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대학교육관, 학생참여, 학습성과 간의 관계

        남혜선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교육관, 학생참여, 학습성과 간의 관계가 어떠하며, 각 하위요인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교육관은 교양 및 시민의식 함양, 대인관계 능력개발, 주체적 능력 개발, 전문능력 개발, 사회적 인정 등 총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학생참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는데, 요인분석 결과 능동적·협동적 학습, 문제해결학습, 다양한 교육경험, 교수와의 상호작용, 대학의 지원환경으로 총 5개 하위요인으로 나뉘어졌다. 대학생의 학습성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두 가지 자료를 사용하였는데, 하나는 주관적 성과로서 인지적 역량과 비인지적 역량에 대한 응답결과이고, 또 다른 자료는 객관적인 성과인 학업성취도(GPA)이다. 설문 대상은 대전지역 2개 대학 학생 586명으로, 대학교육관, 학생참여, 학습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의 대학교육관과 학생참여 하위 요인간의 구체적인 관계, 학생참여와 학습성과 하위요인간의 구체적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대학교육관은 학업성취도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학생참여를 매개로 하여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대학교육관은 학습성과 즉, 핵심역량인 인지적 역량, 비인지적 역량의 학습성과와 학업성취도(GPA)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학생참여를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관에 따라 학생참여에 차이가 나타나고 이러한 차이가 학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교육관은 대학생의 학생참여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관의 하위 요인 중 주체적 능력, 전문능력 개발, 교양 및 시민의식 함양, 대인관계 능력 등을 중시하는 대학생은 문제해결활동, 능동적·협동적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양 및 시민의식 함양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대학생은 대학생활 중 다양한 교육경험, 대학의 지원환경,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참여는 학습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활동, 능동적·협동적 학습, 교수와의 상호작용, 다양한 교육 경험, 대학의 지원 환경에 대한 참여 등 학생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인지적·비인지적 학습성과도 높게 나타났다. 한편 문제해결활동, 능동적·협동적 학습, 교수와의 상호작용, 다양한 교육 경험, 대학의 지원 환경에 대한 학생참여 정도와 학업성취도(GPA)도는 관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에서 지원하는 교육환경에 대해 인식하고 이를 이용할수록 학업성취도(GPA)는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학교육 과정과 학습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ub – factor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and th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are consisted of five factors including cultural and civic consciousness development, interpersonal ability development, personal fulfillment, development and social recognition. Student engagement was investigated u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five factors such a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problem-solving learning, various education experiences, interaction with professor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586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Daejeon, and the structural equation was implemented using AMOS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and the sub-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and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sub-factors of learning achievement, we conducte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had no direct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but they were found to affect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through student engagement. The effects of the students' engagement on the cognitive and non-intellectual competencies are detected but students' engagement was not cor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GPA). There is a difference in student engagement according to the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difference influences the academic performance. Seco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and student engag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college students who emphasize personal fulfill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cultivation and citizen consciousness, interpersonal ability are actively involved in problem solving activities and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ose who emphasize cultural and civic consciousness are interested in diverse educational experiences, college support environment,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s during college life. Third, student engagement is closely related to learning outcomes. The higher the level of student engagement, such as problem solving activitie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teraction with professors,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participation in university support environment, the higher the cognitive and non-intellectual learning outcom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GPA).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ed by the college and the use of it were not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GPA).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nhancing college curriculum and learning outcomes were discussed.

      • 평생학습을 위한 육군대학교 설립에 대한 연구

        김태성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According to the 2020 Defense White Paper, there are about 480,000 soldiers in the army. Among them, there are about 60,000 officers, who are professional soldiers, and about 110,000 non-commissioned officers(NCO). As professionals, executives(officers and NCO) improve their performance in various fields such as cultivating military knowledge, improving combat capabilities, and cultivating proper character and leadership through the study and self-development of mili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However, executives who have not get promoted have to prepare for reemployment for their living after discharge, and a large number of people are continuing their studies to obtain degrees within the preparation process. In Korea, which adopts the conscription system, soldiers who are not officers should also continue their studies in earnest, which had been suspended to obtain a degree after discharge. As members of the Army are returned to society, many of them are connected to study. However, most of them are not fully recognized by general universities(general university means university that does not belong to the military) for their academic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military, which overlaps time and effort for soldiers, which is a huge loss to the nation. This study was initiated to devise a way for soldiers from all over the country who are connected to the national lifelong education system as an extension of their studies to become members of society's production and development by saving their time and effort. The Army has many kinds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two military academies, 11 army branch schools, army training center, army cadet military school, and non-commissioned officer academy. And the number of instructors (professors) working in Army reaches about 3,000. The Army provides professional military education and is working on agreements such as credit exchange with general universities and awarding degrees for lifelong education. More and more soldiers have been interested in credit exchanges with general universities and striving to get as many credits as possible during their military service. Credit recognition at universities is limitedly recognized through Internet lectures at universities where cyber departments are established after signing agreements with the county. However, there are not many universities that recognize not only professional military education conducted by the county, but also education on leadership, social service, physical training, and gender recognition education, which are general liberal arts classes. Despite the considerable hours of specialized military education at