cars linked with smartphone applications, shared mobility services, navigation and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were mainly used. In daily consumption, various mobile services including used trading platforms, mobile faxes, mobile banking, mobile payments, and mobile bills were used. In addition, information on sustainable consumption was shared among consumers through social network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hyper-connected technology is helpful in promoting consumers' motivation to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consumers can efficiently use personal and natural resources at the same time, satisfy their needs for quality of life and safety of themselves and members of society, and possible to share goods and information by connecting more members of societ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hyper-connected technology is helpful in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practicing sustainable consumption.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consumers have become aware of their energy consumption and have learned new action to take to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and how to manage and use products for a long time. In addition, consumers said that the uncomfortable practice became simple and convenient, and that a new alternative to choose from was provided, which helped to put the practice into 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consumers' practices of sustainable consumption changed positively through the experience of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Consumers who had a low level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said that through remote control, autonomous mode, and shared services, the inconvenience of practice was greatly reduced and new alternatives increased, enabling them to practice difficult actions. Consumers with high levels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are said to be able to expand their practice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while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and to continue to practice it because their awareness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has been greatly strengthened. Fifth,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hyper-connected technolog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it can also be a factor that causes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to be stopped. Ease of operation, seamless connection, convenience of operation due to the application, and the expandability of the device made it possible to continue practicing sustainable consumption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when consumers experience technological limitations such as changes due to updates, poor access, or do not experience the relative advantages of using technology, it has become a factor that causes them to stop practicing sustainable consumption. Sixth, it was found that consumers made subjective and relative judgments about whether the use of hyper-connected technology is sustainable. Consumers have had their own standards that are important to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and based on this, they have gone through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use hyper-connected technology. As a criterion that is important to each consumer, what utility is personally gained, whether the same utility can be provided to others, public resources are efficiently distributed to all members of society, and whether the efforts of the whole society were reduc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nsumers continued to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by relatively comparing the practice of the existing method with the practice of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and switching to a method that is judged to be more sustainabl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hyper-connected technology can be a practical means of promoting consumers' motivation to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viding a wa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practicing sustainable consumption. By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consumers experienced increased frequency of actions that were difficult to practice, increased the effectiveness of actions, or greatly reinforced their practice consciousness and expanded to practice in other areas. These results imply that encouraging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by utiliz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can be a consumer-friendly action plan that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ractice while reducing consumer difficulties and inconveniences. Second, in order for hyper-connected technology to be continuously used in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it must be able to provide clearly differentiated utility to consumers. Consumers thought that there was no need to use hyper-connected technology if there was no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method. In addition, consumers judged that it was not sustainable without personal benefits. Third,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can be stopped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so it is required to actively grasp and improve it. If unwanted information is provided or if the demands of consumers are not adequately reflected, such as the size of the letters provided is small, it may cause displeasure of consumers and result in the suspension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s. There were also opinions from consumers that the practice of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sustainability in that it induces resources and purchase costs to produce super-connected devices, and electricity in the process of use. In order for hyper-connected technology to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in addition to providing functions related to sustainable consumption,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using technology is required. Fourth, the use of hyper-connected technology in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enables both personalized and social practice. Consumers prefer to personally use shared means of transportation rather than using public transport for sustainable consumption. It means that there is a demand for consumer personalization in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and that the use of hyper-connected technology enables personalized practice. Furthermore, personal participation i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was expanded to social participation, such as sharing information o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with consumers through hyper-connected technology and participating in action campaigns through social networks. By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that connects people to people in this way,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in the social aspect, which has been limitedly dealt with in the discussion o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can be promoted and spread. Fifth, the practice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and the practice of the existing method are used complementarily. Consumers have switched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to the method using hyper-connective technology but have also switched from the method using hyper-connective technology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important point in the process of this transformation was what were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method in terms of sustainability, and whether these problems could be solved in other ways. This means that the change in the way of practice implies consumer demand for practice that has not been met by the previous way of practice.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grasp the consumer's demand for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by grasping the change process of the consumer's practice method and the reason for the change.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summarizes the contents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s as concrete contents that consumers can practice in their daily lives and seeks practical solutions to the difficulties and solutions to sustainable consum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In addition, there i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the contextual factors for continuing the practice of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were identified and the direction of the use of technology was suggested based on this.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how consumers'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s have changed by capturing practices using hyper-connected technology, a new phenomenon.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quantitative study to demonstrate. If various follow-up studies are conducted based on the variables explor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discussions on ways to enable consumers to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easily and conveniently will be more active. 코로나가 미친 긍정적 영향이 있다면 지속가능소비를 가속하는 기회가 된 점이다(Sustainable Consumption Institute, 2020).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사회 구성원 모두가 깨끗한 환경에서 건강하고 안전하게 살아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으며, 일회용품 사용의 증가와 배송 업무 종사자에 대한 처우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지속가능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은 크게 증폭되었다. 그러나 지속가능소비에 대한 의식과 실제 행동 사이에는 격차가 존재한다. 높아진 실천 의식을 실천 행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지속가능소비 실천은 소비자의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기존과는 다른 소비습관으로의 장기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지속가능소비의 개념이 추상적이어서 소비자가 자신의 일상적인 소비생활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실천 행동을 해야 하는지 판단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고 하였다. 