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의 인식과 발전방향

        안유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교육대학원 2급 양성과정의 발전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문 상담교사 8명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Braun과 Clarke의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2개의 영역에 따른 14개 의 하위범주와 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이 전문상담교사로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담교사로서의 역량 강화’,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 증진’에 도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실무 역량에 대한 교육 부족’, ‘다양한 역할에 대한 교육 부족’, ‘실습 교육 체계의 미비’로 인해 도움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대학원 2급 양성과정이 전문상담교사로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의 실습체계의 보완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였으며, 전문상담교사에게 교육해 야 하는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전문상담교사들에게 교육해야 할 구체적인 실무역량에 대해 심층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 second-level training course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 counselors on the second-level training course for professional counselor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professional counselors to analyze the data through the method of Braun and Clarke's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14 subcategories and 5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wo area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econd-level training course for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elped to "strengthen their competence as counseling teachers" an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school site" in performing their duties as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not helped due to 'lack of education on practical competencies', 'lack of education on various roles', and 'lack of practical education system'.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how the second-level training cours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ffected the performance of the job as a professional counselor, discussed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s, and presented basic data. Specifically, the need to supplement the practice system of the second-level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training course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suggested, and the role of teaching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was specifically present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esent in-depth data on specific practical competencies to be educated to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made.

      • 7차교육과정하의 고교 영어듣기평가 문항분석 : 2005년 시·도교육청 주관 듣기평가(고3)와 수능듣기평가문향분석과 비교를 중심으로

        정승덕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교육청 주관 듣기평가의 문항들이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취기준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고 이와 더불어 수능 듣기평가 문항과의 비교를 통해 수능 듣기와 관련성 정도를 연구하여 실제 수업시간에 교육청 주관듣기평가를 수능과 관련시켜 그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다루고 있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의 중점목표인 '의사소통기능의 신장'과 교육청 주관듣기 평가의 문항이 잘 부합하는가? 둘째, 의사소통기능 중심으로 교육청 주관 듣기 평가에서는 의사소통 기능이 한쪽으로의 치우침 없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가를 살펴본다. 셋째, 언어처리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교육청 주관 듣기 평가는 어떤 문장의 빈도수가 높고 낮은지를 분석해 본다.(상향식, 하향식, 상호 작응적 과정) 넷째, 교육청 주관 듣기평가 문항과 수능듣기문항의 문항별 비교를 통해 교육청 주관 듣기 평가의 문항이 수능 듣기 문항과 얼마나 부합하는가를 살펴본다. 본 연구를 위해 2005학년도 시,도 교육청 주관 듣기 평가 4회분(고3용)문제 및 대본 그리고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듣기평가 문제 및 대본들의 내용을 분석 비교하였고 Peterson의 상향식, 하향식, 상호 작용식 언어처리과정을 한국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수능 듣기 문항들에 있어서의 언어사용 기술들을 참고하여 10개의 범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모든 통계는 백분율을 중심으로 비교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청 듣기와 수능 듣기 모두 그 세부적 항목의 빈도수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기능 중심의 교육목표에 충분히 부합하는 문항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둘째, 그러나 위 41개 반영된 항목들의 구성이 3개영역 - 친교활동, 사실적 정보 교환, 감정표현- 에 60% 이상 치우쳐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기능을 기르기 위해서는 나머지 빈도수가 적은 항목들의 문항들도 더 많이 개발하고 활용해서 듣기 지도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언어처리 과정에 따라 각 교육청 듣기 문항을 상향식, 하향식, 상호 작용적 과정으로 분류해서 살펴본 결과 하향식(51.25%), 상향식(37.5%), 상호 작용적(11.25%) 순서로 그 빈도가 나타났다. 그러나 단일한 한 회 별 수능 및 교육청 듣기 평가에서는 아직도 상향식 언어 처리 과정인 특정 정보 찾기에 많은 문항이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앞으로 듣기 문항의 개발에 있어서 좀 더 배경 지식을 이용하고 논리적이고 추론적인 사고를 요하는 듣기 활동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넷째, 각 교육청 듣기 문항과 수능 문항의 비교를 통해 교육청 듣기 평가 문항과 수학능력시험의 듣기 평가 문항이 그 내용적인 면이나 문항 구성 면에서 상당히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analys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2005 National SAT and Regional listening proficiency tests. On top of it, this study analyzes listening items in SAT in terms of relevance with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wo aspects: communicative functions and language processing modes & activities. We expect the results of the present analysis to be put to good use in highschool English classrooms to help improve students' SAT scores.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well do the Regional SAT listening items reflect one of the main purpose of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functions'? Second, what kinds of communicative functions are more frequently used in regional SAT listening, and what kinds are less frequently used? That is, what kinds of communicative functions are there in common between example sentences of each communicative function in the 7th curriculum and the scripts of the regional SAT listening items? Third, which language processing mode is most frequently used, among the bottom-up, top-down, and interactive processes? Fourth, by comparing the listening test items between National SAT and Regional SAT, we try to find out how closely two tests items correspond with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ripts of Regional SAT listening items have a lot in common with the example sentences of each funct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is shows that the regional SAT listening items well reflec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analysis of regional SAT listening items according to seven categories of communicative functions proposed in the 7th curriculum shows that the expressions of intimacy activity(24.58%) appear most frequently and those of moral attitude(2.2%) appear least frequently. Third, the top-down processing(51.25%) is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the bottom-up processing(37.5%) and interactive processing(11.25%). Fourth, comparison of the listening test items of National SAT with those of Regional SAT reveals that the two SATs closely correspond in both contents and structures.