mili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credit recognition, degrees are granted only at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KNDU) and general universities. The Army College, which is at the peak of military education in the army, does not award degrees. The Army College combines field experience and theory, and presents and discusses various issues based on this. Various tests are also encouraged to creative ideas to present basic doctrinal knowledge. Despite the fact that professional military education, which combines theoretical education and practical practice, the Army University has not been able to award degrees. However, all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Army College are provided with conditions to be recognized when majoring in military subjects at general universities. In the case of armed force in developed countries, all mili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integrated and organically manag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as well as to function as a university(graduate) that can award a master's degree or higher recognized by the state. They not only promote military development through in-depth military research, but also enable military members to demonstrate their degrees, qualifications, and competencies obtained from the military in society even after discharge. For example, the U.S. Army systematically manages the entire education system in a related manner by organizing all mili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under the Army University system so that the Army Education Commander serves as president of the Army University. Not only do they directly award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for military-related majors, but they also provide opportunities to obtain degrees through credit exchanges and certification systems with general universities in various fields common to the private sector. In this paper, we propose to establish an ‘Army University’ as part of the national lifelong education system. To ensure that the military service period is not regarded as lost time in their lives by conferring degrees or credits in military studies during military service, and the young people returning to society do not duplicate and waste time on their studies in order to avoid. In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the theoretical approach using the researcher's empirical approach was applied, such as legal and foreign cases, prior degree thesis research, public data analysis by government agencies. The research procedure first analyzed the credit bank system of Korea's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Agency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academic manage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ed by national universities and counties in Korea to derive problems in Army education. After that, Army University, an integrated military education system for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US Army, was analyzed to derive necessary meas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Army University in our military. The analysis criteria necessary for this study was derived from the legal standards of university establishment, the specificity standards of special purpose universities, and six area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Army Universities through prior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 criteria for students with excellent faculty and enthusiasm were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 current academic management of the Army'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chool units meet the legal standards for credit recognition and to present standards for the composition of teachers and student quota to establish the Army University. For the operation of universities, excellent faculty members with professional research results and degrees prescribed by the law are needed. In addition, strict selection regulations that require students to be selected as people who can work enthusiastically to equip their expertise and a strict academic curriculum system that allows students to graduate and receive degrees only when they achieve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the criteria for credit recognition and academic management based on strict academic standards were analyzed. The Army University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fostering creative talents who can develop the nation's competitiveness at a time when lifelong learning is becoming a global trend. Currently, Korea has a lifelong learning system in which all partial academic efforts in the lives of the people are recognized as achievements. The military also met the legal academic management standards for military education and expanded online learning opportunities to actively engage in academic exchanges with society, allowing military education to be recognized a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by private universities. Third, the criteria for degree acquisition and graduate school establishment were analyzed. General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military departments to award bachelor's degrees to doctoral degrees, and the military awards such degrees from KNDU. However, in the Army, despite being a military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 there is no such degree-giving institution. Current army university and branch schools, where academic research on military tactics and strategies is conducted, educate students to find solutions on their own through research and exploration of books, and present research papers and review are being conducted, but these academic research results have been not properly recognized. The institutional efforts to be supplemented in order for such education and research on military science to be recognized as academic value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Fourth, the criteria for land and teachers were analyzed. All land where all military facilities are located belongs to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 affiliated organization, and meets the quantitative standards stipulated by law. Facilities are also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have many parts such as accommodation, restaurants, libraries, classrooms, rest areas, playgrounds, practice training centers, and gymnasiums. We tried to verify whether these meet the legal standards. Fifth, the criteria for cooperation with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s for academic exchange were analyzed. General universities have industry-academia-research cooperation institutions. Academic research and cooperation with institutions that practice it lead to academic development. To this end, the military invites prominent professors from general universities and working-level officials in the security field to listen to opinions at military seminars. Measur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academic value of military science and to be linked to lifelong learning through cooperation with military and academic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and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es in each field. Sixth, the criteria for research and publication of military research data provided by the military were analyzed. Most of the results of academic research are publications, indicating their achievements, and sharing them around the world through the Internet. One of the important procedures for recognizing the academic value of military education conducted by the county is to get academic