또한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는 것이 다른 사람이나 환경을 위해 자신의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하고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것으로 여겨져 소비자가 행동을 변화하는데 장벽이 되며, 지속적인 실천을 어렵게 한다고 하였다. 2020년 7월 정부는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디지털 뉴딜과 친환경 저탄소 중심의 그린 뉴딜을 융복합한 한국판 뉴딜 종합 계획을 발표하였다.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도 정보통신기술과 지속가능소비의 융합에 대한 가능성이 제시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와 오늘날 소비자의 일상생활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정보통신기술은 초연결의 특징을 띤다는 선행연구에 착안하여, 실천 의식을 실천 행동과 연결 지을 수 있는 방안으로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주목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초연결기술과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주요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개념적 틀을 도출하였으며, 정성조사를 통해 실제로 소비자의 일상생활에서 초연결기술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소비자학 관점에서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통해 소비자가 경험한 실천의 변화는 어떠한지, 소비자가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을 시작하고, 지속하며, 중단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소비자의 일상생활에서 초연결기술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활용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거 영역에서는 스마트홈에 부착되어 있는 월패드,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조명, 다양한 스마트 가전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교통 영역에서는 스마트폰 어플과 연동되는 커넥티드 카, 공유이동수단서비스, 네비게이션과 대중교통정보 어플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일상적 소비 영역에서는 중고거래플랫폼, 모바일 뱅킹, 모바일 결제, 모바일 청구서를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 자원의 사용이 필요했던 재화를 무형으로 대체한 모바일 팩스와 IPTV, 그리고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지속가능소비에 대한 정보 탐색 및 공유 등이 소비자의 일상생활에서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맥락에서 활용되고 있는 초연결기술이었다. 둘째, 초연결기술이 소비자의 실천 동기를 촉진하여 실천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비자들은 초연결기술을 활용하여 개인의 자원과 천연 자원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자신과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안전에 대한 욕구가 충족되었으며, 사회 구성원끼리 더 많이 연결되어 재화와 정보의 공유가 가능해졌다고 하였다. 셋째, 초연결기술이 소비자가 실천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비자들은 초연결기술을 통해 자신의 에너지 소비량을 인지하게 되었으며,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제품을 관리하여 오래 사용하는 방법은 어떠한지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되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귀찮고 불편했던 실천 방식이 간단하고 편리해졌으며,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제공되어 지속가능소비 실천 행동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넷째,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 경험을 통해 소비자들의 지속가능소비 실천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소비 실천 수준이 낮았던 소비자들은 원격제어, 자율모드 등을 통해 실천의 불편함이 크게 감소되었고 공유이동서비스와 같이 새로운 대안이 증가하여 실천하기 어렵던 행동을 실천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였다. 평소 지속가능소비 실천 수준이 높았던 소비자들도 초연결기술을 활용하면서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대한 의식이 크게 강화되어 실천을 지속하게 되었으며, 사회적인 참여로 확장된 실천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였다. 다섯째, 소비자가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초연결기술을 활용하게 된 계기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관심이 많았던 소비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초연결기술을 발견하고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도움이 될지 판단하는 과정을 거쳐 초연결기술을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반면에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관심이 없었지만 새로운 기술에 대한 호기심으로 초연결기술을 이용하기 시작했다가 사용 경험이 축적되면서 지속가능하다는 것을 지각하게 되어 이후에는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위한 목적으로 초연결기술을 활용하게 된 소비자들도 있었다. 여섯째, 초연결기술의 특성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중단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원활한 연결, 조작 편리성과 용이성, 기기의 확장성 등은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지속하게 하였다. 반면에 원활하지 않은 접속, 업데이트로 인한 변화와 같은 기술적 한계를 경험하거나, 기술을 활용하는 것의 상대적 이점을 경험하지 못한 경우, 인터페이스가 친숙하지 않아 오히려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불편함을 경험한 경우에는 초연결기술의 활용이 중단되고, 이를 활용한 실천의 중단으로 연결되기도 하였다. 일곱째, 소비자들은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의 시작과 지속, 중단의 전 과정에서 초연결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것인지에 대해 주관적, 상대적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신만의 기준이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초연결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적절한지 판단하는 과정을 거쳤다. 소비자마다 중요하게 생각한 기준으로는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통해 개인적으로 얻게 되는 효용이 무엇인지, 다른 사람들에게도 동일한 효용이 제공될 수 있는지, 공공 자원이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효율적으로 분배되는지, 사회 전체의 노력이 절감되는지 등이 있었다. 또한 소비자들은 기존 방식으로의 실천과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방식으로의 실천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더욱 지속가능하다고 판단되어지는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연결기술은 소비자의 지속가능소비 실천 동기를 촉진하고,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현실적인 실천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초연결기술은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는 소비자의 이기적, 이타적 동기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게 하였으며, 소비자가 자신의 에너지 사용량이나 실천을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알지 못했던 것들을 알 수 있게 해주고, 귀찮고 불편했던 실천 방식을 간편하게 만들어주었으며, 새로운 대안을 제공해주었다. 그 결과로 소비자들은 초연결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실천하기 어렵던 행동의 실천 빈도가 높아지거나, 동일한 노력 대비 실천의 효과가 증대되거나, 실천 의식이 크게 강화되거나, 다른 영역의 실천으로 확장된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연결기술을 활용하여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도록 장려하는 것이 소비자의 어려움과 불편을 줄이면서 실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소비자 친화적인 실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둘째, 초연결기술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지속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소비자에게 명확하게 차별화된 효용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소비자들은 하나의 어플로 여러 기기를 연결하여 한꺼번에 실천할 수 있거나 다른 소비자의 실천 현황을 알 수 있는 것처럼 초연결기술을 활용해야만 가능해지는 차별화된 효용이 있는 경우에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지속하였으며, 기존 방식과 차별점이 없다면 초연결기술을 활용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였다. 초연결기술을 활용하여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면서도 지속적으로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더욱 지속가능한지를 상대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은 초연결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환경과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지속가능소비에 도움이 되더라도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 않으면 지속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연결기술을 활용하여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는 것이 소비자 개인적 측면에서도 분명한 효용을 제공해야 하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것이 초연결기술을 활용하면 가능해져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소비자에게 설득력 있게 전달되어야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이 지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은 기술적 측면에서의 한계점으로 인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파악하고 개선하는 것이 요구된다. 소비자들은 초연결기술을 통해 지속가능소비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실천의 불편이 감소하였으며, 새로운 대안이 확장되어 실천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원하지 않는 정보가 제공되거나 제공되는 글씨의 크기가 적절하지 않아 가독성이 떨어지는 상황과 같이 기술의 발전이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경우에는 오히려 소비자의 불쾌감을 유발하여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중단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소비자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증가되어 오히려 의사결정의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하였으며, 업데이트로 인한 연결의 끊김이나 조작의 복잡성과 같이 오히려 실천이 불편해지는 경험을 하기도 하였다. 초연결 기기를 활용하는 실천 방식은 초연결 기기 생산에 드는 자원과 구입 비용, 사용과정에서의 전기 등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으며, 초연결기술을 통해 공유자원의 실시간 재고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공유자원의 관리상태를 기술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는 소비자의 의견도 있었다. 이와 같이 초연결기술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소비와 관련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기술을 활용한다는 특수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요구된다. 소비자가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소비 실천을 중단하는데 영향을 미친 기술적 한계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있어서 초연결기술의 활용은 개인화된 실천과 사회적인 실천을 모두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 결과 소비자마다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는 동기와 어려움에 차이가 있었으며,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신만의 기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기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보다 개인적으로 공유 이동수단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처럼 초연결기술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실천 대안이 늘어났고 이 가운데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는 소비자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있어서 소비자의 개인화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초연결기술을 활용하면 개인화된 실천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에 초연결기술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에 대한 정보 접근이 용이해지고, 지역 내 소비자간 거래와 이동이 활발해져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지속가능소비 실천이 활발해지기도 하였다. 나아가 초연결기술을 통해 소비자들끼리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실천 운동을 참여하는 등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대한 개인적 참여가 사회적 참여로 확대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주는 초연결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지금까지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제한적으로 다루어졌던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지속가능소비 실천이 촉진되고 확산될 수 있다. 다섯째,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과 기존 방식의 실천은 서로 보완적으로 사용되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 소비자들은 지속가능소비 실천 전반에 걸쳐 하나의 방식을 선호하여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천 내용에 따라 자신에게 어느 방식이 지속가능소비에 더 도움이 되는지에 따라 유동적으로 선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은 기존의 방식에서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방식으로 전환하기도 하였지만,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방식에서 기존의 방식으로 전환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전환의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측면에서 이전 방식의 문제점이 무엇이며, 다른 방식으로는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느냐에 관한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실천과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은 방식이 다를 뿐 궁극적인 목표는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하기 위함이며, 실천 방식의 변화에는 이전 방식으로의 실천으로 충족되지 못한 실천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비자의 실천 방식의 변화과정과 변화하는 이유를 파악하는 것을 통해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으로 지속가능소비 실천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소비자의 관점에서 지속가능소비 실천 동기를 촉진하고, 실천의 어려움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정책적 의의가 있다. 