      •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정하윤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들어 청소년들의 정서, 행동상의 문제가 다양하게 나타남에 따라 문제 예방과 대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청소년들의 심리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필수적인 것들 중 하나는 일선 학교에 있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역량의 확대 및 강화이다.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법 중 하나로는 교육실습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현재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은 교육실습 매뉴얼이 부재한 상황에서 학교마다 교육실습이 달리 운영되고 있으며 실질적 운영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생각하는 교육실습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델파이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현직 전문상담교사 15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문제는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예비전문상담교사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교육실습 내용은 무엇인가?',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교육실습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교육실습 개선방안은 무엇인가?'이다. 자료조사 및 수집 기간은 2022년 3월 1일부터 2022년 4월 22일까지 이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현직 2급 이상의 전문상담교사이며 전문상담교사로 근무한 경력이 2년 이상인 자, 전문상담교사로서 교육실습을 이수한 자 15명으로 선정하였다. E-mail과 카카오톡 메신저를 활용하여 3차에 걸친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Excel 등을 활용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최종 6개 영역 82개의 세부 항목으로 전문가 의견이 도출되었다. 각 영역별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예비전문상담교사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교육실습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문가는 외부기관과의 연계 절차 안내, 학부모 및 교원 자문에 대한 안내, 위클래스 행사 홍보 및 계획, 사례개념화 작성 지도, 상담일지 작성방법 안내, 또래상담 동아리 기획 및 운영 지도, 심리검사 실시 및 해석 교육, 행정업무 전반에 대한 안내 및 체계적인 교육, 상담교사로서의 윤리 교육, 위클래스 가정통신문 작성 지도(E알리미, 아이엠스쿨 등 어플도 함께 소개), 집단 상담 및 교육지도안 작성, 집단상담 보조리더로 참여하는 기회, 매체상담 지도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교육실습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전문가들은 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에 대한 매뉴얼(커리큘럼) 부재, 교육실습생에게 다양한 형태의 상담(위기상담, 개인 상담)을 맡길 때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비밀보장 등), 교육실습 지도 시 지도교사 수당 미지급, 교육실습생이 상담을 진행하려할 때 학생과 부모의 동의를 일일이 구해야하는 어려움, 교육실습생이 직접 실습 가능한 학교를 찾아야 하는 어려움, 다양한 유형의 상담 실습 기회 부족, 교육실습이 교과 교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상담업무와 관련 없는 실습 과제를 수행함(교육과정안 계획, 상담과 관련 없는 강의 수강 등) 순으로 문제점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교육실습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교육실습 개선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분석해 본 결과, 실습생 지도에 관한 구체적인 매뉴얼 개발 및 보급, 교육실습 학교를 선정하고 실습생을 배치하는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교육실습 지도교사 수당 지급, 교육실습생의 상담 실습 방안에 대한 교육부 차원의 지원 체계 마련, 학부 또는 상담대학원의 교육과정에 전·현직 전문상담교사가 강의하는 학교상담실제에 대한 실무 교과목 개설, 교육실습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 상담실무 및 실습지도 경험이 많은 숙련된 교사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는 자문 체제 마련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의 정의와 기능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분석해 본 결과, 교육실습이 학교 현장 경험을 통해 전문상담교사로서의 태도와 역할을 익히고 스스로 교직에 적합한지 성찰해 보는 교육실습과정이어야 한다는 의견에 높은 수준의 합의를 나타냈다. 또한 이러한 교육실습이 전문상담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학교상담 관련 직무를 파악하고 훈련하며 예비 교원으로서 학교 행정 운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에 높은 합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예비전문상담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분석해 본 결과, 내담자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인성역량, 내담자 문제 이해 및 문제에 따른 상담 전략 및 사례 관리 역량, 학교 내외 다양한 구성원과 협업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대인관계역량,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존중하는 의사소통역량, 학교현장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학교상담에 특화된 방법을 개발하는 학교상담 특수성 이해 역량, 전문가로서 책임감, 헌신, 진실성 등과 관련된 태도 역량, 상담 관련 교육 및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평가하는 교육역량, 소진예방, 상담역량개발, 개인 시간 및 건강, 여가 활동 관리 등 다양한 측면의 자기관리역량, 행정 업무 및 프로그램 활용 능력, 문서작성 및 기안에 관한 전반적 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에 대한 양적 연구를 실시하여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실습의 문제점, 개선점은 무엇인지 다양한 의견을 들어볼 것을 제언한다. 둘째, 전문상담 교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해 볼 것을 제언한다. 셋째,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운영에 대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매뉴얼(커리큘럼)을 구안할 것을 제언한다. Lately variou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adolescence appear, the need of their prevention and measures to deal with them is increasing. Strengthening and expanding the role and capability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is one of measures to resolve adolescent’s psychological problem. In order that, a teaching practice is needed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to have much more expertise. However, according to recent study, actually there is lack of teaching practices for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due to absence of teaching practice manuals, resulting in very much difference in teaching practice methods by each schools. In this reg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in teaching practice and measures to improve teaching practice by reflecting curr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opinions about teaching practice for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Delphi was used as method in a survey of this study after collecting 