authority over publications and to be us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Various publications issued by the Army should be promoted to registered sites in the Academic Research Foundation. As a result, many military materials studied by army members were published in prestigious military journals and used in research by various private institutions, suggesting ways to ensure that military education in the Army is recognized for its academic value. In this paper, based on six analysis criteria, the plan for establishing a military university was presented. We hope that education through the Army University will not only satisfy military purposes, but also become a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 that helps members live their lives. The current generation is demanding more consilience type of talents with abilities in various fields than experts in any one field. In our Army, we hope that excellent consilience type of talents with knowledge and ability to lead the future society in various fields will be nurtured at the Army University with a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become the leaders of national development. 2020년 국방백서에 의하면 육군은 약 48만여명의 장병들이 근무하고 있다. 이 가운데 전문 직업군인인 장교는 약 6만여명, 부사관은 약 11만여명이 있다. 간부인 장교와 부사관은 군사교육기관의 학업과 자기개발을 통해 군생활간 군사지식 함양과 전투능력 향상, 올바른 품성과 리더십 함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과를 높여서 우수자원으로 선발되면 상위 계급으로 진급을 하고 군생활을 이어간다. 그러나 선발되지 못한 간부들은 전역 후 생계를 위해 재취업을 준비해야 하며 준비과정에서 많은 수의 인원들이 학위를 획득하기 위해 학업을 이어가고 있다.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병사들도 전역 후 학위획득을 위해 중단되었던 학업을 본격적으로 이어가야 한다. 이렇게 육군의 구성원들이 사회로 환원되면서 학업과 연결되는 경우가 상당수이다. 그러나 군에서의 학문적 지식과 경험에 대해 대학에서 온전하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 이어서 장병들 입장에서는 시간과 노력을 중복하고 있고 이는 국가적으로 매우 큰 손실이다. 본 연구는 군생활 자체가 학업의 연장선으로 국가 평생교육체계와 연결되어 사회의 일원으로 환원되는 전역 장병들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여 사회의 생산과 발전에 기여하는 구성원이 될 수 있는 방법을 구상하기 위해 시작하게 되었다. 육군은 2개의 사관학교, 11개 병과학교, 육군훈련소, 육군학생군사학교, 육군부사관학교 등의 많은 종류의 교육기관을 갖고 있다. 여기에 근무하는 교관(교수)의 숫자만 하더라도 3,000여명에 이른다. 육군은 전문 군사교육을 시행하며 평생교육을 위해 민간대학과의 학점 교류, 학위 수여 등의 협약업무를 진행 중이다. 대부분의 병사들은 민간대학과의 학점 교류에 대해 관심이 높으며 군복무 중 최대한 학점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반면에 대학의 학점인정은 군과 협약을 맺고 사이버 학과가 개설된 대학에서 인터넷 강의 수강을 통해 제한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군에서 시행하는 전문적인 군사교육뿐만 아니라 일반 교양수업 내용인 리더십, 사회봉사, 체력단련, 성인지교육 등에 대한 교육을 학점으로 인정해 주는 대학도 많지 않은 실정이다. 학점인정뿐만 아니라 군사교육기관의 전문 군사학 교육시간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위수여는 국방대학교나 민간대학에서만 하고 있다. 육군 군사교육의 최정점에 있는 육군대학(Army College)에서도 학위를 수여하지 않고 있다. 육군대학에서는 야전 실무 경험과 이론을 겸비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제에 대해 발표 및 토론을 진행한다. 각종 시험도 교리적 기본지식에 창의적 안을 제시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렇게 이론 교육과 실전을 겸비한 전문군사교육이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육군대학에서는 학위를 수여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육군대학을 이수한 간부에게는 민간대학에서 군사학을 전공시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주고 있는 것이 전부다. 선진국 군대의 경우에는 모든 군사 교육기관을 군의 특성을 고려하여 통합하고 유기적으로 관리할 뿐만 아니라, 국가가 인정하는 석사 이상의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대학(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들은 군사적 측면에서의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군의 발전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군의 구성원들이 전역 후에도 군에서 획득한 학위, 자격, 역량을 사회에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례로 미 육군은 모든 군사교육기관을 육군종합대학(Army University)체계로 조직하여 육군교육사령관이 육군종합대학 총장직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전체 교육시스템을 연관성 있게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군사관련 전공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석・박사학위를 수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민간과 공통되는 다양한 분야에 대해서는 민간대학과 학점교류 및 인증제도를 통하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의 평생교육시스템의 일환으로 ‘육군대학교(Army University)’ 설립을 제안하였다. 장병들이 군 복무기간에 군사학에 대한 학위를 수여받거나 학점을 인정받음으로써 군복무기간을 자신의 인생에서 잃어버린 시간으로 생각하지 않도록 하고, 사회로 환원되는 젊은이들이 학업에 대한 시간과 노력의 중복과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법률과 외국의 사례, 선행 학위논문 연구, 정부기관의 공개자료 분석, 연구자의 경험적 접근방법을 활용한 이론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절차는 먼저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진흥원의 학점은행제를 분석하고 국내의 국립대학과 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교육기관의 학사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평생교육 개념 차원에서 육군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후 미 육군의 평생교육 개념의 군사교육 통합체계인 육군종합대학을 분석하여 우리 군의 육군대학교 설립에 필요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분석기준은 대학설립의 법적기준과 특수목적대학의 특수성 기준, 선행연구를 통해 육군대학교 설립에 필요한 여섯 가지 분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우수한 교수진과 열의를 갖는 학생에 대한 기준을 분석하였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육군의 교육기관과 학교부대들의 학사운영이 학점인정을 받을 수 있는 법적 기준에 부합되는지를 분석해보고 육군대학교를 설립하기 위한 교원의 구성과 학생정원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학 운영을 위해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문적인 연구실적과 학위를 갖고 있는 우수한 교수진들이 필요하다. 또한 구성원들의 전문성을 구비하기 위해 학업에 열성적으로 임할 수 있는 인원으로 선발토록 하는 엄격한 선발규정과 학업의 성과를 반드시 이루어야만 졸업을 하고 학위를 수여 받을 수 있는 엄격한 학사과정 체계를 만들어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열정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엄격한 학업기준에 의한 학점인정 및 학사운영에 대한 기준을 분석하였다. 육군대학교는 평생학습이 세계적인 추세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시기에 국가의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창의적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국민들의 삶에서 부분적인 학문적 노력이 모두 성과로 인정되는 평생학습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 군에서도 군사교육에 대한 법적인 학사운영 기준을 충족하고 온라인 학습 기회를 확대하여 사회와 활발한 학술적 교류를 함으로써 민간대학에서 군사교육을 학점으로 인정받아 군생활이 평생교육의 한 부분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학위수여 및 대학원 설치에 대한 기준을 분석하였다. 일반 대학에서는 군사학과를 설립하여 학사학위부터 박사학위까지 수여하고 있으며, 군에서는 국방대학교에서 그러한 학위를 수여한다. 그러나 육군에서는 군사 전문교육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학위수여 기관이 없다. 군사 전술과 전략의 학문적 연구가 이루어지는 육군대학과 병과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서적의 연구와 탐구를 통해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유도하는 교육을 하고, 연구논문 발표와 심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학문적 연구실적이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육군의 군사학에 대한 교육과 연구가 학문적 가치로 인정받기 위해 보완해야 할 제도적 노력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교지 및 교사에 대한 기준을 분석하였다. 군의 모든 시설이 위치한 대지는 모두 군유지로 소속기관인 국방부에 속해있고 법률에서 규정하는 양적 기준에 부합하고 있다. 시설 또한 교육기관으로써 숙소, 식당, 도서관, 교실, 휴게소, 운동장, 실습훈련장, 체육관 등 많은 부분이 갖추어져 있다. 이를 법적 기준에 충족하는지 여부에 대해 검증하려 하였다. 다섯째, 학문적 교류를 위한 산·학·연과의 협력에 대한 기준을 분석하였다. 민간 대학은 산·학·연 협력기관을 두고 있다. 학문적 연구와 이를 실용하는 기관과의 협력은 학문적 발달을 이루게 한다. 이를 위해 군에서는 군사학 세미나에 민간대학의 저명한 교수와 안보분야의 실무담당자들을 초빙하여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군대와 학문적 연구기관인 대학, 각 분야의 전문연구기관들과의 협력들 통해 군사학에 대한 학문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평생학습과 연계될 수 있도록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군에서 제공하고 있는 군사연구자료의 연구출판에 대한 기준을 분석하였다. 학문적 연구의 결과는 대부분 출판물로 그 성과를 나타내며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에 그 성과를 공유하게 된다. 군에서 시행하는 군사교육의 학문적 가치를 인정받기 위한 중요한 절차 중 하나가 바로 출판물에 대한 학문적 권위를 갖고 다양한 학술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육군에서 발행하고 있는 다양한 출판물들이 학술연구재단에 등재지로 승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육군 구성원들이 연구한 많은 군사자료들이 권위 있는 군사학술지에 출판되어 다양한 민간기관에서 연구에 활용되고 이를 통해 육군의 군사교육이 학문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여섯 가지 분석기준을 기반으로 육군대학교 설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육군대학교를 통한 교육이 군사적 목적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인생에 도움이 되는 평생학습기관이 되기를 희망한다. 현 세대는 어느 한 분야의 전문가보다 다양한 분야의 능력을 갖춘 통섭형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우리 육군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지식과 능력을 갖춘 우수한 통섭형 인재들이 평생교육 시스템을 갖춘 육군대학교에서 양성되어 국가 발전의 주역이 되길 기대한다.