또한 초연결기술이 소비자의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초연결기술을 활용한 실천이 지속되기 위한 요인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기술의 활용 방향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연결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의 지속가능소비 실천이 어떻게 달라졌는지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소비 실천이 얼마나 달라졌는지 실증하는 정량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탐색된 변수들을 토대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소비자가 쉽고 편리하게 지속가능소비를 실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외적서비스에 대한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의 비교연구 : 이용빈도, 품질지각이 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서니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87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required for establishing a strategy of attracting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improving their satisfaction based on external service of education being provided by the universities as an alternative of crisis encountered by the universities of our country due to decrease of school-age population. Research questions being explained for research objective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general status in terms of using frequency of external service of education, quality perception, satisfaction, intention of recommendation between two groups including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using frequency, quality percep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based on demographic statistical variables of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Third, what are the variables affecting overall service satisfaction, service satisfaction by each area of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Fourth, what are the variables affecting intention of recommendation of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By performing an enquete for 15 days from September 9 to 23, 2015 by targeting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who are attending C national university located at Daejeon, total copies of questionnaire responded by 300 Korean students and 170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were used for an analysis. Statistic program being used for analyzing research questions was SPSS ver. 22.0 and as statistic techniqu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 percentage, average (mean) & SD,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non-parametri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Summary of research result being obtained through statistic analysis is as follows. In research question 1, overall using status of external education service of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was analyzed. It was revealed that both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frequently used computer/mobile, student welfare service among diversified external education service (academic support, student welfare, future design, administration, computer/mobile, exchange support, cultural activity) provided by the university and using frequency of future design and exchange support service was low. In particular, in case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using frequency of administration service was represent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is result, university authorities could provide university information efficiently through the area of which service using frequency of the students is high and maximize overall service improvement effect through service improvement of the area having high using frequency.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an area of which service using frequency is low, a method of increasing such using frequency is required to be devised through PR strengthening and service improvement for that area. In case of quality perception, it was revealed that both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had high quality perception for tangibility and reliability and quality perception for responsiveness and empathy that is lower than average. This implies that the students had high tangibility for appearance, latest equipment, data provision in terms of service quality provided by university and high reliability for service time, record, accurate provision but prompt, readily problem solution by prepared staffs with concern upon request of the students for assistance or provision of customized service by identifying concern and needs of the students fell short of expectation. On the other hand, quality factor in which difference of quality perception of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was most significant was represented as conviction and while conviction was represented to be the highest in overall quality perception in case of Korean students, low conviction for university service was represented in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due to linguistic communication problem. Therefore, by targeting students studying abroad, a strategy of improving conviction is required to be established. Finally, in case of satisfaction by each service area, it was represented to be high for both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in the order of computer/mobile service, academic support service and administration service but future design service was represented to be low. Satisfaction of Chinese students was represented to be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and comparing with Korean students, in case of Chinese student, in particular, while satisfaction for cultural activity was represented to be high, that of exchange support service was represented to be lower than other areas. Based on this result, a cause of service having low qualit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is required to be extensively clarified together with its improvement method and by emphasizing service factors having high quality perception (tangibility, reliability) and service area having high satisfaction, it could be utilized as PR strategy for attracting freshmen and image enhancement strategy for improving satisfaction of enrolled students. In research question 2, difference of using frequency, quality percep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based on demographic statistical variables was explored. In case of using frequency of Korean studen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presented in a certain service using frequency depending on each grade and in case of academic support, future design and administration service, using frequency of higher graders was represen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1st graders but in case of student welfare service, using frequency of 1st graders was oppositely higher than that of 2nd, 3rd graders. In addition, the more household economy being perceived subjectively was high, using frequency of future design and exchange support service of Korean students was represented to be increased. In case of Chinese students, a difference was represented in a certain service using frequency depending on residing pattern and using frequency for student welfare and computer/mobile service of the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y was represen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s who replied that they lead their life alone apart from their family.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Korean students, residing pattern affected just using frequency of student welfare service and using frequency of the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y was represent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s who replied that they live together with their parents or lead their life alone apart from their family. In case of quality perception, only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demographic statistical variables and in case of Korean students, 'reli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each grade and quality perception of 1st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3rd graders and in case of Chinese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presented depending on gender and quality perception for reliability factor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case of Korean students, the more subjectively perceived household economy was low, quality perception for 'responsiveness' was represented to be increased and in case of Chinese students, quality perception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case of satisfaction of Korean students, satisfaction of a certain service area was represented to show inter-group difference depending on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among general features and the more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satisfaction for academic support, administration service and exchange support service was represented to be high. This result is coincided with the contents of preceding study implying that in case of student with excellent academic achievement, as staying time in school is long, difference of understanding for school service may affect satisfaction difference (Nasser et al., 2008).