15 curr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opinions about teaching practice. So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useful basic data in improving teaching practice for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and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practice, as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believe, should be implemented for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What are the problems in training practice as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ink?' and ‘What are the improvement measures of teaching practice as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ink?' Survey and collecting data period was from 1 Mar to 22 April 2022, and respondents are 15 people first, who are at least level-2 of curr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and also whose working period is more than 2 years, second, who completed teaching practice course as a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I collected survey data by total 3rd times via E-mail and Kakaotalk messenger, and lastly, excel is used in data analysis. Suggestion after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onduct a quantitative research about teaching practice for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to reflect various opinions from curr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bout problem in teaching practice and improvement measures. Second, conduct a research after selecting advanced teachers or people as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ho have an experience of guiding teaching practice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Third, develop a teaching practice manual(curriculum) based on any reference or basic data about organizing teaching practice for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Key words: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Student teaching practice, Delphi study

      • 고등학생의 EBS 교육방송의 활용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종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고등학생의 EBS 교육방송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학과 박 종 찬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EBS 교육방송의 활용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장유지역 고등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으로는 EBS 교육방송의 시청실태, 수강동기, 만족도, 개선사항들에 대해 살펴보았고, 조사된 설문데이타는 SPSS win 1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및 변인별 수강동기와 만족도간에 차이가 있는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EBS 교육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학생이 전체의 78.1%로 나타나 많은 학생이 EBS 교육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전체의 59.1%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서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했고, 19.9%가 다운로드 하여 PMP로 시청한다고 응답했다. EBS 교육방송 활용 정도에 대해 주2-3회 이용한다는 응답이 59.1%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강 동기에 대해서는 다른 사교육보다 비용적 측면이 가장 부담이 적어 이용한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고, 만족도 부분에서도 비용대비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추가적으로 학습의 편리성이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셋째, 학생들의 교육방송 프로그램의 참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해야하며 학교 현장에서의 학생들의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해야 한다. 또한, 학교 학습현장에서 교육방송 프로그램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시스템 환경을 조성해야할 것이다.

      •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유은선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유은선 지도교수 조항 최근 전문상담교사 임용 인원 증가에 따라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관련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주목받아왔다. 이는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이 직업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며, 전문상담교사는 ‘학교상담자’이자 ‘교사’라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특수한 상황 속에 놓여있으며 다양한 연령, 직업 배경을 가진 집단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전문성 발달이 매우 복잡한 특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임용 후에 느끼는 심리적·신체적 소진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임용 전 충분한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임용 전의 전문성 발달은 상담 및 교직 수업, 교육실습 등으로 발달된다. 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은 학교상담의 특성과 비교과 교사만의 특수성을 지닌다. 이에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중 교육실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을 심층 면담하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도출된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인 교육실습의 질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연구 문제는 ‘예비전문상담교사는 교육실습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게 되는가?’와 ‘교육실습은 예비전문상담교사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이다. 자료조사 및 수집 기간은 2019년 3월부터 4월까지 이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이수자이며, 예비전문상담교사로서 교육실습을 연구 기간 1년 내인 2018년 4월에서 2019년 5월에 경험한 7명이 참여하였다. 심층면담으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당 면담 횟수는 1회에서 2회 진행되었다. 1회당 면담시간은 평균 55분 소요되었다.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의 4단계로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총 265개의 의미 단위와 21개의 하위구성요소, 7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7개의 구성요소는 시간적 흐름에 맞춰 구성되었으며, 구성요소를 이루는 각 경험의 의미는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한 시간에 따라 진행되면서도 경험의 맥락 속에서 복합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구성요소로는 ‘교육실습 전 복합적인 감정을 느끼나 별다른 대비를 하지 않음’, ‘실습 학교를 배정받거나 자신이 직접 찾기 위해 노력함’, ‘교육실습 과정에서 만난 타인과의 관계에서 지지와 갈등을 경험함’, ‘마냥 행복하고 유익하지만은 않은 교육실습’, ‘일관성 없는 교육실습 내용’, ‘전문상담교사로 한 걸음 다가감’, ‘현실을 직시하고 대안을 제시함’으로 요약해볼 수 있다. 