      • 대학학업성취도 결정요인 분석

        김홍철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If education is a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knowledge and skills that should be acquired by humans to live life while keeping human dignity, academic achievement is the result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serves as the basis for determining whether education is well performing. Thus, shedding light on decisive factors behind academic achievement is nut just prerequisite for successful education but also is the first step to live a life with human dignity. The study aims to illuminate decisive factors behind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To this end, the study decided to focus on research subjects described as follows: first, impact of family-related variables (such as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level and tutoring cost) on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secondly, impact of variables regarding high school performance (such as high school GPA, class attitude, time spent to study alone) on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third, impact of university-related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facilities, contentment with curriculum, time spent to study alone, time spent to study with colleagues, satisfaction with subject,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on academic achievement; fourth, gender-based impact of variables regarding family, high school and university o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data of Korea Education Employment Panel: KEEP) l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rom 2016 through 2019, the study set apart variables regarding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family, high school and university as dependent variables to perform t-tex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first, whereas family variable (such as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impacts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in some way, it has proved to be irrelevant to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second,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family-related variable is under control, it has proved that the higher GPA of 2nd grade of high school is, the better class attitude is, the more time spent to study alone there is, the better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is; third,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variables regarding family and high school are under control, it has turned out that the more time spent to study major alone there is,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major is, the better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is; fourth, gender-based analysis of any difference among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family variable, high school variable and university variable shows that as far as satisfaction-related variables in general are concerned, male students tend to have higher satisfaction and female students tend to score higher in variables regarding tutoring cost, time spent to study and academic achievement; fifth, while the biggest factor behind mal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is time spent to study alone, the biggest one for female students is satisfaction with major, followed by time spent to study alone at university, time taken to study alone at high school and GPA of high school; sixth, gender-based analysis of impact of variables regarding family, high school and university on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shows that while time taken to study together with colleagues works out positive result for male students, the opposite is true for female ones, with impact of satisfaction with major on academic achievement being far stronger for female students than for male ones. These results evoke conclusions described as follows: First, while impact of family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is untangible, impact of high school GPA and time taken to study alone at high school on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has proved great, suggesting that of the family variables impacting high school academic performance (high school GPA),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is most likely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Second, acquiring proper class attitude and getting used to studying alone during high school period contributes to upgrading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Third, increasing time spent to study alone and satisfaction with major contributes to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Additionally, satisfaction with major closely correlates with one's own choice of favorite major, suggesting importance of thoughtfully considering one's own major at the time of entering university. Fourth, decisive factor behind mal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is time taken to study alone, suggesting importance of forming the habit of studying alone. As far as decisive factors behind femal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are concerned, it has prov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 ranked 1st, followed by time taken to study alone at university, satisfaction with major, time taken to study alone at high school and high school GPA. In particular, both satisfaction with major and time taken to study alone have turned out to have the greatest impact and equally be influential. This suggests importance of forming the habit of studying alone as well as of thoughtful selection of academic department and opting for well-suited major. Fifth, while impact of time to study together with colleagues on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ha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 on male students, the opposite has proved to be true for female student, with impact of satisfaction with major on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being far greater for female students than for male ones. This suggests that while male students desirably should seek to study together with colleagues, female ones contrastingly should restrain themselves from studying together for better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Additionally for female students, for whom satisfaction with major is the most decisive factor behind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it is most important to thoughtfully select academic department and opt for well-suited major at the time of entering the university. 교육이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해 터득해야할 지식이나 기술 등을 가르치고 배우는 일련의 과정이라면, 학업성취도는 가르침과 배움에 대한 결과이며 교육이 잘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준거가 된다. 