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for external education service depending on demographic statistical variables. In research question 3, factors affecting using frequency, quality percep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were explored. When observing relationship between using frequency and satisfaction first, it was revealed that student welfare, administration service using frequency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 satisfaction for both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but as modified R2 value is very low level, other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than using frequency are required to be explored additionally. In a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or both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the more quality perception for conviction and tangibility among service quality were high,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for university service was represented to be high and besides, empathy in case of Korean students and responsiveness in case of Chinese student were represented to exert a positive effect on quality perception. It was also revealed that quality perception factor affecting significantly to Korean students was empathy and that affecting significantly to Chinese students was conviction factor. When observing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based on this result, it was revealed that in case of Korea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using frequency of cultural activity service and reliability and tangibility factor of quality affected general service satisfaction and in case of Chinese students, grade, using frequency of student welfare service and administration service and tangibility of quality perception affected general service satisfaction. When observing service satisfaction by each area, it showed difference with general service satisfaction. In case of Korean students, residing pattern (academic support, student welfare, future design, exchange support servic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support, future design, exchange support service satisfaction) affected service satisfaction of a certain area and in case of service using frequency, excepting two areas including academic support and administration service, the more service using frequency was increased, satisfaction was represented to be increased as well.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in case of quality perception, tangibility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service satisfaction excepting student welfare service and in case of student welfare and cultural activity, reliability for service provision and in case of administrative service, convic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additionally. In case of Chinese student, as grade is increased, satisfaction for student welfare, exchange support and cultural activity service was represented to be decreased and in case of excellent Korean language ability, satisfaction for academic support service and future design service was increased. In case of service using frequency, in other areas excepting cultural activity service, the more using frequency of relevant area was increased, a static effect on satisfaction by each area was represented. In case of quality perception, tangibility was represented to affect satisfaction of several areas (academic support, future design, administration, computer/mobile, exchange support, cultural activity) and in case of student welfare service, while tangibility was not significant, responsiveness was represented to exert a static effect on satisfaction. In particular, in case of administration service, it was not affected by demographic statistical variables and quality perception and only administration using frequency exerted a static effect on satisfaction and its explanatory power was represented to be high as 26.3%. In research question 4, factors affecting relationship of quality percep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observing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in case of Korean students, the more satisfaction for academic support, future design, cultural activity and administration service was increase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was represented to be increased and among these, influencing power of administration servic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and in case of Chinese students, satisfaction for administration service was represented to exert a positive (+) effect on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dditionally, as a result of confirming direct effect of using frequency and quality perception on intention of recommendation, quality perception, not using frequency,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of recommendation. Commonly for both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the more quality perception for conviction and tangibility was high, it exerted a static effect on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nd among these, influencing power of conviction was represented to be significant. In addition, in case of Korean student, while responsiveness was significant to intention of recommendation, in case of Chinese students, reliability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of recommendation. In other words, it could be realized that conviction and tangibility among quality perception were very important factors that exert a static effect on both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of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However, in quality perception status being observed previously, Korean students perceived conviction and tangibility more seriously than average quality perception but in case of Chinese students, as quality perception for conviction was represented to be low comparing with other quality perception factors, university authorities could improve satisfaction not only for overall university service but also for intention of recommendation together with improvement of quality perception by increasing perception level for conviction of Chinese students. As a result of observing factors affecting intention of recommendation based on this result, for both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only quality perception was represented to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of recommendation. Therefore, contrary to preceding study model reporting that existing quality perception affects satisfaction and then satisfaction affects intention of recommendation, it could be newly concluded that a direct effect of quality perception on intention of recommendation is very predominant.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우리나라 대학이 봉착한 위기의 대안으로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외적서비스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의 유치 및 만족향상을 위한 전략을 세우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기존 대학서비스 관련 연구들이 교육서비스, 혹은 교육외적서비스 중의 하위영역 일부만을 연구대상으로 행해져왔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외적서비스 전체 범위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교육외적서비스의 개념과 분류를 재정리하고,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네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에서는 교육외적서비스 이용빈도, 품질지각, 만족, 추천의도에 대한 일반적 현황을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 두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알아보았고, 연구문제2에서는 이용빈도, 품질지각, 만족,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문제3에서는 이용빈도, 품질지각, 만족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서비스전체만족과 영역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았고, 연구문제4에서는 품질지각, 만족,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의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았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2015년 9월 9일부터 23일까지 15일간 대전에 위치한 C 국립대학교에 재학중인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한국학생 300명, 중국유학생 170명이 응답한 설문지 총 47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scheffe검정, 비모수검정(Non-parametric test), 피어슨의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통계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에서는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의 전반적 교육외적서비스 이용현황을 분석하였다.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의 교육외적서비스 이용빈도, 품질지각, 만족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용빈도의 경우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 모두 대학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외적서비스(학술지원, 학생복지, 미래설계, 행정, 컴퓨터/모바일, 교류지원, 문화활동) 중 컴퓨터/모바일, 학생복지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며, 특히 중국유학생의 행정서비스 이용빈도가 한국학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품질지각의 경우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 모두 유형성과 신뢰성에 대한 품질지각이 높았으며, 대응성과 공감성에 관해서는 평균보다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의 품질지각의 차이가 가장 큰 품질요인은 확신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영역별 만족도의 경우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 모두 컴퓨터/모바일서비스, 학술지원서비스, 행정서비스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학생들의 만족도는 한국학생보다 전반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특히 중국유학생들은 한국학생의 비해 문화활동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높게 나타난 반면, 교류지원서비스에 대한 만족은 다른 영역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연구문제2에서는 인구통계변수에 따른 이용빈도, 품질지각, 만족, 추천의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용빈도의 경우 한국학생은 학년에 따라 학술지원, 학생복지, 미래설계, 행정, 컴퓨터/모바일 이용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가정경제수준에 따라 미래설계와 교류지원서비스 이용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적과 거주형태에 따라 학생복지서비스 이용빈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유학생은 거주형태에 따라 학생복지, 컴퓨터/모바일서비스에 대한 이용빈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 교류지원 이용빈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지각은 신뢰성과 대응성만이 인구통계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신뢰성’은 한국학생의 경우 학년에 따라, 중국유학생의 경우에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응성’은 한국학생의 경우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가정경제수준에 따라, 중국유학생의 경우에는 성별에 따라 품질지각의 차이가 나타났다. 