첫째, ‘교육실습 전 복합적인 감정을 느끼나 별다른 대비를 하지 않음’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된 것은, ‘일반적인 교육실습생에 비해 많은 자신의 나이를 걱정함’, ‘실습학교, 학생 및 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에 대한 설렘과 기대감을 나타냄’, ‘다가오는 교육실습에 부담을 느낌’, ‘상담실습과 관련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별다른 준비를 하지 않음’이다. 둘째, ‘실습 학교를 배정받거나 자신이 직접 찾기 위해 노력함’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된 것은 ‘자녀가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학교에서 실습함’, ‘거주지와 실습학교 간의 거리로 인해 학교 배정 또는 개인 배정을 희망함’이다. 셋째, ‘교육실습 과정에서 만난 타인과의 관계에서 지지와 갈등을 경험함’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된 것은 ‘타 전공 교육실습생과 돈독한 관계를 형성함’, ‘실습 학교의 교사에게 지지를 받음’, ‘실습 학교 교사와의 관계에서 불편한 감정을 느낌’, ‘실습학교 학생들과의 행복한 만남’이다. 넷째, ‘마냥 행복하고 유익하지만은 않은 교육실습’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된 것은 ‘다양하고 많은 업무로 바빴던 교육실습 생활’, ‘도움 되지 못한 교육실습’, ‘교사도 학생도 아닌 ‘교육실습생’의 애매한 위치‘이다. 다섯째, ‘일관성 없는 교육실습 내용’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된 것은 ‘교사별로 다른 교육실습 경험’, ‘학교마다 다른 교육실습 내용’이다. 여섯째, ‘전문상담교사로 한 걸음 다가감’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된 것은 ‘전반적인 지식과 이해를 습득함’, ‘전문상담교사 임용고시에 응시하고자 하는 동기가 강화됨’,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통합적 인식 형성’이다. 일곱째, ‘현실을 직시하고 대안을 제시함’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된 것은 ‘학교현장에서의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및 업무에 대한 빈약한 인식 경험’, ‘상담 교육실습에 대한 개선 요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전문상담교사로서의 교육실습 경험이 상담 전문성 발달 또는 정체성 확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 단위별 교육실습 실태에 관한 연구와 현실 적용 가능한 전문상담교사 양성 교육실습 매뉴얼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학급운영 및 교육 과정에 관한 인식

        김정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의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중심으로 특수학급 운영의 실태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고, 변인(성별, 교육경력, 담당학급, 자격증소지)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실천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의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1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중 성실하게 응답한 교사 139명의 반응을 성별, 교육경력, 자격증 소지별로 특수학급 운영의 실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의견, 특수학급 교사의 자질 및 연수실태 등을 χ^(2)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지 자격에 따라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간의 협조 형태에 대해 차이를 보였다. 4년제 대학 특수교육학과 졸업한 교사들은 통합수업을 통합학급 교사와 협력교수로 운영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고, 특수 교사 자격 인증시험 합격한 교사들과 미소지자 교사들은 특수학급 교사가 통합학급 교사와 협의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정도가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개선 사항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개선 사항에 대해 남교사는 교수·학습자료의 확충, 교육과정 관련 문서 몇 정보 제공 순으로 응답하였고, 여교사는 교육과정 관련 문서 및 정보 제공, 교수·학습자료의 확충 순으로 응답하여 남교사와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육 경력, 소지 자격에 따라서 교육내용 선정 실태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년 미만의 교사들과 20년 이상∼25년 미만 교사들은 일반 초등학교 교과내용 수준을 낮추어서 선정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그리고 초등학교 교사로서 특수교육학과 대학원 졸업 교사들은 일반 초등학교 교과내용 수준을 낮추어서 선정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특수교사 자격 인증시험 합격한 교사들은 일반학교 교육과정과 특수학교 초등부 교육과정을 혼용 재구성하여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지 자격에 따라서 가장 필요한 연수내용에 대해 차이를 보였다. 가장 필요한 연수내용에 대해 4년제 대학 특수교육학과 졸업한 교사와 특수교사 자격 인증시험 합격한 교사, 미소지자 교사들은 특수학급 대상아의 학습 지도 방법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다섯째, 성별, 교육 경력, 소지 자격에 따라서 연수 기회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수 기회에 대해 남교사는 적다 라고 생각하고 있는 교사보다 많다 라고 생각하고 있는 교사가 많았고, 반면 여교사는 많다 라고 생각하고 있는 교사보다 적다 라고 생각하고 있는 교사가 많았다. 그리고 교육 경력이 적을수록 연수 기회가 적다 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 경력이 많아질수록 연수 기회가 많다 하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립유치원 종일제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지각과 학부모 만족도 연구

        이동우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에서 종일제 프로그램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지각과 학부모의 만족도를 알아보고 바람직한 유치원 운영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 종일제 프로그램 전반(운영방법, 교사자격, 교육과정 및 내용, 물리시설)에 대하여 학부모들의 만족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사립유치원 종일제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연령, 학력, 소득수준, 자녀의 연령)에 따라 만족 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사립유치원 종일제 프로그램 전반(운영방법, 교사자격, 교육과정 및 내용, 물리시설)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들의 지각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한 대상은 부산지역에서 종일제를 실시하고 있는 사립유치원의 교사 93명과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학부모 103명을 선정하여 종일제 프로그램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지각과 학부모의 만족에 대한 의견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의 주요 내용은 첫째, 프로그램운영방법, 둘째, 교사의 자격요건, 셋째,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 넷째, 유치원 시설 및 설비의 단계로 교사용 총 24문항과 학부모용 4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t-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종일제 프로그램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격요건에 대하여 가장 만족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부모들은 종일제 프로그램운영을 위한 유치원의 시설에서 불만족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들은 종일제 프로그램운영을 위해 유치원에서 갖추어야 할 시설 및 설비에 대하여 최우선적으로 교사충원 다음으로 건물공간, 교제·교구의 충원을 해야 한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경우는 교사충원이 유치원 종일제 실시를 위해 가장 전제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지적하였다. 