그러므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성공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선결조건이며 나아가 인간답게 살기위한 첫 걸음이다. 본 연구는 대학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정 관련 변수(부의 학력, 모의 학력, 경제수준, 사교육비)가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고교 관련 변수(고등학교 내신등급, 수업태도, 혼자 공부한 시간)가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 관련 변수(대학시설만족도, 교육과정만족도, 혼자 공부한 시간, 여럿이 공부한 시간, 학과만족도, 대학만족도)가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가정 관련 변수, 고교 관련 변수, 대학 관련 변수가 성별에 따라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따라서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조사한 한국교육고용패널Ⅱ(Korea Education Employment Panel: KEEP) 자료를 바탕으로 대학학업성취도를 종속변수로, 가정 관련 변수, 고교 관련 변수, 대학 관련 변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t-text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관련 변수는 고등학교 학업성취도에 일부(부모의 학력) 영향을 미치지만, 대학학업성취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가정 관련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고교 관련 변수의 효과는 고등학교 2학년 내신 등급이 높을수록, 학습태도가 좋을수록, 자습시간이 많을수록 대학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가정변수, 고교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대학변수가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혼자 전공 공부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학과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성별에 따라 대학학업성취도와 가정변수, 고교변수, 대학변수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볼 때 만족도에 관련된 변수들은 남학생이 높고 사교육비와 공부시간, 학업성취도에 관한 변수들은 여학생이 높았다. 다섯째, 남학생의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대학교에서 혼자 전공 공부한 시간이며 여학생의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학과만족도, 대학교에서 혼자 공부한 시간, 고등학교 때 혼자 공부한 시간, 고등학교 내신 성적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학업성취도에 대한 가정변수, 고교변수. 대학변수의 남녀 간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대학학업성취도에 대한 여럿이 공부한 시간에 대한 효과는 남학생에게는 긍정적이었지만 여학생에게는 부정적이었고, 대학학업성취도에 대한 학과만족도의 효과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대학학업성취도에 대한 가정 관련 변수의 효과가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등학교 내신 성적, 고등학교에서 혼자 공부한 시간이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므로 고등학교 학업성취도(고등학교 내신 성적)에 영향을 미친 가정 관련 변수 중 부모의 학력이 간접적으로 대학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고등학교 시절에 올바른 학습태도를 익히고, 혼자 공부하는 경험을 쌓는 것이 대학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셋째, 대학에서 혼자 공부하는 시간을 늘리는 것과 학과에 대한 만족도가 대학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더불어 학과 만족도는 자신의 전공 선택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대학 입학할 때에 자신이 원하는 전공에 대한 심층적 고찰이 요구된다. 넷째, 남학생의 대학교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교에서 혼자 전공 공부한 시간이 절대적인 결정요인이기 때문에 혼자 공부하는 습관을 익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여학생의 대학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결정요인으로는 학과만족도, 대학교에서 혼자 공부한 시간, 학과만족도, 고등학교에서 혼자 공부한 시간, 고등학교 내신 성적순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학과만족도와 대학에서 혼자 공부한 시간이 가장 높고 동등한 영향력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혼자 공부하는 습관을 익히는 것이 필요하고, 학과의 지원과 자신에게 알맞은 전공 선택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대학학업성취도에 대한 여럿이 공부한 시간에 대한 효과는 남학생에게는 긍정적이었지만 여학생에게는 부정적이었고, 대학학업성취도에 대한 학과만족도의 효과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남학생은 여럿이 공부하는 것을 지향하고 여학생은 여럿이 공부하는 것을 지양하는 것이 대학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더불어 여학생의 경우 전반적으로 학과(전공)에 대한 만족이 대학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학과의 지원과 자신에게 알맞은 전공 선택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 인권 아카이브 구축방안 연구

        고석호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인권은 사람이 가지는 가장 기본적인 권리로 인종·국적·성별·종교·지위 등에 의해 차별받지 않으며, 모든 인간은 존엄성과 권리를 가진다. 인권의 가치를 지키고 증진하기 위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시민, 단체, 지역, 국가 등 전세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유엔의 인권규약 제정과 각국의 이행과 더불어 인권단체의 활동은 인권증진의 큰 도움이 되었다. 특히 특정 국가 혹은 전 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인권단체의 활동은 지역과 국가뿐만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인권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인권단체의 활동의 결과물은 기록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이들 기록은 각 시대의 사회상과 역사 역사적인 가치를 지닌다. 특히 이들의 기록은 제도권에서 담아내지 못한 측면을 보여줄 수 있다는 사실은 이들 기록의 중요성과 관리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인권단체의 기록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이들 기록의 보존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를 하였다. 기록의 보존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인권단체들이 생산한 기록을 전문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시설과, 정기적으로 이관할 수 있는 장소인 인권 아카이브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한국의 인권단체 중 인권운동사랑방과 국제 앰네스티 한국지부를 선정하여 기록의 생산 현황 및 유형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각 단체에서 발생하는 기록관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외 사례로 미국 콜롬비아 대학의 인권 아카이브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시사점 도출 후 인권 아카이브 설립 모형을 방안을 대학, 인권단체 네트워킹, 국가인권위원회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이들 대상의 비교·분석 후 가장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대학 주도의 인권 아카이브 설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 주도의 아카이브 설립을 위해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와 서울대학교 기록관을 대상으로 설립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일반대학에서 인권 아카이브 설립 추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권단체 2곳을 대상으로 기록과 문제점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록의 유형과 문제점 도출에 한계가 있다. 또한 아카이브 구축 후 수집, 정리, 기술, 서비스 등 기록관리 프로세스를 방안을 서술하지 못하였다는 것이 가장 큰 한계점이다. 현재 한국에서 인권 단체의 기록관리에 대한 관심은 여타 다른 분야에 비교하면 부족하다. 하지만 인권단체의 기록관리 방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차후 우리에게 필요한 기록의 소실을 막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그들의 기록을 보존할 수 있는 아카이브 구축 노력이 필요하다. Human rights are the most fundamental right that human being has which entitles them to have a human dignity and not to be discriminated against race, nationality, sex, religion, as well as status. Attempts to protect and promote the value of human rights have been made globally by citizens, organizations, regions and nations in the past to the present. UN’s enactment of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with each nation fulfilling this and the activity of Human Rights NGOs have helped to the large extent. Especially, certain countries or activity of globalized Human Rights NGOs not onl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in the regions and nations but also worldwide. The results of such the NGO’s activity can be easily found through their archives which represents the social aspect and historical value of the times.