만족도는 한국학생의 경우 성적에 따라 학술지원, 행정서비스, 교류지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에 차이가 있었으며, 학년에 따라 문화활동서비스 만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국유학생은 인구통계변수에 따라 만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3에서는 이용빈도, 품질지각, 만족의 관계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이용빈도와 만족의 관계를 살펴보면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 모두 학생복지, 행정서비스이용빈도가 학생만족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지각과 만족의 관계에서는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 모두 공통적으로 서비스품질 중 확신성과 유형성에 대한 품질지각이 높아질수록 대학서비스에 대한 학생의 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학생에게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품질지각요인은 공감성이며, 중국유학생의 경우에는 확신성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전반적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한국학생은 성적, 문화활동서비스 이용빈도, 품질에서는 신뢰성 요인과 유형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중국유학생은 학년과 학생복지서비스이용빈도, 행정서비스이용빈도, 품질지각 중 유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역별 서비스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전반적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4에서는 품질지각, 만족, 추천의도의 관계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만족과 추천의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한국학생은 학술지원, 미래설계, 문화활동, 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높아질수록 추천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가운에 행정서비스만족의 영향력이 크며, 중국유학생은 행정서비스만족이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지각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 공통적으로 확신성과 유형성에 대한 품질지각이 높을수록 추천의도에 정적인 영향이 있으며, 이 중 확신성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 모두 품질지각만이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 공통적으로 나타난 서비스이용현황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연구 결과,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외적서비스 중 컴퓨터/모바일, 학생복지서비스에 대한 이용빈도가 높으며, 미래설계, 교류지원서비스에 대한 이용빈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품질지각에서는 유형성과 신뢰성에 대한 품질지각이 높으며, 대응성과 공감성에 대해서는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는 컴퓨터/모바일서비스, 학술지원서비스, 행정서비스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서비스 이용빈도가 낮은 영역(미래설계, 교류지원)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용빈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세워야 하며, 서비스 이용빈도가 높은 영역(컴퓨터/모바일, 학생복지)에 대한 학생 소비자들의 요구도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에서 알리고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용빈도가 높은 영역의 서비스 개선을 통하여 전체 서비스 개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은 서비스 품질 면에서 학생이 도움을 요청하였을 때 준비되어 있는 직원이 관심을 가지고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해주고, 학생의 관심사와 니즈를 파악하여 맞춤 서비스를 제공 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으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응성과 공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의 개선이 시급하며, 직원들의 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체계적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서비스품질지각과 만족이 낮은 하위 요소에 대한 적극적인 원인규명과 개선이 필요하며, 품질지각이 높은 서비스요인(유형성, 신뢰성)과 만족이 높은 서비스 영역(컴퓨터/모바일, 학술지원, 행정서비스)를 강조하여 신입생 유치시 홍보 전략과 재학생 만족향상을 위한 이미지 제고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의 서비스 이용빈도 및 품질지각,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유학생은 한국학생에 비해 행정서비스 이용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으며, 품질지각에서는 확신성에 대한 품질지각의 차이가 크고, 만족에서는 문화활동서비스 만족이 높으며, 교류지원서비스 만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유학생의 경우 유학절차와 관련하여 행정서비스를 이용하는 빈도가 한국학생에 비해 많으며, 언어소통 등의 문제로 인하여 대학서비스에 대한 확신성이 낮게 지각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한국대학에서 제공하는 문화활동 서비스에 대해 높은 만족을 보이며 동아리활동과 멘토링 등 교류지원서비스에 대한 확대지원과 세심한 배려가 필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의 서비스 이용현황의 차이가 큰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 기존 대학기관은 한국학생에 초점을 맞추어 대학서비스를 제공해왔으나, 향후 지속적으로 유학생을 유치하고, 재학중인 유학생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의 서비스 이용현황에 차이가 존재함을 인식하고 두 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서비스 이용빈도와 품질지각은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학생은 공감성에 대한 품질지각이 만족에 정적을 영향을 미쳤으나 중국유학생은 그렇지 않았으며, 반면 대응성에 대한 품질지각은 중국유학생의 만족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한국학생의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학생만족의 향상을 위해서 단순히 서비스에 대한 이용빈도를 향상시키고 품질개선을 할 것이 아니라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하위 서비스 영역의 이용빈도, 품질 지각 요인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만족을 향상시킬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반적 만족과 서비스 영역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지각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각 서비스 제공 부서별로 우선시 되어야하는 서비스품질의 요인이 달라야 할 것이며, 서비스 만족을 측정함에 있어서도 신중해야 할 것이다. 넷째, 품질지각과 만족이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한국학생과 중국유학생 모두 품질지각만이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에 품질지각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만족이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연구모형과 달리 품질지각이 추천의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매우 지배적임을 확인하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자기애적 상처를 지닌 아버지와 딸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박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863

        국문 초록 자기애적 상처를 지닌 아버지와 딸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박서현 지도교수 김명찬 본 연구는 자기애적 상처를 지닌 아버지에 대한 이해와 그 아래 성장한 딸은 어떤 경험을 하게 되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일련의 경험이 자신의 존재를 지각하는데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아보며, 좀 더 다양한 관점으로 자신과 타인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나’의 경험을 주로 기록한 일기 자료와 경험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여 자문화기술지의 연구 방법을 통해 면밀하게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과의 인터뷰, 자문화기술지를 연구하는 교수 1인, 석사과정 동료 1인의 피드백을 통해 신뢰도를 높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부모 자녀 관계, 부모 양육 태도, 자기애적 상처, 자기심리학의 내용을 이론적 배경으로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초등학교 일기자료, 가족과의 인터뷰 자료, 지도교수와의 면담 자료를 중심으로 장기코딩하고 분석하여 ‘아버지를 무서워하기만 했던 나’, ‘무기력했던 나’,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게 된 나’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자기애적 상처에 대한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상처를 지닌 부모의 양육 태도 아래 성장하게 되는 자녀의 정서적 상황을 개인의 경험을 통해 서술하여 이와 비슷한 자녀들이 겪고 있을 어려움을 회복하고 주체적인 자신의 삶을 살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자문화기술지, 자기애적 상처, 자아존중감, 부모 양육 태도 Abstract An autoethnography about the experiences of a father and daughter with narcissism wounds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je University Park, Soehyun Major Advisor : Kim, Myeungcha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a father with narcissistic injuries and what the daughter experienced, who was raised by the fa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a series of experiences regarding perceiving one's existence; to be able to look at oneself and others from more diverse sights of view. This study focused on data obtained from a diary that primarily recorded the experiences of “I” and experiences. Such data wer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ethnography method. Reliability was raised by interviewing with family members, receiving feedbacks from one professor who studies autoethnography, and one fellow master’s candidate student.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parenting attitude, narcissistic injuries, and self-psycholog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results part, diary data written in daughter’s elementary school days, interview data with family members, and interview data with advisors were analyzed through long-term coding. The data were categorized in those categories: “I, Who Was Just Afraid of My Father,” “Helpless Myself,” “Me, looked at the different ang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esented and discussed. Grounded on the research data on narcissistic injuries, this study described the emotional situation of children who grew up under the parents with injuries got by personal experienc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children, who are going through a similar situation, can recover from difficulties and live their own lives. Keywords: Autoethnography, Narcissistic Injury, Self-Esteem, Parenting Attitude

      • 학교폭력 예방 및 사후관리제도 개선에 관한 법적 연구

        박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863

        국문초록 학교폭력 예방 및 사후관리제도 개선에 관한 법적 연구 국제법무학과 박서현 지도교수 권한용 김동헌 본 연구는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 및 사후관리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현행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법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제도의 문제점은 사전예방정책과 사후 대처 및 관리방식의 문제점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학교폭력 취약계층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이들에 대한 보호 문제와 연계하였다. 구체적 관점에서 문제점은 학교폭력의 개념 및 범위 정립 측면, 학교폭력 취약계층에 대한 법적 보호 측면, 학교폭력에 대한 사후 대처 및 관리방식의 측면으로 나누어 제기한 결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교폭력의 개념 및 범위 정립에 관한 문제는 행위의 결과에 따른 유형과 행위대상의 관점에서 제기하여 학교폭력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로 연결하였다. 둘째, 학교폭력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 문제는 다문화가정 학생과 미혼모·한부모가정 학생의 취약한 환경으로 인한 피해위험 노출과 그에 대한 법적 보호 강화 방안을 제기하였다. 이들이 학교폭력의 표적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학교폭력예방법에 학교폭력 취약계층의 개념을 신설하고 예방교육이나 사후관리 측면의 피해구제절차에서도 특별한 배려를 받을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가족사회자본의 긍정적 형성을 위한 지원과 한부모가족법에 의한 회복적·대안적 지원을 내용으로 한다. 셋째, 학교폭력에 대한 사후 대처 및 관리방식의 측면에서는 학교폭력대책위원회 및 심의위원회의 운영·구조와 분쟁조정권한 및 방식의 문제를 제기하여 학교폭력대책위원회 및 심의위원회의 운영, 분쟁조정권한 및 방식, 피해회복조치의 실효성, 소년법과 범죄피해자보호법상 사후관리방안으로 연결하였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과 법적 개선방안을 종합하여 입법적으로 학교폭력예방법, 소년법, 범죄피해자보호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학교폭력예방법은 우선 학교폭력 취약계층 개념을 신설하여야 한다. 따돌림 등을 포함한 학교폭력에 있어서 취약한 병약한 학생, 장애인, 다문화가정, 한부모가정, 탈북가정 학생 등을 대상으로 특별한 보호를 할 수 있도록 학교폭력예방법에 명시하여 제도화하면 학교폭력의 표적이 되기 쉬운 이들에 대한 보호가 한층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피해학생 보호를 위한 지원 규정과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제도 및 운영에 대한 개선 그리고 회복적 정의 프로그램의 구체화가 필요하다. 소년법과 범죄피해자보호법은 학교폭력예방법을 제도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따라서 청소년 인권보장이라는 소년법의 이념과 목표에 부합된 소년사법체계의 정착을 위해서는 소년사건을 전문으로 하는 소년전문법원을 설치하여 학교폭력사건에 대한 전문성 있는 사법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범죄피해자보호법은 학교폭력이 범죄행위 수준으로 심각하고 피해가 클 경우에는 현재의 학교공제회에서의 급여만으로 충분하지 못할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지원이 명시되어야 한다. 주요어 : 학교폭력, 학교폭력예방법, 따돌림, 괴롭힘, 가해학생, 피해학생, 회복적 정의, 다문화가정, 한부모가정, 취약계층

      •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진로개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서 경성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847