둘째, 운영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종일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동일연령의 학급을 편성하고, 한 학급의 유아의 수는 11-15명으로 하며, 소집단 형태의 교육활동을 하고, 오전에는 교육활동을 하고 오후에는 휴식 및 자유놀이를 하는 일과운영을 하여야 한다고 나타났다. 또한 일과 운영시간 편성은 8시간이나 9시간이 적합하다고 나타났다. 교사는 종일제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전문대학 이상의 학력을 갖추어야 하고, 교직경력에 최소 2-3년 이상 그리고 유아를 애정으로 보살필 수 있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또한 종일제 운영을 위해서는 정교사 1명과 보조교사 1명이 오전과 오후 모두를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의 교과과정과 교육내용은 유아의 신체발달을 위하여 운동 및 스포츠활동을 하고, 유아의 정서발달을 위하여 정서적 안정을 육성하여야 하며, 유아의 사회성발달을 위하여 협동을 통한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인지발달을 위하여 주변세계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해야 하며, 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하여 자기표현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유아의 특기교육을 위하여 미술교육이 바람직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님의 경우에는 유아의 특기교육으로서 영어와 컴퓨터교육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onsider the consciousness of teachers and parents and the satisfaction of parents for the all-day program conducted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desirable kindergartens. The research questions which were set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much are the parents satisfied with the whole all-day programs of the private kindergartens(operating methods, capacity to be a teacher, curriculum/contents and physical facilities)? Secondly, how does the satisfaction index vary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age, education, income level and age of the child) of parents, for the all-day programs of private kindergartens? Thirdly, how are the teachers and parents conscious of the whole all-day programs of private kindergartens (operating methods, capacity to be a teacher, curriculum/contents and physical facilities)? As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93 teachers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that offer all-day programs in Pusan region and 103 parents of children of all-day classes in the kindergartens were selected, and I made the questionnaires concerned opinions on the consciousness of the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operation of all-day program and on the satisfaction of parents. The main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otal 24 items for teachers and total 42 items for parents, including (1) operating methods of the program, (2) requirements of the teacher, (3) curriculum and teaching contents, and (4) facilities and equipments in the kindergarten. Then I calcul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collected data and performed t-test. The results received from the research are as detailed below. First, for the all-day programs of kindergartens, parents were generally found to be satisfied more than the average, mostly with the capacity to be a teacher among the above factors. However, the parents were seen as having been unsatisfied with the facilities of the kindergartens for the operation of all-day program. Besides, from the consciousness of parents, the facilities and equipments which shall be equipped in the kindergartens for the operation of all-day program were prioritized from the supplement of teachers, building space to the supple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In case of teachers, they pointed out the supplement of teachers as the most important precondition for the execution of all-day program in the kindergartens. Secondly, with regard to the operating methods for the desirable all-day program, the kindergartens need to organize the classes of the same ages, while limiting the number of children of a class to 11 to 15 persons and educating in the form of small group and to provide a daily lesson where children are educated in the morning and take rests or perform free play in the afternoon. Besides, the proper daily lesson was found to be organized into 8 to 9 hour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all-day program, the teachers shall have the education of two years or more colleges and shall care for children with affection with at least 2 to 3 years of teacher's career as they considered. Likewise, they said that one regular teacher and one assistant teacher shall be charging both morning and afternoon, for the operation of the all-day programs. Thirdly, from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he kindergartens shall include exercises and sports activities for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and increase the emotional stability for the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and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ity,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shall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ies through cooperative activities. Besides, children need to have various experiences in the surrounding world for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themselves and to develop the self-expressive ability for the language development. Arts education was seen to be desirable for the children's specialty education. However, the parents appeared to want English and computer education as specialty education for children.