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se archives can show the aspects which were not captured by the mainstream indicates the importance of archive and need for the proper management. For this reason, this thesis investigates ways to preserve with a focus on the importance of the Human Rights NGOs’ archive. I have recommend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facility that can professionally preserve the archives produced by the NGOs as well as the storage of human rights archives to regularly transfer those produced archives First, I have selected SARANGBANG Group for Human Rights and Amnesty International South Korea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type and progress of the archives. I have also analyzed the archival management (or record keeping) problems of each organization and compared this to an analysis of Columbia University’s human rights archive to derive an implication I have then scrutinized the alternative 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human rights archives by focusing on universities, human rights networking and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Following this, the most possible alternative of university-led establishment of the human rights archives method is suggested. I have recommended the method to the setting up of the university-led archives through Sungkonghoe University Democracy and Social Movements Institution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Archives. The solution then was suggested when general universities set up the human rights archives. This study cannot be generalised as it only investigated record keeping and problems in just two limited samples. The fact that this study does not detail the acquisition, arrangements, description and services of record keeping process remains as the greatest limitation. There is currently lack of general interests in the archival management by human rights NGO’s compared to other fields. Nevertheless, we would not be able to prevent the loss of necessary records if the proper method of record keeping by human rights NGOs is not established. Significant effort, hence, is required to set up the archives that can store their records.

      • 군사학 학문체계 정립 및 군사학 학위수여 방안

        배후섭 한남대학교 행정정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1980년대 초부터 일기 시작한 군사학 학문체계 정립을 위한 노력은 과거의 국방대학원이 그 시초였으며, 1990년대 들어서는 육사가 그 뒤를 이어 받았고 최근에는 육군본부에서 군사학을 일반학문으로 교육부로부터 공식학문으로 인정을 받았으며, 군사 학사과정에 대전대학교가 2004년도, 경남대, 원광대, 조선대가 2005년도 학과를 개설하여 신입생을 선발하여 교육 중에 있으며, 충남대와 대전대가 석사학위과정을 개설하여 대전대는 2005년도에 석사과정 학위를 지난 2월에 수여한 바 있다. 그리고 충남대는 2005년도 박사과정을 신설, 학생을 모집하여 교육 중에 있다. 그러나 군사학 학문체계에 대해서는 아직도 전군적인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해군은 물론 공군도 이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우선되어야 한다. 군사학이 과연 학문인가에 대한 공감대가 군에서 먼저 형성되어야 이를 기초로 사회의 동의를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식을 기초로 군사학의 학문체계를 정립해 보고 만일 이에 대한 동의가 전제될 경우, 어떻게 학위를 부여할 것인가 초점을 맞추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라서 군사학 학문체계 정립은 규범적 차원에서 접근했으며, 군사학의 학위부여 문제는 정책적인 차원에서 접근했다. 군사학이 단일 학문으로 독립하기 위해서는 군사학이 다루는 학문의 대상이 고유해야 하며 대상에 따른 연구의 영역이 또한 교유해야 한다. 또한 군사학이 경험적으로 검증될 수 있는 과학성을 띄어야 한다. 그래야 군사학이 하나의 학문으로 독립할 수 있다. 군사학의 학문대상은 여타 학문과는 구분되는 군사력과 분쟁과정이다. 군사학의 연구범위(영역)는 군사학의 연구대상과 각종 공식문헌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군사학의 연구범위를 염두에 두면서 헌법과 군인복무규율, 정부조직법, 그리고 국방목표 등 군사와 관련된 각종 공식적인 문헌을 검토해 본 결과, 군사학의 연구범위는 군사력 건설과 유지, 군사력 운용 및 기타 군사분야로 대별할 수 있었다. 기존의 연구들은 군사학을 종합학문으로 규정했기 때문에 군사학의 독립적인 연구대상과 연구범위를 한정하는데 소홀했다. 이런 결과로 군사학은 종합학문의 영역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학문체계 정립은 지체와 서행을 거듭할 수밖에 없었다. 군사학의 연구범위를 설정한 기존의 연구들도 군사학의 범위에 군사과학기술 분야를 포함시킴으로써 군사학이 사회과학도 아니고 자연과학도 아닌 이상한 위상을 갖는 결과를 초래했다. 군사학을 너무 광범위하게 정의해서도 곤란하며 그렇다고 너무 협소하게 정의해서도 안 된다. 군사학을 광의로 정의할 경우 군사학은 군사과학기술분야를 포함하는 종합학문의 틀 속에서 빠져 나올 수 없으며, 협의로 정의할 경우 군사학은 용병분야로만 한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군사학은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자신의 위상을 가져야 한다. 군사학이 과학이 되기 위해서는 경험적으로 증명되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록 많은 학자들이 학문이 꼭 과학적이어야 하는 가에 대한 반론에도 불구하고 학문은 과학적일 필요가 있다. 비록 상반된 이론이 존재하고 또 그 이론이 현상을 완벽하게 증명해 주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고 이런 지적 노력을 통해서 학문이 발전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어떤 학문이든 학문은 과학적일 필요는 있다는 것이다. 군사학은 과학적으로 검증되어야 할 분야가 그 어떤 학문분야 못지 않게 산재해 있다. 그리고 이런 군사현상은 또 과학적으로 증명이 가능하다. 많은 사람들이 아무런 생각없이 군사학은 과학적인 학문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런 사람들은 군사학의 연구대상과 연구범위에 대해서, 그리고 수많은 군사현상에 대해서 충분한 고민을 해 볼 것을 권하고 싶다. 군사학은 경험과학일 뿐만 아니라 정책적인 성격과 규범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학문이기도 하다. 군사문제를 정책의제화 하고 과학적인 기법을 동원해서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평가하는 문제가 바로 군사학이 규범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군사학은 바람직한 가치가 무엇인가(SOLLEN)에 대한 가치판단을 하는 학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군사학은 과학적이고 정책적이며 규범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학문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군사학을 정의해 보면, 군사학이란 ‘군사력과 분쟁과정을 연구대상으로 군사력 건설 및 유지, 군사력 운용, 그리고 기타 군사분야를 연구범위로 하여 이를 경험적, 정책적, 규범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군사학이 단일학문으로 정립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군사학의 학위수여를 어떻게 할 것이냐 하는 분제는 정책적인 영역에 속한다. 이 분야에서의 현실을 살펴보면 육군은 너무 앞서 나가고 있고, 해.공군은 많은 관심을 못한 편이며, 국방부는 이 문제를 3군이 함께 가는 군정의 차원에서 이를 조망해 보려고 노력하고 있다. 앞서 나간 육군에 비하면 너무 늦게 관심을 가진 것 같다. 군사학의 연구범위를 토대로 군사학 교과목을 편성해 본 결과 약 46개 과목 정도가 되었으며 이를 통폐합한다고 해도 약 16개 과목은 되었다. 또한 육군의 육사와 3사, 해사, 공사의 군사학 교육실태를 살펴보면, 각 사관학교의 군사학에 대한 교육 실태는 오히려 전공학과목을 능가할 정도로 충분히 교육되고 있었다. 따라서 각 사관학교에서 군사학 학사학위를 부여하는 데에는 특별한 문제점이 없다. 문제가 있다면 군사학 학문체계가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군사학이라는 용어가 이상하게 변질되어 사용하고 있다는 점과 생도대에서 담당하고 있는 교리 및 훈련 과목을 군사학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군사학 학문체계 정립에 대해 각 사관학교가 동의해 준다면 군사학을 둘러싼 이상한 용어들은 제자리를 잡을 것이다. 의학이 의학과 의술로 구분되지만 이를 통칭할 경우 의학으로 부르듯이, 군사학도 이론으로서의 군사학(WHY)과 실습으로서의 군사술(HOW)로 대별될 수 있지만 이를 통칭할 경우군사학(military science and art)으로 불려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실습의 개념인 군사교리와 훈련에 관한 군사술도 학점으로 부여해야 하며, 군사학은 더 이상 일반학과 대칭되는 개념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일반학의 한 영역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육사와 3사, 그리고 해사와 공사 졸업생들에게 군사학 학사학위를 부여할 경우, 전공학위와 함께 이중으로 부여하는 바람직하다. 현재 육군본부에서 시행하고자 하는 군사학의 수평적 확대방안은 육사 졸업생들에게만 군사학 학사학위를 이중으로 부여하고 일반출신들은 OAC를 졸업할 때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는 학점은 행제를 통하여 군사학 학사학위를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이 방안은 다음과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첫째, OBC와 OAC의 교육내용이 사관학교에서 학위를 줄 수 있는 정도의 심화된 군사학과는 거리가 멀다는 사실이다. 둘째, 육사출신들만 군사학에 대한 이중학위를 부여한다는 단점이 있다. 셋째, 학위를 받기 위한 것이라면 육사출신들은 OBC나 OAC에 입교할 필요가 없다는 엉뚱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넷째, 모든 장교들에게 군사학 학사학위를 줄 필요는 없다. 다섯째, 군사학 학위는 구걸의 대상이 아니라 자부심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여섯째, 병과학교를 일반학교화 한다는 문제점을 가져온다. 가장 바람직한 방안은 육사 및 3사 출신, 그리고 해사와 공사 출신들에게는 군사학 학사학위를 이중으로 부여하고 기타 사관후보생들에게는 군사학과 관련된 과목을 많이 수강하도록 권장하는 방안이다. 