        Doctoral Dissertation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s of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Park, Seo-Jung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 Joo, Yong-Koo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experience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with the normal category of intelligence and autistic feature, and short of social relationship ability did in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and what the structure of experience wa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total 12 persons: 6 adolescents (3 high school boys and 3 college students) and 6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mothers as research assistant participant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covered from Dec., 2013 through May, 2014 for six months. This study was to apply the method of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in the judgment that the exploratory work should be done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that had experienced. The in-depth interview was mainly used as data collection method, but this researcher referred to the text I committed idea or feeling, family photograph, diary, Kakao Talk, and e-mail, etc.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the matter in context. The number of interviews by study participants was continued from two times through five times variously, collected until there arose no new materials from the participants to collect sufficient data. The interview time at a time took average one hour and thirty minutes and two hours. The analysis process is consisted of four concrete stages that should follow the 'scientific phenomenology' that Giorgi suggested as follows. In the 'whole recognition' stage as the first stage, this researcher was to grasp the whole contents while read the contents transcrib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statement several times. In the second stage,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semantic unit' in the part of judgment on the meaning convers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meaning conversion related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In this way, this study was to deduct the semantic unit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third stage, this researcher tried to convert the semantic unit in order to be proper to the academic terms by using the researcher's free variation method. At the second stage, this study was to use the 'free variation method' in order to deduct the component from the semantic units described with the academic terms, and to find out the 'general structure' of experience includ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components, that is the meaning of experience. Through such analysis process, this study was to deduct final 1017 semantic units and use final 508 semantic units to analyze them. It was divided into 8 categories for the final components, summarized into 153 semantic units and then bound with 27 sub-components. To raise the validity of analysis, this researcher tried to raise consistency of research through the modification work of thematic classification, evaluated from 3 Ph. Ds in education and 1 Ph. D in social welfare. From the research findings, the essential meaning of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that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recognize and the structure of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may be summed up as follows. In general, the career development is a process of entire change and development in life as the whole life process form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 Therefore, adolescents without disabilities have developed their career naturally at an opportune time suited for the developmental stage. On the other hand, adolescents with Asperger's disorder had understanding of their career development as a self-growth on the basis of their self-knowledge and strengths, and the process of going to prepare the work and independent living while overcoming the anxiety and anger associated with discrimination and difficulty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society. The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have many difficulties in the career development due to the ineptitude at social interaction. They have a normal range of intelligences and special talents, but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is not easy to them because of the shortage of sociality. Although they, no matter how great talents they have, go through many difficulties in our society in which does not concede the difference. When they act and talk, thinking outside the box, it is up to them to endure and suffer the peripheral response. Contrary to the adolescents without disabilities who have developed their career at the developmental stage properly,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were affected by many parts like the individual peculiar disposition, personality, and external environment, etc. It differs from the learning contents that have to be learned in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compared with that of adolesc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things like the thoughtfulness for others, behavior method, and the method of response are extremely hard tasks to the general non-disabled adolescents. The schools or community agencies do not educate the adaptation for daily life and understanding others, and adaptation for social life separately proper to the Asperger's adolescents only. Therefore,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have to suffer from the double torture of ability development and socializ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talent and capacity. Their advantages are that they win the confidence of people around them because they are harmless, innocent, busy, and frank. The parents' support and interest, their own efforts, good perception of environment around them, and social support and mentors' help as cooperators are very important factors of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their disadvantages are the shortage of understanding their surroundings, difficulties in the anger control, and shortage of empathy for others, etc. In addition, the bullying would lead to the school maladjustment in school age because of late trouble shooting and difficulties in the personal relations. The sensibility of individual sensor, anxiety and depression, social phobia, and thinking of impulsive suicide were obstacles to the career development. The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could be the entire experience of growth process, that is, problems arose from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internal conflic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around them. The pleasure to be immersed in one theme showed in process of their career development, achievement by the others' recognition, internal dispute that they did not experience the sudden approaching situations properly, difficulties in the persona relations, and anxiety to reduce mistakes, and difficulties in the anger control, etc. were essential meanings of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as they said. The structure of Asperger's adolescent career development may be divided into four sides as follows. First, as to the party factor among the factors which affected Asperger's adolescent career development, they concentrated and are immersed in the sensitiveness of sensor, clear head, and special concerned matters well.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understand the social clues, and they talked and acted a little senseless. Furthermore,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control their feelings like the anger, anxiety, and fear, etc., and slowed in their movements. If their thoughts and demands were not accepted when they lived in their schools and homes, they had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their feelings frankly like the distraction, impulse, attack, and hyperactivity as well as the uneasiness and obsession. The skill shortage of such sociality made the relationship difficult, and they felt the sense of isolation and felt left out alone because they were not adapted to the situation to share. Although the others told them their own defects, there was a little attitude to accept. Even though they pretended to accept it in front of people, they did not change their mind when there was similar situation in other places. Furthermore, they acted in the same way as the action above, and they were seen that they would not accept the demands by the others and the surroundings. Second, as to the barrier factors and advantage factors, the advantage factors become background of gaining confidence because they were busy and frank. And, they had unusual talents with the special interest like the mathematical talent, musical talent, capacity of memorizing words, and cube, etc. They considered as such talents made them have good recognition to the people around them.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human relationship problems arose as barrier factors because of the problems in the anger adjustment by the late trouble shooting, and it appeared the school maladjustment, anxiety, and social phobia, etc.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 sensibility of individual sensor. There were participants who felt their situation dismal by their speech and thoughts with the death wish, and who looked upon life as a positive experience. Third, in case of successful career development from the result of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they tried to develop their own abilities while they paid attention to their advantages and studied the relevant field. To become a computer expert, they studied or corrected their shortcomings, and they had habits of taking notes everyday in order to reduce their mistakes, and prepared while reading books in order to challenge to be writers. In case of dark school life because of the bullying by their friends, the career development was hard and difficult, so they suffered distress. They attempted suicide and often thought about death because of the negative self-recognition. They acted like the adephagia and addiction in computer games. They stammered in the presence of others, lost the thread of the story, and faced others with an anxious look. Fourth, taking a look at the direction of supporting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 it required the books related to the career for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as well as the teacher education to understand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It needs to help their career by making the database related to the career and employment for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Furthermore, it needed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Asperger's disorder and to connect and establish the facility of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related organization for the social secession prevention. The direction of supporting the career development is a factor of affecting the career development directly, so if the support will be done without problem, it