      • 향토사 수업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 역사학습 방안 : - 경남 김해시를 중심으로 -

        석상업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 문 초 록 향토사 수업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 역사학습 방안 - 경남 김해시를 중심으로 -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석상업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와 관련하여 역사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초등학교 역사 교육 또한 2009 개정교육과정과 함께 많은 변화를 시도하였다. 이 교육과정의 변화와 함께 효과적인 역사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사회과에 속해 있는 역사 영역의 교육 목표는 “각 시대의 특색을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적 전통과 문화의 특수성 파악, 민족사의 발전상에 대한 체계적 이해, 인류 생활의 발달 과정과 각 시대의 문화적 특색 파악” 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런 역사 교육의 목표를 교육 현장에 적용시키면서 학생들의 생활 터전인 지역 사회의 역사적 환경을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향토사 교육이다. 최난숙, 「향토사 자료를 활용한 중학교 국사 수업 방안 연구 - 경기도 안양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초등교육과정에서는 5학년 2학기, 6학년 1학기에 걸쳐 사회과에서 집중적으로 역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과정에서도 지역화를 강조하고 있지만 몇몇 페이지를 제외하고는 전국 어디서나 같은 교과서로 역사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향토사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때 역사과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주변에 있어서 쉽게 접촉할 수 있는 향토를 발굴하고 그것을 학습활동에 이용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김해시 학생들이 수업시간을 이용한 향토사 수업 방안을 연구하였다. 필자가 재직하고 있는 김해 활천 초등학교 5학년 6개 반 14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내용을 조직하고 김해 지역의 향토사 자료와 결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론 수업 및 체험활동 수업을 활용한 모둠학습으로 향토사 수업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해지역의 역사를 서술한 책을 바탕으로 향토사 자료 내용을 분석하여 수업에 활용하였다. 직접 현장체험활동을 다녀오니 학생들의 역사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가 높아졌다. 자신이 알고 있는 지명이나 자신의 생활 주변의 지역화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역사학습과 자신과의 관련성을 알고 역사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향상시켰다. 둘째, 각반 24명의 학생들을 모둠으로 편성하여 주제를 제시하여 모둠별로 조사한 내용을 발표하였다. 그 뒤 토의하는 현장체험학습 및 모둠별 학습법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모둠과제를 통해 김해시의 유물 유적을 조사하고 알게 된 내용을 서로 공유하였다. 공유한 학습내용을 습득하고 김해역사가 한국사에서 가지는 역사적 위치를 다시 한 번 알 수 있었다. 또 교과서에 직접적으로 언급된 가야 역사뿐만 아니라 학습량 감소로 인하여 간단한 문장으로 진술된 학습내용을 친근한 지역자료를 활용하여 심화·보충할 수 있었다. 김해 지역의 향토사 자료를 활용하여 반년동안 수업을 진행한 결과 수업 전보다 향토사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김해의 지역 역사 자료를 5학년 역사수업에 활용하여 학생들의 역사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시 유발을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역사학습 진행과 김해의 정체성을 시민에게 공유케 함으로써, 김해지역에 대한 귀속감과 김해인으로서의 동질감을 가지게 하며, 이러한 김해공동체 의식의 증가는 김해의 사회적 통합과 모든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 이영식, 김해발전정략연구원 「김해학의 제창을 위하여」, 2012

      • 교육·보육실습의 실태와 실습생의 실습에 대한 인식 : 부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임효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보육실습의 실태와 실습생의 실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현행 실습의 현황과 그 내용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실습의 개선 방향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경남에 소재하고 있는 교사양성을 위한 실습과정이 시행되고 있는 2년제, 3년제, 4년제 유아교사 양성대학 중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보육실습을 마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실습의 실태와 실습생의 실습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윤기영(1981)의 교육 실습에 대한 설문지와 박지완(2001)의 유아교육 및 보육실습에 대한 설문지를 기초로 수정·보완하여 세부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자료의 처리는 SAS 8.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의 차이, 실습생의 실습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실습의 실태와 실습생의 실습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실습의 실태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육실습은 사립 유치원의 만5세 학급에서, 보육실습은 민간 어린이집의 만5세 학급에서 많이 하고 있어 교육·보육실습 대상 학급 연령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보육실습에서 만3세 미만의 영아보육에 대한 실습이 강화되어야 한다. 실습은 한 학급에서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2학급 이상에 배치되는 형태는 보육실습이 교육 실습에 비해 2배 이상 더 높았다. 교육실습은 학기 중에, 보육실습은 방학기간 중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 소개로 실습 기관이 선정되어지는 경우가 교육·보육실습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유아교사 양성대학에서는 실습기관의 특성이나 환경, 실습 지도교사의 자질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절한 실습기관을 선정하여야 한다. 평균 실습 비용은 43,300원으로 4년제 대학, 3년제 대학, 2년제 대학 순으로 실습 비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전·사후교육의 설태에서 대학에서는 실습생의 역할 및 유의점을, 실습 기관에서는 실습생의 역할에 대한 지도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전교육 내용에 대한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인식이 필요하다. 사전·사후교육 시간은 2시간 미만으로 나타나 이보다 많은 시간이 할애되어져야 한다. 셋째, 실제수업지도에서는 교육실습이 보육실습에 비해 더 많이 지도되고 있으며, 자유선택활동의 언어영역과 집단 활동의 이야기나누기, 동화/동시 영역의 수업지도를 실습생들은 많이 경험하였다. 