일반출신들에게는 군사학 학위보다는 학습 내용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육군본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OAC 졸업시 군사학 학사학위를 부여하는 방안은 제고되어야 한다. 군사학의 수직적 확대방안인 석.박사 학위 부여 문제는 기존의 국방대학교 석사과정을 일부 수정 개편하면 된다. 국방대학교의 야간 석사과정 중에서 안보정책학을 국제관계학과 군사 전략학가로 구분하여 군사전략학과 출신들에게 군사학 석사학위를 부여하면 된다. 또한 주간 석사과정은 국방관리와 군사전략을 전공하는 학생들에 대해서 국방관리 석사와 안전보장 석사 학위 대신에 군사학 석사학위를 부여하면 된다. 이는 정치사상과, 한국정치, 비교정치, 지역 연구 등 다양한 전공분야에서 학위 논문을 썼다고 하더라도 정치학 석.박사 학위기를 부여하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라고 이해하면 된다. 기타 전공분야는 현재의 학위기를 그대로 수여하면 된다. 박사 학위 수여문제는 고등교육법 상 국방대학교가 특수대학원으로 분류되어 있어 박사학위를 수여하는데 재한적인 요소가 있으나 이는 극복 될 수 있는 문제라고 본다. 외국의 군사학 학위수여 실태는 나라마다 상이하나 중요한 사실은 군사학을 학문으로 체계화하여 학위를 수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군사학 학위 수여는 남의 나라 눈치만 볼 필요도 없다. 군사학이 자신의 고유 연구대상과 연구영역을 가지고 있고 경험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분야가 많은 단일 학문으로 인정만 된다면 학위 수여문제는 그 결과의 산물이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될 것이 없다고 본다. 따라서 학문체계 정립과 학위수여에 대해 그 우선순위를 따진다면 전자가 후자보다 훨씬 중요하고 시급한 문제이다. 군사학의 사회적 확산은 이미 시작되었다. 비록 대전대학교가 군사학 학사과정을 2004년에 개설한다고는 하지만 학부과정보다는 군사학 석사과정신설이 더 바람직하다. 대전지역에 두 군데는 이미 설치되었거나 설치 예정이다. 따라서 서울지역에 한두 군데를 설치하도록 일반대학교와 협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부과정 신설의 확대와 주간 석박사 과정의 신설은 장기적으로 연구해 볼만한 과제이다. 국방대학교 및 일반대학교의 군사학과 석사과정 개설은 일반출신 장교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일반대학교의 군사학 학사, 석박과정의 설치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군의 장교로 임관되는 장교후보생들이 군사학을 많이 수강하고 군에 들어오게 하는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일반대학교에 군사학과 관련된 과목들이 많이 개설되어 있는데, 장교후보생들이 이러한 과목을 많이 수강하도록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중기적으로는 군사학과 관련된 광고를 일반대학교에서 많이 개설하도록 이를 협조하는 방법이다. 비단 장교후보생들 뿐만 아니라 많은 학생들이 군사학 관련 과목을 수강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되면 군사학의 사회적 확산은 천천히 그리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것이다. 군무원들 대부분이 특기직에 근무하게 된다는 사실을 고려해 본다면 이들에게 군사학 과목 수강여부에 따라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전지경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개발에 목적을 두고, 대학생 시기에 형성되는 건강한 커플관계 정체감 형성이라는 발달과업 수행을 통하여 커플 상호간의 친밀감을 향상시키고 커플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커플이 성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커플관계의 본질을 스스로 알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자기이해·자기수용·자기개방 기술의 교육을 통하여 파트너 이해를 돕고 이러한 기술은 파트너의 이해·파트너의 수용을 도우며, 나아가서 커플관계에 대한 이해· 커플관계의 수용· 커플관계의 개방을 통한 커플의 관계증진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은 어떠한가? 1-1)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시안은 어떠한가? 1-2)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실시과정은 어떠한가? 1-3)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수정 및 평가과정 은 어떠한가? 2.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본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은 총 8가지 단계에 걸쳐 개발되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대학생시기의 발달과정과 발달과업을 고려하여 기존의 결혼준비프로그램과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로 프로그램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실제 프로그램의 수혜자인 대학생 커플들의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에 들어갈 활동을 탐색,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을 상담관련 전문가에게 안면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전문가의 안면타당도 및 조언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프로그램의 2차 수정작업을 실시하였다. 여섯 번째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후 프로그램 수혜자들의 요구도 및 각 회기마다 실시된 슈퍼비전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쳤다. 일곱 번째 단계에서는 실시 프로그램에 대한 자체 평가를 실시하였다. 여덟 번째 단계에서는 앞의 모든 단계를 통하여 보완 개발된 최종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시안은 자기이해·자기수용·자기개방을 바탕으로 한 파트너 이해·파트너 수용 그리고, 커플관계의 이해·커플관계 수용·커플관계 개방의 이론적 틀을 가지고 있고, MBTI, 현실요법(RT), 교류분석(TA)의 주요이론을 중심으로 이론 및 기법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또한 집단상담 형식의 진행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이형득의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과정은 도입단계, 준비단계, 작업단계, 종결단계의 4단계에 걸쳐 총 10회기로 구성하였으며, 각 회기마다 2시간씩 10주 동안으로 실시하도록 하였다. 각 회기는 회기 활동의 목적, 강의, 활동, 경험나눔, 마무리 순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과정은 한남대학교 학생상담센터에서 홍보를 통해 모집하였고 참가를 신청한 22쌍의 대학생 커플들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쌍씩 배치되었다. 프로그램의 진행은 한남대학교 학생상담센터의 전문상담원에 의해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수정 및 평가과정은 전반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과 프로그램의 슈퍼비전을 통하여 실시 및 프로그램에 대한 자체평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전반적 프로그램 분석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틀과 수혜 집단의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슈퍼비전은 프로그램의 실시과정 속에서 매회 비디오 분석을 통한 슈퍼비전과 프로그램 진행 후 집단원들의 평가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자체 평가는 프로그램 실시 후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검사와 프로그램의 소 목표였던 이해·수용·개방 정도 척도를 통하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포함시켰다. 프로그램의 자체평가 결과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이해, 수용, 개방 측면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프로그램이 커플간의 자기이해·자기수용·자기개방, 파트너 이해·파트너 수용 및 커플관계 이해· 커플관계 수용· 커플관계 개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의 최종 구성은 자기이해·자기수용·자기개방을 바탕으로 한 파트너 이해·파트너 수용 그리고, 커플관계의 이해·커플관계 수용· 커플관계 개방의 이론적 틀을 주요이론인 MBTI, 현실요법(RT), 교류분석(TA)의 이론적 측면과 기법적 측면에서 통합을 시도하였다. 또한 도입단계, 준비단계, 작업단계, 종결단계의 4단계를 10회에 걸쳐 구성하였고, 한 회기에 2시간씩 진행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진행방식은 집단상담 형식으로 구성하고, 각 회기는 회기 활동의 목적, 강의, 활동, 경험나눔, 마무리 순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Integrative Pre-Marital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couple relationship enhancement. This Ten-week-program is designed to help partners to achieve individual identities and develop mutual commitments and thus enhance the Couple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1. What were the processes of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couple relationship enhancement? 2. What was the structure of the integrated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couple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s were as the following: ·1st step : Construct theoretical bases of the program ·2nd step : Survey of program necessity (university student) ·3rd step : Program development ·4th step : Face validity ·5th step : Practice the Program ·6th step : Revise the program ·7th step : Internal evaluation ·8th step : Finalize the program The program tried to integrate both theories and techniques of MBTI, Reality therapy and Transactional Analysis with couple-understanding, couple-acceptance, couple-disclosure. It was developed by self- understanding, self-acceptance, self-disclosure during development procedures. And then it was for partner-understanding, partner- acceptance. The program was practiced for 10 weeks: One session per week for 2 hours for each session. For each session group counselling was performed which consisted of five parts(Objective, Lecture, Activity, Experience sharing and Wrap-up).