could be useful to a generous portion of Asperger's adolescent career development. The implications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could know that it required the necessity of change of recognition they were general adolescents like the non-disabled as well as the necessity of experts who could teach them through the social interest. Second, i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for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it requires the method of connecting their advantages and special matter of interest, and the career. Third, it needs to provide opportunity to stand as a member of society and workers as the people around them understood and encouraged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frustration, emotional confusion, and distress. In particular, this researcher considers as it requires the continuing support for the experience in the work field and adaptation to the social change. Furthermore, it is urgently needed to introduce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Asperger's disorder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지능은 정상범주에 있으나 자폐성향이 있고 사회적 관계능력이 부족한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이 진로 개발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경험의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총 12명으로 청소년 6명(고등학생 남자 3명, 대학생 3명)과 연구 보조 참여자로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모 6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3년 12월부터 2014년 5월까지 6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방법은 경험한 것을 있는 그대로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는 탐색적 작업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판단으로 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심층면담을 주로 사용하였지만 연구 참여자의 처한 상황과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생각이나 느낌을 적어놓은 글이나 가족사진, 일기, 카톡, 메일 등을 참고하였다. 자료의 충분함을 위해 참여자들로부터 더 이상 새로운 자료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수집하였는데 연구 참여자 별로 진행된 면담 횟수는 2회에서 5회까지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1회 면담 시간은 평균 1시간 30분에서 2시간이 소요되었다. 자료 분석 과정은 Giorgi가 제시한 ‘과학적 현상학’에 따라야 하는 4가지의 구체적 단계에 의거하여 이루어졌다. 분석의 첫 단계인 ‘전체인식’단계에서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이 필사된 내용을 여러 차례 읽으며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진로 개발 경험과 관련하여 교육학적 관점에서 의미전환이 일어난다고 판단되는 부분에서 ‘의미단위’를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서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자의 자유변경법을 사용하여 학문적 용어에 적합하도록 의미단위를 전환하려고 노력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학문적 용어로 기술된 의미단위들로부터 구성요소를 도출해내고 구성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포함하고 있는 경험의 ‘일반적 구조’, 즉 경험의 의미를 찾기 위해 자유변경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1017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고, 최종 508개의 의미단위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것을 153개의 의미단위로 요약하고, 다시 하위구성요소는 27개로 묶은 뒤 최종 구성요소 8개의 범주로 나누었다. 분석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교육학 전공 박사 3명과 사회복지학 박사 1명으로부터 평가받아 주제 범주화에 대한 수정 작업을 거쳐 연구의 일관성을 높이려고 노력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이 인식하는 진로개발 경험의 본질적 의미와 진로개발 경험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장애 청소년들에게는 진로개발이란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전 생애적 과정으로 전반적인 삶의 변화와 발달의 과정으로 제시되고 있다. 한편,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은 진로개발의 본질적 의미를 사회에서 타인과의 소통의 어려움과 차별에 따른 불안과 분노를 극복하면서 자기이해와 강점을 바탕으로 자아성장을 이루고 자립적 삶과 직업을 준비해 나가는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비장애 청소년은 발달 단계에 맞는 적절한 시기에 자연스럽게 진로개발을 해 나가지만 그에 반하여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으로 진로 개발에 많은 어려움을 갖는다. 정상 범주의 지능과 재능을 가졌으나 사회성 부족으로 진로 개발과정이 쉽지 않다. 이들이 가진 재능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다름을 자연스럽게 인정하지 않는 우리 사회에서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일반적인 사고 틀에서 벗어난 행동이나 말을 할 때 주변에서 나타내는 반응을 감당하고 겪어내야 하는 부분들은 이들의 몫이다. 발달 단계에 적절하게 진로개발을 해나가는 비장애 청소년들과는 달리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은 개인의 특이한 성향이나, 성격, 외부환경 등 많은 부분에 영향을 받는다. 비장애 청소년들과 차이점은 진로 개발과정에서 익혀야 할 학습내용이 다르다는 점이다. 타인에 대한 이해와 행동방법, 응대방법 등 비장애 청소년은 쉽게 학습되는 일이 이들에게는 너무 어려운 과제이다.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들에게만 적합한 일상생활 적응과 타인이해, 사회생활 적응을 위한 교육을 학교나 지역 사회의 기관에서 따로 해 주지 않는다. 그래서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들은 스스로가 개인의 재능과 역량에 알맞게 능력을 개발하는 부분과 사회화되어야하는 이중고를 겪는다. 악의가 없으며, 순수하고, 부지런하고, 솔직하여 주변사람들의 신뢰를 받는 부분들은 이들이 가진 장점이다. 부모님의 지지와 관심, 자신의 노력, 주변의 좋은 인식, 사회적 지지와 협력자인 멘토들의 도움은 이들이 성장 발전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주변상황에 대한 이해 부족, 분노조절의 어려움, 타인 공감능력의 부족 등은 이들이 가진 단점이다. 더하여 늦은 장애발견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으로 왕따를 당하는 것은 학령기의 학교 부적응으로 이어진다. 개인이 가진 감각의 예민성, 불안과 우울, 대인기피증, 충동적인 자살 생각하기 등은 진로 개발의 걸림돌이었다. 또한 이들의 진로개발 과정에서 보여지는 한 가지 주제에 몰입하는 즐거움, 타인의 인정으로 인한 성취감, 갑자기 닥쳐오는 상황들을 적절하게 수습하지 못해서 경험하는 내부적 갈등, 대인관계의 힘듦, 실수를 줄이기 위한 불안감, 분노조절의 어려움 등이 진로개발 경험에 포함되고 있다. 아스퍼거 청소년 진로 개발의 구조를 4가지 측면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스퍼거 청소년의 진로개발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서 당사자요인은 감각의 민감성, 명석한 두뇌, 특이한 관심거리에 집중과 몰입을 잘 하였고, 사회적 단서 이해가 어렵고, 눈치 없이 행동하고 말하기를 하였으며, 분노, 불안, 두려움 등 감정조절이 어렵고, 운동신경이 둔하였다. 학교나 집에서 이들의 생각이나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때는 불안증, 강박증과 함께 산만, 충동, 공격, 과잉행동 등 자신의 감정을 여과 없이 들어내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이런 사회성 기술 부족이 관계를 어렵게 만들기도 하고 함께 해야 할 상황에 수용되지 못하고 혼자 겉돌아 고립감을 느끼기도 했다. 자신의 결점을 타인이 이야기를 해줘도 수용하는 자세가 미흡하였다. 설사 사람들 앞에서는 수용하는 척 하더라도 다른 곳에서 비슷한 상황이 벌어지면 결코 바꿔서 행동하지 않고 앞에서의 행동과 똑같이 행동하는 것은 이들이 타인의 요구와 주변의 상황을 수용하지 않으려는 모습으로 보인다. 둘째, 장애요인과 강점 요인들을 살펴보면 강점요인은 부지런하고 솔직하여 신뢰를 얻는 바탕이 되기도 하였고 남 다른 재능은 수학 재능, 음악적 재능, 단어 암기능력, 큐브 등 특별히 관심 갖는 부분들로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들은 이런 능력이 주변사람에게 좋은 인식을 갖게 만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장애요인으로는 늦은 장애발견과 분노조절의 문제로 인간관계 문제가 유발되었고 학교 부적응, 불안, 대인기피증 등이 나타났다. 개인이 가진 감각의 예민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죽고 싶다는 말과 생각을 하면서 자신의 상황을 암울하게 느끼는 참여자도 있기도 하였지만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바라보려는 소수의 참여자도 있었다. 셋째, 진로개발경험 결과에서 성공적으로 진로개발을 해 나가는 경우는 자신의 강점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이고 관련공부를 하며 자신의 역량을 키워가려는 노력을 하였다. 이들은 컴퓨터 전문가가 되기 위해 공부를 하거나, 단점을 고치고 실수를 줄이려고 매일 메모하며 생활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고, 작가에 도전하기 위해 책을 읽으며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들은 친구들의 왕따로 어둡게 학교생활을 하는 경우는 진로개발이 힘들고 어려워 고통을 겪기도 하였으며 부정적 자기 인식으로 자살시도를 하거나 죽음에 대한 생각을 자주하였다. 폭식증, 컴퓨터 게임중독과 같은 행동을 하기도 하였고 사람들 앞에서 말을 더듬고 이야기의 흐름을 놓치거나 불안정한 표정으로 사람을 대하였다. 넷째,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 진로개발 지원방향을 살펴보면,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을 위한 진로관련 서적이 필요하고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 이해를 위한 교사 교육이 필요하였다.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진로 및 취업관련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진로에 도움을 줄 필요성이 있고 아스퍼거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이 요구되었다. 사회 이탈방지를 위한 도제식 교육시설과 관련기관 연계 및 설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들에게 사회 전반적인 관심을 통해 그들을 교육할 수 있는 전문가의 필요성과 함께 그들도 비장애인과 같은 일반 청소년이라는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진로 탐색 과정에서 이들의 장점과 특별한 관심사를 진로와 연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들이 느끼는 좌절과 정서적 혼란, 고충들을 주변의 사람들이 이해하고 격려하여 사회의 한 구성원이자 직업인으로 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특히, 직업 현장의 체험과 사회 변화 적응을 위한 지속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또한,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프로그램의 도입이 절실히 필요하다.

      • 호텔관광산업의 직업결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서 세종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847

        호텔관광산업의 직업결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산업은 다른 산업보다 인적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호텔관광기업에서 고객과 직원간의 상호작용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원의 태도와 행동은 고객만족이나 고객 충성도에 직결되는 서비스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호텔관광 종사원들의 서비스 태도와 행동에 따라 매출은 물론 고객만족, 고객 충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호텔관관기업들의 인적자원은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 호텔관광산업의 인력인 호텔관광산업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탐색하고,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들이 직업을 선택하는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고찰을 통해 호텔관광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적자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 제시에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호텔관광산업의 직업에 관심이 있는 서울, 경기, 충청지역의 2년제, 4년제 대학의 호텔관광경영학과 학생들을 설문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조사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실시하였다. 배포된 총 430부의 설문지 중 총 403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유효표본 302부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과학분석에 널리 쓰이는 SPSS18.0과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구조모형분석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인턴십 경험 여부와 학교의 유형의 차이가 직업결정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호텔관광산업의 이미지가 직업을 결정하고자 하는 직업 결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에 대한 태도 즉 자신이 호텔관광산업의 직업을 결정하는 것에 대한 자신의 태도가 직업 결정의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신의 주변사람(친구나 가족 등)의 의견은 자신이 직업결정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이 인지한 호텔관광산업의 직업을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행동이나 능력들은 직업 결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과 관련된 부수적인 이익이나 직업의 환경요인들은 직업을 결정하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인턴십의 경험 유무와 학교 유형(2년제, 4년제)에 따라 호텔관광산업의 직업결정요인과 직업결정의도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미치는지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제시할 수 있는 추가분석이 요구되어진다고 판단되었고, 분석결과 측정동일성 차원에서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측정동일성이 충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인턴십 경험 여부가 직업결정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인턴경험의 유무에 따른 직업선택속성의 편차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인턴경험의 유무에 따라 호텔관광산업을 통한 자아실현의 가능성을 다르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턴십 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경우, 호텔관광산업이 개인의 자아실현 가능성에 상대적으로 낮은 기대를 하고 있지만, 인턴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기대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턴경험의 유무에 따라 호텔관광분야의 직업선택에 대한 개인의 태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유형에 따른 직업선택속성의 편차를 검증한 결과, 호텔관광산업에 대한 4년제 대학의 학생의 이미지가 2년제 대학 학생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차원에서 누릴 수 있는 여행 및 할인과 같은 다양한 혜택에 있어서도 4년제 대학 학생들과 2년제 대학 학생들 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행동에 대한 태도와 인지된 행동통제 항목에 있어서 4년제 대학 학생들과 2년제 대학 학생들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4년제 대학 학생들이 직업탐색을 하는 데 있어서 보다 계획적이고 합리적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청각장애 중학교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분석 : 구화 중심의 국어과 수업 사례