실무 실습의 경우에는 만족할 만한 지도를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실습에서의 잡무 보조 시간을 줄이고, 실무 지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야 한다. 넷째, 실습 지도교수는 실습생을 만나 격려해주었으나, 실습 중 문제를 협의한 경우는 많지 않아서 체계적으로 실습생을 담당하여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실습생의 실습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첫째, 실습에 대한 만족도는 실습 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실습 기간, 실습 내용, 지도교수의 순회지도에 비해 비교적 높았고 실습 내용에 대해 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실습 내용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습 후 취업에 대한 인식은 교육·보육실습생 모두 국공립 유치원을 선호하였으며 셋째, 실습의 질 향상을 위해서 실습생들의 수업 기술 및 수업 효과를 높이는 방안으로 실습 기관의 지도교사의 자질 향상을 뽑았으며, 실제수업지도의 기술, 방법을 익히는 과정을 강조해야한다고 응답하여 사전 현장경험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현행 실습내용과 실습 전, 후의 대학의 수업내용 중에서는 실제수업 지도가 더욱 더 강조되고 보충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 고려시대의 교육

        여은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논문은 고려시대 전반의 교육 실태를 敎育史, 科擧制度, 儒敎사를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고려의 교육은 고대국가시기에 大學敎育이 발전한 역사적 전통을 기반으로 하여 발전하였다. 삼국은 모두 대학교육을 나름으로 발전시켰으며 신라 하대에는 讀書三品科가 시행되고 渡唐 유학생이 많이 생겨나고 있었던 것에서 그 시기 교육의 성과를 대략 가늠할 수 있다. 이 같은 古代 교육의 전통을 이어 받으면서 고려는 보다 발전된 교육의 체제를 성립시켜가게 되는데 그 일단을 太祖가 西京에 학교를 세우고 儒學敎育에 노력을 기울였던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고려 역대 군왕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교육의 발전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표명하였고 나름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그 중 대학교육의 발전과 관련하여서는 成宗이 유교주의 정치를 채택하고 문물제도를 개편·정비하는 가운데 國子監을 설치하여 유학 교육의 기틀을 확립한 사실이 주목된다. 당시 成宗은 향리 자제들을 널리 포섭하는 적극적인 관학진흥책을 전개함으로써 국자감 교육은 刮目할 만한 발전을 하게 된다. 이로부터 국자감은 고려시대 최고 학부로써 관인 배출에 지대한 역할을 했고, 고려사회에 새로운 교육전통을 마련하기에 이른다. 이와 같이 초기의 국자감생의 주류는 지방 학생들이었지만 이후 고려가 귀족체제를 발전시켜감에 따라 귀족들은 지방학생들의 중앙 진출을 억제하고자 향공의 관계 전출을 제한하기에 이른다. 한편 귀족들 사이에서는 국자감 교육을 기피하면서 자신들의 전통적 교육 관습이었던 私學을 선호하는 경향을 뚜렷이 드러내 보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德宗"諦宗 年間에는 사학이 현저하게 발전하여 교육의 주류를 이루게 되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私學十二徒였다. 사학 12도는 文宗 年間에 세워졌으며 그 중 최충의 文憲公徒가 가장 융성하였는데 최충의 경우 심성을 함양하는 유교교육에 노력을 기울였음을 살필 수 있다. 그러나 고려의 교육이 관리의 양성을 목표로 하였던 만큼 사학의 경우도 과거 급제를 우선한 교육을 행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나아가 사학의 경우(官學보다 상대적으로 패쇄적이었던 만큼 정치 파벌을 조성한 측면도 없지 않았다. 이렇게 고려 일대에 걸쳐 중앙에서는 관학과 사학이 융성함으로써 유교교육이 크게 진작되었던 한편 지방사회에서도 관학인 鄕校를 중심으로 교육체제가 정비되고 유교 교육이 활성화된 성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의 향교는 일반적으로 先聖先賢을 奉祀하는 기능과 지방 자제들을 가르치는 교학기능을 갖추고 있었으며, 중앙에서는 지방에 學官을 파견하여 生徒를 가르치도록 했고 과거와 관련된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 외 고려시대 교육기관으로 東·西學堂이 초등교육기관으로 개경에 설치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고 書堂교육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었다고 생각되지만 전반적으로 부진하거나 제도적 지원을 받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고려 일대에 걸쳐 유교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교육체제가 발전한 것은 무엇보다도 科擧制度가 정착 발전하였기 때문이다. 고려의 과거제는 光宗代 귀화인 雙冀의 건의를 받아들여 시작되었고 製述·明經·醫 . 卜科 등으로 나누어 시행 되었다. 應試資格은 분야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良民 이상의 신분층으로 제한하였다. 과거제의 고시관은 知貢擧라 하였는데, 과거에 급제한 사람은 지공거에 대하여 恩門 또는 座主라 하여 門生의 예를 지켰다. 과거에 급제한 관인들은 고려의 중추적인 정치세력을 형성하였으며, 교육과 문화를 주도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들 중에는 최충·안향·이색·정몽주 등과 같이 적극적으로 자신의 교육사상을 피력한 유학자들도 나오게 되며, 그로부터 고려의 교육 실태를 보다 내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고려의 교육과 사상은 원 간섭기예 性理學을 수용하면서 크게 변하게 되는데, 기존의 사장학적 유학과는 달리 성리학은 修己學 중심의 체계를 세움으로써 특히 사상적 정통성을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리학을 중심으로 고려후기 유학자들은 학풍을 쇄신하고 정치력을 결집해 갔으며 정치 사회적 변혁을 추구해 감으로써 문치주의 사회가 구현될 것을 전망하기에 이른다. 전반적으로 고려의 교육은 유교를 중심으로 정치적 인재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이 같은 기본적인 흐름은 성리학 수용 이후에도 크게 달라지지는 않지만, 기술교육을 나름으로 중시했던 사실과 아울러 무엇보다도 정치적 실용성에 충실하고자 했던 점은 고려시대 교육의 개성적 측면으로 특히 주목하여 볼 부분이다. The thesis was intended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education system of Goryeo Dynasty period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al history, Gwageo(the state examination) and the history of Confucianism. The education in the era of Goryeo Dynasty was developed based on historical tradition of the Great Learning in ancient states. Three kingdoms had developed the Great Learning of their own, and in the late period of Shilla, the national examination system(in three grades), called Dokseo sampoomgwa, was implemented in an attempt to cultivate the Confucian scholars(students), which was the barometer of educational performance. Following such tradition, Goryeo was able to pave the way for further developing the education system, which was proved by King Taejo's effort to establish the school in Seogyung and educate the Confucianism. Since then, the kings, more or less, were interested