      • 한국어 교재의 부사 출현 양상과 교수방안 연구

        김홍상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이 적용되고 있는 교재에 어떠한 부사가 출현하며, 얼마나 출현하는지를 조사하고 분석하며 한국어 부사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 대상과 내용에 대해 서술하였다. 또 연구 방법의 분석의 기준과 절차에 대해 소개 하였다. 아울러 선행 연구를 검토해 보았다. 선행 연구 검토에서는 국어학 분야에서의 부사 연구와 한국어 교육에서의 부사 연구를 비교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부사 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5개 대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부사 어휘 항목을 출현 빈도수에 따라 분류하였고, 부사 항목을 의미범주에 따라 의미론적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출현 빈도수 상위 10%에 해당되는 부사를 분석하였다. Ⅱ장 2절에서는 조사한 부사 어휘 항목과 한국어능력시험용 초급과 중급에 해당되는 기출 부사 어휘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국립국어원에서 선정한 한국어 학습용 부사 어휘와 조사한 부사 어휘 항목과 비교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부사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부사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부사 중에서 정도부사 ‘아주’, ‘매우’, ‘거의’를 중심으로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업을 위한 세부 구성을 제시하고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교실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서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으로 마무리하였다.

      • 미술대학 입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연구 : 2000년 이후 디자인과 입시미술을 중심으로

        정욱진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입시제도는 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창조적이고 유연한 사고능력이 필요한 디자인대학의 입시제도 마저도 정형적이고 획일화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등미술교육의 현 상황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연구해야 할 것이며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실기고사의 형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그 대안을 찾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속담 관련 한국어 교재 분석 : 한·중 속담 비교를 중심으로

        곡초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언어는 인간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할 수 있고 민족과 지역에 따라서 그 형태와 양식이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언어 체계에서 외국어를 배울 때, 언어뿐만 아니라 그 언어를 통해서 그 나라의 민족의식, 문화 등을 배우기 위해서 언어 간의 차이, 언어 표현의 특징 등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으면 외국어 학습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한 나라의 사상과 역사, 문화, 풍속 등은 다양한 어휘적 언어 형태로 표출되는데, 그 중에서도 속담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속담은 짧은 문장 속에 그 뜻하는 것을 뚜렷하게 나타내며, 우리 일상생활에 유용한 교훈이 담겨 있다. 또한 날카로운 풍자와 교훈을 담고 있어, 듣는 사람의 이해를 도와줄 수 있고 공감을 얻어내는 데에 효과적이어서 일상 언어생활에 널리 쓰인다. 그리고 속담에는 한국 사람의 사고방식과 행동 양식 등이 담겨 있어, 외국인 학습자들은 속담을 통하여 쉽게 한국의 문화를 접할 수 있을 뿐더러 의사소통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의사소통 상황에 맞는 한국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기 위해서 속담은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 이 논문은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속담에 나타난 한⋅중 언어차이를 분석하고,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속담을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둔다. 아울러 실제 언어생활에서 속담을 잘 이해하고 사용하여 한국문화를 올바로 이해하는 데 최종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서 2장에서 기초적인 속담의 개념과 특성을 소개했다. 학자에 따라 정의도 약간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몇 가지 열거하여 비교해 보았다. 속담의 특성은 여섯 가지로 나누어 자세히 분석해 보았다. 그 다음 한국과 중국 속담의 유사점과 문화적 차이로 인한 표현 형태적 차이를 비교했다. 주로 의미와 표현이 같은 속담, 의미는 같지만 표현이 다른 속담 두 가지로 나누었다. 3장에서는 대학 출간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속담에 대해 자세히 분석해 보았다. 분석대상이 된 교재는 초급, 중급, 고급 단계까지 출간된 서울대학교『한국어1-4』, 고려대학교 『재미있는 한국어1-6』, 건국대학교『한국어1-6』, 연세대학교 『연세한국어 (1-1)~(6-2)』, 이화여자대학교 『이화 한국어1-6』교재를 대상으로 삼았다. 초급 교재에서 모두 속담을 제시되지 않았다. 중, 고급 교재에서 제시된 속담이 몇 개인지, 어떤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각 교재에서 속담의 제시 방법에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속담 전문 교재에서 『속담으로 배우는 한국어1.2』와 『살아있는 한국어 속담』두 권을 골라서 분석하고 비교해 보았다. 이연구는 속담 교육 연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ERP시스템의 활용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합비시의 대학교를 중심으로

        주해도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는 현대사회를 디지털 정보화 시대라고 한다. 정보화 사회란 정보가 모든 것의 가치기준이 되어 정보 자체가 중요한 자원의 원천이 되는 사회를 의미하는 것 이다. 정보화시대의 도래로 많은 기업의 경영 환경과 경영방식을 바꾸어 놓고 있고 개인의 삶 방식도 많이 바꾸었으며, 특히 기업에서는 일하는 방법을 바꾸어 가고 있다. 학문의 요람인 대학 조직 내에서도 이러한 변화의 요구가 시작되어 대학 전 부문에 걸쳐 패라다임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다.통상 대학조직이라 함은 학과와 학부 또는 단과대학 형태로 구성되는 교육조직과 기획실, 교무처, 학생처, 사무처와 그 하위부서로 구분되는 행정관리조직(또는 대학교 본부조직), 각종 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연구조직, 도서관, 전자계산소, 사회교육원 등의 부속기관조직, 그리고 대학정책과 운영전반에 대한심의•의결기구로서의 각종 위원회 조직을 포함한다.정보기술 (information technology)의 발전에 따른 고객의 의식 수준향상으로 소비자들의 요구가 크게 바뀌게 되었다.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해 다양화, 차별화를 추구함에 따라 이러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게 경영전략을 신속하고 즉 각적으로 바꾸지 않는다면 기업의 생존은 누구도 책임질 수 없게 되었다.ERP는 기업경영에 필요한 모든 자원의 흐름을 언제든 정확히 추출하여 기업에서 소요되는 자원의 효율적 배치와 평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3시장경제원리의 수익구조를 따라가야 한다면 ERP시스템의 도입은 단순하게 현업을 전산화하는 SI(system Integration)보다 기대 효과가 클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시스템을 연계하여 활용하는 것이 차후 개발할 수 있는 여러 모형(modeling)의 활용 면에서도 기여도가 클 것이다.2004년도부터는 합비시내 중국과학기술대학교(中国科学技术大学)가 최초로 행정 분야에 ERP시스템을 도입한 후에 지난 2005 년말 교육인적자원부가‘대학교 판공무지화(办公无纸化) 종합 방안' 중 합비시내 8개 국립대학교가 ERP시스템 구축올 준비 중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의 ERP시스템 사용자의 활용 요인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ERP시스템 활용요인과 업무성과 향상에 있어서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내고 각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