        박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847

        본 연구의 목적은 구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 중학교 국어 수업에서 교사들이 사용하는 발문 유형과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유형 및 의사소통 방법을 알아봄으로써 효율적인 교수 ․ 학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청각장애 학교 수업평가의 개선방법을 공유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구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 중학교의 국어수업에서 교사의 발문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구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 중학교의 국어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셋째, 구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 중학교의 국어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하기 위하여 구어 발문 외에 어떠한 의사소통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구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중학교 1학년과 3학년의 국어 수업으로 각 학년은 각기 다른 교사가 지도하고 있으며 중학교 1학년은 2명, 3학년은 5명의 학생이다. 교사의 발문 유형 분석 도구는 Gallagher & Aschner(1965)가 분류한 4개의 질문유형을 토대로 Blosser(1973)가 범주화 한 것을 조부경 외 2명(1996)이 재범주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교사와 학생의 수업중 상호작용 유형은 Hyman의 수업 중 질의응답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교사가 수업 중 학생들과상호작용 시 의사소통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13가지로 범주화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 수업 녹화자료를 교사와 학생의 말과 손짓, 수화, 몸짓, 표정등 모든 것을 전사하였다. 전사한 자료를 각각의 분석도구에 따른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여 빈도와 비율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구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 중학교의 국어 수업에서 교사의 발문 유형을 알아본 결과 인지․기억적 발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구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 중학교의 국어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유형은 Hyman이 제시한 여섯 가지 질의응답 유형 중 “요청 → 응답 → 반응”의 구조가 가장 많았으며 교사의 “요청” 행동 빈도가 매우 높았다. 셋째, 구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 중학교의 국어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나는 의사소통 방법으로는 구화와 손짓의 결합형태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는 구화만으로 의사소통하기, 구화와 문자의 결합형태가 많이 나타났다. 그 외에도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화와 함께 표정, 몸짓, 수화, 그림 등의 단서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박서 국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847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7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4.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인식명확성, 대인관계 만족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정서인식명확성, 대인관계 만족도와 각각 부적 상관을 가졌고, 정서인식명확성은 대인관계 만족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이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인식명확성,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상담 장면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으로 인해 대인관계의 곤란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담자들을 이해하고, 내담자들을 도울 수 있는 정서인식명확성을 활용한 개입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verify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73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internalized shame, emotional clarity,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ternalized sham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respectively, and emotional clari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emotional clarity partially mediate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emotional clarity,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seeking interventions using emotional clarity that can help client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중의적 문장 이해에서 나타나는 노년층의 어휘 및 통사 처리과정

        박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847

        본 연구는 청년층과 노년층을 대상으로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어휘 중의성과 통사 중의성을 해소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노화에 따른 문장이해력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대 성인(평균 연령 25.15) 40명과 65세 이상 성인(평균 연령 71.38) 40명으로 총 80명이다. 모든 대상자는 언어, 인지, 정서적으로 정상 범위에 해당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과제는 어휘 중의성을 포함한 문장이해과제와 통사 중의성을 포함한 문장이해과제로 구성되었다. 어휘 중의성 문장이해과제는 맥락에 따라 편향된 동음이의어가 포함된 문장을 읽고 의미가 적절한지 판단하는 과제(plausibility judgement task)이다. 통사 중의성 문장이해과제는 일시적인 중의문장과 완전 중의문장을 자기조절 읽기방식으로 읽게 하고 영역별 읽기시간과 전체문장 읽기시간을 측정하였다. 문장이해과제 실시 후 모든 대상자는 숫자폭검사, 단어폭검사, 읽기폭검사 그리고 억제검사를 수행하였다. 어휘 중의성 문장이해과제의 의미적절성 판단 정확도와 반응시간에서 맥락조건(우세의미맥락, 열세의미맥락)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통사 중의성 문장이해과제의 영역별 읽기시간과 전체문장 읽기시간에서 문장조건(명사구1 편향문장, 명사구2 편향문장, 완전 중의문장)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작업기억력 및 억제능력과 문장이해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적률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휘 중의성이 포함된 문장의 의미적절성 판단 정확도는 청년층과 노년층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반응시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두 집단 모두 열세의미 편향맥락에서 중의적 어휘를 처리하는 것이 우세 맥락에서보다 훨씬 어려웠으나 이러한 효과가 노년층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층이 어휘 지식은 보존되고 있지만 문장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어휘 처리과정이 저하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노년층은 어휘의 빈도 지식과 맥락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조건에서 어휘를 처리하는데 더욱 취약하였다. 통사 중의성 과제에서 문장이해과정에서 구문분석을 할 때 초기 단계에서부터 의미 정보가 활용되는 통사처리 방식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노년층의 영역별 읽기시간과 전체문장 읽기시간이 길었다. 이는 노년층이 의미가 편향된 관계절을 두 개의 명사구 중 어떤 것에 부착할지 결정하는 통사 처리능력에서 청년층보다 저하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청년층은 명사구1 편향문장과 명사구2 편향문장 간에 읽기시간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으나 노년층은 차이가 없었다. 이는 노년층이 저하된 문장처리능력을 보완하고자 처리 부담이 큰 문장이든 적은 문장이든 문장조건에 관계없이 모든 문장에 주의를 기울이고 신중하게 처리하는 보상전략을 사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노년층은 문장 마지막의 서술어 영역 읽기시간이 길게 나타나는 sentence wrap-up effect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노년층의 어휘 중의성 문장이해력은 읽기폭검사, 단어 바로 따라하기,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 억제검사의 점수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통사 중의성 문장이해력은 숫자 바로 따라하기,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 읽기폭검사의 점수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노년층의 문장이해력의 변화가 작업기억과 억제와 같은 인지적 처리 자원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년층은 중의성이 포함된 문장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어휘 처리과정과 통사 처리과정이 모두 저하되었으며 중의성 해소와 같이 처리 부담이 발생하여 인지적 처리 자원을 재분배해야 하는 과제에서 인지적 처리 자원의 감소를 보완하고 정확도를 높이고자 청년층과는 다른 문장처리특성을 보였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ging on sentence comprehension by examining the process of resolving lexical and syntactic ambiguity. A total of eighty individuals(Young=40, Elderly=40) participated in the study. Mean age for young and elderly adults was 25.15 and 71.38, respectively. All participants spoke Korean and passed pretests of MMSE, STAND, and PHQ-9. The experime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sentence comprehension tasks containing of lexical ambiguity and syntactic ambiguity. In the lexical ambiguity task, participants were asked to judge the semantic plausibility of the lexically ambiguous sentences. In the syntactic ambiguity task, we identified whether subjects resolve the syntactic ambiguity of temporally ambiguous sentences and globally ambiguous sentences. In temporally ambiguous sentences, a relative clause could be attached high to the first noun phrase or attached low to the second noun phrase. In globally ambiguous sentences, high and low attachments were equally plausible. After sentence comprehension tasks,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digit span task, the word span task, the reading span task, and the Stroop task to assess working memory and inhibitory ability. In the lexical ambiguity task, accuracy and reaction time of semantic plausibility judgement were analyzed in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four sentence conditions. In the syntactic ambiguity task, accuracy of sentence comprehension and reading time of target regions were analyzed in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three sentence conditions.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bilities(working memory and inhibition) and sentence comprehens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between groups though the elderly adults responded slowly in resolving the lexical ambiguity. For two groups, the processing of plausible sentence including a homonym in a dominant-biasing context was the easiest among four sentence conditions. However, both groups experienced processing difficulties when reading biased homonyms preceded by subordinate-biasing contexts, this phenomenon was more pronounced for elderly adults than young adults. Although word knowledge of multiple senses of homonyms was preserved, but lexical processing of ambiguous sentences was impaired in elderly adults. The elderly adults’ reading times were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young adults in resolving the syntactic ambiguity. In addition, elderly adults were slower on both high and low attached sentences, whereas young adults were slower on high attached sentence. This implies that elderly adults may attempt to process all types of sentences very cautiously and conservatively to compensate their reduced cognitive resources. Also the effect of sentence wrap-up in reading times on final word was found in elderly adults. Lastly,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resources(working memory, inhibition) and sentence comprehension.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fact that age-related changes in lexical and syntactic processing during ambiguous sentence comprehension. Critically, elderly adults were less efficient at allocating processing resources to help obtain an appropriate interpretation in task with greater processing load such as ambiguity resolution. Overall, cognitive resources such as working memory and inhibition may play a role in sentence comprehe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