in education development and a considerable achievement was virtually made. And with regard to the Great Learning, it's noteworthy that King Sungjong employed the policy advocating the Confucianism, amending the culture and institutions, while establishing the school, called Kukjagam, and laid the foundation for educating the Confucianism. At the time, King Sungjong aggressively adopted the policy encouraging the national school system to accommodate the children of provincial officials, resulting in a significant development of Kukjagam, which played a great role in cultivating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in establishing the new educational tradition in the society. The students of Kukjagam at the beginning were mostly from the provincial area, but as aristocratism was getting developed, the nobles began to ban the students from provincial areas from joining the central government posts. On the other hand, the nobles tended to avoid learning at the Kukjagam, but to prefer the privateschools,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Consequently, it changed to the private school-dominated system soon during the days of King Deokjong Sookjong, which was represented by Sahak Sipeedo(12 private schools). They were founded in King Moonjong era and Moonhungongdo by Choi Choong, among others, was the largest one. Choi Choong attempted to cultivate the students of firm character. However since the education system at the time was aimed at training the government servants the private education system was also focused on preparing the Gwageo(the state examination), and moreover, the private education system that tended to be more closed than national school resulted in creating the factionalism to some extent. As aforementioned, the Confucianism was encouraged on the back of booming national school and private education system in the capital area in Goryeo, and the Confucian school-led education system in the provincial area was also improved and put on track. The Confucian school, one of the state schools, had a function to serve the ancient saint and sage as well as to educate the children of provincial officials. The central govemment dispatched the teachers to educate the students, and the curriculums were presumed to be developed to prepare for the state examination. Besides, Dongseo Hakdang(village school) was available as elementary school. Seodang(private village school) was thought to be widely distributed but in fact, it was limited to some extent due to poor support and lack of systematic support. Gwageo system(the state examination system) made a great commitment to developing the Confucian centered education system in Goryeo Dynasty period. The Gwageo system was first employed by the recommendation of Ssanggi who became naturalized in the days of King Kwangjong, and had been implemented over the field of Jesool(art & literature), Myunggyung(scriptures), Eui(Medical), Bokgwa(astronomy). Qualification for application, with some exceptions depending on subject, was limited to Yangmin(intermediate class of people or above). The examination supervisors were called Jigonggeo, and the people passed the examination showed them every courtesy, calling them Eunmoon or Jwajoo as the position of Moonsaeng. The officials wh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s formed a political influence, playing a leading role in education and cultural area. Among those are Choi Choong, An Hyang, Lee Saek, and Chung Mong-joo who outspoken their educational ideas.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education system of Goryeo Dynasty period more specifically through their ideas. The education and ideology of Goryeo Dynasty period had been changed drastically since they accommodated the Sung Confucianism. Unlike traditional literal Confucianism, Sung Confucianism employed the Soogeehak(self-disciplined)-centered system, emphasizing the ideological legitimacy. Based on the principal of Sung Confucianism, the Confucianists in the late Goryeo began reforming the academic traditions and solidifying the political influence, while pursuing the political and social revolution thereby eventually achieving the goal of realizing the civil administration-dominated society. In general, a Confucianism-based education system in Goryeo was developed in a way for cultivating the political talents and such a principle had been remainedunchanged even after accommodating the Sung Confucianism, but given the tendency that valued the technical education and political practicality is what noteworthy in reviewing the character of education system in Goryeo Dynasty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